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문제해결형 사회적기업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경기도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배귀희,전성태 한국거버넌스학회 2015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2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adoption and development of innovative social enterprises (i.e., social enterprise based on social problem solving).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by using survey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employees of social enterprises. 203 samples were collected by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We used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to summarized data. In terms of empirical analysis, innovative social enterprise matched original purpose of social enterprise. The respondents showed necessity of innovative social enterprise was high. The innovative social enterprise may contribute to resolving the social problems such as school violence, crime prevention, private education, caring for vulnerable groups, and so on. Financial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impact bond should also be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of innovative social enterprise. 본 연구는 경기도내의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문제해결형 사회적기업의 도입 및 발전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내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경기도의 사회적문제해결형 사회적기업 운영 및 발전방안에 관한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03명의 경기도내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t-test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사회적문제해결형 사회적기업에 관한 인식조사에서 우리나라에서 사회적기업이 사회문제해결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회적문제해결형 사회적기업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상당히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사회적문제해결형 사회적기업이 현재 우리사회가 당면하는 취약계층 돌봄, 범죄예방, 학교 폭력 및 사교육 문제 등의 분야에서 기여할 것이라고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이 기대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사회적문제해결형 사회적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최고 경영자의 역량(38.2%) 및 종업원의 역량(24.6%)이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었다. 사회적문제해결형 사회적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사회적 자본시장을 통한 금융지원 강화 및 사회적기업 투자펀드에 대해서는 필요하다고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사회문제 해결의 정부와 사회적 기업 역할 모색

        김보경,조희진,황정윤 한국지방정부학회 2019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9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들의 사회문제 해결 현황, 즉 이들이 어떠한 사회문제 영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동안 우리나라에 많은 사회적 기업이 설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문제제기는 여전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사회문제가 점차 복잡해지고 다각화됨에 따라 정부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업을 포함한 다양한 주체들의 협력적 노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금의 사회적 기업 유형이 아닌 사회문제 중심으로 향후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한 역할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문제를 새롭게 분류하여 사회적 기업 활동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기업의 새로운 역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정과제를 중심으로 총 9가지의 사회문제를 도출하였다. 9가지 사회문제를 기준으로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정부의 재정 투입 규모와 사회적 기업 활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정부는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평균적으로 전체 재정의 79%를 투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총액 규모 기준으로 보았을 때 정부가 가장 많은 예산을 투입한 사회문제 영역은 ‘8. 교육격차’ 영역이다. 반면 사회적 기업은 같은 기간 동안 ‘1. 경제/고용 불안정’ 영역에서 가장 많이 활동하고 있었지만 사회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기업은 2008년에 비해 2016년에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정부와 사회적 기업이 사회문제 해결에 어떠한 상보성을 나타내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 두 주체 모두 사회갈등의 사회문제에 매우 소극적이었다. 경제/고용 불안정 영역, 문화소외 영역에서는 정부가 소극적이었던 반면 사회적 기업은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정부가 한정된 예산 및 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범위의 사회문제가 한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사회적 기업이 사회문제 해결에 동참함으로써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데 기여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문제 중심으로 정부와 사회적 기업이 상호보완 할 수 있는 영역을 발굴함으로써 향후 사회적 기업의 미래를 지속가능하게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CSR 활동의 특정 사회적 문제 관련성과 마케팅 성과의 관계

        배세하(Se Ha Bae),한장희(Jang Hui Han) 한국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연구 Vol.29 No.2

        이 연구에서는 표적고객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CSR활동을 했을 때, 표적고객이 해당 기업과 그 제품에 대해 더 우호적인 태도를 갖게 되는지를 실증하였다. 사회적 문제의 유형별 중요도 지각을 기준으로 소비자들을 세분화할 수 있는지, 가구소득과 개인별 라이프스타일 변수를 활용하여 세분화된 소비자 집단별로 프로파일을 작성할 수 있는지, 특정 사회적 문제와 수행하는 CSR활동의 관련성에 따라 해당 기업 및 그 제품에 대한 태도가 세분화 집단별로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24개의 사회적 문제를 도출하였다. 기존의 연구문헌들과 신문, 잡지 및 인터넷 자료를 활용하였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1차 설문조사에서 이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응답자들의 유사성 지각을 측정하였다.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하여 2개의 사회적 가치 차원을 도출했다. 도출된 사회적 가치와 관련된 정도에 따라 사회적 문제들을 군집화한 후, 사회적 문제 군집들에 대한 중요성 지각을 기준으로 응답자들을 분류했다. 사회적 문제 군집들 사이의 평균적 중요도 지각 차이를 제거하고 개인들 사이의 중요도 지각 차이만을 이용하여 군집화 하였다. 서로 다른 사회적 문제 군집들에 대해 상대적 중요성 지각이 다른 네 개의 응답자 집단이 도출되었다. 이 집단들에 대해 프로파일을 작성하고자 시도하였으나, 응답자 군집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소득과 가치관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1차 조사와 동일한 응답자를 대상으로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들에게 각각의 사회적 문제 군집에 속한 대표적인 사회적 문제들과 관련된 CSR활동을 수행하는 기업들의 시나리오를 읽게 하고, 해당 기업 및 제품에 대한 응답자들의 태도와 행동의도를 측정하였다. CSR활동의 특정 사회적 문제 관련성이 기업의 마케팅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문제의 해결 가능성 또는 그 문제에 대한 기업의 해결 능력에 대한 지각을 사회적 문제의 중요성 지각과 함께 고려하지 않은 결과로 추정된다. 추가분석을 통해, 특정 사회적 문제 해결에 집중하기보다 다양한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기업 및 그 제품에 대한 태도가 더 좋은 것을 발견하였다. 모든 응답자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일부 응답자 집단은 CSR활동에 따라 기업과 그 제품에 대해 차별적인 태도를 보였다. We studied whether a consumer`s attitude toward a firm and its products is affected by how related the company`s CSR activities are to social problems(SP) that he/she considers important. We segmented consumers based on which SPs they considered to be important and tried to create a socioeconomic profile for each segment. We also studied whether each segment`s attitude towards a firm and its products differed if the firm practices CSR activities related to a specific SP. First we derived 24 SPs that are currently important in Korea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research. Then we conducted a survey to measure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n the similarity (or relatedness) of the SPs.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we found two social cause(SC) dimensions. After classifying the SPs into five clusters according to how related they are to the two SCs, we segmented the respondents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 on which SP was the most important. However, we could not fi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ocioeconomic profile that identified each segment. A secon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same respondents of the first survey. The respondents read scenarios on how a firm practiced CSR activities to solve a specific SP from each of the five SP clusters. Then they answered questions regarding their attitude towards each firm and its products. Results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 firm`s SP-specific CSR activity and consumers` attitude change towards the firm and its products. This may be because we did not consider respondents` perceptions on the solvability of SPs and/or the firms` abilities to resolve SPs. In an additional study, we found that, in order to increase consumer preference, it is important to perform a number of diverse CSR activities rather than focusing on selected activities related to a specific SP. Not all, but some respondents showed a change in attitude toward a firm and its products depending on the firm`s CSR activities.

      • 성인초기 개인의 자아분화 수준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유리,홍정순 한국발달지원학회 2016 발달지원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초기 개인의 자아분화 수준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충남 지역의 20세 이상 40세 미만 성인 399명 을 대상으로 자아분화수준 척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자아분화 수준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및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분화 수준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들 중 긍정적 문제지향, 합리적 문제해결기술 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부정적 문제지향, 충동/부주의적 반응양식, 회피적 반응양식과는 유의 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들 중 긍정적 문제지향, 합리 적 문제해결기술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부정적 문제지향, 충동/부주의적 반응양식, 회피적 반응양식과 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자아분화 수준과 사회적 지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 지 않은 반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경우 남성의 점수가 여성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게 높았다. 동거 하는 사람에 따른 차이에서는 혼자 살고 있는 집단이 부모님과 동거하는 집단 보다 사회적 지지를 더 많 이 지각한다고 하였으며,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서는 부모님과 동거하는 집단이 배우자와 동거하는 집단에 비해 문제를 더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초기 개인의 자아분화 수준과 사회적 문 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 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놀이치료 현장 적용 사례연구

        권지은(Ji-Eun Kwon),정재은(Jae-Eun Jung),김성현(Seong-Hyun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을 평가하고 놀이치료 접근을 통해 문제행동을 지도하여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의 효과적인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K도에 위치한 S어린이집에 다니는 정서·사회적 문제행동을 보이는 만 5세 유아 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절차는 유아·부모 기초검사를 수행하고,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놀이환경을 구성한 후 놀이치료에 기반한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를 시행하였다. 기초검사는 부모상담, 원장님 면담, 유아의 주의력결핍과 유아 행동평가척도를 이용하여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를 측정하였으며 놀이치료에 기반한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는 본 연구자가 매주 1회, 40분씩, 총 20회기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고, 놀이치료가 이루어진 이후 부모상담도 함께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양적 및 질적으로 이루어졌다. 놀이치료에 기반한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 전과 후에 따른 차이의 양적 분석을 위해 주의력결핍과 유아 행동평가척도(K-CBCL)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질적 자료는 놀이치료에 기반한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 과정의 비디오 녹화 및 전사, StainBack & StainBack 현장노트기록, 부모 상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주의력결핍 및 유아행동문제에서도 모두 정상군의 수치로 나타났고, 자신감 있게 정서를 표현하고 사회적 유능감이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을 지도하는데 있어 놀이치료에 기반한 본 연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gress of change in children through th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based on play therapy and to suggest effective educational guida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were 2 children who have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They were 5 year olds children who go to the S daycare center in K-do. For the study, parents counseling, directors of the child care centers counseling, K-ARS and K-CBCL, and SSCT were used to examin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Th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were carried out in the playroom.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based on play therapy for each child. Each case consisted of 20 sessions and each 40 minutes session was conduced once a week.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was collected. The qualitative data were the video clips and scripts of the process of th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based on play therapy, StainBack & StainBack's(1984) field note, and records of parents counseling. The quantitative data K-ARS and K-CBCL were used. In conclusion,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based on play therapy was effective for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 KCI등재

        사회불안,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와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의 관계: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현지,박영배 한국정보사회학회 2023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online interaction prefere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ocial anxiety and problematic social media use, and also whether this indirect effect v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online social support. Through this process, a model in which online social support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interaction preference and problematic use is established, and simultaneous verification is performed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university students' problematic use according to social anxiety and online interaction preference.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s among social anxiety, online interaction preferences, online social support, and problem use of social media, and consider various adverse functions related to social media use, which has become widespread recently.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5, 2021 to May 30, 2021, for university students who use social media, and the data from 415 people were analyzed. As a result, first, the social anxiety was found to affect the problematic social media use through preference for online interac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directly affects the problematic social media use. In addition, the preference for online interaction was also confirmed to have a direct impact on problematic social media use.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 social media as a means of compensating for social anxiety, which is a cyberspace with a high risk of causing addiction or negative emotions due to the immersion. Seco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on the problematic social media use was mediated by the preference for online interaction, a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preference for online interaction was regulated by online social support. In addit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and when online social support was high, the preference for online interaction mediated social anxiety and social media problematic use, but when online social support was low, the mediating process did not occur. Lastly, from a cultural perspective in South Korea, which emphasizes collectivist culture, online social support does not appear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the problematic use of social media, but can appear as an aggravating factor.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verse as the preference for online interaction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problematic use of social media. Hence, it can be noted that the perspective of this study has improved the understanding of the anteced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problematic social media use by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online social support in more detail. Therefore, further research need to highlight more diverse aspects of the role of online social support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he problematic social media use affects its social media users. In the end, more attention is required on the negative effects of social media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it is time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variables in understanding the problematic use of social media. 본 연구는 의존적인 존재에서 독립적인 성인으로의 전환점에 해당하는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과도한 이용에 따른 문제행동에 주목하여 대학생의 사회불안,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 사회적 지지 및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의 관계에서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의 매개적 효과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온라인 사회적 지지가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와 문제적 이용의 관계에서 조절 역할을 하는 모형을 설정하고 동시 검증을 진행함으로써 사회불안과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에 따른 대학생들의 문제적 이용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더하여, 사회불안,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 온라인 사회적 지지, 소셜미디어의 문제적 이용 사이의 영향관계를 통합적으로 파악하여 최근 보편화되고 있는 소셜미디어 이용과 관련된 다양한 역기능을 고려하는 등 개입선을 보다 구체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하고 있는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430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5일부터 2021년 5월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참가자들은 각 대학교 학생회를 통해 자발적 참여의사를 밝힌 정규 과정에 등록한 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총 41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회불안과 소셜미디어의 문제적 이용과의 관계에서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사회불안은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를 통하여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직접적으로도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더하여 온라인 상호작용의 선호 역시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학생들은 사회불안을 보상하고자 몰입에 따른 중독 혹은 부정적 감정을 야기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사이버공간인 소셜미디어를 사회불안에 대한 보상 수단으로 인식하여 문제적으로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사회불안이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에 미치는 영향이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에 의해 매개되고,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의 매개 효과는 온라인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 조절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소셜미디어 상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매우 활발히 선호하는 이용자일수록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와 온라인 사회적 지지가 상호작용하여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준다. 또한 조절된 매개 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온라인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경우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는 사회불안과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을 매개하지만, 온라인 사회적 지지가 낮은 경우 간접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아 매개 과정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집단주의 문화를 중요시하는 우리나라의 문화적 측면에서 본다면, 온라인 사회적 지지는 소셜미디어 문제적 이용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나타나지 않고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들은 다양하다. 온라인 상호작용의 선호가 사회불안과 소셜미 ...

      • KCI등재

        정부와 사회적 기업의 사회문제 매핑(mapping)을 통한 사회적 기업의 역할 모색

        황정윤 ( Joungyoon Hwang ),조희진 ( Heejin Cho ),김보경 ( Bokyoung Kim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1 공공정책연구 Vol.38 No.3

        사회적 기업이 사회문제 해결의 핵심 주체로 주목받고 있으나, 이들이 실제 어떤 사회문제를 해결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부족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문제 중심으로 정부의 사회문제 해결 현황과 사회적 기업 활동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기업의 새로운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8년∼2016년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부는 ‘교육격차’ 영역에 가장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는 반면, 사회적 기업은 같은 기간 동안 ‘경제/고용 불안정’ 해결을 위한 활동을 크게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와 사회적 기업 모두 사회갈등의 사회문제에 매우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경제/고용 불안정 영역, 문화소외 영역에서는 정부의 문제해결 노력이 비교적 소극적인 반면, 사회적 기업의 활동은 활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가 제약된 예산 및 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회문제가 한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사회적 기업이 사회문제 해결에 동참함으로써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향후 사회문제 중심으로 정부와 사회적 기업이 상호보완할 수 있는 영역을 발굴하고 사회적 기업의 미래를 지속가능하게 모색할 수 있는 정책적 설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social problem solving of Korean Social Enterprises(hereafter, SEs). As Korea’s social problems become increasingly complex and diversified, the cooperative efforts of various actors, including not only the government but also SE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We classified new types of social problems and analyzed the government’s fiscal investment and SEs’ activities from 2008 to 2016. The findings show that government invested 79% of the total budget on average to solve social problems. The area where the government invested the most budget was ‘education gap.’ SEs, on the other hand, engaged mainly in ‘economic/employment instability’ area. Also, we found that both actors were very passive in the social problem of social conflict. In a situation where the range of social problems that the government can solve with a limited budget and manpower, SEs are contributing to creating new social values by participating in solving social problems.

      • KCI등재

        지역주민과 사회적경제조직의 사회문제 인식 일치도 연구: 지역 특징과 사회문제별 특수성을 반영한 사회적경제 실천전략

        박주희,한상일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22 사회적기업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ous methods of measuring social problem perception differences and consensus between local residents and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nd use them to derive action strategies that reflect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specificities of social issues. To this end, we use the survey of 898 residents and 611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urban, rural, and mixed area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re are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residents and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based on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social issues. Second, the concurrence score which assesses the mach of perception between local residents and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with respect to social problems was computed in two measurements (overall concurrence and key problem concurrence) in local distric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ments was confirmed. Third, we assessed the level of institutional difficulty(or ease) of social economy approach depending on social problems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Fourth, through typification by social problems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we proposed social economy action strategies with respect to social problem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주민과 사회적경제조직의 사회문제 인식 차이와 일치도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을검토하고, 이를 활용하여 지역의 특징과 사회문제별 특수성을 반영한 사회적경제 실천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898명의 주민과 611개의 사회적경제조직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특징(도시·농촌·도농복합)에 따라서 주민과 사회적경제조직 간에 사회문제에 대한인식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기초지자체 단위에서 지역주민과 사회적경제 조직 간의 사회문제 인식일치도를 두 개의 척도(전반적 일치도와 주요 문제 일치도)를 통해 측정하고 척도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셋째, 지역 특징별로 사회적경제 방식의 문제해결이 상대적으로 어렵거나 쉬운 사회문제를 확인하였다. 넷째, 주민과 조직의 인식 차이, 사회문제별 특수성을 반영한 유형화를 통해 도시·농촌·도농복합지역별로 각 사회문제와 관련하여 사회적경제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기술, 사회적 지지 및 외로움과 문제성 인터넷 사용 간의 관계에서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의 매개효과

        이도형,손은정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5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skill,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on problematic internet use, and the mediating role of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between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roblematic internet use. Four hundred nine college students in Daegu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d that (1) social skill influenced problematic internet use through the mediation of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2) social support influenced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and problematic internet use through the mediation of loneliness; (3) loneliness not only influenced problematic internet use through the mediation of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but also had effect on problematic internet use directl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deficiency of social skill might cause the low level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hich influence loneliness, finally have effect on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and problematic internet use. The current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nterpersonally maladaptive college students with problematic internet use.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특성(사회적 기술, 사회적 지지, 외로움)이 문제성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대인관계특성이 문제성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D시의 대학생 409명을 대상으로 대인 간 의사소통 척도,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 한국판 고독척도, 그리고 문제성 인터넷 사용척도(GPIUS2)에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매개모형을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술은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의 매개를 통해 문제성 인터넷 사용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외로움의 매개를 통해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 및 문제성 인터넷 사용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외로움은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 문제성 인터넷 사용에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문제성 인터넷 사용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인관계에서 사회적 기술이 부족할수록 사회적 지지를 받지 못하고 외로움을 경험하게 되어 결국 온라인에서의 상호작용을 선호하고 문제성 인터넷 사용을 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부적응적 대인관계특성들 중 특히 외로움이 문제성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부적응적 대인관계 특성과 문제성 인터넷 사용 간에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가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부적응적 대인관계 특성을 나타내는 문제성 인터넷 사용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 방법을 시사해주고 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력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형재(Kim, Hyoung-Jai)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9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성 간의 관계를 밝히고, 사회적 문제해결력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인 유아교육과 3, 4학년 대학생 129명으로 이들에게 사회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성을 측정하였다. 검사도구로 사회적 문제해결력은 문제해결도구(SPSI-R)를 최이순(2002)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고, 창의성은 TTCT 도형: A형(2002년 개정판)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전체 사회적 문제해결력, 문제지향 및 문제해결기술과 창의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전체 사회적 문제해결력, 문제지향 및 문제해결기술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자 단순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사회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성, 높은 예비교사일수록 독창적이고 개방적인 사고를 하였다. 긍정적 문제지향 예비교사일수록 많은 아이디어를 내고 독창적이고 개방적인 생각을 하며 아이디어를 더 정교화시켰다. 합리적 문제해결 예비교사일수록 독창적이고 개방적인 사고를 하였다. 둘째, 사회적 문제해결력이 독창성, 개방성 및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력은 독창성이 10%, 개방성이 6%, 창의성이 6%로 나타났다. 긍정적 문제지향은 독창성, 개방성 및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력은 독창성이 6%, 개방성이 6%, 창의성이 10%로 나타났고, 합리적 문제해결은 독창성, 개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독창성이 11%, 개방성이 5%의 설명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influences of social problem solving on creativ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129 undergraduate students from Depar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University and Collage in Busa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ests was conducts by using Choi(2002)"s material to modify SPSI-R(D"Zurilla, et al., 1999) and Torrance(1988)"s TTCT for undergraduate students. The study have applie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to find out relations between social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and used simple liner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ocial problem solving on crea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social problem solving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creativity, originality and openness. The positive Problem orientation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creativity, fluency, originality, elaboration and openness. The rational problem solving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originality and openness. Second, social problem solving have positive influence on creativity, originality and openness. The positive Problem orientation have positive influence on creativity, fluency, originality and openness. The rational problem solving have positive influence on originality and open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