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거중심 소아치과학의 개념과 응용 : CONCEPTS AND APPLICATIONS

        이광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3 No.2

        연구 목적은 근거중심 소아치과학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응용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근거중심 소아치과학의 정의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치과 진료에서 최고의 과학적 연구근거를 소아치과의사의 임상 기술, 그리고 어린이 환자 및 그 보육자의 가치와 통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근거중심 소아치과학의 실행 방법을 조사하였고, 근거중심 소아치과학의 최신 결론을 선별하여 주제별로 정리하였으며, 근거중심 소아치과학 연구의 기본이 되는 체계적 고찰과 임상진료지침의 연구방법을 분석하고, 개별 연구 방법으로서 무작위 대조 시험 등을 조사하였다. 근거중심 소아치과학이 발전하기 위한 기본 방향으로서, 근거중심 소아치과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공감대 형성, 근거중심 소아치과학의 방법에 대한 교육, 소아치과학 문헌의 전산화, 체계적 고찰과 임상진료지침의 지속적 연구 개발 및 보급, 우리나라 소아치과학 근거의 생성, 소아치과 진료환경의 사회적 요인 개선 등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evidence-based pediatric dentistry and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methods of it. The difinition of the evidence-based pediatric dentistry was suggested as 'the integration of the best scientific research evidence with the professional expertise of pediatric dentist and the value of pediatric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in dental practice for the child and adolescent'. The methods of practising evidence-based pediatric dentistry were investigated, the recent conclusions of the evidence-based pediatric dentistry were summarized by topics, the research methods of systemic review and clinical prctice guidlines were analyzed, and the individual research methods a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investigated. The author proposed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and consensus of the necessity of evidence-based pediatric dentistry, education about the evidence-based pediatric dentistry, computerization of all published articles of Korean pediatrtic dentistry, continuing research and popularization of systemic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guidlines, production of Korea's own evidences of pediatric dentistry, and the improvement of soical environment of pediatric practice.

      • KCI등재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내 입원한 환자의 소아치과 의뢰 현황

        주기훈,이제호,송제선,이효설 大韓小兒齒科學會 201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의 소아치과 협진 의뢰 현황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소아치과로 의뢰되는전신질환 환자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2012년 한 해 동안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에 전신질환으로 입원한 소아환자 중소아치과에 의뢰되어 실제 진료를 받았으며 그 기록이 온전한 391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나이, 성별, 전신질환명, 협진의뢰과, 협진주소, 치과적 진단명, 치과적 치료 내용, 사망여부로 분류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환자 정보의 수집은 연세의료원의 Clinical Data Retrieval System을 이용하였다. 총 288명의 환자(M:F=166:122)가 소아치과로 의뢰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5.9세였다. 재활의학과에서 129건(33.1%), 소아혈액종양내과에서 80건(20.5%), 소아심장과에서 51건(13.0%), 소아신경과에서 44건(11.3%)이 의뢰되었다. 협진주소는 기본 구강검진(156cases, 39.7%), 치아우식증(55cases, 14.0%), 수술 전 검진(50cases, 12.8%)순으로 많았으며 이 외에도 구강통증, 외상, 치아동요도, 교정치료, 자해로 인한 외상, obturator 제작 등 다양한 주소로 의뢰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협진 의뢰된 환자의 절반 가량은 특별한 치료없이 구강검사만을 시행하였으며(193건, 49%), 보존치료 및 예방치료는 각각 63건, 60건으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신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의 소아치과 의뢰 현황을 분석한 결과 구강검진을 포함한 다양한 주소로 의뢰됨이 확인되었으며 재활의학과 및 소아혈액종양내과에서 가장 많은 의뢰가 이루어졌다. 의뢰된 환자의 치과적 진단명은 치아우식증이 가장 많았고이에 대한 비침습적이고 예방적 치과치료가 주로 이루어졌다. 입원환자의 전신건강관리와도 밀접한 구강질환 예방 및 처치를위하여 치과협진이 독려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의사 및 보호자의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dental consultation of pediatric inpatients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dentistry at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391 dental consultations at Yonsei University SeveranceHospital referred to pediatric dentistry in the year 2012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onsultations were categorizedaccording to patients’gender, age, chief complaint, referred department and diagnosis. 288 patients (166males and 122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5.9 were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129cases (33.1%) from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80 cases (20.5%) from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51 cases (13.0%) from Pediatric Cardiology, and 44 cases (11.3%) from Pediatric Neurology. Chiefcomplaints were ranked from oral examination (39.7%), dental caries (14.0%), pre-operative evaluation(12.8%) and others (33.5%); including oral pain, trauma, tooth mobility, orthodontic treatment, self-injury,fabrication of obturator and etc. Dental consultations should be encouraged as dental care and treatment couldaffect the control of systemic diseases of admitted patients. Pediatric inpatients have been referred to pediatricdentistry for not only comprehensive oral exam but also various chief complaints. The most frequent dental diagnosismade and treatment performed were dental caries and non-invasive/preventive care respectively.

      • KCI등재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신환 분포 및 내원 동기에 관한 연구

        김효정,현홍근,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1

        The number of patients requesting services of pediatric dental clinic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South Korea. The pediatric dental clinics are comprised of hospital-based clinics and local clin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new-patient distribution and to survey the motives for visiting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SNUDH), utilizing questionnaires for parents from May to July 2010.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ge distribution showed that 0-3 year-olds formed the largest group of 29.3%.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6.2 years old. 2. In the surveys for the parents, the major reason for visiting SNUDH was the referral from other clinics( 30.6%). 3. The 75% of patients previously visited other clinics before visiting SNUDH. 1) The greater number of patients(52%) visited general practitioner’s clinic than pediatric specialists( 48%). 2) More than 90% of the patients visited SNUDH after visiting other clinics for reassuring diagnosis and referrals. 3) The crucial deterring factor of being treated at SNUDH was difficult accessibility. 거주지 주변 소아치과 전문 의원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요즘 대학병원의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내원 경로 와 내원 동기는 의원급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환자의 내원 경로, 동기와는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2010년 5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신환으로 내원한 환자의 자료를 조사 분석하고,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병원에 신환으로 내원한 환자의 내원 경로와 내원 동기 등에 관하여 알아보고, 환자 및 보호자가 어떠한 기준으로 병원을 선택하고 내원하는지 살펴보았다. 1. 조사기간 동안 내원한 신환의 평균 연령은 6.2세였다. 2. 전체 신환 중 남자 환자는 54.5%, 여자 환자는 45.5%로 남자가 여자보다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3.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서울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하게 된 경위는 타 치과에서 대학병원으로의 권유가 가 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주변의 추천, 예전에 치료 받던 병원이라서, 거주지와의 접근성이 좋음, 브랜드 네임, 인터넷 검 색 순으로 나타났다. 4. 내원 전 타 치과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환자는 75%로 나타났다. 1) 타 치과 방문 후 내원한 환자의 71%는 1군데 방문 후 내원하였으며 3군데 이상 방문 후 내원한 환자도 약 4% 정도로 나타났다. 2) 이전에 방문한 치과의 전문성 여부를 살펴보았을 때 소아 전문치과가 아닌 곳을 방문 후 내원하는 경우가 약간 많게 나 타났다. 3) 타 치과를 방문 후 본원에 다시 내원하게 된 이유는 진단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라는 경우가 60.7%로 가장 많았 으며, 이전 병원에서 대학병원으로 의뢰, 비용상의 문제, 기타 의견, 이전 치과의 접근성 불편 순으로 나타났다. 90% 이 상의 환자들이 진단의 정확성을 재확인하거나 이전 병원에서 대학병원으로 의뢰하여 재내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본원에서 치료를 원치 않는 경우, 치료를 원치 않는 가장 큰 이유는 교통 불편, 접근성이 어렵다는 점이었다. 어린 연령 의 환아와 보호자가 동행해야 하며 잦은 간격으로 여러 번 내원해야 하는 소아치과 진료의 특성상 접근성이 재내원 여부 를 주저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 및 장애인 클리닉에서 시행된 외래 전신마취하의 치료에 대한 연구

        이동우,송제선,최형준,강정완,이제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1

        전신마취는 치과치료시 일반적인 방법으로 행동조절이 불가능한 환자 및 별도의 의학적 처치가 필요한 환자를 위한 행동조절법 중 하나로 연구, 발전되어 왔다. 이 중 통계적 연구는 치과치료를 위한 전신마취를 받는 환자들에게 보다 양질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다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간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1997년 1월부터 2008년 8월말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 및 장애인 클리닉에서 시행된 치과치료를 위한 전신마취 1196례(1135명) 중 기록이 양호한 1126례(1065명)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범위는 1~66세로 5세 미만이 410명(38.5%)으로 가장 많았으며, 성별은 남성이 695명(65.3%)으로 여성보다 더 많았다. 2. 치료 내용은 통계상의 평균치로 볼 때 수복치료가 1인당 5.6개, 유치 및 영구치에 대한 치수치료와 근관치료가 2.3개, 기성금관이 2.5개, 발치가 1.6개였으며, 치료 시간은 평균 100분이었다. 3. 576명(53.3%)의 환자가 6개월 미만으로 재내원하였으며, 내원 횟수는 평균 4.3회였다. 4. 치과치료를 위한 전신마취를 받은 횟수는 1022명(95.9%)이 전신마취를 1회 받았으며 43명(4.1%)의 환자가 2회 이상 전신마취를 받았다. 따라서 전신마취하의 치과치료는 대부분의 치과치료를 한번에 시행할 수 있고 환자와 보호자의 스트레스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양질의 진료 환경을 제공함으로서 만족스러운 치료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구강 질환의 특성상 적절한 사후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적절한 구강 건강을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전신마취하 치과치료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그 이후의 체계적인 검진 계획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General anesthesia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in dentistry as on type of management technique to sedate patients who may be uncontrollable or require medical consideration. There has been continuous research into this area, but analysis of large set of patients over a sustained period of time is lacking.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records of patients who received general anesthesia at the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Department of Pediatric and Clinic for the Disabled. 1. Patient's age ranged from 1 to 66, with under 5 being the largest group with 410 members(38.5%). The study included more men than women, with 695 male members(65.3%). 2. Type of dental procedure performed were as follows(per person) : 5.6 Dental restoration; 2.3 Endodontic treatment of deciduous and primary teeth; 2.5 preformed crowning; and 1.6 extractions. Procedures took an average of 100 minutes. 3. 1022 patients(95.9%) received dental care under general anesthesia once and 43 patients(4.1%) received dental care under general anesthesia two or more times. Dentistry under general anesthesia has the many benefit. However, without appropriate post-treatment car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good oral health.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safety of general anesthesia through future research.

      • KCI등재

        소아치과 진정법에 사용되는 약제

        김지연,정태성,양연미,유승훈,최성철,신터전 大韓小兒齒科學會 201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3 No.1

        Sedation is an indispensable part of contemporary pediatric dentistry.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KAPD) organized the dental sedation committee to help members perform safer and more effective sedation. The committee surveyed 111 members who practice dental sedation to figure out the present state of sedation in 2014. According to the survey, 86% of th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continuing education of sedation. The most interesting topic was sedation related emergency management, followed by safe dosages of sedative drugs. However, it is not realistic to establish the recommended dosages as a guideline since the selection of agents and dosages depend on various factors. In order to provide successful sedation, pediatric dentist should make an individual sedation plan for each procedu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not only the properties of each sedative, but also interactions with other drugs. This article reviews useful information of commonly used agents for dental sedation and summarizes the recommended dosages from the Physicians’Desk Reference (PDR) and some famous pediatric dentistry textbooks. 오늘날 소아치과 진료에 있어서 진정법은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대한소아치과학회는 학회원들의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진정법 시행을 돕기 위해 진정법 위원회를 결성하고 2014년 소아치과 개원의들의 진정법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 한 바 있다. 이 설문조사 결과, 진정법을 시행하는 교육 코스가 만들어 진다면 참여할 의사가 있는지에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86%가 참여의사를 밝혔으며 진정법 교육과정에서 배우고 싶은 내용으로 안전한 약물용량과 가이드라인이 2위를 차지하여 1위인 응급상황 시 대처법 다음으로 교육받고 싶은 내용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약물을 선택하고 용량을결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하므로 용량을 일률적으로 정하여 지침을 제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일이고 실제적으로도 그 어떤 진정법 지침에도 약물의 용량을 제시해 놓지는 않았다. 성공적인 진정법을 위해 소아치과의사는 각 과정마다 개별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각 진정제의 고유의 약효뿐 만 아니라 다른 약제들 간의 상호 작용에대하여 충분히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종설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해 소아치과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진정제들에 대한 정보를 되새기고 의사용 처방편람(Physicians’Desk Reference: PDR) 및 소아치과 분야의 다양한 교과서의 추천용량을 정리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소아치과의사의 진정법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

        양연미,신터전,유승훈,최성철,김지연,정태성 大韓小兒齒科學會 201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1 No.3

        본 연구는 대한소아치과학회 산하 진정법 교육연구위원회가 진정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제정과 향후 정기적인 진정법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시행하였다. 진정법을 사용하는 소아치과 회원 215명에게 2014년 2월 메일로 설문을 보내어 한달간 응답한 111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진정법은 어린이의 행동조절을 위해 선택되어, 3~4세 어린이(78%)에게 주로 사용되었다. 치료시간은 1~2시간(74.8%)이 많으며, 전악 치료(76.6%)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Chloralhydrate(CH) 50~70 mg/kg, hydorxyzine(Hx) 1~2 mg/kg, midazolam 근주(Mida IM) 0.1~0.2 mg/kg가 선호하는진정법약제의 용량이었다. 진정법 시 선호하는 진정법 약제의 조합은 CH+Hx+N2O/O2(67.6%), CH+Hx+Mida 점막하투여(SM)+N2O/O2(29.7%), Mida IM+N2O/O2(23.4%) 등으로, 추가투여는 48%에서 행해지며 주로 Midazolam을 사용하고 있었다. 진정법 시 부작용을 경험한 응답자는 87.5%로, 주로 오심과 구토, 과흥분, 호흡저하 및 호흡곤란, 비틀거림등이며, 약 20%만 정기적인 응급처치 교육을 받고 있었다. 진정법 후 환자 퇴원기준에 대해 응답자들은 명확한 퇴원기준의부족과 추천하는 퇴원기준을 따르고 있지 않았다. 응답자의 86%가 진정법 코스에 대해 흥미를 가지고 있었으며, 진정법 코스에서 배우고 싶은 내용은 주로 응급 시 대처법과 안전한 약물용량 등 이었다소아치과에서의 진정법 사용은 환자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의료사고예방을 위한 evidence-based 진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대한소아치과학회는 진정법 가이드라인 및 응급처치에 대한 술기교육의 체계를 갖추어 소아치과의사들에게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appropriate guidelines in the sedation techniques and to organize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sedation in future under the direction of Committee on Sedation,Education and Research under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KAPD). The surveys on the sedationtechnique were performed on 111 organizations which practices the sedation and responded to the survey viaonline and e-mail by February 2014. The collected survey were analyzed. The purpose of sedation was mainly tomanage the children’s behavior and its uses were primarily on 3~4 years old children. The most frequent durationof treatment was 1~2 hours to treat both maxillary and mandible. The preferred dosages of sedative drugswere chloral hydrate(CH) 50~70 mg/kg, hydorxyzine(Hx) 1~2 mg/kg, and intramuscular midazolam(Mida IM)0.1~0.2 mg/kg. The preferred combination of the sedative drugs were CH + Hx + N2O/O2(67.6%), CH + Hx+ Mida submucosal administration (SM) + N2O/O2(29.7%), and Mida IM + N2O/O2(23.4%). The administrationof additional sedatives was carried out at 48%, mainly using Midazolam. 87.5%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the adverse effects of the sedation such as vomiting/retching, agitationduring recovery, subclinical respiratory depression, staggering, and etc. Among them, only 20% periodically retrainthe emergency management protocol. About the discharge criteria for patients after the sedation, the respondentseither showed a lack of clear criteria or did not follow the recommended discharge criteria. 86% of therespondents expressed the interests in taking a course on the sedation and they wanted to learn mostly aboutthe sedation-related emergency management, the safe dosage of the sedative drugs, and etc. The use of sedation in pediatric dentistry must be consider a patient’s safety as top priority and each dentistmust show the evidence of sound practices for the prevention of any possible medical errors. Therefore, KAPDmust establish the proper sedation guidelines and it needs to provide the systematic technical training programof sedation-related emergency management for pediatric dentists.

      • KCI등재

        소아치과 의사와 행동조절방법에 대한 보호자의 선호도 조사

        박수진,정태성,김신 大韓小兒齒科學會 200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9 No.2

        본 조사는 소아치과 환아 보호자들이 소아치과 의사와 행동조절방법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파악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조사는 6개월간 부산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초진단계 환아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조사는 초진시, 그리고 1개월 후의 2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선호도 조사는 크게 2가지로 대별하여 의사에 관한 부분으로 의사의 성별, 가운(gown)의 색, 안경착용에 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고, 행동조절방법에 대한 조사로는 진료실에서의 보호자 분리, 진정요법, 음성조절, 신체속박장비에 관한 부분들이었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을 알 수 있었다. 1. 소아치과 의사의 성별에 대한 보호자 선호도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의사의 안경착용이 어린이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별다른 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나, 의사의 흰 가운데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를 나타내었다. 3. 진료실에서의 보호자 분리에 대해서는 대부분 반대하였다. 4. 주요 행동조절 방법들에 대해서 대부분의 보호자들은 수용하는 편이었다. 5. 1차 조사결과와 2차 조사결과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investigate parental recognition and preference on pediatric dentist and their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 The subjects were the parents of new children visiting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rt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6 months. The questionnaire was performed over 2 times : at 1st visit and 1 month after that. The parental preference about pediatric dentist - one's sex, color of gown and glass-wearing - and about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 - parental separation, oral sedation, voice control and physical restraints-were asked through the questionaire and obta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eference on sex of dentists was not shown. 2. The parents recognized not so close relation between glass-wearing and children's anxiety level, but on col-or of gown, showed various opinions. 3. Most parents opposed to the separation from their children in operatory. 4. For the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 parents accepted generally. 5. There was no sigin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rvey.

      • KCI등재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를 내원한 교정환자의 분포양상에 대한 연구

        조용제,김선미,최남기 大韓小兒齒科學會 201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2 No.2

        Interest in orthodontic treatment has increased. Consequently, the percentage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in pediatric dentistry has also increased. Given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rends of pediatric orthodontic patients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A total of 670 patients (349 male, 321 female) diagnosed with orthodontic problems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st, 2004 to December 31st, 2014, were analyzed. The number of pediatric orthodontic patients was high in January, February, July and August. When it comes to age, the percentage of the patients who were eighty-years old accounted for the largest age group with 19.6%, followed by seven-year, nine-year, ten-year, eleven-year, and six-year old age groups. Skeletal class 1 accounted for 48.1% of the total cases, followed by class 2 (28.7%) and class 3 (23.3%). Mesofacial type accounted for 65% of the total cases, followed by dolichofacial type (19.3%) and brachyfacial type (15.8%). The period of the first phase orthodontic treatment was steadily shortened from 30.4 months in 2004 to 11.5 months in 2013.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of the pediatric orthodontic patients. 과거에 비해 교정치료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소아청소년기에 교정치료를 시작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소아치과에서 교정치료가 차지하는 비율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교정환자의 분포양상을 파악하고 치료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4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10년간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교정 진단을 받은 670명의 환자(남자 349명, 여자 321명)를 대상으로 조사를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도별 교정환자 수가 불규칙한 증감추세를 보였으며, 월별 분포에서 방학인 1, 2, 7, 8월에 많았다. 연령별 교정환자 수는8세가 19.6%로 가장 많았고 7세, 9세, 10세, 11세, 6세 순서로 나타났다. 수평적 골격형태에 따른 분포는 골격성 1급 형태가 48.1%로 가장 많았고 2급(28.7%), 3급(23.2%) 순서로 나타났다. 수직적 골격형태는 mesofacial type이 65%로 가장많았고 dolichofacial type(19.3%), brachyfacial type(15.8%) 순서로 나타났다. 1차 교정치료 기간이 2004년(30.4개월) 부터 2013년(11.5개월)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 KCI등재

        제 24회 서울 세계소아치과학회 개관(槪觀)

        이상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1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1 No.1

        대한소아치과학회 주관으로 제 24회 세계소아치과학회가 2013년 6월 12일~15일 서울 코엑스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이번 학술대회의 주제는“New visions in Pediatric Dentistry”로 세계 67개국에서 1,855명이 참석하여 가장 많은 인원이 참석하는 기록을 남기게 되었다. 85명의 연자가 초청되었으며 일반 연재도 700여편이 발표되어 학술적으로도 풍성한수확을 거두었다. 이번 대회는 한국의 지리적 여건과 북한의 미사일 발사 위협에 따른 좋지 못한 여건에서도 943명의 외국인인 참석하여, 그동안의 한국 소아치과학회의 국제무대에서의 높은 위상을 보여주었다. 또한 저개발 국가에서도 100여명이 참석하여 국가간소아치과의사의 유대관계를 형성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참석자들은 그 양과 질 면에서 학술프로그램을 매우 높게 평가하였다. 이와함께 각종 사교행사에도 많이 참석하여 한국의 따뜻한 환대와 전통과 현대가 아우러진 문화, 그리고 음식을 마음껏 즐겼다. 대한소아치과학회는 이번 세계학회를 통해 우리 학회의 높은 학문적, 임상적 수준, 유구한 전통, 탄탄한 조직력을 세계에알리게 되었다. 이번 세계학회의 성과가 여기서 끝나지 않고 이를 통하여 앞으로 우리 회원, 교수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국제무대에서 활동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hosted the 24th IAPD Congress in Seoul, Korea on June 12-15,2013. The main theme of the congress was the“ New visions in Pediatric Dentistry”A total number of 1,855 participants, including exhibitors and press from 67 countries, participated in the24th IAPD Congress. The scientific program consists of 85 invited lectures, 126 oral presentations, and 553poster presentations. 46 companies and organizations have supported and participated in Seoul IAPD Congress. Overall the congress was a success in terms of high attendance rate from 67 countries over the world. Considering the fact that Korea is located in the far-east, the number of overseas delegates(943) are remarkable. Also it is desirable to have over 100 delegates from developing countries which eventually aim tocollaborate worldwide. The scientific program covered a variety of topics and many of the delegates stayed in the session room untilthe last day of the congress. Although it could have been more beneficial to allot more time for each speaker todiscuss further, the program fit the Congress theme“ New Visions for Paediatric Dentistry”. All social event tickets were sold out early and it attracted participants with interesting program enablingparticipants to interact and exchange ideas outside of the meeting.

      • KCI등재

        임상술기능력평가와 교과목간의 학업성취도 분석을 통한 소아치과학의 교육과정 평가

        방재범,임재영,박재홍,Bang, Jaebeum,Rim, Jaeyoung,Park, Jaehong 대한소아치과학회 201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0 No.4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ourses of pediatric dentistry based 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cores of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and related subjects for 79 fourth-year students. The score of theory were related to preclinical (r = 0.449, p = 0.000) and clerkship (r = 0.437, p = 0.000) each, but the scores of clerkship were not related to OSCE. To make the students skillful for clerkship, more professor's firsthand teaching on treating patients and adequate numbers of clinical professors are required. Patients who come to the university dental hospital prefer to be treated by professors rather than students. In these circumstances, educational conditions should be arranged by ensuring the number of professors for teaching students to improve their clinical competence through direct instruction and feedback to students. In addition, pragmatic improvement plans, which allow continuous education and evaluation about basic techniques to be examined in the clinical practice course, should be compromised with the more concrete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in order to evaluate theoretical knowledge and technical trainings to be well exercised and deepened in the practical clinical field. 본 연구는 졸업시점의 치의학전문대학원생 79명을 대상으로 소아치과학 OSCE(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성적과 이전까지 이수한 소아치과학 교과목들 성적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소아치과학 교육과정 운영을 평가하고 발전적 시사를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소아치과학이론 교과목은 이전 이수과목인 임상전단계실습 성적(r = 0.449, p = 0.000), 이후 이수과목인 임상실습성적(r = 0.437, p = 0.000)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졸업시점의 OSCE성적은 단지 임상전단계실습 과목 성적(r = 0.302, p = 0.003)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OSCE 신뢰도가 Cronbach's ${\alpha}0.733$을 고려하면 OSCE 자체 문제보다는 교육과정 상에 있어서 임상실습 교과목 운영에 문제가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치과대학병원에서 교수의 특진을 선호하고 학생들에 의한 진료를 기피하는 진료 현장에서 학생들에 대한 직접적인 지도와 피드백을 통해 임상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학생 지도를 위한 교수 수 확보와 같은 교육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이론적 지식 및 술기교육이 임상진료 현장에서 잘 적용되고 심화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평가와 함께 임상실습 단계에 있어서도 기본적 술기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평가가 점검되도록 하는 실질적 개선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