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시대 동유(東儒) 전통의 형성과 그 함의

        오세진 ( Oh Se-ji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6 No.-

        본 연구는 조선에서 ‘동유’라는 말이 언제부터 쓰이기 시작했고, 그 말의 용례가 어떻게 다양하게 나타나는지 조사하고, 조선의 유학자들이 ‘동유’라는 말로 자신의 자의식을 어떻게 형성해왔는지 밝히고자 한다. 조선의 유학 전통에는 학설의 차이, 지역의 차이, 사승관계의 차이에 따라 각기 다른 유학의 분파들이 있었다. 그중 서로 배타적인 관계로 설명되는 두 학파는 성리학과 실학이고, 이 두 학파의 대립 구도는 조선의 유학사를 설명하는 주된 방식이었다. 하지만 조선의 유학자들 대부분은 자신들을 ‘주자학자’, ‘성리학자’, ‘실학자’라고 지칭하지 않았고, 대개 자신들을 ‘유학자’라고 불렀다. 더 구체적으로 중국의 동쪽에 위치한 나라에서 유학에 헌신한다는 의미로 ‘동유’라는 말을 사용했다. ‘동유’는 ‘동방의 유학’, ‘동방의 유학자(들)’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근대 이후의 한국철학계와 사상사학계 학문에서 정리된 조선유학사의 설명 틀이 아닌, 조선의 유학자들이 스스로를 지칭하거나 자신들의 유학 전통의 계보를 지칭하면서 사용한 말인 ‘동유’라는 개념의 용례와 그 변천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성리학자나 실학자처럼 이질적 학풍으로 보이는 유학자들이 역사속에서 어떻게 중국의 유학 전통과 연결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독자적인 동방의 유학 전통을 구축하려고 노력했는지 그려낼 수 있었다. There was a Confucian sectarianism in the Joseon Confucian intellectual tradition, which results from differences in doctrines, regions, and master-disciple relationships. Among Joseon Confucian sects, Seonglihak(Neo-Confucianism 性理學) and Silhak(Practical Learning 實學) are mainly used to explain Confucian traditions during the Joseon Dynasty. However, most of the Confucians at that time in Joseon did not refer to themselves as ‘Zhu-Xi-ist’(朱子學者), ‘Seonglihak scholar’(性理學者), ‘Silhak scholar’(實學者). Rather, most of them often did refer to themselves as ‘Confucians in the Eastern region’(東儒). This study traces when the concept of Confucian in the Eastern region’(東儒) is used among Joseon confucian scholars, explores how the usages of this concept were deployed, and reveals how confucians in Joseon build the their identity by using this concept, ‘Confucian in the Eastern region’(東儒). Instead of using the previous frame of explanation in the research field of Korean Philosophy and Korean history of thought, this research focuses on their internal self-referring term, Dongyu(東儒) and changes of its implication in history. Taken in its entirety, the argument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Joseon’s Confucians, including ‘Seonglihak scholar’(性理學者), ‘Silhak scholar’(實學者) struggled both to maintain the link with Chinese orthodox confuciansim and to build a differentiated Confucianism in Eastern region.

      • KCI등재

        연구논문 : 유학(儒學)의 인성론(人性論): 사회심리학적(社會心理學的) 고찰(考察)

        이동인 ( Dong In Yi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1 儒學硏究 Vol.25 No.-

        人性論은 儒學의 영원한 주제이다. 先秦儒學에서 유교 인성론의 실체가 확립된 이래 많은 유학자들이 그에 대한 논설을 발전시켜 왔으며, 그것은 朝鮮 性理學의 핵심주제를 구성하기도 하였다. 인성론은 또한 현대 사회심리학의 중요한 이론적 자원이기도하다. 이 논문은 유학의 인성론과 현대 사회심리학의 인성론을 연결짓고, 전자를 후자의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노력의 산물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을 중심으로 해서 선진유학의 인성론을 검토하고, 그것을 현대 사회심리학의 공격이론과 돕는 행위(이타적 행위) 이론과 결부시킴으로써 유학의 인성론의 사회심리학적 含意를 살펴보았다. 인간의 행위를 지배하는 상황의 힘이 막강함으로. 인성의 본질을 구명하려는 시도가 어떤 면에서는 그 의미가 褪色했다고 할 수도 있다. 인간의 행동이 그렇게 많이 상황에 의해 좌우(결정)되는 것이라면 인간성의 본질을 究明하는 일의 중요성이 감소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심리학적 시각에서 성선설과 성악설을 중점적으로 검토하면, 사회심리학의 자료들은 性惡보다 性善을 더 지지하는 듯하다. 이는 우리의 상식적 견해와 다를 수도 있다. 어쩌면 언어학자가 말하는 ``선천적 보편문법``이 기존 언어의 문법 틀에 묶여서 잘 발현되지 못하는 것처럼, 인간 본유의 품성이 탐욕과 경쟁을 앞세우는 이 세상 풍조 앞에서 가려지고 굴절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Theories of human nature have always gathered scholarly interest in Confucianism. It is also very important theoretical resources of modern social psychology. In this research I reconsidered the Confucian theories of human nature in the light of modern psychology. I compared the Confucian theory of human nature with psychological theories of aggression and altruism. As recent psychological theories emphasize the great influence of situation in forming human behavior, discussion on human nature may have lost some of its significance. For all these facts, psychological research seems to support the theory of innate goodness of human nature rather than that of innate badness. We might say that as the innate ``universal grammar`` is hardly remain intact under the influence of he existing language, so the innate human nature is hardly developed intact in this world of greed and competition.

      • KCI등재

        조선 후기 충청유학의 전개양상과 정체성

        이영자 ( Lee Young-ja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4 No.-

        본고에서는 17~19세기 충청유학의 학맥별 전개양상을 살펴보고, 그 안에서 발견할 수 있는 충청유학의 정체성을 밝히었다. 충청유학은 17세기에 이르러 호서학파(湖西學派)라는 학파로서의 실체를 갖춘 이후, 20세기 초까지 면면히 이어진 충청지역에서 논의된 대표적 한국유학이다. 충청유학의 정체성 구명은 ‘시대별 변화에도 불구하고 충청지역의 유학자나 유학자들 전체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본질적 특성과 그 원인’을 찾는 데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정체성의 외적 요소로는 학맥별 성리학설을 통해 충청유학의 정체성을 밝히고, 내적 요소로는 충청유학자들이 추구한 가치와 신념인 유학 정신을 통해 구명하였다. 그 결과 외적 요소로는 이이의 ‘리’, ‘기’, ‘이발’, ‘기발’, ‘이통’, ‘기국’의 주안점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다양한 학맥이 존재하였음을 밝히었다. 또한 내적 요소로는 학맥별로 강조된 주자나 율곡의 유학 정신을 계승하여, ‘의리(절의), 도덕적 원칙, 예절(예학), 평등, 무실(실천)’의 키워드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요소를 포괄하여 충청유학의 정체성을 한 마디로 규정한다면, 인간의 도리 즉, ‘윤리, 도덕’을 실천하고자 하는 ‘인간다움’이라 할 수 있다. ‘인간다움’이라는 것은 결국 인간의 도리를 다해야 한다는 ‘인도주의(人道主義)’ 유학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모든 유학자들의 공통된 지향 정신이겠지만, 조선 후기 충청유학자들의 ‘인도주의’ 정신의 추구와 실천은 어느 지역, 누구보다도 더 널리, 더 오랫동안 지속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도주의 정신은 현재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그동안 인도정신이 인간과 인간의 공존에 필요한 가치였다면, 이젠 4차 산업시대의 이상적 사회인 신문명공동체 사회에서도 꼭 필요한 정신이다. 이렇게 볼 때 충청유학의 정체성은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여 현재와 미래사회에도 활용되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다. 그러한 면에서 충청유학은 오래된 과거가 아닌 오래된 미래로서의 위상을 충분히 갖는다고 하겠다. This study has examined how Chungcheong Confucianism, or Confucian study, developed in the 17th through 19th centuries and verified its identity found in the process. Since its material establishment as a school called the Hoseo Confucian Academy in the 17th century, Chungcheong Confucianism had represented the Korean Confucian study in Chungcheong region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The key to verifying the identity of Chungcheong Confucianism lies in finding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having Confucian scholars of Chungcheong region or all Confucian scholars in general organically combined despite changes over different period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has verified the identity of Chungcheong Confucianism through both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that are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values and beliefs pursued by the academic genealogy and the Yuhak spirit as their cause, and the Neo-Confucian theories by academic genealogy, respectively. As it turns out, there existed various academic genealogies depending on where the key emphasis of Yi Yi's ‘Yibal, ‘Gibal’, ‘Yitong’ and ‘Giguk’ was placed. The study has also found that the internal aspects can come down to 'loyalty, morality, manners, equality, and practice'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Confucianism spirit, which were emphasized by different academic genealogies. To sum up, the identity of Chungcheong Confucianism is characterized by greater emphasis than any other studies on humanitarianism, or the ultimate purpose of humans to practice ‘ethics and morality.’ Humanitarianism has been an essential spirit to ensure the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of humans from different cultures and backgrounds and is also an indispensable spirit in our community and society seeking new civiliz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 this vein, the identity of Chungcheong Confucianism is something worth revisiting in the present and future society beyond the time and spatial boundaries. It is in that sense that Chungcheong Confucianism retains its significance as a timeless future, not an old past.

      • KCI등재

        『논어』를 통해 본 유학의 창의성

        이시우 ( Lee See-wo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4 No.-

        현 시대는 과학뿐만 아니라 경제, 기술, 예술, 정치 등등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인재를 필요로 한다. 인문학도 예외가 아니다. 유학 교육ㆍ연구에서도 창의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며 창의와 인성을 결합시킨 교육을 강조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유학의 창의성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은 회의적이다. 극단적으로는 유학, 유교사상, 유학교육이 우리 사회의 진보를 가로막고 창의성 말살을 초래했다고 매도하는 발언도 쉽게 들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학과의 분리’를 진보로 보려는 경향은 다른 형태의 쇠퇴라는 입장에서 유학과 창의성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연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아울러 유학과 창의성 간의 긍정적 작용이 좀 더 바람직한 인간관계와 사회적 행위를 낳아 사회 발전과 조화를 이끄는 진보의 계기임을 밝힌다. 필자는 유학의 경전이 마치 세상만사를 모두 설명, 해결할 수 있는 진리의 총화라고 말하고 싶지 않다. 또 유학의 전통적 지식 추구 방법인 ‘온고지신’은 태생적으로 창의성과 접점을 가질 수 없다고 말하고 싶지도 않다. 다만 어떤 상반된 입장이 서로가 고수하는 중요한 발언을 관철시키거나 타협하려고 하면 양측이 다 같이 인정하는 원칙적 명제와 포용의 감각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양측이 다 같이 인정해야 하는 것, 즉 ‘모든 창의성과 창의적인 것은 관계 속에서 발견ㆍ실현된다.’ 라는 명제와, 새로운 ‘관계맺음의 감각’을 제시함으로써 유학과 창의성의 만남 가능성을 밝힌다. 이러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주로 『논어』의 용례를 기초로 삼고 그와 관련한 문헌을 참고하여 해석을 시도할 것이다. 그 결과 유학은 동형반복의 역사가 아니라 도덕적 창의성 계발에서 탁월함이 발휘된 개성분투의 역사임을 밝힌다. We need creative talent not only in science but also in economics, technology, art, politics and so on. The humanities is no exception. Confucian education research also highlights the need to develop and utilize ways to cultivate creative talent, and emphasizes education that combines creativity and human nature. However, our society's perception of confucianism's creativity is skeptical. In the extreme sense, it is easy to hear the remarks that Confucianism, Confucian idea, and Confucian education have blocked progress of our society and led to the eradication of creativity. In this paper, the tendency to view 'separation from confucianism' as progress is a different form of decline. So I look for the possibility that Confucianism and creativity can be linked without interfering. It also reveals that the positive ac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creativity is an opportunity for progress that leads to more desirable human relationships and social behaviors, leading to social development and harmony. I don't want to say that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are the sum of truth that can explain and solve everything in life. And I don't want to say that Confucianism can not have creativity and contact in its native way due to the New Wisdom, a traditional way of seeking knowledge[wenguzhixin(溫故知新)]. However, in order to compromise or compromise an important statement held by one another, there must be a sense of principle proposition and engagement that both sides recognize. Therefore, in this paper, I propose the proposition that both sides must acknowledge together, that 'all creativity and creativity are discovered and realized in a relationship' and a new 'sensation of forming a relationship.' This reveals the possibility of a coexistence between Confucianism and Creativity. To carry out these studies, an interpretation will be attempted, mainly based on examples from The Analects and references related literature. As a result, the paper reveals that Confucianism is not a history of repetition but a history of struggle for individuality, which showed excellence in the development of moral creativity.

      • KCI등재

        근현대 충청유림의 유학정신과 위상 - 권중면, 권태훈을 중심으로 -

        이영자 ( Lee Youngja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8 No.-

        본고에서는 근현대 충청유림의 유학정신과 위상을 취음 권중면(翠陰 權重冕, 1856-1936)과 그의 아들 봉우 권태훈(鳳宇 權泰勳, 1900-1994) 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권중면, 권태훈은 전통적인 성리학자로서의 유학자라기보다는 한학자, 단학가, 한의학자 등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의 저술과 활동에는 유학정신에 바탕한 유교 지식인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권중면은 정미칠조약으로 대한제국의 모든 국가권력이 강탈당하자 고종과의 군신간의 의리를 지키고자 벼슬을 버리고 칩거를 시작하였다. 말년에는 계룡산 자락 상신리에 은거하면서 `용산구곡`을 만들어 인재 양성을 통한 구국의 염원을 담기도 하였다. 또한 권태훈도 영남지역의 거유(巨儒) 곽종석을 진정한 스승으로 삼고, 유학의 성인관(聖人觀), 성경(誠敬) 중심의 수양론, 16자(字) 심법(心法) 등을 강조하며 그의 민족사상의 핵심을 유학정신에서 찾고 있다. 물론 이러한 유학적 편린들을 바탕으로 이들이 전형적인 유학자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들은 항일의식을 바탕으로 `수구거지(去之守舊)`나 `거의소청(擧義掃淸)`을 실천한 전형적 항일유림이다. 이들은 굴곡의 근현대 시기를 거치는 동안 한 순간도 군신의 의리, 국가와 민족에 대한 사랑을 버리지 않고 꿋꿋이 자신의 의지를 지켜 나갔다. 이렇게 볼 때 꺼져가는 대한제국 한민족의 전통과 사상을 단절 없이 지켜내고 끝까지 지조와 절개를 지키고자 노력하였다는 점에서 이들은 진정한 선비이며, 지행합일(知行合一)의 도학정신을 실천한 유교 지식인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iscusses the spirit and status of Confucianism of Confucian scholars based in Chungcheong region in modern times, focusing on father and son, Kwon Jungmyeon (權重冕, 1856-1936) and Kwon Taehun (權泰勳, 1900-1994). Both Kwon Jungmyeon and Kwon Taehun were widely known as scholars of the Chinese classics, Danhak (the study of Dan or bioessence, 丹學) and oriental medicine, than of traditional NeoConfucianism. But, their published works and activities showed aspects of Confucian intellectuals based on the spirit of Confucianism. When all national authorities of the Korean Empire were seized due to the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of 1907 (丁未七條約), Kwon Jungmyeon abandoned his government post and lived in seclusion in order to remain as a loyal subject of King Gojong. During the retirement in Sangsinri near Mount Gyeryong in his late years, the senior Kwon made “Yongsangugok (Nine Poems of Dragon in the Mountain, 龍山九曲)” honoring Koreans` wishes to save the country and cultivating talents in the region. His son Kwon Taehun took Kwak Jongseok (郭鍾錫), a great Confucian scholar of Gyeongsang region, as his teacher and searched for the core of nationalism through Confucianism while emphasizing the view of sage as ideal (聖人觀) of Confucianism, sincerity and mindfulness (誠敬)oriented theory of selfcultivation (修養論), and the sixteenword message for cultivating the mind (十六字心法).” From such small parts of confucianism they displayed, the two men cannot be affirmed as Confucian scholars. But, they were typical antiJapanese Confucian scholars who practiced “Defend old values in hiding (去之守舊)” or “Raise the righteous army and defeat traitors (擧義掃淸)” based on antiJapanese spirit. Throughout modern times of ups and downs, they did not once desert their loyalty as the royal subject and love for the country and people, while steadfastly guarding their will. In this regard that they made an effort to maintain their loyalty and fidelity to the end without losing the tradition and idealism of Koreans in the Korean Empire, Kwon Jungmyeon and Kwon Taehun were authentic scholars and can be evaluated as Confucian intellectuals that practiced the spirit of Taoism,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知行合一).”

      • KCI등재

        남당학과 현대 기호유학 -오래된 미래를 위한 몇 가지 제언-

        김경호 ( Kyung Ho K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3 儒學硏究 Vol.29 No.-

        이 글은 다음의 세 가지 물음으로부터 출발한다. 첫째, 기호유학의 범주에서 한원진을 중심으로 한 철학사상은 어떠한 위상을 갖고 있는가? 둘째, 한원진의 학술사상은 체계적인 ``남당학``으로 정립될 수 있는가? 셋째, 한원진의 학술은 현대적인 관점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전제로 필자는 먼저 기존의 연구 성과를 수렴하여 남당학이라고 하는 새로운 학술 용어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현대 기호유학의 영역 설정과 관련해서는 ``호남유학``을 ``기호유학``에 포함할 것인지의 여부에 대해 재고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필자는 남당학의 가능성을 남당의 학술사상이 갖는 독자성과 학문적 위상, 그리고 당대의 정치적 위상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한원진의 학술적 독창성은 ``因氣質``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여 성리학 이론을 심화시켰다는 점에서 발견된다. 유학사적으로는 문헌 해석학 작업을 통해 『朱子言論同異考』를 저술함으로써 조선유학의 위상을 동아시아적인 지평에서 조망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또한 한원진은 ``洪洲``에 거주하는 호서의 일개 학인에 불과하였지만 기호유학을 넘어 율곡학파를 대표하였고, 당대 유학의 춘추대의를 표상하는 인물이었다. 이처럼 한원진은 한국유학의 전개 과정에서 새로운 학술적 의제를 제안하였고, 율곡학파의 성리학 이론을 심화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러한 점에서 필자는 한원진의의 학술사상은 체계적인 ``남당학``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한원진의 철학적 사유가 파국의 지점에서 타자를 배제하는 독단의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개연성에 대해서는 숙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essay inquires into three issues. First, what philosophical significance does Namdang`s theory have in Kiho Confucianism? Second, can his theory be developed as a systematic Namdang studies? Third, what meaning does his theory have in contemporary times? Starting with these three questions, I discussed a possibility that ``the Namdang studies`` can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his philosophy. I also proposed reconsidering whether it is right to include ``the Honam Confucianism`` into ``the Kiho Confucianism`` with regard to the scope of ``the Kiho Confucianism``. Lastly, I proved the possibility of ``the Namdang studies`` through the originality, and academic and political significance of Namdang`s theory. The originality of his theory is to deepen Neo-Confucianism by reestablishing the concept of "issuing from temperament (inkijil)." He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view Choseon Neo-Confucianism in the context of East Asia by interpreting ``The Research of the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in Zhu Xi`s Theories(Chujaonrondongigo)``. In addition, he went beyond the Kiho school and represented the Yulgok school although he was just one of the Hoseo Confucianists to live in the area of Hongju. He was also one of the representative philosophers to stand for the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 In this way, Namdang proposed a new academic issu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Korean Confucianism and contributed to deepening the theories of Yulgok Confucianism. Accordingly, I thought that his ideas can be developed as the Namdang studies. However, we should also consider that his ideas ruled out other philosophical schools and proceeded as a "dogma."

      • KCI등재

        조선유학에서 “직(直)”의 전승관계 및 문제점 연구

        김창경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7 No.-

        I Ching (Book of Changes) of Confucianism presents the private human mind followed by QiPinWuYu (氣稟物欲) as a theory of cultivation where one preserves mind and develops personality by respecting the inner side of the mind through Jhi (directness, 直). In this regard, it is said that the people of the three generations of Yao and Shun emperors had practiced the logic of Jhi. Confucius said that humans live by Jhi and Mencius said that Jhi develops a great spirit. Jeong Myung-do regarded Jhi as the fairness of straight mind. Zhu Xi viewed that the thought of Jhi was the essence of Confucian studies, and the reason by which heaven and earth produced everything and scholars responded to all the things. Also, he left the will where Jhi was the only word concerning the law of mind. In regard of this Jhi theory, Gubong Song Ik-pil who became the head of 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for the first time handed down it to his disciple, Kim Jang-saeng through KimEunJaJikBaekSeol. This thought has been inherited in the form of the scholastic exchange from Kim Jang-saeng, Song Si-yeol and Kwon Sang-ha, etc. to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onfucians by adding letter “Jhi” to names, pen names and the names of studies. The thought of Jhi, which has been passed on from Yoa and Shun emperors, Confucius, Mencius, Zhu Xi to contemporary Korean Confucian scholars for nearly 4,500 years, can be evaluated as an academic form of transmission as it has a great significance not only in traditional Confucianism but also in the ideological achievement of Korean Confucianism. This study ultimately aim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thought of Jhi i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Regarding this purpose, I intend to present views on the succession of the law of mind and its legitimacy through Jhi by considering and analyzing the transmitting relationship of this thought in the Joseon Dynasty, and organizing it into a chart.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situation of transmission of Jhi thought both in Giho and Youngnam Confucian scholars and its resulting problems. Finally, I intend to look into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in which the honest mind that is both the summary of Confucian studies and the law of mind becomes the essence of modern Korean culture of humanistic spirit. Additionally, I look forward to its academic influence by reconsidering the necessity and utilization of Korean personality education. 유가(儒家)의 주역 에서는 기품물욕(氣稟物欲)에 따른 인간의 사사로운 마음에 대해, 경이직내를 통한 존심양성의 수양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요⸱순의 삼대(三代)시대 백성들은 직도(直道)를 행하였다고 전하고 있고, 공자는 인간의 삶은 직(直)이라 하였으며, 맹자는 호연지기를 직으로 기른다하였고, 정명도는 직상직하(直上直下)의 정정당당함이라 하였다. 주희는 직이 유교학문의 요결이라 하고, 천지가 만물을 생(生)하고 성인이 만사에 응하는 이치로써, 성인이 상전한 심법(心法)도 또한 직(直) 한 글자라고 유언으로 남겼다. 이러한 직설(直說)에 대하여 조선유학에서는 처음으로 송익필이 필두가 되어 제자인 김장생에게 「김은자직백설(金檃字直伯說)」을 통해 직도를 전승하고 있다. 이로부터 이름과 호, 자, 서재명 등에 직을 넣은 글을 통해, 김장생과 송시열, 권상하 등으로부터 한국 근현대 유학자들에게까지 학문적 수수(授受) 형식을 지닌 채 전승되어 내려오고 있다. 이와 같이 요⸱순과 공⸱맹⸱정⸱주로부터 근현대 한국유학자들까지 근 4,500여 년 동안 전승되어 내려오는 직도의 계승은, 전통적인 유교학문뿐만 아니라 한국유학사상적 업적으로서도 크나큰 의의를 지니기에, 학문적 전승형식으로서의 정당성을 지닌다고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유학사에서의 직사상 정립에 대한 연구를 궁극적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선유학에서 직의 전승관계를 고찰하고 분석하여 도표로 정리해서, 직을 통한 심법(心法) 서통(緖統)의 계승과, 그 정통성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호유학과 영남유학에서의 직설전승에 관한 입장과, 그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유교학문의 요결이며 심법인 정직(正直)이, 현대 한국인문정신문화의 정수(精髓)가 되는 현대적 의의를 살피고, 한국 인성(도덕윤리)교육에서의 필요성과 활용성을 제고하여, 그 학문적 효과를 기대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연구논문 : 명재 윤증의 유학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이홍군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2 儒學硏究 Vol.26 No.-

        명재 윤증(1629-1714)선생이 처한 17-18세기 조선사회는 내우외환의 시달림에 국가발전과 민족부흥의 갈림길에서 고민하고 선택해야 할 시기였다. 병자·정묘호란으로 인한 민족적 자존심 상실과 주체성의 흔들림, 당쟁으로 인한 형평성의 상실, 부친 윤선거의 江都之事로 인한 심적 갈등 등은 충분히 명재로 하여금 덕성을 상실케 하는 계기가 된다. 그러나 명재는 한 치의 흔들림도 없이 국가적 차원에서는 충신양민으로, 학문적으로는 실천유학자로, 가정적으로는 효자로 평생을 재야에서 깨끗하게 살아온 순유였다. 본 논문은 명재의 유학사상을 리기론, 심성론, 수양론 3개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 현대적 의미를 전개하였다. 리기론에서 명재는 자신의 특징적인 관점이나 이론을 제기하지 않고 있다. 그는 理氣二元의 존재관을 기본으로 하면서 리와 기의 관계를 주자와 율곡의 입장을 견지하여 ‘理氣不相離不相雜’의 리와 기의 묘합을 주장한다. 리와 기의 발용에 있어서, 기의 발용만을 주장하여 율곡의 ‘氣發理乘’의 논리를 계승한다. 또한 사물의 변화 과정에 있어서, 리는 보편성을 갖는 것으로 시간과 공간에 구애되지 않고, 기는 천차만별하여 차별성을 가지고 있음으로 국한된다고 하여, 율곡의 ‘理通氣局’의 논리를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렇게 볼 때 명재의 리기론은 율곡 리기론의 입장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심성론에서는 명재는 인심도심에 대한 논의를 가장 심도 있게 전개한다. 이는 명재가 심을 중시하였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심을 중시한다고 하여 심학인 것은 아니다. 명재는 도심, 인심, 인욕은 모두 일심의 발현이며, 본연의 마음이 과불급으로 인해 가려져 인심이 된다고 하였다. 인심은 성인도 없을 수 없으며, 인심은 불선 그 자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마땅히 욕구할 것을 욕구하는 것은 상지의 인심이고, 마땅히 욕구해서는 안 될 것을 욕구하는 것은 보통 사람의 인욕이라는 것이다. 본심이 과불급이 없이 바르게 작용한 것이 도심이고, 과불급하여 잘 못 작용한 것이 인심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심을 도심, 인심, 인욕 삼층으로 설명하였는데 이는 명재의 특징이라고 하겠다. 명재의 수양론은 內實과 內修에 힘써 實心을 함양하고 발휘하는 실천적 修養學이라 하겠다. 명재는 독서 궁리의 학문방법을 제시하고, 입지를 수기의 기반으로 한다. 입지가 서면 실심이 서고, 실심이 서면 실공에 힘쓸 수 있고, 실덕에 이를 수 있다는 무실적 수양론이다. 명재의 이와 같은 유학사상은 현대사회의 민족모순, 종교전쟁, 인성위기, 교육위기 등 현대적 병폐를 해결함에 지혜와 방법을 제시한다. 명재의 일심, 본심에 대한 강조는 본원에서 인간의 마음은 성인과 보통 사람에 차이가 없으며, 보통 사람도 후천적 수양을 통하여 성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명재의 인간 평등사상의 기초적인 논리라고 하겠다. 또한 학문함에 있어서 명재는 지행합일의 전인적 교육을 주장한다. 이는 인간의 평등은 인류사회의 최종목표이며, 인간이 인간다워야 함은 가장 기본적인 학문이다. 이에 명재의 유학사상은 현대사회 더욱이는 그 어느 시대에도 반드시 지켜야 할 평등이념이며 교육이념이다. 明齋尹拯(1629-1714)所處的17-18世紀的朝鮮社會是在內憂外患的雙重壓力下苦思國家發展和民族複興的抉擇期。丙子·丁卯胡亂帶來的民族自尊心的喪失和主體性的動搖、黨派之爭帶來的社會公德的喪失、父親尹宣擧的江都之事帶來的心的矛盾,這三者任何一個都是讓明齋失去德性的契機。但是明齋一生在民間毫不動搖地度過了在國家層面上是忠臣良民、在學問上是實踐儒學家、在家庭中是當孝子的純儒生活。本論文從理氣論、心性論、修養論等三個方面考察了明齋的儒學思想幷展開了其現代意義。在理氣論上明齋沒有提出自己特定觀點和理論。在理氣的關系上明齋繼承朱子和栗穀的立場,主張理氣二元的本體論,堅持‘理氣不相離不相雜’的理氣之妙合。在理氣的‘動靜’上只承認氣的動靜,繼承栗穀的‘氣發理乘’的邏輯。明齋認爲在事物的變化過程中理具有普遍性的特點,所以不局限於時間和空間,但氣是千差萬別具有差別性,所以局限於時間和空間,堅持了栗穀的‘理通氣局’思想。如此,明齋的理氣論忠實地繼承著栗穀理氣論的立場。在心性論上明齋著重闡述‘人心道心論’,這是明齋重視‘心’的表現。但是重視心不一定是‘心學’。明齋認爲道心、人心、人欲都是一心之發,因本然之心被氣所蔽過不及而變成人心。聖人也不能沒有人心,人心有善有惡,不是本不善。欲當欲是上智的人心,欲當不欲是普通人的人欲。本然之心無過不及的是道心,有過不及的是人心。在這裏明齋以道心、人心、人欲三層說來解釋‘心’呈現了自己的特色。明齋修養論是致力於內實和內修的涵養和發揮實心作用的實踐修養學。他提出讀書窮理的學問方法,把立志作爲修己的基礎。認爲立志而後立實心,立實心才能勤於實踐達到實德的務實的修養論。現代社會面臨著民族矛盾、宗敎戰爭、人性危機和敎育危機等社會問題,對這些問題的解決明齋的上述儒學思想提供智慧和方法。明齋對一心、本心的特別重視,這是因爲他認爲在本原上人心沒有聖人和凡人的差異,凡人也通過後天的修養可以成爲聖人。這就給人類提供了平等的前提,是明齋人類平等思想的思維前提。在敎育上明齋主張‘知行合一’的全能敎育。他認爲單單掌握理論不可以,必須把理論付諸於實踐才能成爲眞正地知識,才能實德。人類的平等是人類社會的最終目標,人之爲人是最基本的學問。爲此,明齋的儒學思想是現代社會以至任何時代都要堅持的平等理念和敎育理念。

      • KCI등재

        신유학의『대학』텍스트와 유종주의 대학관

        신현승 ( Hyun Seung Shi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3 儒學硏究 Vol.28 No.-

        이 논고에서는 「신유학의 대학 텍스트와 유종주劉宗周의 대학관」이라는 주제 하에 중국송명대(宋明代)에 신유학으로 등장하는 주자학과 양명학의 핵심 문제를 사서(四書)와 『대학』해석의 차이에서 인식하고, 명대 말기 대표적 유학자인 劉宗周(1578-1645)의 대학관(大學觀)의 양상이 어떠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송명대의 주요한 사상적 담론에 대해『大學』해석을 둘러싼 문제로 인식하고, 그 해석의 중심에 놓인 것이 무엇이며 중국 명대(明代)말기주자학과 양명학의 양 진영을 사상적으로 넘나든 劉宗周의『大學』觀과 이념이 어떠했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劉宗周의 경우『大學』이라는 텍스트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의 문제의식은 「?大學」이라는 문장에 잘 드러나 있다. 여기에서는 주희와 왕수인의 견해를 모두 비판적으로 바라보면서 ``성의(誠意)``를 전면에 내세우고 신활(愼猾)이라는 키워드로『大學』이라는 텍스트를 이해하면서 자신만의 독특한 사유체계를 제시하고 있다. 즉 이「?大學」은 劉宗周 만년의 ``誠意``와 ``愼猾``에 대한 최종적 정설(定說)이었다 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맥을 같이하여 그는 당시 유행처럼 번졌던『大學』개정에도 힘을 쏟아 대학고문삼의(『大學古文參疑』)라는 텍스트를 저술했는데, 전체의 구성은 일방(壹坊)의 『위석경대학』을 표준으로 삼았고 경(經)-팔조목의 전(傳)이라는 형식을 취하였다. 또 52세 때의 저작인 대학고기약의(大學古記約義)에서도 ``愼猾``의 개념은 변함없이 『大學』의 중심 요지가 되고 있다. This discussion, under the theme of「DaXue Text of Neo-Confucianism and Liu-Zhongzhou`s Viewof DaXue」, is aimed at looking into how was the aspect of the View of DaXue held by the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in the late Ming Dyunasty-Liu-Zongzhou(1578-1645) with the perception of the key issue between Zhuzi-Studies emerging as Neo-Confucianism during the Song & Ming age and Yang-ming Studies as the difference in the interpretation of Sishu and DaXue. In other words, this study perceived the major ideological discourse during the Song & Ming age as the issue over the interpretation of DaXue, and intended to consider how were the view of DaXue and ideology held by Liu-Zongzhou whe ideologically haunted berween the both camps, i.e. Zhuzi-Studies and Yang-ming Studies. In case of Liu-Zongzhou, his critical mind about how to read the text of DaXue is well revealed in the writing of 「Du-DaXue」. In this writing, Liu-Zongzhou sets Cheng-Yi at the head while looking on both Zhu-Xi and Wang-Shouren`s view unfavorably, and he is suggesting his own unique thinking system while understanding the text of 『DaXue』eith the keyword of Shen-Du. Accorhingly, it may be safely said that this「Du-DaXue」was his final established theory on Dheng-Yi and Shen-Du in his later years In the same vein, Liu-Zongzhou also wrote text titled 『Daxueguwencanyi』 by doing his best for the revision of DaXue, which was spread like a growing trend at that time, and its overall composition made Feng-fang`s 『Weishijingdaxue』as a standard and took the form of Gyeong-Jeon of The-Three Main Principlcs, In addition, even in his 『Daxueguwencanyi』 written when he was 52, the concept of Shen-Du has become the central essentials of DaXue as ever.

      • KCI등재

        연구논문 : 동학 신 관념의 세 가지 사상적 연원-무속,천주학,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황종원 ( Jong Won Hwa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5 儒學硏究 Vol.32 No.-

        이 글은 동학의 신 관념이 무속·천주학·유학과 어떤 사상적 연원관계를 맺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이 셋의 창조적 융합이 지닌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제우의 종교 체험은 무당의 트랜스와 유사하고 이를 계기로 형성된 신 관념에는 고대 하늘님 신앙을 계승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그의 체험이 자기의식을 뚜렷이 유지한 상태에서 이성적·인격적 대화로 이루어졌고, 그가 다신론적 귀신 관념을 유일신적 입장에서 비판했다는 점에서 그것은 무속과 다르며 오히려 천주학에 가깝다. 최제우는 천주학에 대한 탄압이 상대적으로 느슨해진 시대에 천주교 교리서를 접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자신이 만난 신을 천주교의 천주와 동일시하여 천주라는 호칭을 사용했다. 그렇지만 그는 천주학이 신의 초월성·인격성만 강조할 뿐, 신이 내재적·비인격적이기도 하다는 점을 모른다고 비판했다. 이렇게 그가 신의 내재성과 비인격성을 강조한 것은 전통 유학적 사유의 반영이다. 동학이 초월적 인격신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다는 점에서는 유학과 다르지만, 초월적 존재가 기화를 매개로 인간 안에 내재하고 초월성보다는 내재성을 더 강조했다는 점은 유학적 사유의 영향이다. 이러한 사유방식은 최시형에 의해 신의 자연 내재성에 대한 강조로 계승되어, 초월적 인격신과 유학의 천지 관념을 융합시키는 것으로 발전되었다. 무속·천주학·유학을 창조적으로 융합한 동학의 신 관념은 다음 세 가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종교적 측면에서 무속과 천주학의 융합으로 신앙과 이성이 균형을 이룰 수 있었다. 둘째, 신과 인간의 관계라는 측면에서 천주학과 유학의 융합으로 초월적 인격신을 신앙하면서도 주된 관심이 내면의 수양과 타인에 대한 공경의 실천에 집중될 수 있었다. 셋째, 신과 자연의 관계라는 측면에서 천주학과 유학의 융합으로 천주는 만물을 창조하고 기르는 주체로 명확히 인정되면서도 신의 기운이 직접 생명체에 내재한다는 사유를 낳아 생명 존중과 경외의 실천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This paper explores how the concept of the deity in Donghak (Eastern Learning) is related to shamanism, Catholicism, and Confucianism, and attempts to expound the significance of the deity in Donghak which conflated the highest entities in the three religious traditions. Choe Je-u`s religious experience is similar to the shamanic trance, and his idea of the deity came partly from the ancient faith in heaven. Even so, his understanding of the deity is more related to Catholic theism in that his religious experience occurred consciously through rational and personal conversations, and he criticized the pantheistic element of shamanism from the monotheistic viewpoint. Choe seems to have lived in a period when the persecution of Catholic christians was not severe, and he identified the deity he experienced with God in Catholicism and called it Tianju. But he argued that Catholicism just stresses the transcendant and personal aspects of the deity and criticized Catholicism for not acknowledging the immanent and non-personal aspects. His emphasis on the immanent and non-personal facets of the god reveals his Confucian approaches. Donghak is distinguished from Confucianism since it endorses a transcendant personal god, but it also has Confucian influence in that it holds that the transcendant being is immanent in human beings. This understanding of the deity was succeeded by Choe Si-hyeong, who emphasized the natural immanence of the deity and conflated the Catholic transcendant personal god and Confucian concept of heaven and earth. The concept of deity in Donghak is the amalgam of the deities in shamanism, Catholicism, and Confucianism, and its significance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in a religious point of view Donghak`s concept of deity adopted shamanic and Catholic elements and can be viewed as a balanced outcome between faith and reason. Second, in terms of the divine and human relationship, Donghak embraced Catholic and Confucian ideas and emphasized self inner cultivation and respect for others while keeping faith in the transcendant personal deity. Thir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ity and nature, Donghak conflated Catholic and Confucian approaches and held that the deity created and natures all things and human beings have divine sacred elements. This understanding of the deity and nature functioned as an ideological encouragement for humans to respect for life and practice moral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