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계성 성격 사례에서 전이초점 심리치료의 적용과 한계

        이춘 ( Lee¸ Chu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1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5 No.-

        Kenberg는 ‘전이 초점 심리 치료(Transference Focused pysychotherapy, TFP)’를 개발하였다. 경계성 심리의 장애가 되는 심리구조의 취약성을 변화시키고 통합하는 것이 전이초점심리치료이다. 본 연구는 경계성 성격장애 사례를 Kenberg의 전이초점치료 전략에 따라 분석하였다. 전이초점 심리치료의 관점으로 경계성 성격장애를 가진 내담자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사례를 Kernberg의 전이해석을 위한 3단계 전략의 구조에 맞추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여기에서 사례분석의 1단계는 만성적인 공허감, 혼란스러운 사고와 감정표현, 왜곡된 정서가 활성화되는 원시적 부분적 대상관계의 성격을 재구성하도록 하는 것과 가장 지배적인 정서를 파악하고 평가한 회기까지를 범주에 넣었다. 사례분석의 2단계는 자기 이미지와 대상 이미지의 측면에서 전이 안에서 형성되는 지배적인 대상관계를 상담자가 평가한 부분이다. 대상관계와 자기와의 상호작용을 명료화 한 회기까지를 2단계의 범주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3단계에서는 경계성 성격장애를 갖는 내담자가 진정한 자기와 그의 내적 대상에 대한 개념이 통합되어가는 부분이다. 방어적으로 해리된 대상과의 통합을 돕고, 내재화된 대상관계, 자기, 그리고 대상들이 전체 세계를 통합하도록 개입한 범위까지를 3단계의 범위로 넣었다(컨버그, 2003). 전체적으로 경계성 성격장애와 전이치료에 대한 이론적 고찰, 내담자의 호소문제, 초기경험, 임상평가와 진단, 그리고 상담 진행 과정과 전이초점치료의 한계점까지 알아보았다. 이 사례는 기본적으로는 전이초점 심리치료로 진행되었으나 다른 기법들이 통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Kernberg의 전이초점 치료와 임상현장의 치료적 역동성을 함께 살필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Kernberg의 전이해석을 위한 3단계 전략의 구조에 맞추어서 사례를 분석한 것을 보고 실질적으로 임상 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Kernberg developed ‘Transference Focused Psychotherapy (TFP)’. TFP is aimed at changing and integrating the vulnerability of the psychological structure which causes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is study offers an analysis of a client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ccording to Kernberg’s schema of TFP: Three-stage strategy for transference analysis. The sessions of the first stage are directed to transform the primitive partial object relations of the client in which chronic emptiness, confused thoughts, and distorted emotions are activated, and grasp and evaluate the most dominant emotions. The sessions of the second stage are aimed at evaluating dominant object relations formed in transference in terms of self-image and object image and clarify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object and the self. The sessions of the third stage of analysis are intended for the client to integrate the concept of not only her true self but also her inner object. I aided her to integrate defensively dissociated objects, internalized object relations, and her self in her whole inner world (Kerberg, 2003). Overall, I in this study explain the theoretical review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TFP, the client’s complaints and initial experiences, clinical evaluation and diagnosis of her, the course of analysis, and the limits of TFP. The analysis basically proceeded based on TFP, but other techniques were used in combination. This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examine Kernberg’s TFP and the therapeutic dynamics that occur in the clinical field. I believe that the case analysis according to Kernberg’s three-step strategy should be a help for other psychoanalysts in the clinical field.

      • 내적 대상관계 변형을 위한 애도 과정으로서의 정신분석 심리상담 이해

        장정은 ( Jang¸ Jung Eu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1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5 No.-

        본 논문은 정신분석적 심리상담을 대상관계와 애도 과정의 관점에서 묘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분석 상담의 핵심 목표는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데 있다. 정신분석이 무의식을 의식화하기 위해 강조한 개념이 전이와 역전이다. 정신분석은 상담 상황에서 내담자가 자신의 유년 시절 대상관계를 재현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런 전이로 인해 상담자는 무의식적 압력을 받게 되어 내담자에게 반응한다. 그렇기에 정신분석은 전이와 역전이 개념을 도입하여 지금 여기에서의 상담자와 내담자의 분석관계를 강조하기 시작했다. 그 분석관계에서 구현되어 나타나는 내담자의 무의식적 환상과 갈등, 그리고 내적 소원과 기대가 내담자의 무의식으로 들어가는 효과적인 길임을 알게 되었다. 그런 점에서 대상관계의 성격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이 정신분석에서 중심 과제가 되었다. 결국 무의식을 의식화하여, 내담자의 내면에 깊이 존재하는 내적 대상을 떠내 보내도록 돕는 작업이 정신분석 상담의 핵심 목표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대상관계이론의 효시가 되는 논문 중 하나인 프로이트의 「애도와 우울증」을 시작으로 다양한 상담사례를 통해 내적 대상을 떠나보내는 애도의 과정이 어떻게 정신분석 심리상담에서 핵심 목표가 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프로이트는 「애도와 우울증」에서 상실의 경험 이후에 어떻게 외부 대상이 내면화되는지의 과정을 설명했다. 이는 우울증의 정신 상태을 의미하며 병리적인 것으로 그는 이해했다. 하지만 이 내면화와 동일시의 과정은 발달상의 핵심 과제로 이해되었고, 그 내적 대상에 대해 다루는 것이 정신분석의 작업에서 중심 주제가 되었다. 그 내적 대상은 상담 상황에 다시 재현되어 나타나며, 정신분석 상담자는 그 내적 대상의 일부가 되어 다뤄줌으로써 애도의 과정을 돕게 된다. 본 논문은 정신분석을 대상관계와 애도과정의 관점으로 조명한다는 점에서 상담자들이 정신분석 상담의 사례를 개념화하고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process of the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n terms of object relations and mourning process. The core goal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s to make the unconscious conscious. The essential concepts that psychoanalysis emphasized to make the unconscious conscious are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Psychoanalysis has found that the patient reproduces the object relations internalized in his/her childhood in an analytic situation. Due to this transference, the analyst is unconsciously pressured and reacts to the patient in compliance with the pressure. Therefore, as psychoanalysis introduced the concept of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it began to put an emphasis on the analytic relationship between the analyst and the patient, here and now. It was found that the patient’s unconscious fantasies and conflicts, as well as internal wishes and expectations that were embodied in the analysis relationship, were an effective way to enter his or her unconscious. In that sense,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nature of object relations has become a central task in psychoanalysis. In the en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ignificant goal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s the work of helping the unconscious to be conscious and letting out the inner objects that exists deeply within the patient’s psychic world. This article shows how the process of mourning and letting the inner objects go is one of the important task in the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by investigating Freud’s Mourning and Melancholia which is recognized and analyzing various psychoanalytic cases. Freud described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external objects after experiences of loss in “Mourning and Melancholia.” For him, internal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lost loved object meant a mental state of Melancholia which was understood as pathological. However, this process of internalization and identification began to be understood as a essential task in the child development and dealing with the internalized inner objects became a central theme in the work of psychoanalysis. The inner object reappears in the analytic situation, and the psychoanalytic therapist helps the process of mourning by dealing with the inner object.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conceptualizing and understanding the cases of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in that it illuminates psychoanalysis in terms of object relations and mourning process.

      • 꿈 생성 조건으로서의 수면상태와 분석카우치

        이세형 ( Lee Se Hyoung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2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8 No.-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꿈 이론 중에서 꿈 생성 조건으로서 수면상태가 만들어내는 퇴행의 과정 혹은 퇴행의 해석학을 다룬다. 동시에 분석상황에서 분석 카우치의 자리가 꿈에서의 수면상태와 상응하는 기능을 하는 점에 주목하여 수면상태와 분석 카우치가 꿈 형성 곧 분석세팅의 생성 조건임을 밝힌다. 아울러 현대 정신분석에서 꿈 분석의 중요성이 간과된 것은 수면과 꿈에서의 퇴행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한 결과이며 꿈 분석에 대한 훈련의 부족임을 밝힌다. 꿈 형성이 퇴행적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은 수면이라는 독특한 환경 때문이다. 수면은 수면에 드는 것과 수면에서 깨어나는 과정을 갖는다. 이러한 이중의 움직임은 분석가의 이중적 기능으로 이어진다. 분석가는 꿈과 수면에 들게 하는 자이면서 동시에 꿈과 수면을 깨우는 자이다. 분석가는 환자와 함께 꿈과 수면에 함께 드는 자이고 더 적극적으로는 환자로 하여금 잠을 잘 수 있는 능력과 꿈을 꿀 수 있는 능력을 회복시키는 자이다. 동시에 분석가는 카우치에서 자유연상을 통해 꿈 작업을 풀어가게 함으로써 환자와 함께 깊은 퇴행의 여정을 떠날 수 있는 자이다. 그리고 마침내는 환자와 함께 퇴행의 여정에서 과거로부터 무의식으로부터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수 보상을 얻어 꿈과 카우치에서 깨어나는 자이다. 수면과 꿈은 우리를 퇴행으로 안내하여 무의식에 접속하게 하지만 경계를 가지고 있어 안전한 자리이다. 프로이트의 꿈과 수면에 소개된 퇴행의 여정이 지형학적인 모델에서 소개된 것이라고 해서 현대 정신분석이 간과할 이유가 없다. 오히려 꿈과 수면에서 퇴행의 여정은 우리를 창조성의 자리로 안내하는 엄마의 품으로의 여정이다. 퇴행은 돌아감으로 다시 되돌려지는 재탄생의 여정이다. 정신분석이 새로운 분화를 계속한다 해도 꿈 형성에서 퇴행의 여정은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이 더해질 뿐 간과되어야 할 영역이 아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cess or analytics of the regression brought on by the sleeping state, a condition of dream-formation from Sigmund Freud’s dream theory. At the same time, this paper will highlight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analytical couch in the analytical situation with the sleeping state while dreaming, thereby revealing the sleeping state and the analytical couch as conditions for the building of the analytical setting. In addition, this paper will reveal that the importance of dream analysis has been overlooked in modern psychoanalysis resulting from the importance of the regression of sleep and dreams being ignored, along with the lack of training for dream analysis. The unique environment that is sleep is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dream-formation regression. Sleep includes the processes of falling asleep and waking from sleep. Such dual movements are continued into the analyst’s dual functions. The analyst is both the one who induces and awakens people from dreams and sleep. The analyst joins the patient to dream and fall asleep together, and assertively helps the patient to recover the abilities of a good night’s sleep and being able to dream once more. At the same time, the analyst utilizes the couch via free association to embark on the path to the journey of regression together with the patient. Eventually, the analyst becomes the one who awakens the patient from dreams and the couch by allowing them to open up the reward of a new future from the journey of regression into the unconscious and the past. Sleep and dreams guide us into regression and create contact with the unconscious, but maintains borders and thus remains as a safe place. The journey of regression having been introduced by Freud regarding dreams and sleep as a topographical model by no means dictates that it should be ignored by modern psychoanalysis. Rather, the journey of regression from dreams and sleep is the journey to the place of creativity that is the mother’s embrace. Regression is the journey of returning and becoming reborn. Even if the field of psychoanalysis continues to see new divisions, the journey of dream-formation regression should not be overlooked, but moreover requires interpretation from a new perspective.

      • 코헛의 자기심리학의 치유 개념 이해: 자기-자기대상 모체 개념을 중심으로

        장정은 ( Jang Jung Eu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3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9 No.-

        본 논문은 정신분석적 자기심리학의 치유 개념에 대해 살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분석의 흐름 가운데 위치한 자기심리학은 인지영역의 확장이나 자아의 강화에서 치유의 원인을 찾지 않았다. 자기애 개념에 관심을 갖고 정신분석 이론을 전개시킨 자기심리학은 내담자의 자기 구조에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이 자기 구조의 변화가 정신분석이 치유를 발생시키는 이유가 된다고 보기 시작했다. 동일하게 전이에 깊은 관심을 보인 자기심리학은 내담자가 보이는 전이를 해석을 위한 관찰 자료로 이해하기보다, 자기 구조의 성숙과 변화를 위한 발달의 재활성화로 이해하기 시작했다. 억압과 분열로 마음 속 깊이 분리되어 있던 자기의 측면은 상담관계에 전이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다시금 성장하려는 내담자의 무의식적 욕구가 담겨져 있다고 자기심리학은 본 것이다. 그렇기에 자기심리학에서 중요하게 대두되기 시작한 치료개입은 공감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자기심리학이 전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이 활성화를 통해 자기 구조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런 과정에서 내담자의 전체로서의 자기에 집중하고 있는 그대로 이해하려는 자기심리학의 핵심적인 상담개입 방법이 공감이다. 분석가의 공감적 개입은 내담자의 전이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숨겨진 내담자의 자기 구조가 지금 여기의 분석관계에서 다시금 재활성화되도록 이끈다. 그리고 성숙한 분석가의 공감에 의해 촉진된 원초적이고 유아적인 자기의 융합 욕구는 결국 분석가의 건강한 공감에 조율할 수 있게 되고, 이런 과정에서 내담자의 자기 구조는 변화한다. 본 논문은 이런 자기 구조의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코헛의 치유개념을 살펴보며 이해하려고 한다. 먼저 자기애에 대한 정신분석의 다른 이해들을 살펴보면서, 코헛이 자기애를 어떻게 다르게 이해했는지를 묘사할 것이다. 더불어 코헛은 자기애에 대한 다른 이해를 통해 어떻게 정신분석의 치유과정을 설명하려고 했는지 이해하면서 사례를 통해 그 과정을 보다 심화시켜 이해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cure in psychoanalytic self-psychology. Self-psychology located in the flow of psychoanalysis did not seek the principle of cure in the expansion of the cognitive domain or the strengthening of the ego. Self psychology constructed upon the concept of narcissism was interested in the self-structure of the client, and began to see that the change in this self-structure is the reason why psychoanalysis generates cure. Equally, self-psychology, which showed a deep interest in transference, began to understand transference as reactivation of development for maturation and cohesion of self-structure, rather than as observational data for interpretation. Self-psychology saw that the aspects of the self were deeply separated in the mind due to repression or splitting and transferred to the counseling relationship, which contained the unconscious desire of the client to grow again.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that has begun to emerge as important in self-psychology is empathy. Self-psychology sees transference as sphere in which development of self-structure is reactivated. In this process, empathy is an important psychoanalytic technique that focuses on the client’s self as a whole and understands it as it is. The analyst’s empathic intervention not only promotes the client’s transference, but also leads the client’s self-structure to be reactivated in the analytic relationship here and now. And the primitive and infantile desire for fusion of self promoted by the mature analyst’s empathy can eventually be tuned to the analyst’s healthy empathy, and in this process, the client’s self-structure changes.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how this change in self-structure occurs by examining Kohut’s concept of cure. I will first look at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narcissism in the history of psychoanalysis, and then describe how Kohut understood it differently. In addition, I will describe how Kohut tried to explain the healing process of psychoanalysis through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narcissism, I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process more deeply through case vignette.

      • 사회불안장애 내담자를 위한 정신분석적 꿈 심리치료

        강효련 ( Kang Hyo Ryeo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1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6 No.-

        본 연구는 정신분석적 꿈 심리치료가 사회불안장애 내담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단일사례연구로 사회불안장애를 겪고 있는 내담자의 꿈의 변형과정을 정신분석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정신분석적 꿈 심리치료로 진행된 본 연구는 Kvale의 정신분석적 인터뷰로 진행되었으며, 내담자의 심리 내적 변화와 증상의 변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내담자가 자발적이고 자연적인 자기(self)로 발달할 수 있도록 새로운 대상관계 형성하기와 안전기지 되어주기, 담아주기와 공감하기로 치료적 관계를 지향하고자 하였으며, 꿈 분석은 Freud의 자유연상법과 Jung의 확장법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내담자의 꿈을 정신분석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며, 꿈을 통해 내담자 자신이 의식하지 못했던 무의식의 신호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사회적 환경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인도해 주기 위함이다.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that examines the effect of psychoanalytic dream psychotherapy on a client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aimed at investigating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dream of the client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s psychoanalytic dream psychotherapy involved a Kvale’s psychoanalytic interview, and was intended to focus on the internal psychological change and the transformation of symptoms of the client. The researcher intended to orient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by forming a new object relations, providing a safe base, embracing and empathizing with the client so that the client could develop into a voluntary and natural self, and the interpretation of dream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Freud’s free association and Jung’s expa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ream of the client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which further aims to allow the client to be aware of the unconscious signals that the client was unaware of through the dream, and to guide them to better adapt to the social environment.

      • 임상에서의 비온의 주요개념에 대한 이해와 적용

        백지연 ( Beak Ji Yeo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3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10 No.-

        비온은 분석가는 피분석자의 말을 듣기보다는 피분석자의 이야기를 듣고 있는 자기 자신을 들어야 한다고 한다. 담는 것과 담기는 것 안에서 피분석자의 연상들 안에 있는 내용을 듣는 임상적 순간에, 자신이 경험하는 것과 그 과정을 듣고 느껴야 한다는 것으로, 비온이 생각하는 정신 병리는 궁극적으로 불완전하거나 성공적이지 못한 담아주기의 결과이다. 분석가는 피분석자가 온전히 분석의 장안에서 자신의 존재가 수용되어지고 받아들여지는 담김의 경험을 하길 원할 것이다. 그렇다면 분석가는 언어로 표현되지 못하고 던져지는, 피분석자의 정서적 언어를 통해 느껴지는 정서적 진실을 어떻게 하면 담을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피분석자가 분석가의 몽상 안에 있을 수 있을 것인가? 비온의 담아내기는 분석가가 피분석자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이와 역 전이를 통해 느끼는 고통을 인내심을 가지고, 피분석자의 것이라고 느껴지는 감정이 분석가 자신의 내면에서 찾아질 때까지 모호함 속에서 기다려야 하는 힘든 과정이다. 이러한 정서적 진실과 담아내기, 몽상, 꿈 사고, 선택적 사실 등에 초점을 둔 비온의 개념들은 현재 상담현장에서 사용되는 주요 임상적 도구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온의 여러 개념들 중 몽상, 선택된 사실, 꿈 사고, 담아주기 등 비온의 주요 개념들에 대해 알아보고 특히 ‘선택된 사실’이 정신분석적 치료의 임상사례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되고 해석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Bion says that the analyst should listen to himself listening to the patient rather than listen to the patient. Bion says that the analyst have to hear and feel what he experience at the clinical moment when he hear what’s inside the patient’s associations in the process of container and contained, and says psychopathology is the result of unstable or unsuccessful containing. The analyst would like that the patient have an experience of contained in which his existence is fully accepted and accommodated in the field of analysis, so how can the analyst contain the emotional truth felt through the emotional language of the patient which is thrown out without expressing in language? How can the patient be in the analyst’s reverie? Bion’s containing is a difficult process of patiently waiting for the moment when the analyst can feel the emotions of the patient inside him with the pain arised through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between the analyst and the patient. Bion’s concepts, which focus on these emotional truths and containing, riverie, dream-thought, and selected facts, are currently the main clinical tools used in the counseling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examine how ‘selected facts’ was specifically applied and interpreted in the clinical case of psychoanalytic treatment among the main concepts of Bion such as riverie, selected facts, dream-thought and containment.

      • 분석심리학으로 본 외도와 이혼

        박종수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07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1 No.-

        "외도”라는 용어는 "잘못된 길”이라는 의미로서 일단 부정한 것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외도는 반드시 잘못된 것은 아니다. 외도심리는 일종의 일탈심리로서 억압된 내면세계를 해방시키고자하는 의도로 외부에 표출되는 현상이다. 흔히 발견되는 꿈속 외도는 일종의 "건강한 외도”로서 자아가 내면의 영혼을 만나 개성화로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런 꿈은 무의식의 보상기능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서 건강한 방법으로 의식화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고 무의식의 억압을 그대로 방치한다면 언젠가는 그 억압이 현실 속에서 절제되지 않은 형태로 재현될 가능성이 있다. 건강한 외도의 반대편에 있는 "병리적 외도"는 일단 성적인 욕망이 절제되지 않은 형태로 외부에 표출되는 현상이다. 병리적인 외도는 정신신경증(psy-choneurosis)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신경증은 자아가 콤플렉스와의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부정적인 아니마/아니무스 원형이 개인무의식의 그림자 안에 잠재된 콤플렉스를 자극할 때, 자아의 성적 욕구는 절제되지 못한 형태로 외부에 표출된다. 따라서 지속적이며, 파괴적이며, 공격적인 외도는 의식의 통제아래 있는 계획된 일탈행위라기 보다는 오히려 무의식적인 충동에 그 원인이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렇다면 이혼의 원인이 되고 있는 외도는 도덕적, 윤리적 차원보다는 사회적, 문화적 차원뿐만 아니라 개인의 심리적 차원에서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는 과제를 던져준다. 한 50대 가장의 일탈행위는 외도의 심리적 성격을 잘 보여준다. 25년 동안 남편의 외도에 시달려온 내담자는 상담자로부터 "남편에게 단 한번만이라도 엄마노릇을 해보라’고 권유를 받고 남편을 안아주기 시작했다. 어릴 때 이혼한 엄마에 대한 증오는 남편으로 하여금 끊임없이 다른 여성을 찾아 헤매게 했다. 아내는 남편에게 엄마이자 연인이자 딸로 경험된다. 마찬가지로, 남편은 아내에게 아버지요 연인이요 아들로 경험될 때가 많다. 배우자로서의 한 가지 페르조나에 고착된 아내나 남편은 더 이상의 심리적 역할을 기대할 수 없다. 서로가 때로는 부모역할과 자녀역할을 하면서 정신의 조화를 이룰 때 가족 간의 역동은 일어난다. 아내의 진실한 사랑과 무조건적인 공감은 남편의 변화를 이끌어내기에 충분하다. 이 때 남편은 아내로부터 무의식적인 보상을 경험한다. 그 순간 외도심리는 약화되고 무의식의 억압은 건강한 방법으로 의식화된다. 결국 병적인 외도는 도덕적 심판과 단죄보다는 진실한 사랑과 치료적 과정을 통해 점진적으로 개선된다.

      • 한국 종교문화와 기독교적 영성

        이종국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07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1 No.-

        ‘문화’는 ‘정신 프로그램’ 또는 ’정신의 소프트웨어’ 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볼 때, 한국문화는 ① 불평등 문화, ② 집합주의 문화, ③ 여성적 문화, ④ 불확실성 회피 문화, 그리고 ⑤ 장기지향 문화 등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한국 종교문화와 주관성 및 관계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① 무교(기복주의, 쾌락주의, 귀신관계성) ② 유교(권위주의, 보수주의, 상하관계성) ③ 불교(개인주의, 금욕주의, 인과관계성) 한국 종교문화는 한국인의 자기 형상에 역동적이고 관계적인 효과를 가져다 준다. 자기 형상이 투사되어 하나님 형상이 형성되고, 하나님 형상이 내사되어 자기 형상으로 재형성된다. 그러므로 영성과 정체성을 포함한 자기 형상과 하나님 형상은 중요한 부분으로 강조되어야 한다. 현상학적 장에서 볼 때, 상황적 영성은 시공간에서 대상의 해석 → 형상 → 형태 → 의미의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상황적 영성은 해석적 선택의 틀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 기독인의 상황적 영성은 무교적, 유교적, 그리고 불교적 선택적 해석의 틀로 이해의 폭이 확대되어져야 한다. 한국 기독인을 대상으로 하는 기독교 상담은 다음과 같은 사항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① 성경에서 자리 찾기/God-Image로서의 Self-Image ② 성경에 의해서 살펴보기/God-Image에 의한 Self-Image ③ 성경을 위해서 제자리 찾기/God-Image를 위한 Self-Image

      •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동의보감의 정신치료

        박선영 ( Park Sun Young ),정인모 ( Jung In Mo ),여한구 ( Yeo Han Koo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2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8 No.-

        본 연구는 Jung의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동의보감의 병리와 치료원리를 탐구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분석심리학의 핵심 개념인 대극의 원리가 동의보감을 관통하는 기본적인 철학임을 알 수 있고, 동의보감에 나타난 정신치료 원리는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정신의 작용은 에너지 균형과 순환을 나타내는 소장평형(消長平衡)의 원리로 모든 우주 만물이 형태나 성격이 바뀔 뿐 에너지는 사라지지 않고 균형을 이루는, 대극의 초월과 합일을 통해 계속 순환하는 만물의 생성과 소멸의 원리이다. 둘째, 정신병리는 대극의 불균형을 극복하려는 물극필반(物極必反)의 원리로 에너지가 한쪽으로 치우쳐 불균형이 심화되면 다시 반대쪽으로 에너지가 기울게 된다는 상호작용의 원리이다. 정신병리는 불균형을 만드는 에너지의 일방성과 에너지의 상호작용의 부재 및 부조화, 들고나는 에너지의 속도 차이에 의해 초래된다. 셋째, 정신치료는 불균형에서 조화와 균형을 회복하는 것이며 치우침 없이 균형을 유지하는 중화(中和)의 원리로 설명한다. 중화는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의 에너지 불균형을 다루는 정신치료 원리이며, 이는 마음을 다스려 양생(養生)을 돕는 음평양비(陰平陽秘)와 대극의 균형과 합일을 통해 치료적 작용을 돕는 치이권형(治以權衡)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요컨대 동의보감은 정기신(精氣神) 대극(對極)의 상호관계 속에서 신체와 정신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고 생리와 병리 및 치료의 원리를 다루고 있으며, 그 치료원리는 분석심리학적 관점의 대극의 합일과 개성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의학의 치료에서 분석심리학을 기초로 한 개입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reviews the pathology and treatment principles of Donguibogam from the perspective of Jung’s analysis psychology in order to explore psychotherapy principles inherent in Donguibogam.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inciple of opposing poles, a core concept of analytical psychology, is in line with Donguibogam. More specifically, three principles of psychotherapy are derived from Donguibogam. First, Sojangpyeonghyeong, a concept of the balance and circulation of energy, describes psychological functioning. Sojangpyeonghyeong, in which all things in the universe change only in forms or characteristics whereas their energy does not disappear but maintains its balance, is a principle of generation and extinction of things that circulate consistently through the unity and transcendence of two opposing poles. Second, Mulgeukpilban, a concept of overcoming the imbalance of opposing poles, accounts for psychopathology. It is a principle of interactions that, if energy is skewed to one side and its imbalance intensifies, the energy is tilted back to the other side. Psychological disorders develop if unilateral tendencies of energy create imbalance and occur from the absence and incongruity of interactions due to the confinement of energy and speed discrepancy in the ebb and flow of energy. Third, psychotherapy restores harmony and balance from imbalance, and is explained through JoongHwa, a concept of maintaining balance without bias. JoongHwa is a principle dealing with psychological as well as physical imbalances. It is categorized into two parts. One is Yinpyeongyangbi that helps protection from psychological disfunction. The other is Chiygwonhyeong, which helps therapeutic action through balance and unity of opposing poles. In summary, Donguibogam deals with the principles of physiology, pathology and treatment where the body and mind are harmonized and balanced in the mutual relationship of the Jung (精), Qi (氣) and Shin (神) polarities. The treatment principle could be interpreted as the unity and individualization of opposing poles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The findings implicate the plausibility of the psychotherapeutic application based on analytical psychology to the interventions of Korean medicine.

      • 남성의 환상에 나타난 여성상 - 잠언 7:6~23을 중심으로 -

        박종수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07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2 No.-

        잠언 7장 6-23절은 한 젊은 미혼 남성과 결혼한 여성 사이에 발생한 외도를 다루고 있다. 마치 현실적 사건처럼 진행되고 있는 성서의 이야기는 부당한 성관계를 경계하는 현자의 경고처럼 보인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현자의 내면세계가 꿈과 환상의 언어로 전개되고 있는 느낌이다. 이 사건은 세 사람의 입장에서 검토해 보아야 한다. 6-23절에 소개된 예시에서 주인공은 당연히 결혼한 여인이다. 부유한 남편을 둔 여성이 젊은 남성을 유혹하는 장면은 남녀 간의 관계가 사회적으로 정해진 가족체계와 경제적 환경을 초월하여 심리적 관계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두 번째로 여인에게 유혹당한 젊은이의 경우이다. 여인의 유혹을 이기지 못하고 끌려가는 남성의 모습은 마치 내면의 영혼인 아니마에 의해 사로잡힌 남성심리를 보여준다. 잠언을 통해 음녀와의 관계를 경고하고 있는 현자의 모습은 한 여인에게 끌려가는 젊은이의 모습에 투사되어 나타난다. 현자의 그림자가 젊은이에게 투사되어 마치 다른 사람의 사건처럼 전개되고 있는 잠언의 이야기는 우리 모두의 모습일 수 있다. 잠언 7장을 소개하고 있는 이스라엘의 현자는 여인에게 끌려가는 한 젊은이의 모습에서 자신을 보았음이 틀림없다. 어쩌면 자신이 직접 체험한 이야기를 전해줌으로써 아들이 온전한 이성관계를 맺게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지혜자의 가면을 벗고 자신 안에 있는 영혼의 세계를 바라보는 자세야말로 삶을 아름답게 한다. 잠언 7장의 여인은 지혜자의 영혼인 아니마이면서 동시에 많은 남성들의 희망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