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하니 한국연기예술학회 2018 한국연기예술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예술 분야도 장르의 경계가 갈수록 모호해지고 더불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인공지능이라는 개념과 함께 로봇 배우가 공연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내고 있다. 배우예술의 영역에서 과연 로봇 배우와 인간 배우의 경계선을 앞으로 우리는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 것인가? 그 갈림길에서 우선, 배우예술 안에서 과연 로봇 배우의 연기를 우리는 진정한 연기 예술로 받아들이고 그 영역과 경계를 구분해야 할 것 이다. 제미노이드 에프(F), 에버(EveR), 라오라(RAoRA)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로봇 배우들이 다양하게 등장 하고 있다. 더 이상 인간만이 할 수 있다고 믿었던 배우예술의 영역도 인공지능한테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의미한다. 미래 사회의 산업 지형을 우리는 완벽하게 예측할 수는 없지만, 연구와 분석을 통해 공존 방법을 모색해야한다. 가까운 미래에서 요구하게 될 새로운 배우예술의 영역과 그 경계에 대하여 논하고자한다. 이를 위한 본 논문의 구성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입을 통해 달라진 시 대적 현황을 살펴본다. 그리고 4차 산업시대의 혁명으로 배우예술의 혁신적 영역에 부분에 대한 사례들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로봇 배우와 인간 배우의 영역의 경계에 대하여 어떻게 구분하고 바라볼 것인 가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본 논고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배우예술의 영역과 그 경계 배우예술 논의는 기 존 논의들에서 고찰된 개념들을 보강하면서 새로운 시각에서 그 영역의 경계를 바라보고자 한다. 본 논고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이르러 달라진 배우예술의 현황과 그로인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로봇 배우들의 사례를 통해 특징을 알아보고 인간 배우와 로봇 배우의 경계선과 그리고 앞으로의 발전 가능 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서영석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연기예술연구 Vol.16 No.3
이 연구는 아방가르드, 즉 전위예술이라는 최근 예술, 한국에서 벌어졌던 아방가르드의 소개와 파장을 연구한 것이다. 예술의 근간이 창조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창조는 도전과 응전의 결과물이라는 역사의식을 비울 수 없다. 즉, 인류 문명과 문화예술의 발전에 있어서 도전과 충돌의 결과라는 것을 부정 할 수 없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인류는 새로운 사상과 예술을 갈구했다. 새로운 사상과 예술의 등장은 과거 전통의 거부와 단절을 선언한다. 즉 전위예술, 아방가르드의 탄생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류의 문명은 그 태동에서부터 끊임없이 새로운 예술의 발전을 거듭해 왔다. 오늘날에 이르러 예술은 모더니즘 에서 포스트모더니즘, 전위예술로 발전을 했다. 전위예술, 아방가르드는 1960년을 기점으로 한국에 소개 되었다. 해방과 6.25전쟁을 통해 미국 문물의 여과 없는 급속한 유입의 한 방편으로 더불어 이루어졌다. 한국 연극이 있어서 전위예술다운 실험연극을 했던 극단은 무체극을 주창했던 ‘극단 에저또’(방태수)와 <관객모독>을 대표작으로 했던 ‘극단 76’(기국서)이 그 중심에 있었다. ‘극단 에저또’는 1980년 이후 실험 극에의 공연을 외면하고 극단의 존재조차 유야무야 시 되었다. ‘극단 76’도 원년멤버들이 손을 놓은 상태 로 그저 소극장 운영에만 골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그들의 실험정신은 아직도 대학로의 젊은 연 극인들에 전승되어 명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현재에 이르러는 ‘극단 하땅세’가 아방가르드에 가까운 공연 을 무대에 올려 그 맥을 잇고 있다. 한국의 연극은 1960년 대 이후 비약적인 발전을 했다고 하나 아직 세 계연극계의 변방에 머무르는 수준이다. 중국, 일본에 비해 세계연극사에 한국 연극에 대한 한 줄의 언급 도 찾아볼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이는 우리의 연극계가 우리 연극사의 정립을 못했음에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한국 연극에서의 아방가르드(실험연극)에 대한 연구를 그 목적으로 한다. Creative is all art with life. Play art also absolutely proposition with life in creative, so it can not be free of that. We can not be deny there result from challenge and collision at Human-Being’s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A study of Avant-Garde in Korea”, which is most resent idea of art. Korean play is still stay countryside on culturally in the world. Hereupon this study is research of the Korea’s pulsation of Avant-Garde and research it’s flow influence to recent theatrical world. After The Second World War humankind long for a new ideology and art. Appearance of a new ideology and art declare rejection and severance of tradition. That is we say Avant-Garde. Avant-Garde, it’s movement is continuous test and deny and destruct one-self. Avant-Garde was introduced fiducial, the year of 1960 to Korea. But the Korea government do not allow because of evil influence-long hair, hippie, drug- to artist. Nevertheless ‘Silhum Theater’ was founded with the purpose of play-experimentation, but there slogan was fall in fabrication. The ‘Silhum Theater’ only participate in a play several plays, and actually the ‘Theater Ejotto’ take over the experimental art of Korea and The ‘Theater 76’ took over the pulsation of the experimental art and it be now. We can clearly notice Avant-Garde is diffused pushing the boundaries art and life, obstinately it get out of literary value that bring to a focus special human’s life so. Korean Avant-Garde hardly seen the trace of Korean creation in experimental art that only to look follows of foreign trend.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연기예술 환경 변화 사례 연구 - 디지털 기술과 연기예술 융합을 중심으로 -
서상규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2 No.4
지난 100여 년 이상 스타니슬라브스키의 고전적 연기술에 익숙해져 왔던 오늘날의 배우들은 4차 산업 혁명 시대 디지털 기술의 혁명적 발전에 따라 새로운 연기 환경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동안 인간 배우만 이 해낼 수 있는 고유한 영역으로 인식된 공연예술 무대는 인공지능을 탑재한 로봇 배우의 출연으로 변 화가 시작되었고 영상예술 분야에서는 최첨단 디지털 기술과의 만남 속에서 새로운 연기 표현법의 변화 가 감지되었다. 인공지능을 탑재하고 인간의 감정까지도 일정 부분 표현할 수 있는 AI 로봇이 인간 배우 와 함께 공연하고 있으며 모션 캡쳐, 이모션 캡쳐, CG, 특수효과 등을 이용하여 배우 연기의 표현 확장성 을 이루어내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변화를 온몸으로 받는 인간 배우는 기존의 전통적인 연기술과 더불 어 각 매체의 특성과 표현 방법 그리고 특징적인 기술을 이해하고 체득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고는 공 연예술 분야에서는 디지털 기술과 연기예술이 융합하여 로봇 배우의 등장을 알린 히라타 오리자의 연극 ‘사요나라’를 비롯하여 판소리 로봇 ‘에버’, 산업기술연구원의 공연용 로봇 라오라의 사례를 통한 인공지 능 로봇 배우와 사람 배우와의 상호 교감적 연기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영상예술 분야에서 연기 와 디지털 기술의 결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이에 대한 배우의 연기 표현 방법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지에 대해 모션 캡쳐, 이모션 캡쳐의 활용 시 배우에게 필요한 연기 표현법의 사례와 현황을 영화 ‘아바타’와 ‘반지의 제왕’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매체의 특성에 맞는 연기법 적용사례 및 현황 연구를 통해 미래의 연기예술의 발전적 방향성 정립에 일조할 수 있기를 목적으로 하였다. Today's actors, who have been accustomed to Stanislavski's classic acting techniques for over 100 years, are faced with a new acting environment following the revolutionary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erforming arts stage,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a unique field that only human actors can accomplish, has begun to change with the appearance of robot actors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 the field of visual arts, new acting expression methods have changed through encounter with cutting-edge digital technology. It was detected. AI robots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apable of expressing even human emotions to a certain extent are performing together with human actors, and motion capture, emotion capture, CG, and special effects are used to expand the expression of actors' acting. Human actors who experience these rapid changes with their whole bodies needed to understand and acquire the characteristics, expression methods, and characteristic techniques of each medium in addition to existing traditional acting skills.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this paper examines the cases of Oriza Hirata's play 'Sayonara', which announced the emergence of robot actors through the convergence of digital technology and acting art, as well as the pansori robot 'Ever' and th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Technology's performance robot Laora. The study focused on interactive acting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actors and human actors. In addition, regarding how the combination of acting and digital technology is achieved in the field of video art and how actors express their acting, examples and current status of acting expressions required by actors when using motion capture and emotion capture are provided in the movie 'Avatar'. and 'The Lord of the Rings'.
한국 사실주의 연기술의 초기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화술, 연기, 무대 연출을 중심으로 -
이목련 한국연기예술학회 2025 연기예술연구 Vol.38 No.-
이 연구는 동시대에 여전히 주요한 흐름으로 논의되고 있는 사실주의 연기의 초기 유입 양상과 형성 과정을 심도 있게 살피고, 한국 연기사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20세기 초 사실주의 연극의 태동과 함께 형성된 사실주의 연기술을 스타니슬랍스키의 연기 원리를 바탕으로 화술, 연기, 무대 연출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화술’에서는 화법과 어조 그리고 인칭의 변화가 가장 두드러졌으며, 이러한 변화는 일상적인 화술로의 이행을 통해 이루어졌다. 독백에서 대화 구조로의 전환, 영웅조에서 일상적 구어조로의 변화, 삼인칭 설명체에서 일인칭 대화체로의 이동은 연기와 대사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재구성하였다. 이로 인해 관객과의 소통이 더욱 긴밀해지고, 극적 몰입감과 현실감이 향상되면서 사실주의의 구조적 기반이 더욱 확립되었다. 둘 째, ‘연기’적 측면에서는 진실성과 움직임, 그리고 관객과의 호흡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스타니슬랍 스키의 주된 ‘심리적 사실주의’ 기법이 묻어나기 시작했으며, 사실주의 연기술의 핵심인 ‘현존을 위한 연기’로 이어졌다. 외적 진실성에서 내적 진실성으로의 변화는 배우가 감정과 경험을 깊이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양식화된 움직임에서 자연스러운 움직임으로의 변화는 무대에서의 현실감을 극대화하였다. 또한, 이 화 작용에서 동화 작용으로의 변화는 배우와 관객 간의 보다 깊은 정서적 공감을 촉진했다. 마지막으로, ‘무대 연출’적 측면에서는 서구식 극장의 설립으로 ‘제4의 벽’이 형성되어 사실주의 연기를 위한 환경이 내·외적으로 조성되었다. 극적 진실성을 위한 무대 장치의 발전은 극의 몰입감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체계적인 연습과 전문성의 확립은 연기의 예술성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변화는 오늘날 우리가 접하는 사실주의 연기 예 술의 기초가 되며, 이후의 많은 연극적 실험과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 사실주의 연기술의 형성 과정을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동시대 한국 사실주의 연기에 대한 깊이 있는 미학적 담론을 형성 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in depth the early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realist acting, which is still discussed as a major contemporary trend, and to consider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acting. Formed at the dawn of realist theater in the early 20th century, realist acting techniques were discussed based on Stanislavski’s acting principles and were divided into three main elements: the actor’s speech, acting, and stage direction. First, in “speech,” the changes in speech, tone, and persona were most pronounced, marked by a shift toward everyday language. The transition from monologue to dialog structure, from heroic to everyday speech, and from third-person exposition to first-person dialog fundamentally reconfigur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ng and lines. Second, on the “acting” side, there was a shift in authenticity, movement, and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It was in this process that Stanislavski’s main technique of psychological realism began to emerge, leading to the “acting for presence” that lies at the heart of realist acting technique. Finally, in terms of “stage direction,” the establishment of Western-style theaters introduced the concept of a “fourth wall,” enabling an environment conducive to realistic acting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 development of staging devices for dramatic authentic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atrical immersion, and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practice and professionalism enhanced the artistry of acting. These change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realist acting art we see today and greatly influenced many subsequent theatrical experiments and developments. Therefore, by closely analyzing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realist acting techniques, this paper seeks to contribute to a deeper aesthetic discourse on contemporary Korean realist acting and provide important foundational material for exploring future directions.
4차 산업혁명시대의 연기예술환경 변화 - <모션캡쳐>를 중심으로 -
정주영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특성과 연관지여 새로운 연기예술환경에 대한 모색과 기술에 대해 고 찰하였다. 연기예술은 기술과 시류 변화에 민감한 예술 분야이다. 4차 산업혁명은 이전 3차 산업시대까 지의 축적된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삶의 환경으로 전환되는 시대이다. 이에 연기예술도 새로운 환경 에 발맞추어 변화하는 바, 대표적인 영화 기술 ‘모션캡쳐’를 중심으로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 명시대의 키워드인 ‘초연결성’의 개념을 이해함과 동시에, 연기예술에 있어 산업과 인간의 융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원리를 알아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에 배우의 실사 연기와 컴퓨터가 연결·융 합되는 기술 ‘모션캡쳐’의 영상 연기 적용까지 알아본다. 영화에서 실사 표현이 어려운 미지의 세계 또는 추상적 캐릭터는 상상력과 창의력을 바탕으로 CG를 덧입혀 새롭게 구현·개발이 가능하지만, 실사 영화 제작에서 새롭게 구현된 캐릭터들이 실제 인간의 섬세한 감정이 실린 생동감 있는 연기를 한다는 것은 아직까지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모션캡쳐’로 말미암아 애니메이션 영화뿐만 아니라, 실사 영화에서 인물들의 생동감 있고 자연스러운 캐릭터 구현이 가능하다. 즉 배우의 개성 있고 고유한 연기 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주어진 상황 속 인물의 감정과 행동을 포함하여 실제 영화 속 캐릭터에 접목하 는 기술이 가능해진 것이다. 다시 말해 이러한 기술은 영상 연기에 있어서 단순히 운동력만 부여하는 것 이 아니라, 다양한 상황에서 배우 스스로가 표현 주체가 되어 보이지 않는 ‘내면연기’는 물론, 상황에서 오는 ‘리듬과 템포’까지 생성하여 생동감을 더욱더 부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의 눈부신 발전에도 인 물의 표현적 영역은 결국 인간의 직접적인 개입, 즉 배우의 생동감 있는 연기가 기본이라는 것이다. 인간 만이 갖는 또는 느낄 수 있는 고유한 영역은 오로지 배우의 직접적인 연기가 필요하다는 결론이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search for a new acting art environment and technology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ting is an art field that is sensitive to technology and current change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n era in which technologies accumulated up to the previous Third Industrial Era are transformed into a new environment of life. As a result, acting art was also explored around the representative film technology ‘motion capture’, which is changing in line with the new environment.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Hyper-Connected’ a keywor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le also exploring the principle of how industry and human convergence in acting art takes place. In response, the actor's live-action acting and the application of video acting of ‘motion capture’ a technology that connects and fuses computers, were recognized. Although unknown or abstract characters, which are difficult to express due diligence in movies, can be newly implemented and developed by adding CG based on imagination and creativity, it was still insignificant that the newly implemented characters in real-life filmmaking acting with real human delicate emotions. Now, however, ‘motion capture’ allows the characters to create lively and natural characters in real-life films as well as animated film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incorporate the character in the movie, including the emotions and actions of the character in a given situation, without damaging the actor's unique and unique acting. However, despite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this technology, the expressive area of the character is, after all, the direct human intervention, the lively acting of the actor. The unique area that only humans have or have is the conclusion that only actors need direct ac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