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 상담적 개입의 치료 효과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장정은 ( Jang Jung-e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 이론을 비교하는 데 있다. 이 비교를 통해 본 연구는 상담적 개입의 치료적 효과가 어디에서 기인하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곧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의 비교를 시도하는 본 연구는 상담적 개입의 치료적 효과에 대한 논의에 초점을 맞춰 이뤄진다.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 이론 사이의 비교가 가능한 것은 이 두 이론이 모두 인류의 역사를 통해 남겨진 고전과, 신화, 민담과 설화와 같은 문학작품을 치료적 자원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데 있다. 많은 세대에 걸쳐 읽혀진 고전과 같은 문학작품은 인간 삶에 대한 지혜와 통찰을 담고 있기에 인간 마음에 치료적인 기능을 하리라고 예상할 수 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그것이 어떤 방식에 의해 그런 치료적 기능으로 작동될 수 있는가? 문학작품의 치료적 효과에 대해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는 비교적 상세하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것은 상담적 개입이 갖는 치료적 효과와 연결지어 설명할 수 있다. 이런 비교작업을 통해, 본 연구는 상담적 개입이 마음의 문제에 치료와 회복을 가져올 수 있는 이유가 내적 경험 세계의 반영과 상담에서의 새로운 요소의 도입에 의한 그것의 변화와 창조에 의한 것임을 보여준다. 먼저, 본 연구는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 이론이 가정하는 인간 내적인 심층세계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한다. 이 두 이론은 인간의 정신병리와 심리문제의 기저에 인간의 행동과 사고, 느낌과 감정에 강력하게 영향끼치는 심층세계의 문제가 존재하며, 그것을 다룰 수 있어야 보다 근본적인 치료적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는 각각 그 심층세계를 집단무의식과 서사라는 개념으로 묘사한다. 분석심리학에서 집단무의식은 인류의 태생적이고 유전적인 인류 보편적 원형으로 이뤄져 있다고 보는 반면, 문학치료는 그 심층세계가 다양한 인간관계의 양식으로 분류될 수 있는 서사로 구조화되어 있다고 보고 있다.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 이론은 문학작품이 바로 이런 인간 내적 세계에 자리잡고 있는 심층세계의 단면들을 보여주고 드러낸다. 분석심리학에 따르면, 집단무의식의 원형은 개인내적경험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으며 오히려 인류 고전과 같은 문학작품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될 수 있다. 문학작품 속 이야기를 통해 사람은 자신의 내적 세계에서 소외되었던 마음의 영역을 통합시킬 수 있다. 문학치료는 문학작품 속 작품서사는 읽는 독자의 자기서사에 강한 영향력을 끼치고 변화와 성숙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런 현상을 문학치료는 공명이란 개념으로 체계화시켰다. 이 두 이론의 비교를 통해, 문학작품이 읽는 독자의 내적 세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기능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삶의 지침과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 드러나게 된다. 문학작품의 이야기는 독자들의 삶을 공감하고 반영하여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한다. 하지만, 이에게 한걸음 더 나아가 문학작품은 읽는 독자들이 미처 파악하지 못한 삶과 인간관계의 개선을 위한 지혜와 통찰을 담고 있다. 곧, 비교심리학과 문학치료는 문학작품과 인간의 내적 세계의 이야기 사이의 유사성을 통한 반영의 경험, 그리고 문학작품의 새로운 요소에 의한 심층세계의 새로운 창조와 변화의 경험이 치료적 효과를 설명한 두 차원임을 보여준다. 상담의 치료적 성격 또한 이런 공감과 모델링에 의한 것임을 본 연구는 주장하며, 이를 자기심리학에서는 거울, 쌍둥이, 그리고 이상화 자기대상 개념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묘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the process of psychotherapy by comparing analytic psychology and literary therapeutics. This comparison is possible is because analytic psychology and literary therapeutics both make frequent use of classic works of literature, myth, and folktale as therapeutic resources. One can easily surmise that those stories play a therapeutic role because they contain wisdom and insight into human lives. Then, how can the stories work as therapeutic materials? Analytic psychology and literary therapeutics concretely explain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ose works of literature whose discussion helps to unravel clues on how the therapy cures psychological problems. This study shows that the therapeutic effectiveness comes from mirroring the world of inner experiences and introducing a new dimension into the counseling relationship. This study makes assumptions about analytic psychology and literary therapeutics regarding the in-depth human inner world. Both see the in-depth inner world as a place that not only powerfully influences pathological behaviors, thoughts, and emotions but should also be dealt with in therapeutic settings to reach the fundamental cure. Both conceptualize the inner world as collective unconscious and epic. Analytic psychology understands the collective unconscious as an intrapsychic realm composed of hereditary, genetic, and universal archetypes. Literary therapeutics asserts that the inner world is made up of epics representing various human relationships. Both similarly understand that works of literature contain the hidden and unknown aspects of the human mind, and that is why they induce growth and maturation of human minds. Therefore, works of literature not only reflect the inner worlds of readers but also provide a better way of life. They make it possible for readers to experience catharsis by echoing the readers internal dimensions. However, they contain wisdom and insight used for improving human relationships. The stories contained within the literature create an in-depth human inner world as well as mirror the readers’ daily lives, which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psychotherapy. This article explains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therapy by introducing concepts of self psychology; in other words, mirroring, idealizing, and the twinship selfobjects.

      • KCI등재

        유가 심성론의 분석심리학적 해석을 위한 시론

        최일범(Choi, Il-Beom) 한국양명학회 2014 陽明學 Vol.0 No.39

        이 논문의 목표는, 유학(儒學)의 심성론(心性論)을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해석함으로써, 유학의 심성론의 본의(本意) 및 그 현대적 해석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분석심리학이란 Freud의 정신분석학의 기반위에 Jung이 구축한 현대 심리학의 한 체계를 가리킨다. 지금까지 유가의 심성론은 주로 철학의 한 분야인 인식론의 범주에서 해석되어 왔다. 다 아는 바와 같이, 인식론이란 앎이 무엇인지, 앎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앎의 조건이 어떤 것인지, 보편타당한 앎이 어떤 것인지를 연구한다. 즉 인식론이란 앎의 문제를 대상으로 하는 철학적 탐구인 것이다. 철학과 달리 분석심리학은 원래 hysteria를 치료하기 위해 만들어진 심리치료법으로서 인지적 기능(사고의 장애), 감정적 기능(정서적 고통), 또는 행동적 기능(행동의 부적절성)에서 생기는 심리적, 신체적 고통을 개선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유가의 심성론을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해석하자는 필자의 제의는 유가의 심성론을 현실적, 구체적, 경험적으로 인간의 심리문제를 분석하고 치료하는 학문으로 이해하자는 뜻이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유학의 심성론과 공부론이 단순히 철학적 인식론이 아니라 심리치료의 의미를 의외로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음을 설명하겠다. 그리고 유학의 심성론의 이론과 공부론, 수양론의 실천이 심리학 특히 분석심리학의 이론 및 실천과 깊은 유사성이 있음을 밝힐 것이다. 불교의 止觀공부나 禪수행은 이미 승단이라는 특수한 종교전문가 집단의 전유물이 아니라 인간의 정신 병리현상을 치유하고 뇌와 정신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새로운 과학으로 알려져 있다. 유학의 심성론, 敬공부 역시 이와 같이 현대과학에 의해 재해석될 수 있고, 그뿐 아니라 어떤 의미에서는 불교보다 현대 과학에 더 깊은 영향을 주고 새로운 길을 밝혀줄 수도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ry to interpret the Confucian theory of disposition in the point of analytic psychology and clarify the modern significance of it. It is the system of modern psychology developed by Freud and Jung that the analytic psychology in this paper mentioned. Until now, Confucian theory of disposition is a part of epistemology in philosophy. But Confucianism seek realistic, concrete, and empirical world. Therefore, we have to interpret this theory for an practical aim. It is why this report assert to interpret Confucian theory of disposition as a method of psychotherapy, especially in the point of the analytic psychology. Buddhistic Zen asceticism has been a new science healing human pathological phenomenon, like hysteria, and analysing the relation of human brain and mind. Why Confucian Piety asceticism should not be a new level fusion of Confucianism and modern science?

      • 유학의 심성론과 심리학 -중용과 분석심리학을 중심으로-

        최일범 ( Il Beom Choi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5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7 No.-

        유학의 심성론과 현대 심리학은 상호 소통할 수 있는가? 그것은 유학의 미래를 위해 어떤 공헌을 할 수 있을까? 이 논문은 그 가능성과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첫 단계로 심리학자들에 의해 수행된 유학의 심성론에 대한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특히 분석심리학과 유학의 중용사상을 중심으로 고찰하자 한다. 심리학자들의 유학 심성론에 대한 연구를 보면, 조긍호와 이수원은 유학 심리학이 현대 심리학과는 전혀 다른 차원에서 새로운 심리학을 전개할 수 있으며 이 는 미래의 인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심리학 체계가 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부영, 이죽내는 융의 분석심리학이 동양심리학, 유학심리학과 많은 부분에서 일치하며 소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분석심리학의 근본적 원리는 대극對極이다. 대극적 사고는 정신 현상의 발생근거인 동시에 분석심리학의 일반적 기초요 인간본성에 내재하는 하나의 원리이다. 분석심리학자들이 중용의 원리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중용의 원리가 바로 분석심리학의 대극 원리와 같은 형식의 논리이기 때문이다. 유학의 심성론과 분석심리학의 소통은 다음과 같은 점이 기대된다. 첫째, 유학의 심성론은 분석심리학을 통해 해석함으로써 보다 새로운 관점과 방법을 발전시킬 수 있다. 또한 분석심리학은 그 종극 목표인 ‘자기실현’ 이론을, 유학의 심성이론과 소통을 통해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Is it possible to interact between the modern psychology and Confucian theory of Human mind and nature? What kind of contribution can be expected from it for the future of modern Confucianism?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research for the Confucian theory of Human nature and mind conducted by psychologists, especially on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Analytical Psychology. Psychologists, Cho geungho(조긍호) and Lee suwon(이수원) insist that Confucian theory of Human nature and mind will be able to develop the new Psychology which is different from western modern Psychology. They also insist that Confucian theory of Human nature and mind is necessary for the future of Human kinds. Analytical Psychologists, Lee buyoung(이부영) and Lee juknae(이죽내) strongly assert that the psychological theory of Jungian Analytical Psychology can bridges the gap of theory with Confucian theory of Human nature and mind.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analytic psychology is the antipole(對極, Gegensatz). It is a general common base of mental phenomena. Analytical Psychologists (Jungian Psychologists) pay attention to the principle of the middle path,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Because in their opinion the middle path principle is same as the principle of analytic psycholog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nalytic psychology and the principle of Confucian mind and Human nature helps each other. I mean, the theory of Human mind and nature of Confucianism could be interpreted by analytic psychology and have new point of view and method. On the other hand Analytic psychology can approach to find new ways of it`s ultimate goals, ‘self-realization’ by means of Confucian theory of Human mind and nature.

      • 진료현장에서의 분석심리학 :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실에서 접하는 문제들의 분석심리학적 접근 경험

        박상학 ( Sang-hag Park ) 한국분석심리학회 2020 心性硏究 Vol.35 No.2

        분석심리학은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실에서 만나는 환자들을 이해하는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수련 중인 젊은 정신과 의사들을 교육하면서 분석심리학의 지식이 어떤 때 필요한가를 고민해 봤다. 저자가 환자를 진료하면서 흔히 접하게 되는 몇 가지 주제들을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우리를 찾아오는 환자들은 증상(문제점)을 가지고 온다. 고통을 느끼며 동반된 증상은 없애야 할 병리 현상이기 전에 환자의 내면의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통로이다. 비슷한 증상의 호소나 문제라도 그 환자가 인생의 전반기의 환자인지 후반기의 사람인지에 따라서 치료자의 접근하는 태도를 달리할 수 있다. 치료자는 환자가 말하는 내용과 거기에 더해서 말하지 못하거나 알지 못하는 부분까지를 알려고 노력해야 한다. 의식에 더해 무의식까지를 본다는 것이 전체를 보려는 분석심리학의 관점이다. 환자를 보면서 초기에 치료 방법의 적응증과 금기를 판단할 때도 진단이 중요하지만, 치료자의 경험을 포함한 능력도 치료 방법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환자가 호소하는 문제를 논리적으로 옳고 그름이 아닌 현상 그 자체를 사실로 인정하는 현상학적 입장을 견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 증상이 무슨 까닭에 발생했는지 원인론적인 관점을 묻는 동시에 왜 하필이면 지금 그리고 무슨 목적으로라는 의문에 환자와 함께 치료자는 답을 찾으려 해야 한다. 치료자는 환자의 고통을 해소해주기 위해 노력하는 동시에 그 고통의 의미를 함께 찾아보고, 환자에게서 치료의 가능성을 찾으려 노력해야 한다. 환자가 말하는 것을 듣는 법부터 페르소나와 그림자를 이해하고 꿈이나 민담과 신화에 관한 관심까지 진료현장에서 분석심리학적 지식은 다각적으로 적용된다. 결론적으로 분석심리학은 실용적이며 유용한 치료적 도구로서 실제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실에서 폭넓게 사용 가능한 학문 분야이다. 환자를 이해하는데 또 치료자 스스로가 치료의 도구가 되려는 이의 교육과 성장에도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How does analytical psychology help understand patients at general psychiatric clinics? It’s necessary to think about how knowledge of analytical psychology can help young psychiatrists who are in training. Patients who come to us bring symptoms(problems). Symptoms can be compared to tickets to a movie theater. Symptoms accompanied by complaints of pain are not only pathological phenomena to be eliminated, but an important pathway to access the patients’ inner problems. In terms of seeing the whole, the point of view in analytical psychology is to see the unconscious as well as the consciousness, even the elements the patients do not speak or know of. When determining indications and contra-indications during the initial process of treating a patient, it is more important to acknowledge the therapist’s capabilities and limitations than the patient's condition or limitations The approach to complaints of the same symptoms may differ depending on whether the patient is in the first half or the second half of one’s life. Analytical psychology is empirical psychology that experiences and it adheres to a phenomenological position that recognizes the phenomenon as true in itself, not logically right or wrong. The analytical psychological view of understanding mental phenomena asks the causal perspective of why the symptoms occurred. At the same time, the therapist, along with the patient, must seek answers to the question of why now and for what purpose. A therapist is a person who experiences the patient’s personal development process together. In analytical psychotherapy, the therapist’s attitude is more emphasized than the treatment method or technique; it is regarded as of the utmost importance. In this regard, analytical psychology is a practical and useful therapeutic tool, and is a field of study that can be widely used in actual psychiatric clinics.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the patient, it is also the most important discipline for the therapists, especially for the education and growth of those who want to become a treatment tool themselves.

      • 융의 분석심리학적 심리치료 개관

        이죽내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11 가족과 상담 Vol.1 No.1

        본고는 분석심리학적 정신치료를 분석심리학의 인간관과 정신병리관을 중심으로 개관한 것이다. 분석심리학에서 보는 인간의 본질은 정신의 全體性에 있다. 정신의 전체성은‘自己’ (das Selbst)의 개념으로 파악된다. 자기의 개념은 집단무의식의 개념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집단무의식은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행동유형인 원형(archetype)들로 구성된다. 모든 원형은 자기원형과 관계하고 자기원형의 기능은 보상기능과 초월기능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분석심리학에서 보는 정신병리 현상은 정신의 전체성에서 벗어난 상태 또는 그 결과를 말한다. 정신의 전체성을 의식 또는 자각하는 과정을 융은 개성화 과정(Individuationsprozess) 이라 명명하였다. 인생의 전반기의 개성화 과제는 사회적응에 있고, 후반기의 개성화 과제는 자신의 내면세계에의 적응이다. 인생 전반기에 발생하는 정신장애는 사회적응의 문제 즉 자아약화와 관계하고 인생의 후반기의 정신장애는 정신의 전체성으로부터 일탈하는데서 생긴다. 정신병리 현상은 정신의 전체성이 깨어졌을 때, 이를 회복하려는 목적적 시도의 결과로 일어난다. 따라서 분석심리학적 정신치료는 근본적으로 개성화 과정(Individuationsprozess)을 통해 정신의 전체성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융은 정신치료를 기법중심의 암시치료와 치료자의 인격중심의 변증법적 대화치료로 나누었으나 그의 일차적 관심은 변증법적 대화 치료에 있다. 결국 정신치료의 실제는 정신의 전체성에 대한 통찰을 근간으로 여러 관점과 방법들의 상호 보완적인 조화 속에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 KCI등재

        상캬-요가 수행론에서 본 유식학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수행론 비교연구

        문을식(Moon Eul Sik) 한국불교연구원 2016 불교연구 Vol.45 No.-

        이 글은 상캬-요가 수행론에서 본 유식학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수행론 비교연구이다. 먼저 세 심리학의 수행 기본원리를 제시하고 나서 그것의 소통 점과 불통 점을 비교 연구한다. 요가심리학의 수행론의 8갈래 원리는 금계, 권계, 올바른 좌법, 호흡법, 감각철회, 집중, 명상, 삼매인데 이 가운데서 ‘집중, 명상, 삼매’가 중심이고, 더 정확하게는 마지막 삼매의 획득과 독존/해탈의 증득 과정이다. 유식학의 5갈래 수행원리는 자량위, 가행위, 통달위, 수습위, 구경위인데 이 가운데 수습위가 중심이다. 그리고 융의 분석심리학의 심리치료원리의 하나로서 적극적 명상은 무의식에 초대하기, 대화와 체험, 윤리적 가치를 더하기, 물리적 의례로 구체화하기의 네가지 접근법이다. 요가심리학의 수행론에서 보았을 때 유식학의 수행론과는 일정 정도는 소통할 수 있지만, 부분적으로 소통할 수 없는 곳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요가 심리학과 유식학은 출발점이 다르기 때문에 둘 사이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요가심리학과 유식학의 자존적 근본 명제까지는 침범할 수 없다는 점이다. 또한 요가심리학의 수행론과 융의분석심리학의 수행론/심리치료법으로서 적극적 명상법은 대부분 소통하기 힘들었다. 그 이유는 요가심리학이 내재와 초월을 동시에 가능하지만, 서양의 융의 분석심리학은 심리를 분석하는 기법을 사용하는 접근방식이 달랐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이들 세 심리학은 현대에 들어와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그것은 이들 세 심리학의 근본 기법에 토대를 둔 응용된 다양한 기법들이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러한 응용연구의 토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 treatise on discipline theory of Yogācāra psychology(唯識學) and Jung’s Analytical psychology in the discipline theory of Yoga psychology. First of all, three psychology will suggest discipline principles, and then a comparative study of points of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The discipline theory of Yoga psycholology is eight. These are yama(禁戒), niyama(勸戒), āsana(坐法), prāṇāyāma (呼吸法), pratyāhāra(感覺撤回), dhāraṇā(執中), dhyāna(冥想), samādhi(三昧)이다. We are discussing samādhi as a priority. In other words, we discuss an acquisition of samādhi and a process of great awakening of kaivlaya(獨存). A discipline Theory of Yogācāra Psychology suggests five steps/pañca avastha of sambhāra avastha(資糧位), prayoga avastha(加行 位), prativedha avastha(通達位), bhāvanā avastha(修習位), aśaikṣa avastha(究竟位). Here, the fourth bhāvanā avastha(修 習位) is the center of discussion. An active imagination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re four approaching methods of invitation to unconsciousness, to dialogue and participation, to add some moral values, to take shape of physical rite. When it views from a discipline theory of Yoga psychology, he can be communicated with discipline theory of Yogācāra psychology, but it seem to be difficult to communicate in many parts. For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yoga psychology and Yogācāra psychology can not be accepted until each other’s a basic proposition. Also a discipline theory of the Yoga psychology and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re almost too much to communicate. For the Yoga psychology possible transcendence and immanence at the same time, whereas Jung’s Analytical psychology different to analytical techniques with that. But both similar with same. Nevertheless, three psychology would be able to communicate such as following points. Yama, niyama, āsana of Yoga psychology the sambhāra avastha of Yogācāra psychology and the ‘to invitation to unconsciousness’ and ‘to add some moral values’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seems to be commensurate with each other. prāṇāyāma(呼吸 法), pratyāhāra(感覺撤回) of Yoga psychology and prayoga avastha(加行位) of Yogācāra psycholgy seems to be commensurate with each other. the dhāraṇā(執中), dhyāna(冥 想), samādhi(三昧) of Yoga psychology, prativedha avastha (通達位) and bhāvanā avastha(修習位) of Yogācāra psycholgy, and physical rite to take shape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seems to be commensurate with each other formally.

      • KCI등재

        한국의 소비자·광고 심리 연구: 내용분석으로 미래를 조망하다

        염한결,조민하,김아연,LI XINGE,정영주,이욱진,안정용,성영신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9 No.2

        The current paper aims to review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covering areas in the field of research, researcher, theoretical background of research, its objectives and methodology, and recommends future directions for consumer research. The analysis includes a total of 448 articles across 59 volumes of the journal’s 18-year history, from the publication of its first issue in 2000 to the 18th in 2017. The findings show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in academia, as well as how the research trend has evolved over the last 18 year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although the number of articles written by the researchers from the department of psychology has been higher in proportion, the number of research conducted by scholars from others fields, such as business is increasing in trend. This phenomenon precisely reflects how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are taken more importantly in a modern day society. Second, not only exploring the linear relationship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but also an increasing number of research examining moderating and mediating variables implies the potential progress in the relevant field of research. Third, contrary to what is mentioned earlier about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conducting researc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ost research is limited to narrow spectrum of topics in psychology. This indicates the large body of research is skewed in terms of theories used and thus, the necessity to widen scope of topics of studies in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Fourth, the majority of research today depends heavily on experimental studies, and there remains to be very few studies based on surveys, qualitative research, and biological measurements. This leads to a challenge in understanding the evolving state of consumption and a lack of research that expl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sumers’ biological or physical traits and their consumption behaviors. Fifth, the point of consumption studied and the types of media used reveal an inadequate reflection of time. This can be supported by the fact that most of the research observes scenes prior to consumption and that print advertising is the most commonly used medium. Finally, we discuss how the research in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has progressed over the past 18 years - its commendable components as well as areas of improvement -and provid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에 게재되었던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분야, 연구자, 연구의 이론적 배경, 연구목적, 연구방법 측면에서 그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미래 소비자 연구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00년 창간호부터 2017년 18권 4호까지 18년 동안 발행된 59권의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에 게재된 논문 총 448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들의 전체 특성과, 동시에 18년간의 연구 동향이 어떻게달라졌는지에 대한 변화 추세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에는 심리학과 소속 연구자들에 의한 논문이 전반적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나, 최근 들어 경영학과 등 다른 전공 분야의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소통과 융합이 중시되는 현시대적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둘째,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의 단선적 관계만을 규명하는 것을 넘어 조절변인과 매개변인의 역할을 보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어소비자 및 광고심리학 연구의 진화를 짐작해볼 수 있다. 셋째로, 앞서 말한 다양한 소속에서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과 상반되게 대부분의 연구가 폭넓은 심리학이론을 기초로 하여 진행되었다기보다는 특정영역 이론에 치중되어 있었다. 특히 성격심리학, 인지심리학, 사회심리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연구가 대다수여서 연구주제의 편중성이 보이며 소비자 및 광고심리학의 외현 확대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넷째, 조사연구, 질적연구방법, 생리적 측정을 기반으로 한 연구들이 매우 적으며 대부분의 연구가 실험연구에 의존하고 있다. 방법론의 편중은 곧 특정주제의 축소를 초래하게 되어, 변화하는 소비 현황을 폭넓게 파악하기 힘들며 혹은 소비자의 심리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연구가 부족하게 된다. 또는 소비자의 생물학적, 신체적 특성이 소비자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 역시 수행하기 어려울 것이다. 다섯째, 소비시점 또는 매체활용에서 시대반영이 미흡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대부분의 연구가 구매전에 이뤄지는 현상을 보고 있으며 매체종류로 인쇄광고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는 것은 이를 뒷받침한다. 끝으로 내용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18년간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연구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분석한 후, 그중 바람직한 측면과 아쉬운 측면을 논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시를 논의 부분에서 다루었다.

      • KCI등재

        창간 30주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내용분석 및 제언

        유태용,이현준,고윤진,최효임,김민경,명민재,이민선,조은강,황순필,김미소,서진형,손희정,이의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2 No.3

        본 연구는 2018년에 창간 30주년이 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에 게재된 논문들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1988년 창간호부터 2018년까지 30년 동안 총 85권의 학회지에 게재된 627편의 논문 중 625편을 대상으로 논문저자 특성, 연구주제, 연구장면, 연구방법, 연구참가자 유형, 논문에 사용된 통계분석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저자 소속은 심리학과 및 산업심리학과가 전체 저자 수인 1,401명 중 1,027명(83.9%)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에 속한 저자가 1,265명(90.3%)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초기 10년에는 15명에 불과했던 여성 저자의 비율이 최근 10년 들어 293명(36.0%)으로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주제별로 논문을 분류한 결과, 조직심리 논문이 376편(60.2%)으로 가장 많았고, 연구가 수행된 물리적 장소를 분석한 결과,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진 연구가 471편(75.4%)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은 설문지에 의한 조사연구가 전체의 74.1%(463편)로 가장 많았으며, 실제 산업 현장의 현직자 집단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가 전체의 66.4%(415편)로 가장 많았다. 그 외에도 최근 10년 전부터 온라인 설문지를 활용한 조사연구가 확대되고 있으며, 통계분석은 초기 10년과 유사하게 요인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이 가장 널리 활용되었다. 최근 10년 들어 통계분석 종류는 더욱 다양해졌는데 다수준분석, 생존분석, 비선형분석 등 새로운 분석기법을 적극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끝으로 지난 30년 동안 게재된 논문을 주제별로 개관하였으며, 이러한 내용분석을 토대로 앞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이 추구해야 할 지향점과 부가적인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상담심리학의 최근 연구동향: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지 게재논문 분석(2000~2009)

        김계원,정종진,권희영,이윤주,김춘경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ta-analyze research trend of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KJCP) published by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Four hundreds eighty four articles published during past-10 years (2000-2009) had been categorized according to researchers, research subjects, research o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followed. First,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has been increased every year. Second, the main research subjects were the personality and adjustment, development of instruments, outcomes, and career and aptitude. Third, common research objects were university studen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dults. Fourt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has been used mainl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o the future research conducted counseling psychologists in Korea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상담심리학의 최근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 3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게재된 총 484편의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자소속,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통계분석 등에 초점을 두어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통계처리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연구자의 60.7%는 국내 대학교에 소속되어 있으며, 연구주제는 성격 및 적응연구가 36.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척도개발연구, 성과연구, 진로 및 적성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대학생이 37.1%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청소년, 상담자, 성인의 순으로 나타났고, 연구방법은 86.5%가 양적 연구로 이루어졌으며 12.2%를 차지한 질적 연구보다 현저히 많이 나타났다. 양적 통계분석에서는 변량분석이 24.9%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회귀분석, 요인분석의 순으로 나타났다. 질적 통계분석에는 합의적 분석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현상학적 분석, 사례분석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가 지니는 의미와 시사점 그리고 상담심리학 연구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융의 분석심리학에 의한 인물 분석과 역할 창조 - 안톤 체홉 희곡의 등장인물에 대한 심리분석을 중심으로 -

        이기호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1 No.3

        희곡에 등장하는 인물의 행동과 성격 표현은 마음, 즉 심리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물의 성 격과 행동을 분석하고 창조하기 위해서는 인물의 심리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해야만 한다. 융이 의식을 섬에 비유하고 무의식을 바다에 비유한 것은 그만큼 무의식의 영역이 광범위함을 지적하는 것으로 인간 의 행동 기반이 되는 심리를 분석한다는 것은 눈에 보이는 섬만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광활한 바다 를 대상으로 삼는 것이므로 심리학을 적용하여 희곡이라는 텍스트를 분석하면 인물 창조를 위한 배우와 연출자에게 매우 유용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배우의 대사 분석에 대하여 심리분석을 적용하여 행동과 성격을 분석하고 실제 공연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하여 심리분석이 대사 분석과 성격분석에 끼치 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융 분석심리학의 핵심 내용인 콤플렉스론과 인격 이론을 바탕으로 안톤 체홉의 희곡에 등장하는 인물의 심리와 심리적 행동을 분석하여 희곡의 공연화 과정에서 배우의 연기와 연출의 블로킹에 적용함으로써, 인물의 행동과 성격을 창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인물 분 석 및 인물 창조 방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 도구로 활용한 것은 융의 분석심리학은 의식과 무의식에 두루 포진된 콤플렉스와 인격 이론으로서의 자아와 그림자, 외적 인격인 페르소나와 내 적 인격인 아니마와 아니무스, 그리고 자기 원형과 개성화 이론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배우의 대사 분석에 대하여 심리분석을 적용하여 행동과 성격을 분석하고 실제 공연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하여 심리 분석이 대사 분석과 성격분석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Since the behavior and personality expression of the characters in the play is based on the mind, or psychology, the analysis and creation of the character's personality and behavior must b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s psychology. Jung's analogy of consciousness as an island and the unconscious as an ocean indicates the vastness of the unconscious, and analyzing the psychology underlying human behavior is not only targeting the visible island, but also the vast invisible ocean, so applying psychology to analyze the text of a play is very useful for actors and directors for character crea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sychoanalysis on actors' dialogue analysis by applying psychoanalysis to analyze their behavior and personality and applying it to actual performances. For this study, based on the complex theory and personality theory, which are the core contents of Jungian analytical psychology, the psychology and psychological behavior of the characters in Anton Chekhov's play were analyzed and applied to the actor's performance and blocking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play, in order to derive a character analysis and character creation method that helps to create the character's behavior and personality. The analytical tools used in this study are Jung's theory of complexes and personalities, both conscious and unconscious, the ego and the shadow, the persona, the outer personality, and the anima and animus, the inner personality, and the self archetype and individuation theo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ehavior and personality by applying psychological analysis to actors' metabolic analysis, and to find out the effect of psychological analysis on metabolic analysis and personality analysis through the process of applying it to actual perform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