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에서의 실험연극 운동 연구

        서영석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연기예술연구 Vol.16 No.3

        이 연구는 아방가르드, 즉 전위예술이라는 최근 예술, 한국에서 벌어졌던 아방가르드의 소개와 파장을 연구한 것이다. 예술의 근간이 창조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창조는 도전과 응전의 결과물이라는 역사의식을 비울 수 없다. 즉, 인류 문명과 문화예술의 발전에 있어서 도전과 충돌의 결과라는 것을 부정 할 수 없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인류는 새로운 사상과 예술을 갈구했다. 새로운 사상과 예술의 등장은 과거 전통의 거부와 단절을 선언한다. 즉 전위예술, 아방가르드의 탄생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류의 문명은 그 태동에서부터 끊임없이 새로운 예술의 발전을 거듭해 왔다. 오늘날에 이르러 예술은 모더니즘 에서 포스트모더니즘, 전위예술로 발전을 했다. 전위예술, 아방가르드는 1960년을 기점으로 한국에 소개 되었다. 해방과 6.25전쟁을 통해 미국 문물의 여과 없는 급속한 유입의 한 방편으로 더불어 이루어졌다. 한국 연극이 있어서 전위예술다운 실험연극을 했던 극단은 무체극을 주창했던 ‘극단 에저또’(방태수)와 <관객모독>을 대표작으로 했던 ‘극단 76’(기국서)이 그 중심에 있었다. ‘극단 에저또’는 1980년 이후 실험 극에의 공연을 외면하고 극단의 존재조차 유야무야 시 되었다. ‘극단 76’도 원년멤버들이 손을 놓은 상태 로 그저 소극장 운영에만 골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그들의 실험정신은 아직도 대학로의 젊은 연 극인들에 전승되어 명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현재에 이르러는 ‘극단 하땅세’가 아방가르드에 가까운 공연 을 무대에 올려 그 맥을 잇고 있다. 한국의 연극은 1960년 대 이후 비약적인 발전을 했다고 하나 아직 세 계연극계의 변방에 머무르는 수준이다. 중국, 일본에 비해 세계연극사에 한국 연극에 대한 한 줄의 언급 도 찾아볼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이는 우리의 연극계가 우리 연극사의 정립을 못했음에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한국 연극에서의 아방가르드(실험연극)에 대한 연구를 그 목적으로 한다. Creative is all art with life. Play art also absolutely proposition with life in creative, so it can not be free of that. We can not be deny there result from challenge and collision at Human-Being’s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A study of Avant-Garde in Korea”, which is most resent idea of art. Korean play is still stay countryside on culturally in the world. Hereupon this study is research of the Korea’s pulsation of Avant-Garde and research it’s flow influence to recent theatrical world. After The Second World War humankind long for a new ideology and art. Appearance of a new ideology and art declare rejection and severance of tradition. That is we say Avant-Garde. Avant-Garde, it’s movement is continuous test and deny and destruct one-self. Avant-Garde was introduced fiducial, the year of 1960 to Korea. But the Korea government do not allow because of evil influence-long hair, hippie, drug- to artist. Nevertheless ‘Silhum Theater’ was founded with the purpose of play-experimentation, but there slogan was fall in fabrication. The ‘Silhum Theater’ only participate in a play several plays, and actually the ‘Theater Ejotto’ take over the experimental art of Korea and The ‘Theater 76’ took over the pulsation of the experimental art and it be now. We can clearly notice Avant-Garde is diffused pushing the boundaries art and life, obstinately it get out of literary value that bring to a focus special human’s life so. Korean Avant-Garde hardly seen the trace of Korean creation in experimental art that only to look follows of foreign trend.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의 연기예술환경 변화 - <모션캡쳐>를 중심으로 -

        정주영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특성과 연관지여 새로운 연기예술환경에 대한 모색과 기술에 대해 고 찰하였다. 연기예술은 기술과 시류 변화에 민감한 예술 분야이다. 4차 산업혁명은 이전 3차 산업시대까 지의 축적된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삶의 환경으로 전환되는 시대이다. 이에 연기예술도 새로운 환경 에 발맞추어 변화하는 바, 대표적인 영화 기술 ‘모션캡쳐’를 중심으로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 명시대의 키워드인 ‘초연결성’의 개념을 이해함과 동시에, 연기예술에 있어 산업과 인간의 융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원리를 알아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에 배우의 실사 연기와 컴퓨터가 연결·융 합되는 기술 ‘모션캡쳐’의 영상 연기 적용까지 알아본다. 영화에서 실사 표현이 어려운 미지의 세계 또는 추상적 캐릭터는 상상력과 창의력을 바탕으로 CG를 덧입혀 새롭게 구현·개발이 가능하지만, 실사 영화 제작에서 새롭게 구현된 캐릭터들이 실제 인간의 섬세한 감정이 실린 생동감 있는 연기를 한다는 것은 아직까지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모션캡쳐’로 말미암아 애니메이션 영화뿐만 아니라, 실사 영화에서 인물들의 생동감 있고 자연스러운 캐릭터 구현이 가능하다. 즉 배우의 개성 있고 고유한 연기 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주어진 상황 속 인물의 감정과 행동을 포함하여 실제 영화 속 캐릭터에 접목하 는 기술이 가능해진 것이다. 다시 말해 이러한 기술은 영상 연기에 있어서 단순히 운동력만 부여하는 것 이 아니라, 다양한 상황에서 배우 스스로가 표현 주체가 되어 보이지 않는 ‘내면연기’는 물론, 상황에서 오는 ‘리듬과 템포’까지 생성하여 생동감을 더욱더 부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의 눈부신 발전에도 인 물의 표현적 영역은 결국 인간의 직접적인 개입, 즉 배우의 생동감 있는 연기가 기본이라는 것이다. 인간 만이 갖는 또는 느낄 수 있는 고유한 영역은 오로지 배우의 직접적인 연기가 필요하다는 결론이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search for a new acting art environment and technology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ting is an art field that is sensitive to technology and current change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n era in which technologies accumulated up to the previous Third Industrial Era are transformed into a new environment of life. As a result, acting art was also explored around the representative film technology ‘motion capture’, which is changing in line with the new environment.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Hyper-Connected’ a keywor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le also exploring the principle of how industry and human convergence in acting art takes place. In response, the actor's live-action acting and the application of video acting of ‘motion capture’ a technology that connects and fuses computers, were recognized. Although unknown or abstract characters, which are difficult to express due diligence in movies, can be newly implemented and developed by adding CG based on imagination and creativity, it was still insignificant that the newly implemented characters in real-life filmmaking acting with real human delicate emotions. Now, however, ‘motion capture’ allows the characters to create lively and natural characters in real-life films as well as animated film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incorporate the character in the movie, including the emotions and actions of the character in a given situation, without damaging the actor's unique and unique acting. However, despite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this technology, the expressive area of the character is, after all, the direct human intervention, the lively acting of the actor. The unique area that only humans have or have is the conclusion that only actors need direct acting.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연기예술 환경 변화 사례 연구 - 디지털 기술과 연기예술 융합을 중심으로 -

        서상규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2 No.4

        지난 100여 년 이상 스타니슬라브스키의 고전적 연기술에 익숙해져 왔던 오늘날의 배우들은 4차 산업 혁명 시대 디지털 기술의 혁명적 발전에 따라 새로운 연기 환경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동안 인간 배우만 이 해낼 수 있는 고유한 영역으로 인식된 공연예술 무대는 인공지능을 탑재한 로봇 배우의 출연으로 변 화가 시작되었고 영상예술 분야에서는 최첨단 디지털 기술과의 만남 속에서 새로운 연기 표현법의 변화 가 감지되었다. 인공지능을 탑재하고 인간의 감정까지도 일정 부분 표현할 수 있는 AI 로봇이 인간 배우 와 함께 공연하고 있으며 모션 캡쳐, 이모션 캡쳐, CG, 특수효과 등을 이용하여 배우 연기의 표현 확장성 을 이루어내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변화를 온몸으로 받는 인간 배우는 기존의 전통적인 연기술과 더불 어 각 매체의 특성과 표현 방법 그리고 특징적인 기술을 이해하고 체득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고는 공 연예술 분야에서는 디지털 기술과 연기예술이 융합하여 로봇 배우의 등장을 알린 히라타 오리자의 연극 ‘사요나라’를 비롯하여 판소리 로봇 ‘에버’, 산업기술연구원의 공연용 로봇 라오라의 사례를 통한 인공지 능 로봇 배우와 사람 배우와의 상호 교감적 연기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영상예술 분야에서 연기 와 디지털 기술의 결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이에 대한 배우의 연기 표현 방법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지에 대해 모션 캡쳐, 이모션 캡쳐의 활용 시 배우에게 필요한 연기 표현법의 사례와 현황을 영화 ‘아바타’와 ‘반지의 제왕’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매체의 특성에 맞는 연기법 적용사례 및 현황 연구를 통해 미래의 연기예술의 발전적 방향성 정립에 일조할 수 있기를 목적으로 하였다. Today's actors, who have been accustomed to Stanislavski's classic acting techniques for over 100 years, are faced with a new acting environment following the revolutionary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erforming arts stage,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a unique field that only human actors can accomplish, has begun to change with the appearance of robot actors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 the field of visual arts, new acting expression methods have changed through encounter with cutting-edge digital technology. It was detected. AI robots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apable of expressing even human emotions to a certain extent are performing together with human actors, and motion capture, emotion capture, CG, and special effects are used to expand the expression of actors' acting. Human actors who experience these rapid changes with their whole bodies needed to understand and acquire the characteristics, expression methods, and characteristic techniques of each medium in addition to existing traditional acting skills.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this paper examines the cases of Oriza Hirata's play 'Sayonara', which announced the emergence of robot actors through the convergence of digital technology and acting art, as well as the pansori robot 'Ever' and th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Technology's performance robot Laora. The study focused on interactive acting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actors and human actors. In addition, regarding how the combination of acting and digital technology is achieved in the field of video art and how actors express their acting, examples and current status of acting expressions required by actors when using motion capture and emotion capture are provided in the movie 'Avatar'. and 'The Lord of the Rings'.

      • 4차 산업혁명 시대, 배우예술의 영역과 그 경계

        정하니 한국연기예술학회 2018 한국연기예술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예술 분야도 장르의 경계가 갈수록 모호해지고 더불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인공지능이라는 개념과 함께 로봇 배우가 공연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내고 있다. 배우예술의 영역에서 과연 로봇 배우와 인간 배우의 경계선을 앞으로 우리는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 것인가? 그 갈림길에서 우선, 배우예술 안에서 과연 로봇 배우의 연기를 우리는 진정한 연기 예술로 받아들이고 그 영역과 경계를 구분해야 할 것 이다. 제미노이드 에프(F), 에버(EveR), 라오라(RAoRA)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로봇 배우들이 다양하게 등장 하고 있다. 더 이상 인간만이 할 수 있다고 믿었던 배우예술의 영역도 인공지능한테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의미한다. 미래 사회의 산업 지형을 우리는 완벽하게 예측할 수는 없지만, 연구와 분석을 통해 공존 방법을 모색해야한다. 가까운 미래에서 요구하게 될 새로운 배우예술의 영역과 그 경계에 대하여 논하고자한다. 이를 위한 본 논문의 구성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입을 통해 달라진 시 대적 현황을 살펴본다. 그리고 4차 산업시대의 혁명으로 배우예술의 혁신적 영역에 부분에 대한 사례들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로봇 배우와 인간 배우의 영역의 경계에 대하여 어떻게 구분하고 바라볼 것인 가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본 논고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배우예술의 영역과 그 경계 배우예술 논의는 기 존 논의들에서 고찰된 개념들을 보강하면서 새로운 시각에서 그 영역의 경계를 바라보고자 한다. 본 논고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이르러 달라진 배우예술의 현황과 그로인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로봇 배우들의 사례를 통해 특징을 알아보고 인간 배우와 로봇 배우의 경계선과 그리고 앞으로의 발전 가능 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구조해석과 재건 : 중국이 한국 범죄 영화를 리메이크하는 현상에 관한 연구 - 한국 영화 <베테랑>을 리메이크한 중국 영화 <대인물>을 사례로 -

        장한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연기예술연구 Vol.15 No.2

        최근에 한국의 영화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질 높은 작품들이 집단적으로 나타났다. 사회 현실을 주제로 하는 예술 영화, 할리우드 영화를 따라하는 작품 등, 다양한 스타일을 통해 큰 관심을 받게 되었으며 아시아와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범죄 영화는 한국에서 자주 다루는 장르이다. 1999년부터 지금까지 해마다 7-8개의 범죄 영화가 출시되고 있다. 이중에서 2-3개의 작품이 그해 한국 10대 영화에 들어갔다. 범죄 주제는 한국 관객들의 많은 사랑을 받게 되었고 다른 나라들과 다른 새로운 범죄 영화 장르가 생겨났다. 중국에서 한국 영화 <블라인드(2011)>를 리메이크한 <나는 증인이다(2015)>, 한국 영화 <숨바꼭질(2013)>를 리메이크한 <숨바꼭질(2016)>, <끝까지 간다>(2014)를 리메이크한 <파국>(2017) 등 영화는 좋은 반응을 얻어내지 못했다. 2019년 설 시즌에 상영된 <베테랑>(2015)를 리메이크한 <대인물>은 “현지화 전략”을 사용하여 원작을 재건했다. 주제, 배경, 줄거리, 캐릭터 등을 중국 사정에 맞게 재편하여 높은 평가를 받고 많은 관객 수를 획득했다. 이 영화는 한국 범죄 영화를 리메이크하는 중국 영화 제작사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본문에서는 <베테랑>을 리메이크한 <대인물>을 사례로 분석했다. 현지화와 그 나라의 사회 현황, 그리고 대중들의 심미에 부합하는 리메이크가 성공의 관건적인 요소이라는 점을 발견했다. 중국의 영화 제작자들이 한국 영화를 리메이크하는 과정에서 어떤 상상력을 발휘하고 어떻게 현지화를 진행했는지를 분석했다. 서로 다른 문화 배경이 들어있는 한국 영화를 어떻게 개편하여 중국의 현황과 관객들의 심미에 부합한 영화로 재탄생시키는 것이 중국 리메이크 작품들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In recent years, south Korean films are becoming more and more mature, with frequent excellent works, presenting a creative upsurge of “collective power”. Whether it is an art film that reflects social reality or a local Korean film that imitates Hollywood blockbusters, it has won wide praise for its diversified style and exerted a profound influence in Asia and even the world. Crime film is often taken by Korean movie type, starting in 1999, South Korea, on average, 7-8 crime films every year, of which two to three annual top 10 box office tends to occupy Korea, crime films was deeply loved by south Korean audience, and many are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are derived from the traditional crime films of new type. South Korean films, especially the crime genre as main object of Chinese movie remake in recent years, for example: “I am the witness” (2015) remake Korean movie “blind card” (< 블라인드 > 2011); “Hide and seek” (2016) remake Korea movie hide and seek” (< 숨바꼭질 > 2013); Remake “broken” (2017) “the end” (< 끝까지 간다 > 2014) If the three film remake of Korean movie disappointing result, in 2019 New Year file's latest movie “big man” remake “veteran” (< 베테랑 > 2015) acquired the audience with more successful localization based on common recognition. The remake of “big man” deconstructs and reconstructs the original work, and localizes it in the aspects of theme, plot background and character shaping.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remaking of “veteran” of “big man” as an example to argue that only the local adaptation in line with the national social situation and popular aesthetic taste is the important basis for the success of remaking. How Chinese creators can exert their creativity in the process of remaking Korean films and make more beneficial local adaptations of the original works; It is the most urgent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ocess of remaking Chinese films to more effectively shape and disseminate Chinese screen images in cross-cultural text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비대면 공연 분석 연구 - 국내 공연예술단체 사례 중심으로 -

        신창식 한국연기예술학회 2022 연기예술연구 Vol.25 No.1

        코로나 팬데믹은 전 세계에 엄청난 사회적, 경제적 타격을 입혔다. 이는 공연예술계도 예외는 아니다. 한정된 공간에서의 예술 활동이 이뤄지는 공연장 및 전시장 등은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으로 인해 휴관하기에 이르렀으며 예술단체들은 공연을 제작하여 시연할 수 있는 공간을 잃어버리고 그와 관련된 예술인들은 설 자리를 잃어갔다. 이는 결국 공연예술산업이 축소되는 상황에 이르게 된 것이다. 공연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단어인 ‘연결’이라는 단어와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공연이 관객과 시연자 와의 소통과 공감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결은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공연예술계 의 전통적 공연방식인 대면을 통해서 이뤄지기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이로써 비대면 공연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며 새롭게 정의되는 공연 용어가 된 것이다. 코로나 팬데믹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결합은 공연예 술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은 일반적인 오프라인 공연 형태인 대면 공연에서 온라인 공연 형태인 비대면 공연으로의 변화이다. 비대면 공연의 핵심은 영상콘텐츠이며 대면 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관객과 시연자들의 연결은 영상이라는 매개체를 통해서만 이뤄질 수 있는 상황 이 되었다. 또한, 비대면 공연은 기존의 일차원적 전달 형식의 영상 활용뿐만 아니라, 가상의 공간에서 실제 공연장의 효과로 대체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플랫폼 활용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이제 공연을 위해서는 영상 미디어를 통한 기술적 접근이 반드시 필요한 요소가 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공연이 4차 산업혁명의 첨단기술을 통해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국내의 대표적 공연예술 단체들의 사례를 살펴보고 앞으로 다가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는 공연예술계의 변 화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The COVID-19 Pandemic has taken a tremendous toll on the society and economy of the world. The performing art community is no exception. Stage and exhibit hall in the limited space have been closed due to the risk of contagion with COVID-19 and then art group has lost space to demonstrate their performance and artists post has been disappeared, leading to a situation where the performing arts have been reduced. The performance can be in line with the word ‘connection’, which is the key elem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is because the performance is connected with interaction and emphathy of the audiences and performers. These conncetion has been blocked with Corona Viruses, which is the traditional manner of performing arts fields. Hereby untact performance was born and it has been become a newly terms for performing arts. The cohesion of COVID-19 Pandemic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has generated many changes to the performing arts fields and the most representative thing is the change from the in-person performane which means ordinary offline type to the untact performance standing for the online performance. The key elements of untact performance is the image contents, resulting in the connection with only images for performers and audiences in a situation where they are not facing with. In addition, untact performance has been generating not only one-dimensional delivery manner of image but also various attempts for cyber spaces to substitute for actual stages through diverse platforms. For now the technological approaches with image media have become the essentail factors for the performance. This study will look into the cases of domestic representative performing art groups to see what the untact performance has been going with state-of-the-art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nsider the changes of performing arts fields in line with post-Corona era to come.

      • KCI등재

        국내외 음악대학 성악전공 교과과정 분석 연구

        신창식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4 No.4

        출산율 저하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와 함께 교육부는 대학구조개혁 평가를 통해서 대학의 변화를 요구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자체적인 대학 구조 변화와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 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으며, 이는 예술대학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예술대학 가운데 음악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클래식 분야의 음악대학에서도 여러 가지 시도들을 통해서 변화하고 발전하기 위한 노력 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대학 성악전공 교과과정을 개선하고 개발하기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는 데, 먼저 국내 음악대학의 교과과정 사례들을 분석하여 음악 이론과 실기 교육이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 지를 확인하였고 어떠한 새로운 과목들이 개발·적용되고 있는지 파악하였다. 또한, 해외 음악대학 사례 분석을 통해서도 국내 음악대학에 비해 매우 다양한 분야의 수업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예술 산업 현장에 필요한 실제적 교과목들이 운영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외 음악대학 성 악전공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였고 국내 음악대학에서도 보다 실무적이고 실제적이고 실용적인 교과목 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함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약 100여 년의 역사를 통해 만들어진 국내 음악대 학의 교과과정은 실연자 위주의 교육 과정으로 다채롭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오랜 시간 많은 훌 륭한 음악인을 배출해 낸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보면 졸업 후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있 어 매우 제한적이기도 한 것이다. 연주자 양성을 위한 현 교과과정에서 클래식 분야의 보다 다양한 예술 인 인재양성을 위해 음악대학 성악전공 교과과정이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지 고찰해보고 빠르게 변화하 는 현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종합 예술인을 키워내기 위한 교과과정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음악대학 성악전공의 교과과정 분석을 통해 현재 국내 음악대학 교과과정이 공연 산 업 현장에 필요한 직무 능력과 예술인으로서의 심화 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과과정으로 개선·발전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With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udents resulting from a low birth rate,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requesting the changes of universities by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Assessment. Thus, universities has been trying various plans to raise the educational quality and structural reform for their competitive power, and art college is no exception. Especially, music colleges of classic branch organizing one set of music in art college try to change and progress through various trials.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to improve and develop the vocal arts curriculum of college of music, analysing the curriculum cases of domestic colleges of music and identifying how music theory and practical skills are conducted, and checking out what new subject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In addition, through case analysis of foreign colleges of music, it is verified that domestic colleges of music have lower cases for various fields than those of foreign colleges and they have more practical subjects for art industry scenes. Based on these analysis, comparison analysis for curriculum of domestic and foreign colleges of music are carried out, and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at working-level, real, and practical subjects in domestic colleges of music are reconfirmed. The curriculum of domestic colleges of music with over 100 years of history has mainly multicorrelated curriculum centered on performers, which is true it has generated a lot of great musicians through those educational course.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ose have been limited factors, on the other hand, for graduates to select their careers for the future. I want to suggest the curriculum to raise the synthetic artists in the fast changing modern society, considering how the curriculum of vocal arts in college of music will be conducted to train art talents in various classic fields from current curriculum for training performers.

      • KCI등재

        이창동 현실주의 영화의 작가주의 특징 연구

        장한,양종훈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9 No.3

        한국의 영화감독 이창동은 예술 영화의 창작 이념을 오랫동안 고수하여 소수의 영화 제작을 통한 뛰 어난 작품을 창작하고 있으며, 그의 작품에는 모두 인문주의적 배려와 현실주의 정신이 담겨 있다. 초기 ‘녹색 3부작’으로 불리는 영화 <초록물고기>, <박하사탕>, <오아시스>에서 중기의 <밀양>, <시> 그리고 최 근의 <버닝>에 이르기까지 이창동의 영화는 예리한 시각으로 현대 한국 사회에서 일반인들이 겪는 생존 의 곤경을 날카롭게 지적한다. 그는 자신이 경험한 한국의 역사적 상처와 인간의 잔혹함 그리고 침해당 하는 개인의 운명 등의 문제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또한 이창동의 영화는 작가주의 영화의 미학적 특 징이 드러내며, 한국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과 반성, 그리고 소외 집단의 생존 상태에 대한 관심이 이창 동 영화의 일관된 주제이다. 작가로서의 오랜 경험은 그의 영화가 서사 방식에서 다른 특징을 나타나게 하였다. 상상과 현실이 교차하는 초현실주의 에피소드가 자주 등장하고, 숏은 항상 차분하고 엄숙하며, 관조적 태도로 현실을 반영하고 롱 테이크의 기록적인 미학 표현 기법을 유지한다. 그는 영화를 통해 개 인의 존재 의미에 대한 변증적 사고로 글로벌화의 트렌드에 따른 한국과 인류 문화 정신의 변천을 확대 하여 인류의 생존 본질에 대해 질문한다. 즉, 슬픈 분위기의 영화를 통해 현실을 반영하며 사람, 생명, 한 국 사회의 스토리로 현실을 초월한 깊은 반성을 보여주고, 인류의 공통의 감정을 도출한다. 다양한 영화 소재와 장르의 예술적 특징으로 볼 때, 장르를 초월한 개성적인 창작 스타일을 갖춘 현실주의 영화만이 비로소 사람들이 깊은 여운을 음미할 수 있는 뛰어난 작품이 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 영화 장르의 단 조로운 상황을 해결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항상 현실주의적 소재를 선호하는 한국 영화를 새로운 수 준으로 이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창동의 현실주의 영화 속 작가주의 특징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현실주의 한국 영화의 예술 창작 기법에 대한 새로운 구상 방향의 개척을 그 목적으로 한다. Since the 1990s, South Korean films have risen to prominence, winning numerous awards 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nd attracting worldwide attention. Among them, Director Lee Chang-dong insists on the creation concept of art film and insists on low-yield and high-quality creation for decades, which deeply contains humanistic care and realistic spirit. From the original “Green Trilogy,” The Green Fish “Mints”, “Oasis” to the middle of the “Mi Yang”, “poem” and then to the recent “Burning”, lee's movies like a sharp knife precision cut open South Korea the plight of ordinary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it has the history of trauma, the cruelty of human nature, individual fate by uprooted, and obtained great success in the history of film art, in South Korea and even the representative figure of the Asian film. His films show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writer's films: the criticism and reflection on the social reality of South Korea and the concern about the living conditions of marginal characters are the consistent themes of his films; Due to the profound accumulation of literary accomplishment and years of experience as a writer, his films als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non-rigid style in the way of narration: Surrealist fragments interwoven between imagination and reality appear frequently in his works; The camera is always calm and serious, reflecting reality with a silent observation of life, and sticking to the shooting technique of long lens documentary aesthetics. Lee Chang-dong, the director, is very firm in describing the unique fragmentation through one sad story after another. With the help of the film, he makes dialectical thinking on the meaning of individual existence and explores the changes of human culture and spirit between South Korea and the world to question the wood of human existence.

      • KCI등재

        시 낭송을 통한 화술훈련의 실제 -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СИСТЕМА К.С Станиславского) 연기용어를 중심으로 -

        이항나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0 No.2

        This study explores the practical methodology of speech training acquired by the researcher from 1993 to 1996 while attending the Russian Shevkin (М.С Щепкин) University of Theater and provides a summary of the speech training teaching method of the researcher’s speech teacher, Yevgeny Alexandrovna Larionova (Евгеия Алксандрова Ларионва), that was developed through their work together. In addition, it contains the search for the Korean acceptance of this training method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s gained through the researcher’s work in Korean theater, film, and television. Through his system, Stanislavski separates the actor's process of reaching the ‘art of experiencing’ largely into two parts: ‘working on the self’ and ‘working on the role.’ This study is a demonstration of a speech training method designed to help actors transition from ‘working on themselves’ to ‘working on their roles’ during the speech training process and explore the script presented by the writer without losing the spontaneity and freedom acquired by ‘beginning as themselves.’ In that sense, the speech training presented in this study allows for a freer interpretation compared to a script, thus actively encouraging the premise of ‘beginning as oneself’, and introduces poems that can inject various descriptions and emotions into the text. By substituting into the text of the poem various Stanislavski system acting techniques (Stanislavski acting terms) such as ‘presented situation,’ ‘if I,’ ‘mutual exchange,’ ‘language behavior,’ and ‘events’ that the actor goes through during the process of working with oneself and having a chance to interpret them, the actor can naturally read his impulses and intended emotions in a given text before tackling plays and scenarios that consist of lines that seem like cryptic codes. This practical training process is also designed to further utilize and acquire the actingtechniques (acting terms) that form the basis of the Stanislavski system, and experiencing this process will serve to be very useful as the first step in breaking down the typical and formal framework and approaching the role creation process with a unique interpretation. 본 연구는 1993년부터 1996년까지 본 연구자가 러시아 쉐프킨(М.С Щепкин)연극대학에 재학하며 체득한 화술훈련의 실제적 방법론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화술 스승인 예브게니 알렉산드로브나 라리오노바(Евгеия Алксандрова Ларионва) 선생님과의 작업을 통해 그녀의 화술훈련 교수법을 함께 정리한 내용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또한, 한국 연극무대와 영화, 드라마 등의 활동을 통하여 얻은 실천적 경험을 바탕으로 훈련법의 한국적 수용에 대한 모색을 담고 있다. 스타니슬랍스키는 시스템을 통해 ‘체험의 연기 예술’로 가는 연기자의 작업 과정을 크게 ‘자기 자신에 대한 작업’과 ‘역할에 대한 작업’ 두 과정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화술훈련 과정에서 연기자가 ‘자기 자신에 대한 작업’에서 ‘역할에 대한 작업’으로 전이하는 과정의 어려움을 돕고, ‘자신으로부터 출발하여’ 획득한 자발성과 자유로움을 상실하지 않고 작가에 의해 주어진 대본으로 유연하게 진입하기 위해 설계된 화술 훈련법 대한 실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화술훈련은 대본에 비해 자유로운 해석이 가능하여 ‘나 자신으로 출발한다.’ 라는 전제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다양한 묘사와 정서 표현이 가능한 시를 그 텍스트로 가져온다. 자기 자신과의 작업 과정에 다룬 ‘제시된 상황’, ‘만일 내가’, ‘상호 교류’, ‘언어 행동’, ‘사건’ 등의 다양한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의 연기술(스타니슬랍스키 연기용어)을 시의 텍스트에 대입하여 해석하는 기회를 얻음으로써, 암호 같은 대사들로만 구성된 희곡과 시나리오를 대면하기 전 연기자가 자연스럽게 자신의 충동을 읽어내며 생성된 정서를 주어진 텍스트로 발화하게 이끄는 능력을 갖추게 유도한다. 또한 그 실제적 훈련 과정을 통해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의 근간을 이루는 연기술(연기용어)을 더욱 깊이 있게 활용하고 체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으며, 이 과정의 경험을 통해 전형적이고 형식적인 틀을 부수고 자신만의 고유한 해석으로 역할 창조에 다가서는 첫 걸음으로 무척이나 유용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