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만수 공주영상정보대학 2000 논문집 Vol.7 No.-
앞에서 언급했듯이 유아는 놀이하는 과정에서 사고의 폭을 넓혀가며, 또래 관계를 형성해 나가며, 인지적 발달을 도모하게 되며 특히 삶을 살아가는 가치를 알게 하는 기쁨이 동반되는 것이다. 즉 유아들은 놀이 속에서 배우며 여러 가지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유아가 생존에 필요한 대부분의 지식활동을 놀이를 통해서 발달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유아의 인지발달에 있어 놀이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놀이는 지능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둘째, 놀이는 보존개념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셋째, 놀이는 문제해결능력을 고무시킨다. 넷째, 놀이는 창의성을 고무시킨다. 그렇지만 놀이와 교육을 너무 직접적으로 관련짓기보다는 양자의 관계를 서로 상보적 관계로 발전시켜 양자 관계를 서로 승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즉, 유아들의 놀이를 몰입하게 만드는 원리를 파악하여 교육을 놀이처럼 구성하면 교육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성인들이 유아들에게 철저한 준비성과 환경제공으로 마음대로 호기심과 흥미를 갖고 활동을 하면서 심층있는 문제해결 능력과 확산적 사고로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李萬洙 明知大學校 文獻情報學會 1998 文獻情報學論集 Vol.- No.5
The public libraries in the northern area of Seoul and Keonggi-do don't have sufficient facilities, materials and librarians for the service of their inhabitants. It is confirmed in this study that the public libraries in the northern area of Seoul and Keonggi-do must supplement 4 to 15 members of librarians according to their scales.
이만수,백영숙 공주영상정보대학 2002 논문집 Vol.9 No.-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언어 유형에 따라 유아의 창의성에 차이가 나타나는가에 대한 것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이루진 연구이다. 첫째, 어머니의 언어 유형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언어유형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어머니의 언어유형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언어유형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 하위요소를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언어유형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 하위 요소의 변량분석 결과, 5가지의 창의성 하위요소 중 '유창성'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F(2, 88)=3.59, p<.05.] 어머니의 언어유형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 하위 요소 중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제시한 것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지 형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어머니의 언어 유형을 측정하는 도구의 필요성이다. 본 연구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불일치 하는 결과가 나타난 점을 볼 때, 어머니의 언어사용을 살펴 볼 수 있는 실제 상황을 제시하여 연구자가 어머니와 유아의 대화를 살펴 볼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겠다. 둘째,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함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어머니의 언어 유형만을 살펴보았으나, 어머니와의 애착 정도, 유아 존중 정도, 부모의 성장 배경, 교사와의 애착정도 등 다양한 분야에 따라 유아의 창의성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어야겠다.
美 軍政期 韓國 圖書館 政策에 관한 硏究 : 美 軍政廳의 中央敎育行政 官廳 文書를 중심으로
李萬洙 明知大學校 文獻情報學會 1995 文獻情報學論集 Vol.- No.4
This Study is a summary of the of the official documents and reports monthly library policy which is a brought out the Bureau of Education of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1. The Bureau of Education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the department of culture, museums and libraries subsection took charge of korean library policy. 2. The Bureau of Education Military Government required the Specialist to come from America to Korea as adviser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 Lee, Chai Wuk President of National Library sent a recomme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Library School to head of the Breau of Education. In result Library School is opened in 1 April 1946 under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Library. 4. The chief advisor of higher education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structed professors and teachers in library instruction for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and supported for development of Korean library. 5. A large number of books which are government publications, books, technical magazines and educational magazines, periodicals are sent from United States America to Korean library.
독서관련 단체 네트워크와 독서진흥사업 아이템 개발방안 : 노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Book sitter 양성
이만수 명지대학교문헌정보학회 2007 文獻情報學論集 Vol.- No.9
본 연구는 독서관련 단체 네트워크의 독서진흥사업 아이템 개발 방안의 하나로 book sitter 양성에 관한 문제를 제시하는 것과 노인들에게 경제적인 도움뿐만 아니라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일자리를 창출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유아를 상대로 책을 읽어 주고 책과 친할 수 있도록 도서관교육에 기여하는 방안으로 도서관련 단체의 네트워크와 함께 독서진홍사업 아이템 개발에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