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류인식과 한국 관광이미지에 대한 연구

        민혜성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7 호텔경영학연구 Vol.26 No.8

        Most of the studies on Korean tourism and Korean Wave (Hallyu) have been done focusing on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On the contrary, this study, targeting foreign students in Korea, has five main topics: (1) the effects of Korean Wave on the cognition of Korea’s national image; (2) the effect of Korean Wave on the cognition of an image of Korean tourism; (3) the effect of Korean Wave on intension of purchasing Korean tourism products; (4) the correlation of Korea’s national image and an image of Korean tourism; (5) the effects of Korean tourism on the cognition of purchasing Korean tourism products. Through these, this study aims at widening the foreign source markets for the promotion of Korean tourism.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foreign students living in Seoul. A total of 183 samples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9.0 program.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drawn up. First, Korean Wav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friendly image, stable image, and advanced image. Second, Korean Wav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greeable image, convenient image about cognition of Korean tourism. Third, the speciality of culture, excellence of athletics and excellence of food in Korean Wav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of Korea tourism products. Forth, Korea’s national image and an image of Korean tourism are correlated. Fifth, an image of Korean tourism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of Korea tourism products.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that the development of Korea’s tourism products would be necessary for the promotion of Korean tourists through the Korean Wave. 한류와 한국관광에 관련된 연구는 주로 그 대상을 중국인과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연구는 연구의 대상을 국내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첫째, 한류가 한국 국가이미지에 미치는영향, 둘째, 한류가 한국관광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셋째, 한류가 한국 관광 상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넷째, 한국 국가 이미지와 한국 관광 이미지의 상관관계, 다섯째, 한국 관광 이미지가 한국관광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관광의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관광객 대상의 확대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지 조사방법을 실시하였고,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회귀분석(regression)을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류가 우호적 이미지(Friendly Image), 안정적 이미지(Stable Image), 선진적 이미지(Advanced Image) 중 일부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가 한국 관광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유쾌한 이미지(agreeable Image)와 편리한 이미지(convenient Image)의 일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류 중 문화의 전문성(speciality of culture), 체육의 우수성(excellence of athletics), 음식의 우수성(excellence of food)이 한국 관광 상품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 국가 이미지와 한국 관광 이미지는 상관관계가 있다. 다섯째, 한국 관광 이미지는 한국 관광 상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한류를 통한 한국관광의 활성화를 위해 추후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 관광 상품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면세점 물리적 환경이 고객감정반응, 한국 관광 쇼핑이미지 및 쇼핑관여도에 미치는 영향 : 방한 중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체첸,정희경,유종식,한희섭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7 호텔경영학연구 Vol.26 No.8

        Shopping is the core aspect of international tourists’ behaviors. Particularly, Chinese travelers are big buyers in the international shopping industry. As the growth of the Chinese tourists overseas travels, For the purpose of shopping tourists also increased. The present research was designed to examine such Chinese travelers’ post-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in a duty-free shop context. Specifically, this research attemp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uty-free shop atmospherics on Chinese travelers’ emotional responses, intention to revisit the duty free shop, image of Korea as a shopping destination, and shopping involvement. In this research, the duty-free shop's physical environments are divide into ambient cues, design cues, and social cues three part in this research. An Internet-based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AMOS and SPSS were used as data analysis tools. Overall,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proposed model included an adequate level of prediction ability for intention to revisit the duty free shop, image of Korea as a shopping destination, and shopping involvement. In addition, hypothesized relationships were generally supported. Findings of the present research offer valuable information for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in the duty-free shop industry. 쇼핑이란 관광객들이 관광지를 방문할 때 발생하는 가장 보편적인 활동이다. 특히, 한국 방문 기간중 면세점에서 발생하는 중국 관광객의 구매행동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면세점의 물리적 환경요인은 면세점의 발전과 생존,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면세점의 지속적인 매출성장을 위해 면세점을 방문한 중국 관광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면세점의 물리적 환경과 관광객의 감정반응이 한국 쇼핑이미지와 쇼핑관여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환경을 주변요인, 디자인요인 그리고사회요인으로 구분하였고, 조사대상은 한국 면세점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중국 관광객으로 선정하였고, 인터넷 설문조사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AMOS와 SPSS20.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상관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회수된 235부 중, 분석이 가능한 23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면세점의 물리적 환경요인에서 주변요인과 사회요인은 관광객의 감정반응에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디자인요인은 부분적으로 중국 관광객의 즐거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객의 즐거움과 환기는 한국 쇼핑관광이미지와 쇼핑관여도에 영향을부분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국 관광객이 인지하는 면세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특징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바탕으로 제안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은 결론에서 세부적으로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중국미디어(언론사 보도 내용)빅 데이터 분석을 통한 한국 관광이미지에 관한 연구

        진우선,민보영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7

        The study examines the keywords highlighted in Chinese newspaper reports on Korean tourism and how Chinese tourists' perception of Korean tourism is shaped through big data semantic network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1,568 reports regarding tourism in Korea were collected on three channels of Chinese media (CCTV news, People's Daily and Sina) from August 2015 to July 2018. Unnecessary words were excluded, the study was conducted by a text refining process to extract keywords using frequency ranks, and refined data were selected by calculating frequency through text mining. Selected words are constructed from matrix data and used for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analysis, the network centroid analysis of text was carried out by using text mining. According to the coverage of China's three major newspapers, the Chinese media reported that Korea had improved politically, economically, scientifically, technologically, and culturally,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ositive image by Chinese people. 본 연구는 중국의 언론사 보도를 중심으로 중국 언론에 비친 한국의 관광이미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관광 산업 발전에 기여를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5년 8월 1일부터 2018년 7월 31일까지 3년간 CCTV뉴스, 인민일보, 신랑망(新浪网)을 대상으로 한국관광 관련 기사 1,568건의 표본을 추출하여 한국 관광이미지에 대해 중국 언론에서 강조된 주요 단어는 무엇이며 중국 관광객의 한국 관광이미지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데이터 빈도분석 결과, 신랑망(新浪网)이 한국관광 관련 보도량이 가장 많았고 2017년에 사드배치로 인해 부정적인 보도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3년간 3대 신문의 기사는 한국 관광이미지에 대한 보도 중 긍정적 보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온라인 보도를 분석한 결과, ‘경복궁’, ‘서울’, ‘강원도’, ‘제주도’ 등과 같이 관광지와 관련된 키워드의 언급 횟수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고, ‘숙박’, ‘호텔’, ‘편의시설’ 등과 같은 관광지의 일반적인 기반시설과 관련된 키워드 역시 언급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 관광객에게 적합하고 세분화된 한국 관광 상품 개발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관광 마케터들은 한국 관광이미지 요소들을 고려하여 유연한 마케팅 전략을 구축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전통시장 쇼핑관광 선택속성이 관광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방한 베트남 관광객을 중심으로

        우엔 반 또안,최성현 한국관광연구학회 2022 관광연구저널 Vol.36 No.9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전통시장 쇼핑관광 선택속성이 관광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선택속성과 행동의도의 관계에서 관광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방한 관광객의 한국전통시장 쇼핑관광 선택속성, 관광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분석모형과 연구가설을 도출하고, 베트남 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선택속성이 관광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관광 만족도는 행동의도에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된 시사점은 한국 전통시장의 매력과 고유성을 반영한 활성화 방안 마련,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한국 전통시장의 차별성 개발, 부정적 행동의도에 대한 예방적 노력 등이다. 첫째, 한국 전통시장의 매력과 고유성을 반영한 활성화는 단순히 관광객을 위한 시설 현대화 또는 개선에 그치는 것에서 나아가 관광지로서의 매력성을 발굴하고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한국 전통시장의 차별성 개발은 대형쇼핑몰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전통시장이 갖고 있는 장점인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 상품의 다양성 및 고유성에 집중된 활성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부정적 행동의도에 대한 예방적 노력은 외국인 관광객에게 불편한 점으로 작용하는 전통시장의 약점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인터넷 관광정보에 표현된 관광지 이미지에 대한 연구 - 한국 관광 관련 중국어 웹사이트 관광정보의 내용분석 -

        손천용,최수진,조미혜 한국관광학회 2010 관광학연구 Vol.34 No.9

        This study examined the image of Korea tourism represented on Chinese internet websites. A content analysis on the four different type of Chinese internet websites on Korean tourism, including 90 online blogs, 3 portal websites, 8 travel media, 38 travel agencies, and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was performed. Microsoft Excel and correspondence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the text and visual information content. Results showed that the image and resources of Korean tourism presented onlin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roughout the four distinctive types of online information sources. It could be explained in part by the differences of communication objectives among the four different types of websites. Results from study affirm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variation of destination image and tourism resource representations on websites and the challenge of managing and delivering the desired image of a destination to potential tourists.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 웹사이트를 통하여 제공되는 한국관광정보에 투영된 한국 관광지 이미지와 웹사이트 정보 이용자들이 정보를 통해서 인식한 한국 관광지 이미지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한국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중국어 인터넷 매체를 특성 별로 구분하여 관광정보를 수집한 후 내용분석(content analysis)하여 인터넷 상에 제시된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를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설득적이고 유인적 이미지 정보원천의 역할을 하는 한국관광공사의 웹사이트와 한국관광 상품을 취급하는 중국 내 여행사의 웹사이트, 중립적이며 자율적인 인터넷 정보원천인 포털 및 여행미디어 웹사이트, 그리고 정보 제공자와는 다른 정보 이용자의 관점을 대표하는 유기적 이미지 정보원천으로서 블로그를 조사 대상 웹사이트의 표본으로 선정하여, 웹사이트 정보에 투영된 한국관광 이미지 정보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각 인터넷 미디어의 정보 역할에 따라, 그리고 정보 제공자와 정보 이용자 간에 인식하는 한국 관광정보의 내용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과 제안을 논의하였다.

      • An Analysis of Shanghai's Image Perception as a Tourism Destination of South Korean Tourist

        Wu Jiachen,Ha, Dong-Hyun 한국관광서비스학회 2015 관광서비스연구 Vol.12 No.2

        관광목적지 이미지는 관광객들의 관광목적지 선택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고려하는 중요한 요 인이다. 따라서 긍정적인 관광객의 관광목적지 이미지 확립은 관광목적지의 관광마케팅에서 관광매력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2005년 이래로 중국에 입국하는 한국 관광객들이 꾸준 하게 증가하여 주요 방문국 중의 하나가 되었다. 2011년에는 중국 방문 한국 관광객 수는 4,185,400명을 기록함으로서 지금까지 최고를 기록하였다. 중국에서 가장 크고 번화한 항구도 시인 상하이에 한국 관광객들은 최대 관광국 3국 중 하나를 구성하고 있다. 한국 관광객들이 가져올 수 있는 잠재력이 크기 때문에 그들이 상하이에 관한 도시 이미지에 대해 어떻게 지각 하고 있는가를 연구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으로 한국 관광객을 대 상으로 하여 확률표본추출방식과 실증연구조사기법을 사용한 결과 첫째, 한국 방문객들의 사 회 인구통계학 변수들은 부분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상하이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둘째, 그들이 지각하는 상하이의 이미지는 그들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부분적으 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방문객들의 상하이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 각 속성들이 평가되었으며, 미래의 마케팅 전략이 논의되었다. The research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firstly, to test whether visit times, traveling method, travel purpose, stay period, information sources, will significantly affect South Korean tourists’ image about Shanghai and secondly, to test whether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income, occupation, will significantly affect South Korean tourists’ image about Shanghai and thirdly to test whether the factors of Shanghai’s city image will significantly affec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ourist visiting Shanghai. This research shows firstly that Shanghai is a destination for South Korean tourists to enjoy their leisure activities. Therefore, in order to attract more South Korean tourists, it is necessary to propagate Shanghai’s destination image through the travel agency. Secondly, Shanghai should focus on women around 40 to 50 years old and establishing a positive culture metropolis image could attract these kinds of consumers’ interesting. Thirdly, culture attributes of Shanghai’s destination image have the most influential effects on satisfaction and facilities environment attributes and the leisure attributes rank second and third. If managers could set a marketing strategy at the core of these attributes, it is beneficial to improve the tourist destination image of Shanghai.

      • KCI우수등재

        방한 베트남 관광객의 쇼핑관광 선택속성: 전통적 IPA와 수정 IPA의 비교

        원김프엉,임은순,류기상 한국관광학회 2021 관광학연구 Vol.45 No.2

        Over the last decades, the Korean Wave’s popularity has spread to a number of South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Vietnam. Consequently the number of Vietnamese shopping tourists visiting Korea is gradually increasing, and is expected to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Korean tourism market in the futu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Vietnamese tourists’ selection attributes on shopping tourism in Korea. By using IPA in both traditional and revised views, the present sutdy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actual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ttributes considered by Vietnamese shopping tourists. To achieve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from February to March, 2020 for 300 Vietnamese tourists who have visited Korea in the last two years. A total of 261 surveys were used for analyses through SPSS 22.0.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was a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 between the traditional IPA and revised IPA. Specifically, while in traditional IPA many categories were placed in the first and third quadrants, this problem was improved in the other two methods of revised IPA. Vietnamese tourists put importance on shopping location accessibility, so shopping tourism managers should consider precisely of traffic congestion in the surrounding area when choosing a location for shopping destinations. Also Vietnamese tourists visit Korea to purchase Hallyu products due to Korean Wave, but the lack of products might become dissatisfaction factor. This is a task that must be solved in order for Korea to grow as a global shopping tourism destination. 최근 한류가 인기를 얻으면서 한국을 방문하는 동남아 관광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베트남 관광객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한국 쇼핑관광에서 큰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는 방한 베트남 쇼핑 관광객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나아가 이들이 쇼핑관광을 할 때 어떠한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지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베트남 관광객들의 한국 쇼핑관광 선택속성을 파악하고, 이를 가지고 전통적 IPA와 2가지의 수정 IPA를 사용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고 개선사항과 함께 이에 대한 우선순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2년간 한국을 방문한 베트남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2020년 2월부터 3월까지 설문조사를 하여 최종 261부의 표본을 확보하였다. 분석결과, 전통적 IPA의 문제점을 수정 IPA가 보완하였다고 할 수 있으나 두 가지 IPA 중 절대적으로 어느 것이 더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한 가지 IPA에 기초한 정책 제시는 오류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베트남인들은 쇼핑 목적지를 이용하는데 위치 접근성을 중요시하므로 경영자들은 쇼핑 관광지의 위치를 선택하는데 있어 주변의 교통과 혼잡성을 많이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한국인들과 달리 베트남인들은 한류 열풍으로 한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하여 한국을 방문하지만 이들이 원하는 상품이 부족하여 불만족 요인이 되므로 이는 한국이 쇼핑관광 목적지로서 성장해 가기 위하여 반드시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 보인다.

      • KCI등재

        관광목적지 개성이 이미지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강남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을 중심으로-

        김우혁,김남조 한국관광학회 2016 관광학연구 Vol.40 No.2

        This study examines the collective influence of destination personality on destination image creation and its impact on tourists’ loyalty. This research focuses on foreign tourists who visited the Korean metropolitan area of Gangnam which culminated in that destination’s developing acceptance as a landmark of Korea. The sample consisted of 339 destination tourists in Gangnam.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methods were utilized. This study found that destination personality, excitement, and comfort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image and affective image. It was also found that destination personality, excitement, particularity, and affective destination image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stination loyalty. However, cognitive destination image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destination loyalty.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respect to destination personality based on sampl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enhance efficacy for government officials and destination marketing organization(DMOs) as they develop future marketing strategies.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목적지 개성이 이미지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코엑스 및 강남역 일대에서 강남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 339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모형검증,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첫째, 관광목적지 개성 중 흥미성과 안락함이 인지적 이미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목적지 개성 중 흥미성과 안락함이 정서적 이미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광목적지 개성 중 흥미성과 독특함이 충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광목적지 인지적 이미지는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관광목적지 정서적 이미지는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표본의 특성에 따라 관광목적지 개성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관광목적지로서 강남이 향후 외래 관광객들에게 한국의 랜드 마크로 자리 매김하고, 차별화된 관광목적지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 전통주 관광객 동기유형 군집별 관광지 선택속성 차이연구

        고재윤(Jae Youn Ko),정용해(Yong Hae Chung),고동섭(Dong Sub Ko),김현영(Hyun Young Kim)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1 호텔경영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특별관광분야로서 전통주관광 활성화방안으로 전통주 관광객의 전통주 관광동기 그룹별 관광지 선택속성 차이를 분석하여, 전통주 관광지역의 관광객의 유형별 세분화를 통한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전통주 관광단지 및 여행사에 유용한 참고 자료로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전통주 생산지역이 주로 농촌지역으로 낙후된 농촌 지역 경제를 살림으로써 국가의 균형적 발전을 기대할 수 있으며, 국가 경제, 문화,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전통주관광지역에 방문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통계는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ANOVA를 사용 하였다. 전통주 관광동기를 전통주학습문화체험동기, 사교동기, 향유 · 오락 동기로 요인분석하였으며, 전통주관광선택속성으로 활동적 오락, 전통주 전문교육, 전통주 식문화 체험으로 요인분석하였다. 관광기반구축관광동기의 중요도로 ANOVA로 군집분석한 결과 ``고(高) 동기부여집단``, ``중(中) 동기부여집단``, 그리고 ``저(低) 동기부여집단``의 3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그 결과, ``고(高) 동기부여집단``의 경우 모든 선택속성 요인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중(中) 동기부여집단``에 비해 ``저(低) 동기부여집단``이 관광지 선택속성 중 ``활동적 오락/관광기반 구축``과 ``전통주 식문화체험``요인에서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선택한다고 나타났다. 이것은 저(低) 동기부여집단은 쉽게 불만족하기 쉬운 집단으로 각 집단별 수준에 맞는 유형별 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제시하고자 하는 시사점은 전통주 관광객 유형별 관광상품을 개발하여 선택의 폭을 넓혀 관심을 유도한다. 전통주 전문가, 전통주 애호가, 전통주 초보자 등의 단계 별 관광상품을 달리하여 관광동기에 맞는 집단을 선별하여 관광상품화하는 것도 관광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전통주 관광자원화는 단기적인 정책에서 장기적인 정책으로 실행되어야 하며, 우리 고유한 전통 식문화 관광 사업으로써 단순히 지역 경제발전을 위한 수단이 아닌 국가 차원의 사회·문화적·경제적 발전을 위한 정책과업으로써의 미래지향적이고 지속가능한 관광산업이 되어야 한다. Korean traditional wine destinations keeps growing in various regions around the country.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increased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wine tourism are due to shifts in societal values and preferences. In this study, the motivation and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wine destination were examined to provide the segmented groups using factor-cluster analysis. A factor analysis delineated three dimensions of motivation for traditional wine destinations(learning of traditional wine/cultural experiencers, sociality, enjoyment and recreation), and also delineated three dimensions of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active recreation/construction of destination, professional education of traditional wine, and tasting traditional foods/experiences of traditional wine. From the cluster analysis with three motivation factors, three segmented groups were identified such as highly, moderately, and low motivated group. the results of ANOVA concluded that the highly motivated group shows more importance of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than the other two groups. More detailed theoretical/practical discussion and implication provides in the conclusion section.

      • KCI우수등재

        특허 정보를 활용한 한국과 미국의 관광 관련 기술 동향 분석-토픽 모델링을 중심으로-

        김정규,정철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1

        Most studies on the technology trends in the field of tourism have mainly focused on the cases that are currently used by the tourism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quantitatively measure and evaluate technology trends in the tourism field in Korea and the U.S. based on tourism-related pat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s to derive the detailed techniques used in the field of tourism using 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model of topic modeling and to understand the growing and declining technologies that are currently being used in both countrie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eight technologies were identified: (1) tourism information providing system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2) improvements in travel bag function and design; (3) business methods related to the hospitality industry; (4) tourism information provision and experience systems based on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5) terminal devices and software related to tourism information provision systems; (6) improvements in the function and design of travel equipment (excluding travel bags); (7) travel recommendation and reservation systems; and (8) travel information sharing and travel record collection systems. Three of these technologies are growing in Korea (tourism information and experience systems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ravel recommendation and reservation systems, and travel information sharing and travel record collection systems) and two are declining (business methods related to the hospitality industry and terminal devices and software related to tourism information provision systems). Data for the initial research on the tourism-related technology analysis and information about the technologies to be applied in tourism in the future is provided. 현재 관광 분야에서 활용 중인 기술의 동향을 연구한 사례는 관광 사업체에서 활용하고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한 것이 대부분이며 특허 정보를 활용하여 관광 분야에서 활용하는 세부 기술의 동향을 파악한 연구나 성장하는 기술과 쇠퇴하는 기술을 규명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관광 관련 특허를 바탕으로 관광 분야의 기술 동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텍스트마이닝 기법인 토픽 모델링의 잠재 디리클레 할당(LDA) 모형을 이용하여 관광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세부 기술들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성장하는 기술과 쇠퇴하는 기술들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총 8개의 (1) 위치 정보 기반 관광 정보 제공 시스템, (2) 여행용 가방 기능 및 디자인 개선, (3) 호스피탈리티 산업 관련 영업 방법, (4)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기반 관광 정보 제공 및 체험형 시스템, (5) 여행용 가방을 제외한 여행 용품 기능 및 디자인 개선, (6) 관광 정보 제공용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 (7) 여행지 추천 및 예약 시스템, (8) 여행 정보 공유 및 여행 기록 수집 시스템 총 8개의 세부 기술 군으로 도출되었다. 이 중 한국에서는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기반 관광 정보 제공 및 체험형 시스템’, ‘여행지 추천 및 예약 시스템’, ‘여행 정보 공유 및 여행 기록 수집 시스템’ 3가지 부문이 성장하는 기술로 나타났고, ‘호스피탈리티 산업 관련 영업 방법’, ‘관광 정보 제공용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 2가지 부문이 쇠퇴하는 기술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관광 관련 기술 분석에 대한 초기 연구로서의 자료 및 향후 관광 분야에서 적용될 기술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