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아ㆍ청소년 정신분열병 환자의 또래 관계에 관한 고찰 :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신성웅,조수철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0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1 No.2

        본 논문은 사춘기를 전후하여 발병하는 정신분열병의 또래 관계에 관해 사례 연구와 문헌 고찰을 통해 정리한 논문이다. 정신분열병의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서 발병 전 대인관계 양상과 적응정도가 중요하며, 교사가 평가한 학교 생활과 또래 관계가 정신분열병의 발병 및 경과를 예측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식들을 대상으로 한 고위험군 연구(high-risk study)와 장기간 추적 연구(long-term follow-up study)들을 통해 정신분열병 발병에 관여하는 전후기 아동기 성격적 행동적 특성에 대해서 기술하였고, 정신분열병에 발병하고 난 후 나타나는 대인관계 양상과 병태생리에 대해서 서술하였으며, 이를 사회화(socialization)의 관점에서 통합하려는 시도를 소개하였다. 끝으로 사춘기에 발병한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대인관계 양상을 사례별로 정리하고, 향후 진행되어야 할 연구 과제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중심 단어 : 정신분열병ㆍ또래 관계ㆍ사회화. We focused on the peer relationship of adolescent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hich usually occurs around puberty. Reviewing cases with schizophrenia and the literature extensively, we had come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 1) the most robust predictors among factors influencing the prognosis of schizophrenia are premorbi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daptive functions. 2) Especially teachers' reports about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hip during school life are useful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schizophrenia in adolescents. We described characteristic and behavioral childhood features which are important in pathogenesis of schizophrenia, based on high-risk studies and long term follow-up studies. Also, pathological profiles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athology in adulthood were presented. We tried to integrate various aspects of interpersonal and social weaknesses of schizophrenics applying 'primary and secondary socialization' concept. Finally, five cases of adolescent schizophrenics were described briefly and proposal for the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for risk factors was introduced. KEY WORDS : SchizophreniaㆍRisk factorㆍInterpersonal relationshipㆍSocialization.

      • KCI등재

        논문 : 일제강점기 위생담론과 화류병 ; 화류병 치료제 광고를 중심으로

        김은정 ( Eun Jeong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민족문학사연구 Vol.49 No.-

        이 글에서는 1920-30년대 조선에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었던 매춘과 이로 인해 파생된 화류병의 치료제 광고를 분석하였다. 일제강점기에 잡지에 실린 광고 중에는 정력제, 강장제 광고가 가장 많은데 그 다음을 차지하는 것이 화류병 치료제 광고이다. 약 광고는 일제강점기 전반에 가장 많은 지면과 광고 회수를 보이고 있는데 이것은 근대화와 더불어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결과이기도 하지만 위생담론 속에 내재된 일제의 정책 또한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글에서는 화류병 광고가 일반 대중지와 마찬가지로 문학잡지에도 실리는 이유와 광고를 통해 일제의 위생정책과 화류병 광고를 중심으로 당시 확산된 위생담론과 화류병 광고 사이의 간극을 살피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1920-40년대 출간된 국문과 일본어 잡지 『개벽』, 『춘추』, 『대동아』, 『국민문학』, 『조광』을 대상으로 임질과 매독 약 광고를 살펴보고자 한다. 조선에서 출간된 일본어 잡지를 대상에 포함한 이유는 광고 중 다수가 일본어 광고를 한글로 번역하여 싣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확인을 하기 위해서이다. 현대의 도색잡지에서나 볼 법한 화류병 광고가 잡지 성격을 불문하고 무차별적으로 실린 이유는 우선 잡지사 경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하더라도 화류병이라는 사적인 문제가 공공화된 것은 돈의 문제뿐 아니라 당대 사람들의 병에 대한 지식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당시 화류병은 일본이 강조한 명랑하고 건전한 사회 건설을 위해 퇴치해야하는 질병 중의 하나였던 것으로 보인다. 불량육체를 없애는 작업은 이후 명랑사회 건설을 위한 일제의 통치담론과도 연결이 되는데 여기에는 파시즘적 요소가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셋째, 화류병 치료제 광고가 잡지의 성격을 불문하고 허용된 것을 보면 현대의 성 인식과는 다르게 성과 관련된 문제를 사적영역으로 인식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매체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화류병 치료제 광고는 자본주의와 일제 통치담론의 결합체로 볼 수 있다. 화류병 치료제 광고를 보면 절반이상은 전문치료제가 아닌 부인병이나 중이염, 화농증과 같은 증상에 두루 쓰이는 항생제였다. 따라서 화류병 치료제 광고는 청결하고 명랑한 사회건설이라는 일제 통치담론과 궤를 같이 하는 불결한 병원균 척결하고 위생적인 삶의 환경을 만들어주는 치료제로 여기에는 조선의 전통적 도덕관이 무시되고 일제의 통치담론과 상업자본주의만이 남아있다. 즉 화류병 치료제 광고도 위생담론 확산의 첨병으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hwalyupyeng advertisements derived from prostitution. The reasons why in Japanese occupation period, medicines advertisements filled a lot of space and showed a frequent earned rate of advertisements have to do with increased awareness of health along with modernity as well as Japan`s policies in Sanitation Discours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arch hwalyupyeng medicines in the advertisements these days. In other words, todays, the advertisements about hwalyupyeng medicines are put limitedly in hwalyupyeng medicines, but in the colonial period, they were presented in the magazines regardless of their attributes. In addition, the advertisements were not partial but a full-page ones. This is related to advertisement rate and especially the attitude of editors that accepted wholeheartedly. Therefore, in this paper we also explore the gap between Sanitation Discourse diffused at that time and hwalyupyeng advertisements through Japan`s sanitation policies and hwalyupyeng advertisements. With getting rid of moral contents, repulsion of veneral disease eased off. Also, these change seems to be related with people`s awareness of the day. As mentioned above, today pornographic magazines put limitedly the advertisements, then, they were presented regardless of magazine attributes. Secondly, the veneral disease in those days seems to be one of diseases that must be eliminated for establishing merry and healthy society, which Japan emphasized. Gettig rid of delinquent bodies were linked with Japan`s Rule Discourse for establishing merry society and fascistic factors were also strongly embedded. Lastly, permitting the hwalyupyeng medicines advertisements regardless of magazine`s attributes caused people to believe that the problems about sex were considered not private domain, unlike today`s sexual awareness.

      • KCI등재

        조현병 환우 가족의 미술치료 적용을 위한 현상학적 탐구

        김윤희,임나영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19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9 No.1

        This study aims to access the lived experiences of parents living with their children with schizophrenia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meanings of parents’ lives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 and to explore what kind of art therapy interventions would be helpful to the parent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s selected three participants living with their children with schizophrenia as a primary caregiver. The approach of this study is based on phenomenological study focusing on a phenomenon as it is by using in-depth interviews in relation to an art therap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about four month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90 minutes, total of 4 or 5 times to each person. In this study, the parents showed characteristics of a sense of alienation, suppressed feelings, and avoidance in common. Therefore, researchers were able to gather plentiful data using in-depth interview method in relation to art therapy rather than general interview method. As a result, the researchers found 9 meanings of the parents’ lives dealing with schizophrenia, and drew three suggestions for art therapy intervention from the meanings. First, it was suggested that researchers should deal with the parents’ anxiety of unpredictable symptoms. Second, researchers should understand their exhaustion from communication breakdown. Third, researchers also should recognize the parents’ acceptance point of the illness from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bout schizophrenia.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as mentioned above, nonverbal approach in art therapy can reduce resistance to counselling and allow expressing negative emotions during the sessions leading to psychological stabi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meaning of lives of parents with their children with schizophrenia and to increase understandings about the parents. In addition, it is to discover an art therapeutic intervention method in relation to the needs of parents dealing with schizophrenia, thereby utilizing it as a basic data in providing an appropriate art therapy service.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를 활용하여 조현병을 앓는 자식과 함께 살아가는 부모의 삶의 본질적 의미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접근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조현병 자식을 둔 부모에게 필요한 미술치료 적용 방안이 무엇인지를 탐색 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총 3명으로 조현병 자식과 함께 거주하며 주보호자 역할을 담당하는 부모로 선정하 였다. 자료 수집은 미술치료를 접목한 심층 면담 방법으로 현상 자체에 초점을 두고 현상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총 4개월 정도 소요되었으며, 일주일에 1회 90분씩, 4∼5회의 심층 면담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조현병 자식을 둔 부모들이 공통적으로 단절되고 억압된 감정 상태와 회피 특성을 보여, 일반적인 인터뷰보다는 미술 치료를 접목한 심층 면담을 통해 좀 더 풍성한 자료들을 획득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서 조현병 가족의 삶의 의미 9가지를 발견하였고, 이를 토대로 조현병 가족에게 첫째, 예측 불허의 증상에 대한 불안을 다루어야 하며, 둘째, 소통의 단절에서 오는 정서적 피폐함, 셋째, 조현병의 인식 차이로 병의 수용 시점이 다른 점을 적절히 다루어주어야 한다는 3가지 치료적 개입 요소를 도출하였다. 앞서 언급된 조현병 환우 가족의 특성을 고려할 때, 비언어적인 접근이 상담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고, 미술 작업으로 억압된 부정적 감정을 표출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획득할 수 있어 미술치료가 유용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조현병을 앓는 자식을 둔 부모의 삶의 본질적 의미를 파악하여, 조현병 가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에 있다. 이를 토대로 조현병 자식을 둔 가족에게 적절한 미술치료 적용을 하는데 있어 초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무력충돌법상 강화병에 관한 일고찰

        김성원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아주법학 Vol.14 No.4

        무력충돌의 궁극적 목표는 군사적 승리인바, 상대방 병사 및 군수 물자에 악영향을 주는 공격 능력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소위 수퍼 솔져로 불리는 강화 병의 개발을 위한 국가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강화병은 생화학적 강화, 사이버 네틱 강화 및 인공 기관 강화를 통해 만들어지며, 무력충돌시 군사적 이점을 선점하 기 위하여, 국가들은 강화병 관련 생명공학 및 군사 기술에 많은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강화병은 무력충돌법의 근본 원칙에 도전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생화학적으로 강화 된 강화병은 그 자체로 생물무기가 되는지, 강화병이 무기, 전쟁 수단 및 전투 방법에 해당하는지는 강화병이 제기하는 대표적인 문제이다. 군사 이익의 측면에서 강화병을 상대로 과도한 상해 또는 불필요한 고통을 초래하는 무기, 전투 수단 및 전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지 또한 강화병이 제기하는 어려운 문제이다. 무력충돌법상 강화병에 대한 법적 평가는 강화병과 관련된 생명공학 기술 수준에 대한 상세한 검토와 군사 목적 달성이라는 무력충돌법상 개념의 재인식을 통해 진행되 어야 한다. 강화병이 무기, 전투 수단 및 전투 방법으로 사용되는 도구가 아닌 이상, 비록 강화병의 군사적 능력이 일반병보다 월등한 것이라 할지라도, 강화병은 무력충돌 법상 병사, 즉 인간으로 취급되어야 한다. 물론, 강화병과 일반병 간의 전면전이 발생할 경우, 일반병에게 막대한 피해가 갈 것이라는 점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군사 이익 또는 군사 목적을 유일 한 기준으로 강화병에 대한 무력충돌법상 검토가 진행되어서는 아니 된다. 결론적으 로, 강화병 문제를 직접 다루는 구체적인 무력충돌법상의 규범이 수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강화병 문제는 어디까지나 무력충돌법의 근간인 인도주의의 측면에서 다루어져 야 할 것이다. The ultimate goal of armed conflict is military victory. Military victory requires strong offensive capabilities to destroy adversaries in armed conflict. In this context, competition among States is intensifying for the development and creation of enhanced soldiers, so-called super soldiers. Enhanced soldiers are created through biochemical enhancement, cybernetic enhancement, and prosthetic enhancement, and each country is investing lots of technologies and materials into biotechnology and military technology with regard to enhanced soldiers. Enhanced soldiers give rise to the issue challenging the interpretation of black letter law of the law of armed conflict. Issues such as whether biochemically enhanced soldiers can be considered as biological weapons per se, whether enhanced soldiers also can be regarded as means and methods of warfare as tools or instruments delivering attacking capabilites, are relevant examples that enhanced soldiers can raise. Whether the employment of illegal weapons, means and methods of warfare causing superfluous injury or unnecessary suffering to enhanced soldier can be justified in terms of military interests can be the most difficult question related with enhanced soldiers. The evaluation of enhanced soldiers under the law of armed conflict should be made through a detailed exploration of the level of biotechnological technology related to enhanced soldiers, and reconsideration of black letter law of the law of armed conflict concerning the achievement of military purposes. In so far as enhanced soldiers are not just tools or instruments such as weapons, means and methods of warfare, even if military capabilities of enhanced soldiers explicitly surpass those of unenhanced soldiers, enhanced soldiers should be treated as human beings under the law of armed conflict. In case of an all-out war between enhanced soldiers and unenhanced soldiers, it is easy to predict that massive damages will be delivered to unenhanced soldiers. However, issues concerning enhanced soldier should not be approached only on the ground of military interests or purposes. For the purpose of dealing with issues of enhanced soldiers, in so far as the specific legal regime for enhanced soldiers is not prepared, the approach to enhanced soldiers should be proceeded along with the idea of humanity that is backbone of the law of armed conflict.

      • KCI등재

        조선 전기 兵書의 강의와 무학교육

        윤훈표(Yoon, Hoon-pyo)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49 No.-

        고려에서도 일찍부터 국가적 차원에서 병서 강의와 무학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관직으로 무학박사를 설치했다. 그러나 국학 칠재 가운데 무학을 담당했던 강예재가 인종 때 혁파되면서 병서 강의는 개인의 선택에 맡겨졌다. 말기에 이르러 상황이 변하면서 병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병서 강의와 그 교육을 국가에서 주도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특히 위화도 회군 이후 정국을 이끌던 급진개혁파사대부들은 무과 실시를 통해 병서 강의의 실현 및 일반 병학 뿐만 아니라 기술학 계통의 특수 병과 요원들도 교육시켜 선발하는 체계를 갖추자고 했다. 여건상 조선으로 이월되면서 전반에 걸친 정비 작업이 추진되었다. 조선에 들어오자 개창 직전 추진했던 것을 곧 바로 실행했다. 즉위 교서를 반포하여 무과 실시를 선포하고 훈련관을 신설하여 『무경칠서』와 무예 기술 등을 교습하게 했다. 이로써 병서 강의를 제도화해서 무관 선발에 반영하는 체계가 구축되었다. 이어서 강의 방식과 시험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었다. 국가기구의 정비를 통해 일반 병학은 물론 잡학까지 포괄하는 강의 시스템을 확립하였다. 이윽고 교육과 선발 과정이 연계되는 무관 임용 제도를 수립하여 배경 보다 실력이 출세하는데 크게 작용하게 했다. 아울러 군에 잔재했던 사병적 속성을 제거하고 군사력을 향상시키며 일률적 지휘 통솔이 가능한 조직을 구축하고자 진법 훈련을 실시했다. 이를 주도했던 정도전은 교재를 만들어 내용을 강의해 이해를 높이는 한편 실습을 통해 숙달되도록 했다. 이에 대한 반발과 태조의 후계자 선정 문제가 중첩되면서 정치적 분쟁, 즉 왕자의 난이 발발하면서 정권이 교체되었다. 그것은 국정의 운영 원리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병서 강의와 무학 교육 체계에도 영향을 주었다. 새로 등장했던 태종 정권은 처음 무과를 실시하는 것과 함께 기존의 병서 강의 체계를 변모시켰다. 병학과 유학과의 차이를 명확히 하며 선발과 교육 체계가 직접 연계되지 않도록 했다. 그러나 병서 강의와 진법 훈련의 중요성은 계속 강조하면서 병학 습득이 상층 계층에 집중되도록 했다. 하지만 기술학 계통은 점차 소홀해졌다. 이로 인해 좁은 범주의 사람들만 필요해지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나머지 인원들이 외면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세종 때 기존의 방침과 노선을 재정비하면서 모든 계층에게 골고루 널리 익히는 체계를 수립하고자 했다. 그 원리가 강의 내용과 교재 개발, 선발 절차 등의 과정에 구현되도록 했다. 다만 직책과 병종에 따라 수준의 차이를 두었는데, 위로 올라갈수록 어려운 것을 숙달하게 했다. 고관이 되려면 이전보다 풍부한 병학지식을 지녀 전문성을 갖춰야 했으며, 반대로 아래로 내려가면 기본에 더 충실하는 체계를 구성하였다. 그런데 세종 후반기부터 대내외 상황 바뀜과 특히 원정 나갔던 명나라 황제가 적에게 포로가 되는 토목보의 변이 발생하자 조야 모두가 커다란 충격을 받았다. 그 때까지 여러 병종을 신설하면서 군액을 증가시켰던 것에 더하여 다방면에 걸쳐 군비 강화를 추진하였다. 이에 따라 강의 체계도 보강되어야 했다. 즉 조직 확대와 함께 자질 향상으로 전투력을 높이기 위해 훈련과 교육 분야의 개편이 불가피했다. 다양한 병서를 간행하고 숙위 군사에까지 강의를 실시하는 등 외연을 넓히는 것과 더불어 전문가를 양성하는 작업도 병행했다. 이로써 軍中에 병서 읽지 않는 자가 없을 정도라는 이야기가 확산되었다. 하지만 세조 사후에 지나치게 과도해져서 사회적 물의를 빚고 있는 병력을 감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마침내 성종이 즉위하면서 인원의 축소와 함께 정예화를 추진하면서 혹시 발생할지도 모르는 군비 약화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했다. 특히 변화로 인해 자칫 병서 강의를 소홀히 여기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을 차단하고자 했다. 이에 교육 체계가 다시 개편되었다. 그 과정에서 병학의 충실한 이해를 위해 경사서도 함께 읽게 하는 방안이 제기돼 점차 힘을 얻으면서 시행되었다. 마침내 『대전속록』에도 그 내용이 실렸다. 하지만 이는 소수 정예의 무관선발에는 유용했을지라도 유학 위주의 풍토와 맞물려 무학의 전문화에는 걸림돌이 되었다. 마침내 사회 유교화의 진전과 결부되면서 병서 강의는 경사서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일로 인식되었다. 그로 인해 병학의 자체 진흥이 어려워졌다. This study is to cover the lecture of military tactics book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o analyze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military science education that progressed differently from the previous era.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there were numerous opinions about vitalizing military science and selecting competent military generals. During the period of King Gongyangwang, so-called radical reformists led the political arena and tried to reform the structure of the military science education. However, it was realized when it entered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Jung, Do-Jun mostly drove the whole movement. He tried to establish a national organization that exclusively covers the military science education. Through such organization, he tended to select one who has competence regardless of his family background and enlist one as a major military general in the new dynasty. However, as the dynasty was replaced due to the uprising of the Prince, the major initiative of the nation changed. As King Taejong ascended to the throne, the reform process progressed in a different direction. Alo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military official examination, the military tactics book lecture and military science education system were modified. It focused on having the individuals playing the major role rather than a national organization leading the process. Accordingly, the military tactics book lecture was expanded and the military science education was also enhanced. First, lectures of studying military theory has begun. Also, lectures that helped transcending knowledge which could be adapted to the field was implemented. In terms of lecture textbooks, military tactics book developed exclusively in the Joseon dynasty was included as well as classic military tactics books from China. Additionally, military science education was systemized by categorizing it to the levels of the subjects. General soldiers took the basic level and was based on field study. Next for the middle level of soldiers, that is for professional soldiers, theory and practicality took half and half. Lastly, for the military generals who leads the military, pure theory was taught as well. Although it didn't go to the level of Confucianism, it taught the theory of military science to a level where one could actually speak about it in person. Conclusively, it can be said that the military science education has been organized in terms of system or implementation. However, there were some issues of excessive intervention from the nation etc.

      • KCI등재

        우리는 병을 어떻게 대할 것인가? - 유가의 경전을 중심으로 -

        이오륜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4 儒學硏究 Vol.67 No.-

        병은 인간이 늙어가는 과정에서 피할 수 없는 현상으로 누구나 살아가면서 한 번 이상은 병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사람들은 자연스레 병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병에 대한 철학적인 접근 또한 시도되었다. 유가는 경전을 통해 병에 대한 자신들의 시각을 제시하였는데, 병이 가져다주는 고통과 불편함 속에서도 인간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분명한 관점을 밝히고 있다. 고대 사람들은 병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기 미신적인 요소를 운용하여 병을 이해하였으나 일부 계몽된 인물들은 병의 원인을 정치적 요소, 특히 도덕적 정치의 실시 여부에서 확인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후대 유가의 철학적인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유가는 병에 걸리더라도 도덕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를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병에 시달려도 도덕을 포기하지 않고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가는 도덕을 표현하는 방법으로서 예가 가지는 중요성에도 주목하였으며, 병에 걸리더라도 예를 지킴으로써 도덕을 실천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유가의 철학은 오늘날 현대인들에게도 분명한 교훈을 전하고 있다. 현대인들은 의학을 통해 병을 치료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동시에 병에 걸렸다고 해서 모든 것을 부정적으로 보거나 포기하지 말고 도덕을 실천하는 데에 집중해야 한다. 다시 말해 현대인들은 병의 치료에 전력을 다하면서도 도덕이 가지는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를 확충해야만 의미 있는 일생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Disease is an inevitable aspect of the aging process for humans, as everyone experiences disease at least once while living. Consequently, people naturally become interested in disease, leading to philosophical approaches to understanding it. Confucianism articulated his perspective on disease through scriptures, highlighting a clear viewpoint on how humans should live amidst the pain and discomfort caused by disease. Ancient people lacked knowledge about disease, often resorting to superstitious explanations, but some enlightened individuals attributed the cause of disease to political factors, particularly the implementation of moral politics. This perspectiv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hilosophical development of later scholars. Confucianism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morality even when afflicted by disease, aiming to preserve one's identity. Thus, he advocates for continuing moral practice even in the face of disease. Confucianism also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exemplifying morality, striving to practice morality by adhering to etiquette, even when sick. His philosophy offers valuable lessons to modern individuals. While actively pursuing medical treatment, modern people should not view disease negatively or give up but rather focus on practicing morality. In order words, modern individuals mus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orality while exerting efforts in disease treatment to lead a meaningful life.

      • KCI등재

        병과 문학 -문학의 관점에서 본 병의 긍정성

        이영남 ( Young Nam Lee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4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9 No.-

        Looking at the terms that describe illness, they are always aggressive and militarily. This is related to the attitude we have towards illness, because we usually think of an illness as a powerful enemy in the strugg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oint out that illnesses are not always negative in literature. There is no person in this world who has never been sick in his life: We are living with illnes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oncept of illness from a literary perspective. In Chapter 1, illness is described as a social, cultural phenomenon. In Chapter 2, the meaning of illness in literature and illness as a metaphor are discussed. In Chapter 3, the positivity of illness is described in terms of Nietzsche and Thomas Mann. Finally, I quote a poem by Cho Ji Hun 「To the Illness」. 21세기는 그야말로 넘쳐나는 병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다. 병을 서술하는 용어를 살펴보면 항상 호전적이며 군사적이다. 이것은 우리가 병을 대하는 태도와 관련이 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병을 하나의 투쟁의 대상 혹은 강력한 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살아있는 한 병과 함께 살아간다. 본 연구는 병의 긍정성을 문학의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병의 부정성을 다시 한 번 되돌아 보는 기회를 갖게 한다. 1장은 서론으로서 사회문화적 현상으로서의 병을 말한다. 2장에서는 문학에서의 병의 의미, 은유로서의 병을 고찰한다. 3장에서는 병의 긍정성의 예로 토마스 만과 니체를 들어 고찰한다. 과거에 그리스인들이 자신들의 도서관을 “영혼의 의학”으로 여겼던 시대가 존재했듯 문학이“영혼의 의학”이 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길 바라며 조지훈의 시 「병에게」 를 끝으로 원고를 마무리 한다.

      • KCI등재

        마음병의 세 가지 유형

        장진영(Jang, Jin-Young)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4 No.-

        현대사회의 인류는 그 어느 때보다 물질적 풍요를 향유하고 있지만, 오히려 더 큰 정신적 빈곤과 심리적 고통에 노출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오늘날 인간이 겪고 있는 수많은 심리적 고통, 즉 마음병과 그 원인에 대해 붓다와 소태산의 고통 진단과 그 치유법인 삼학(三學)을 염두에 두고 3가지 유형으로 정리하였다. 마음의 병은 다시 말해 마음 그 자체가 병든 것이 아니라 마음의 작용에 있어서 나타나는 문제로서 “마음을 잘 지키지 못하고, 잘 알지 못하며, 잘 사용하지 못하는 병”이라 할 수 있다. 초기불교에서는 ‘갈애’와 ‘무지’를 꼽았다면, 대승불교 특히 유식에서는 아집과 법집으로 나누어 각각 정서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에서 병인을 파악하였다. 특히 유식학에서는 모든 경험과 인식의 내용이 결국 연기된 것, 즉 의타성(의타기성)임에도 허망분별, 즉 분별성(변계소집성)에 빠져 진실성(원성실성)를 보지 못하는 점, 그리고 그러한 허망분별이 자아에 대한 집착과 사견에서 온다는 점에서 마음병의 원인으로 말나식을 주목하였다. 한편 모든 언어분별을 떠난 경계 이전의 마음인 원래 마음(무분별심, 무착심) 등 본성회복 유무와 마음 작용의 분별주착 유무에 따라 인지적 · 정서적 측면의 병인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주목해야 할 것은 의지작용에 의한 말과 행동 등 구체적인 행위와 습관의 문제이다. 이는 모든 심신작용이 곧 업인이 되고 그 업인에는 반드시 과보가 오는 인과보응의 이치에 따른 것이다. 일단 형성된 잘못된 습관은 오히려 인간의 정당한 마음작용을 구속하게 된다는 점에서 마음병의 한 축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지-정-의 세 가지 측면에서 마음병을 파악한 결과, 이를 무지의 병, 욕심의 병, 습관의 병으로 정리하였다. 각각은 다시 두 가지 측면에서 균형 있게 볼 필요가 있다. 무지의 병에서는 자아에 대한 근본무지와 동시에 현실에 대한 무지도 보아야 한다. 욕심의 병에서는 이기적 욕심(욕구)를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와 함께 이타적 욕심(욕구)를 정당하게 세우지 못함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습관의 병에서는 부당한 습관을 반복하는 것과 함께 정당한 실천을 하지 못함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들 마음병은 결국 마음의 작용에 있어서 자신을 이롭게 하려는 이기적 동기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점에서 그 근원은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무지에 대한 자각을 통해 늘 깨어있고, 나에 대한 집착을 놓고 본성을 회복하며, 나아가 적극적인 실행의지로서 습관과 기질을 변화시키는 세 가지 방면의 마음공부를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modern society, we have enjoy material wealth more than before any time, but have been exposed to spiritual poverty and psychological pain. In this paper, I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various psychological sufferings, that is ‘the diseases of mind’ and the causes of mind-disease, suffered by human beings based on the diagnosis of mind and treatment of mind healing supported by Buddha and Sotaesan. In other words mind diseases or mind sufferings don’t mention of mind itself but of mind work: when we can’t keep our mind well, know our mind clearly and use our mind properly, we call our mind to be suffered. Early Buddhist regard craving (P. ta?h?) and ignorance (P. avijj?) as the cause of mind suffering, Mahayana Buddhist especially yogacara consider self-obsession(我執) generating emotional disturbances and dharma-obsession(法執) bringing out cognitive disturbances as the important cause of mind suffering. And we used to discriminate anything in vain, that is the tendency of discriminating in our own way according to Manas(末那識). Meanwhile I think It is a kind of mind disease that we tied in a given situation, so we can’t use our mind freely. Especially with regards to an action, we can’t do freely what we want to do because of our mind and body habits. Above I divided mind diseases into three types: ignorance, desire, habitual practice. We need to see balanced in two sides: negative side and positive side. Firstly The disease of ignorance has two shapes such as a original ignorance of the Self and a realistic ignorance in everyday life. The second, the disease of desire has two aspects such as not to control a selfish desire and not to establish an altruistic desire. Finally the disease of habitual practice has two aspects such as repeating improper habits and not to be able to even proper action. These have in common with being unable to escape self-centered selfish motive. Therefore we need to practice threefold studies that we are awareness of our ignorance, recover self nature without craving, and change habit and temperament with affirmative action will.

      • KCI등재

        부맥주병에 대한 연구

        김경철,류경호,이해웅,김중한,김훈,두승희 대한한의학원전학회(구 대한원전의사학회) 2011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24 No.3

        文獻에 기재된 내용을 근거로 病脈主病을 單脈과 相兼脈을 구분하는 입장에서 연구하는 것이 單脈, 相兼脈이 혼재하는 脈診學분야에서 病脈主病연구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되어, 먼저 浮脈主病을 중심으로 單脈主病과 相兼脈主病연구에 임하게 되었다. 浮脈病脈主病을 單脈과 相兼脈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을 수 있었다. 脈診諸家는 이론적인 입장보다는 임상적인 자료에 근거한 實用的인 立場으로서, 左右手寸關尺의 浮脈의 單脈主病은 外感呼吸器症狀으로, 寸關尺6部位別단독 浮脈單脈主病은 寸關尺의 藏象論的인 症狀으로 관찰하였으며, 五臟六腑寸關尺配屬의 입장에서는 大腸과 膀胱을 尺部에서 診脈하는 실용적인 입장을 보였다. 諸家들은 浮脈相兼脈主病에서 大, 洪, 緩, 緊, 澁, 數, 遲, 虛脈을 높은 頻度의 相兼脈으로 취급하고 있으며, 長, 滑, 細, 疾, 短, 규, 微, 濡, 弦, 散脈을 낮은 頻度의 相兼脈으로 다루고 있다. 또한 基本單一脈象으로는 大, 澁, 數, 遲, 虛, 長, 滑, 細, 疾, 短, 弦, 散脈이, 두개 以上의 脈이 結合된 合幷脈象으로는 洪, 緩, 緊, 규, 微, 濡脈이 浮脈相兼脈으로 주로 다루어지고 있다. 浮大, 浮長, 浮緩, 浮細, 浮緊, 浮短, 浮數, 浮虛, 浮微, 浮弦의 相兼脈은 脈位上으로 浮脈의 屬性을 합리적으로 認定하는 相兼脈으로 판단되나, 洪脈, 虛脈, 규脈, 濡脈과의 浮脈相兼脈은 이미 갖추고 있는 浮脈屬性에 또 다시 浮脈과 相兼하는 重複性의 문제가 있으므로, 앞으로 浮脈의 單脈과 相兼脈主病에서 보다 깊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정신분열병의 실험적 모델

        전진숙,Cheon, Jin-Sook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9 생물정신의학 Vol.6 No.2

        동물모형은 정신장애의 연구와 치료에 유용한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정신장애의 동물모형으로서의 적합성에 대한 평가 기준은 첫째, 유도된 상태의 유사성, 둘째, 행동상의 유사성, 셋째, 공통된 근저의 신경생물학적 기전, 넷째,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치료 기술에 의한 역전 등 4가지이다. 저자는 정신분열병의 연구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실험적 모델을 간략히 소개하였다. 정신분열병의 실험적 모델로서는 L-dopa 모델, phenylethylamine 모델, hallucinogen 모델, amphetamine 모델, phencyclidine(이하 PCP) 모델, NE 보상계병소 모델, 망상계자극 모델, 사회격리 모델, 조건화된 회피반응, catalepsy 시험, paw 시험, 자기자극 paradigm, latent inhibition paradigm, blocking paradigm, 경악반사의 prepulse inhibition, 설치류 상호작용, 원숭이의 사회적 행위, 해마손상, 선택적 breeding을 사용한 모델, 고기압 모델, 각성 모델, 감각운동 gating 모델 등이 제시되고 있다. 저자는 이중에서 특히 정신분열병의 실험적 모델로서 face validity, predictive validity, construct validity가 높은 몇 가지 방법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였다. 임상경험 및 동물실험에서 PCP 및 ketamine 등 PCP 유사물질은 양성증상 뿐만아니라 음성증상, 파과형, 인지장애군에 좀 더 가까운 비망상형의 정신분열병에도 적용시키기가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임신이나 출생 시 합병증에 의한 해마병소화, 내재적 신경독성에 의한 NE 보상계 병소, 스테로이드 증가에 의한 해마변화 등에 의해서 정신분열병이 유도될 수 있음은 해마병소화 모델이 정신분열병의 실험적 모델로서의 첫번째 기준을 충족시킴을 입증한다. 해마 병소화 후에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주의집중력 장애, 공간 및 문맥 정보의 이해결핍, 기억구성, 인식기억, 고전적 조건화, 일반화, 복합적 학습, 상동적 행동, 미신적 행동, 과잉각성, 소멸과 습관형성, 피부전도 실험 등의 이상이 관찰됨은 정신분열병의 실험적 모델로서 두 번째의 기준에 합당한 것이다. 사후 부검한 뇌조직 및 여러 신경영상화 연구에서 해마의 구조적 이상 및 신경전달물질의 수용체 변화가 보고됨은 세 번째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며, 정신분열병의 여러 치료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상기 변화가 반전됨은 해마병소화 모델이 정신분열병의 실험적 모델로서 타당도가 높음을 시사한다. 정신분열병의 양성증상, 음성증상, 인지장애를 모두 포괄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실험적 모델로서 ketamine 모델과 해마병소화 모델 등이 보다 유용한 도구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어떠한 정신분열병의 모형도 정신분열병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것은 없다. 따라서 동물모형을 사용한 연구의 결과는 매우 조심스럽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동물모형을 발전시키고 타당화 시키려는 노력은 인간에서의 현상을 신빙성있게 측정하는 방법을 규명하는 과정과 공동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Animal models can provide a useful tool for the study of some aspects of psychiatric disorders and their treatment. The four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animal models of psychiatric disorders are as following : 1) similarity of inducing conditions 2) similarity of behavioral state 3) common underlying neurobiological mechanisms 4) reversal by clinically effective treatment techniques. Several animal models have been proposed for schizophrenia : phenylethylamine model, L-dopa model, hallucinogen model, cocaine model, amphetamine model, phencyclidine model, noradrenergic reward system lesion model, reticular stimulation model, social isolation model, conditioned avoidance reaction, catalepsy test, paw test, self-stimulation paradigms, latent inhibition paradigms, blocking paradigms, prepulse inhibition of the startle reflex, rodent interaction, social behavior in monkeys, hippocampal damage, high ambient pressure, and models using selective breeding. Among them, animals with bilateral lesion of the hippocampus may provide an adequate animal model for several symptoms of schizophrenia, and ketamine model can reproduce negative symptoms and cognitive deficits as well as positive symptoms of schizophrenia. In conclusion, no model of schizophrenia is entirely representative of the disease, and findings gleaned from model systems must be cautiously interpreted. Furthermore,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validating animal models must work in concert with the process to identify reliable measures of human phenome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