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신조어 пофигизм을 통해 본현대 러시아의 언어문화
정영주,안대섭,정혜린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2 중소연구 Vol.46 No.3
This study focused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neologism “пофигизм” and the ways in which the derived mother words фиг and фига continue to produce various new expressions even today. The new word “пофигизм”, a keyword that shows a unique aspect of modern Russian language and culture, means a state of indifference and lack of interest in the outside world. The neologism “пофигизм” is a Russian embodiment of postmodern irony, but it is also an expression popularized by journalists who gained the freedom to choose a variety of vocabulary at the end of the Soviet Uni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neologism “пофигизм” is also interesting in terms of linguistics. Therefore, this study traces the formation process of “пофигизм” and examines how the derivatives of фиг and фига are used in modern Russian language culture. To explain the use of “пофигизм”, Chapter 2 of this paper traces the formation time and process of the nouns фиг and фига and their derivatives and analyzes their meaning and usage. In Chapter 3,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of these vocabularies are briefly reviewed, and in Chapter 4, the role of the media in the formation and dissemination of these vocabularies and the linguistic culture of modern Russia are highlighted. 본 연구는 신조어 пофигизм의 형성과정과 그 파생모어인 фиг와 фига가 다양한 신조어를 형성하며 활용되는 양상에 주목하였다. 현대 러시아 언어문화의 독특한 한 단면을 보여주는 키워드인 포피기즘은 주변에 대해 무심하고 무관심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 어휘는 포스트모던 아이러니의 러시아적 구현이지만, 소련 말기 다채로운 어휘 선택의 자유를 얻은 언론인들이 유행시킨 표현이기도 하다. 신조어 пофигизм의 형성과정은 언어학적 측면에서도 흥미롭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пофигизм의 형성과정을 추적하고, 현대 러시아 언어문화에서 фиг와 фига의 파생어들이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살펴본다. пофигизм의 쓰임을 설명하기 위해 본 논문의 2장에서 명사 фиг, фига와 그 파생어들의 형성시기와 과정을 추적하고, 그 의미와 용법을 분석한다. 3장에서는 이 어휘들의 문법화 과정의 특징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4장에서 이 어휘들의 형성 및 전파과정에 있어 언론의 역할과 현대 러시아의 언어문화를 조명해 보고, 5장에서 마무리한다.
정영주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9 중소연구 Vol.43 No.3
Kyiv, Ukraine carries a special meaning because it is the city where Eastern Slavs adopted Orthodox Christianity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11th century, clerics of Kyiv associated the city as a sacred place for Christianity and emphasized the roles and missions of Kyiv. However, in the beginning of divinizing Kyiv, the city was a variation of Constantinople which was also a variation of Jerusalem for the people of Rus.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details and formation of the concept of “Kyiv as the second Jerusalem” and sheds light on how the people of Kyivan Rus recreated Jerusalem in the city, claiming the association and their succession rights of Kyiv. Next, this research discusses its correlation with the “Moscow as the third Rome” Concept and the process how the Messianism by Rus people, which started from the concept of “Kyiv as the second Jerusalem”, leads to the concept of “Moscow as the third Rome”. Finally, this paper analyzes how the concept of “Kyiv as the second Jerusalem” is shed new light on in modern and contemporary societies of Russia and Ukraine.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details and formation of the concept of “Kyiv as the second Jerusalem” and sheds light on how the people of Kyivan Rus recreated Jerusalem in the city, claiming the association and their succession rights of Kyiv. Next, this research discusses its correlation with the “Moscow as the third Rome” Concept and the process how the Messianism by Rus people, which started from the concept of “Kyiv as the second Jerusalem”, leads to the concept of “Moscow as the third Rome”. Finally, this paper analyzes how the concept of “Kyiv as the second Jerusalem” is shed new light on in modern and contemporary societies of Russia and Ukraine. 키예프는 동슬라브인이 정교를 처음 도입한 도시이기 때문에 그 의미가 각별하다. 11세기부터 키예프의 성직자들은 키예프를 기독교 성지와 연관시키며 키예프의 역할과 사명을 강조했다. 다만 키예프에 신성을 부여하는 초기에 루스인들에게 있어 키예프는 콘스탄티노플의, 콘스탄티노플은 예루살렘의 변주였다. 본고에서는 우선 키예프-제2 예루살렘설의 자세한 내용과 형성과정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키예프 루스인들이 키예프에 예루살렘을 어떠한 방식으로 재현하며 연관성과 계승권을 주장하게 되었는지 조망한다. 이어서 모스크바-제3 로마설과의 연관성을 짚어보고, 키예프-제2 예루살렘설에서 시작한 루스인들의 메시아주의가 모스크바-제3 로마설로 이어지는 과정을 살펴본다. 끝으로 키예프-제2 예루살렘설이 근현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사회에서 재조명되는 양상을 살펴본다.본고에서는 우선 키예프–제2 예루살렘설의 자세한 내용과 형성과정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키예프 루스인들이 키예프에 예루살렘을 어떠한 방식으로 재현하며 연관성과 계승권을 주장하게 되었는지 조망한다. 이어서 모스크바–제3 로마설과의 연관성을 짚어보고, 키예프–제2 예루살렘설에서 시작한 루스인들의 메시아주의가 모스크바–제3 로마설로 이어지는 과정을 살펴본다. 끝으로 키예프–제2 예루살렘설이 근현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사회에서 재조명되는 양상을 살펴본다.
긍정 정서에 대한 반응이 양극성 증상에 미치는 영향: 긍정 반추 대 향유의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정영주,황성훈,이정미 한국건강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7 No.2
Bipolar symptoms(BS) may be associated with alternating excessive upward and downward responses to positive emotion(P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positive rumination(PR) and dampening as maladaptive upward and downward regulation in each and savoring as an adaptive response to PE. We tri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PR to heighten PE caused by uplifts and subsequent dampening to suppress such heightened moods will increase BS and decrease subjective well-being(SW), while savoring instead of PR will reduce the need for dampening, finally leading to the opposite results in BS and SW. To verify, Positive Life Events Scale, Extended Responses to Positive Affect Questionnaire(E-RPA), Savoring Beliefs Inventory(SBI), Internal State Scale(ISS), Bipolar Spectrum Diagnosis Scale(BSDS),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were administered to 330 cyber university students via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supported our hypothesis. If the PE from uplifts is ruminated, the heightened mood would be suppressed by the subsequent dampening. The indirect effect leading to increased BS and decreased SW was significant. On the contrary, paying attention to PE’s and savoring them reduced the need for dampening, and indirect effects leading to a significant decrease in BS and increase in SW.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a therapeutic approach that guides people to choose savoring over PR at the crossroads of responses to PE, and we present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long with future research directions. 양극성 증상은 긍정 정서에 대한 과도한 상향화 반응과 하향화 반응이 교대되는 것과 관련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긍정 정서에 대한 상향 반응인 긍정 반추, 하향 반응인 찬물끼얹기의 작용을 건전한 대안 반응인 향유와 비교하고자 했다. 긍정 생활사건에서 유발된 긍정 정서를 고조시키기 위해 긍정 반추를 하고, 과도하게 상향화된 기분을 억제하기 위해 연이어 찬물끼얹기로 반응하면 양극성 증상은 증가하고 안녕감은 감소할 것이되, 긍정 반추 대신 향유로 반응한다면 후속하는 찬물끼얹기는 줄어들고 양극성 증상과 안녕감은 이와 반대의 결과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사이버대학생 330명을 대상으로 긍정 생활사건 척도, 긍정정서 반응척도 확장판(E-RPA), 향유신념 척도(SBI), 현재의 양극성 증상을 측정하는 내적 상태 척도(ISS), 과거의 양극성 장애 병력을 평가하는 양극성 스펙트럼 진단 척도(BSDS), 삶의 만족도 척도(SWLS) 등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 가설은 지지되었다. 즉, 일상의 긍정 사건에서 유발된 긍정 기분에 대해 자신의 가치감을 한껏 높이며 반추하면 고조된 기분을 자제할 필요성 때문에 이내 한풀 꺾게 되고 그 결과로 양극성 증상의 증가와 주관적 안녕감의 감소에 이르는 간접 효과가 유의하였다. 반대로 긍정 정서에 주의를 기울이고 음미하며 향유하면 찬물끼얹기의 필요성은 줄어들고 양극성 증상의 감소와 안녕감의 증가에 이르는 간접 효과가 유의하였다. 끝으로 긍정 정서에 대한 반응의 갈림길에서 긍정 반추와 찬물끼얹기보다는 향유를 택하게 안내하는 치료적 접근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700㎒ 주파수 분배 정책 결정 과정 연구 정책옹호연합체 이론의 적용을 중심으로
정영주,홍종윤,오형일 한국방송학회 2018 방송통신연구 Vol.- No.101
This study, based on the Advococay Coalition Framewrok theor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Korean media policy decision process by analyzing the 700㎒ frequency allocation policy decision process, which was jointly distributed for broadcasting, telecommunication, and public goods. The 700㎒ policy decision process was prompt decision-making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despite the widespread scope and controversy of related policy stakeholders and policy venues. This was a result of the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policy venue shopping strategy of the broadcasting advocacy coalition. As the policy venues shifted to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and the National Assembly, paternalistic attributes and hierarchy of policy venues were revealed at each policy decision period. In this process, Terrestrial broadcasters actively utilized the public mobilization strategy through media reports advocating their own interests. In addition, the broadcasting advocacy coalition has been able to influence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rough the discourse struggle by responding to the telecommunication advocacy coalition and forming a policy discourse that emphasizes the ideals and values of terrestrial broadcasting. The problem of policy venues and stakeholders revealed in the 700㎒ policy decision process is ultimately a cause and result of over-politicization of Korean media policy decision process, and it is a problem to overcome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work of theorizing the paternalistic attributes and behaviors of the media policy venues of Korea will become a necessary task in the future. 이 연구는 2015년 7월 방송용과 통신용, 공공재난망 용도로 공동 분배된 700㎒ 주파수 분배 정책결정과정을 정책옹호연합체론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 미디어 정책 결정과정의 특성과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700㎒ 정책결정 과정은 관련 정책 이해관계자, 정책관할지의 범위 및 논쟁의 규모가 광범위했음에도 불구하고 국회의 개입으로 신속하게 정책결정이 이뤄졌다. 이는 방송 정책연합체 진영의 정책관할지 교체 전략이 효과적으로 작동한 결과였다. 정책결정 시기별로 정책관할지들이 방송통신위원회, 미래창조과학부, 국회로 변동함에 따라 정책관할지들의 후견주의적 속성 및 위계가 드러났으며, 이 과정에서 지상파 방송사들은 자기보도를 통한 여론 동원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또한 방송연합체는담론 투쟁을 통해 통신연합체에 대응하며 지상파 방송 고유의 이념과 가치를 내세운 정책 담론을 형성함으로써 정책결정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700㎒ 정책결정 과정에서 드러난 정책관할지및 이해관계자들의 문제점은 궁극적으로 한국 미디어 정책결정 과정의 과잉정치화를 낳는 원인이자 결과물인 동시에 극복해야 할 문제이다. 향후 한국 미디어 정책관할지들의 후견주의적 속성 및 행태를 이론화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정영주,홍종윤,이준웅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2 언론정보연구 Vol.59 No.4
이 연구는 공영방송 협약 제도 도입을 위한 과제를 고찰한다. 가장 큰 문제의식은 공영방송 협약 제도가 단순히 기존 재허가 제도를 대체하는 차원에 그쳐서는 안 되며, 공영방송의 차별성 부재를 해소하고, 공영방송의 자율성을 강화하여 존재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공영방송의 공적 목적 수립, 공적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세부 과제 설정, 이행 여부에 대한 설명책임 장치 도입, 평가 결과에 대한 환류 시스템 등을 제도화해야 한다. 또한, 제도의 안정성을 위한 법 개정과 이를 운영할 규제기구의 위상과 역할을 재정립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공영방송사, 정부, 규제기구, 경쟁 사업자, 전문가 집단, 시민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상호 소통과 의견 교환은 필수적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공영방송 협약 제도에 구체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운영 방안을 검토함으로써 협약 제도 논의의 심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task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public broadcasting agreement system. The introduction of the public broadcasting agreement system should not be limited to simply replacing the existing re-licensing system. Rather, it should be used as an opportunity to resolve the lack of differentiation of public broadcasting and strengthen the autonomy of public broadcasting.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ublic purpose and detailed remits of public broadcasting, and to institutionalize the accountability system for implementation and a feedback system for performance evaluation.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revise the broadcasting law for the stability of the system and to redefine the status and role of the regulatory bodies. In this process, it is essential to communicate and exchange opinions between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public broadcasters, the government, regulatory bodies, competing broadcasters, expert groups, and civil society. By reviewing the details and operation plans to be includ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public broadcasting agreement system,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epening of the discussion of the agreement system.
정영주,전기흥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5
Regardless of weekday or holiday, many people are moving around the nation's roads. The legal environment has made workers' time management more flexible. It is also moving more than before. Workers naturally enjoy a daily evening. Flexible working hours have made vacation more leisurely. It is a vacation that has more available evening and more time to spare. Citizens' movement to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y is expanding. There is a huge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using the highway rest area. Highway rest area are expanding in many parts of the country as the number of users increases. The era of competition has come for highway rest area. It is no longer easy to attract and expand customers with waiting marketing. The service of highway rest area is also changing. The services of past unifying highway rest area are changing to customer-centered service design. This study looked at facility factors, service factors, food fact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in highway rest areas. We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nd image and attractiveness of the highway rest area. According to the study, the facility factors, service factors and food factors in highway rest area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to brand image. The brand image of the highway rest area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ttractiveness. 평일, 휴일을 가릴 것 없이 전국의 도로에는 많은 인파가 이동하고 있다. 법률적 환경으로 근로자의 시간 관리가 유연해졌다. 이전에 비해 이동도 더 많아지고 있다. 근로자들은 자연스럽게 매일 저녁이 있는 삶을 누리고 있다. 유연한 근로시간 안배로 휴가가 더 여유로워졌다. 활용가능한 저녁 시간이 많아지고 시간적 여유가 많아진 휴가이다. 시민들의 전국 각지로의 이동이 확대되고 있다. 고속도로 휴게소의 이용객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용객 증가에 따라 전국 각지에 휴게소가 확대되고 있다. 경쟁 없던 고속도로 휴게소도 이제 경쟁의 시대가 왔다. 이제는 더 이상 기다리는 마케팅으로 고객의 유치 및 확대가 어려워졌다. 고속도로 휴게소의 서비스 형태도 변화하고 있다. 과거의 천편일률적인 고속도로 휴게소의 서비스가 고객 중심의 서비스 디자인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 휴게소의 시설 요인, 서비스 요인, 음식 요인과 브랜드 이미지와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고속도로 휴게소의 브랜드 이미지와 매력도와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고속도로 휴게소의 시설 요인, 서비스 요인, 음식 요인은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고속도로 휴게소의 브랜드 이미지는 매력도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