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치료 연구에서 예술가의 작품 속 치료요인 분석에 대한 동향 분석

        안미예,한영희,남현우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24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최근 23년간 국내에서 발표한 미술치료 연구논문에서 예술가의 작품 속 치료요인 분석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연구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23년까지 연구된 예술가의 작품 분석에 관한 미술치료 학술지 77편 중 연구 목적에 적합한 69편을 연도, 예술가, 연구 관점, 연구 매체, 연구 주제, 연구의 치료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도별 동향은 23년 동안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2006년부터 연구가 급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예술가를 미술사조의 흐름에 따라 살펴보면 남성 예술가는 표현주의가 16.4%, 여성 예술가는 근현대가 12.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분석 관점 동향을 살펴보면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진행되는 연구가 26.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매체 동향은 회화, 자화상 등의 2차원 매체가 72.1%로 가장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주제 동향은 미술치료, 미술의 치료요인, 색채심리, 트라우마, 죽음과 관련된 주제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주제어의 내용은 예술가들이 정신적·심리적 어려움을 작품활동을 통해 치료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여섯째, 예술가가 작품활동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치료요인이 87.1%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특히 예술가들은 작품활동을 통해 ‘승화’와 ‘카타르시스’를 주로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외에도 예술가의 작품을 감상하는 감상자도 예술가처럼 치료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술가의 작품 속 치료요인을 분석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 치료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정리하고 이후 다양한 방향으로 미술치료의 연구가 진행될 기초자료를 제공한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예술가들의 작품이 가지는 치료요인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향후 감상자가 경험할 수 있는 치료요인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the analysis of therapeutic factors in artists' works in art therapy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 over the past 23 years, and proposed the direction of where art therapy research should be heading based on the results. To this end, among the 77 art therapy journal articles on the analysis of artists' works studied from 2001 to 2023, 69 articles suitable for the research purpose were analyzed by year, artist, research perspective, research medium, research topic, and treatment factors of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trends by year show that research has continued for 23 years, and that research has increased rapidly since 2006. Second, when looking at artists according to the flow of art trends, expressionism was the highest among male artists at 16.4%, and modern and contemporary among female artists was highest at 12.9%. Third, looking at the trend of the analysis perspective, it was found that 26.1%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Fourth, research media trends showed that two-dimensional media such as paintings and self-portraits were the most studied at 72.1%. Fifth, the research topic trends were in the order of art therapy, art therapeutic factors of art, color psychology, trauma, and death-related topics. The content of these key words shows that artists are treating ment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rough work activities. Sixth, the most common therapeutic factors experienced by artists through their work, accounting for 87.1%.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artists mainly experienced 'sublimation' and 'catharsis' through their work activit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viewers who appreciate an artist's work also experience therapy effect just like the arti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ystematically analyzed and organized the therapeutic factors in papers that analyzed the therapeutic factors in artists' works, and provided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art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nderstanding of the therapeutic factors of artists' creations and provide basic data for research on therapeutic factors that viewers can experience in the future.

      • KCI등재

        예술치료사와 예술치료전문가의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최세민,오승주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19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needs of arts therapists and arts therapy professionals for research ethics. This study includes 109 people who were 103 arts therapists and 6 arts therapy professionals. The arts therapists majored in arts therapy at graduate school and have working as therapist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arts therapis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background variables including academic credential, research exper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experience and experience of publishing an article. And the arts therapy professionals were asked to give their opinions on the necessity of research ethics and which themes should be dealt with in research ethics for arts therapist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rts therapists weren't well aware of research ethics in general. Next,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among them in research ethics awareness according to the themes of research ethics areas and their own background variables was analyzed. As a resul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confidentiality, plagiarism, redundant publication and the code of ethics for therapist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data management, author qualifications, conflicts of interests, data manipulation, the method of citation and the publication of finding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Finally, the awareness and needs of the arts therapy professionals were as follows: First, the arts therapy professionals were highly cognizant of the need for research ethics education. Second, as for the major areas of research ethics for arts therapists, they commented that research methodology including how to write a paper should be included as one of the major areas. Third, as to an educational institution of research ethics for arts therapists, they commented that a college or graduate school which was to education arts therapists would be most appropriate. Fourth, concerning the reason why research ethics was important for arts therapists, their opinion was that those whom arts therapists research were socially disadvantaged, and that it focused on humans. Fifth, regarding how to make research ethics take root among arts therapists, they stressed that not only the rol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but those of related academic societies were of importance. 본 연구는 예술치료사와 예술치료전문가의 연구윤리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대학에서 예술치료를 전공하였거나 대학원과정에서 예술치료를 전공하고 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치료사 103 명과 예술치료 전문가 6명 등 전체 109명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예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다음 학력, 연구경험, 연구윤리 수강경험, 학술논문 출판경험 등 배경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예술치료 전문가를 대상으로는 전문가가 인식한 연구윤리의 필요성과 예술치료사의 연구윤리에서 다루어야 할 주제 등과 관련된 요구 를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절차와 방법을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예술치료사의 연구윤리 인식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윤리 영역별 주제 및 치료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인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첫째, 비밀보장, 표절, 중복게재 및 치료사 윤리강령 등은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데이터 처리방법, 저자 자격기준, 이해충돌, 데이터 조작, 인용방법, 연구결과 발표 등은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끝으로 예술치료 전문가들의 인식 및 요구는 첫째, 예술치료사의 연구윤 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 둘째, 예술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윤리의 주요 영역에는 논문작성방법을 포함한 연구방법론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셋째. 예술치료사를 대상 연구윤리 교육기관으로는 예술치료사 양성대학(원)이 가장 적합하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넷째, 예술치료사들에게 연구윤리가 중요한 이유에 대하여는 예술치료사의 연구대상이 사회적 약자이고 또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이기 때문이라 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예술치료사의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예술치료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뿐 아니라 관련 학술단체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 하였다.

      • KCI등재

        MBCT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 우울,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김태연,임나영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24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마음챙김 인지치료(MBCT)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노인주간보호센터를 다니고 있는 만 65세 이상 노인 중 경증치매 진단을 받고 K-MMSE를 실시하여 23점 이하의 점수를 받은 노인으로 실험집단 14명, 통제집단 18명으로 최종 선정되었다. 실험집단을 4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주 1회, 60분씩, 12주간 총 12회기의 MBCT를 활용한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검사(K-MMSE), 한국형 노인 우울 간이척도(K-GDS), 노인의 생의 의미 척도(EMIL)를 사전-사후로 실시하고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의 윌콕슨 부호 순위 검증(Wilcoxon Signed-Rank Test)을 통해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집단 참여자들의 프로그램 단계별 행동특성을 관찰, 기록하여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인지기능은 MBCT를 활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실험집단의 우울, 삶의의미가 유의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셋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기치매노인 참여자의 단계별 행동특성을 살펴본 결과, MBCT를 활용한 미술치료를 통해 우울이 감소하고 삶의 의미가 긍정적으로 향상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MBCT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우울 감소와 삶의 의미 향상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초기치매노인에게 MBCT를 미술치료와 융합하여 시각화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제안하였으며 초기치매노인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비약물적 치료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using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the meaning of life in elderly with early stage dementia.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32 participants aged 65 or older who were diagnosed with mild dementia and scored 23 or below on K-MMSE. Among them, 14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8 to the control group, who attended a senior day care center in Gyeonggi-do, South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12 sessions of art therapy with MBCT, with sessions lasting 60 minutes and taking place once a week for 12 weeks. To assess the program's effects, K-MMSE, K-GDS, and EMIL scale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in SPSS 25.0. Additionally,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nts were observed and recorded throughout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art therapy program using MBCT.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in depression and meaning of lif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when examin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ith early stage dementia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t was found that art therapy using MBCT led to a reduction in depression and a positive enhancement in the meaning of life.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art therapy using MBCT is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with early stage dementia and may contribute to reducing depression and enhancing the meaning of lif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eveloped and proposed a program for elderly people with early stage of dementia to visualize and easily access MBCT by combining it with art therapy,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psychological support of elderly people with early dementia.

      • KCI등재

        국내 1세대 음악치료사의 삶에 관한 생애사 연구: 작은 씨앗에서 열매를 맺기까지

        소라엘,김동민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20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professional establishment of music therapy in Korea by looking into the developmental paths of the two pioneer music therapists who were educated and trained in Korean culture.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ultipl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which was then and analyzed using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to incorporate sociocultural perspectives into the research findings. As a results, four domains including, “encountering with music,” “entering the career path of a music therapist,” “strengthening their position as music therapists,” and “role as a pioneer music therapist” were derived along with 9 relevant categories through a holistic-content approach. The research outcome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not only on how music therapy was introduced and developed in Korea academically and professionally but also on future directions in music therap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음악치료 교육을 받은 1세대 음악치료사들의 삶을 통해 국내 음악치료 학문의 정착과 발달 배경을 이해하고, 그들의 전문적 발달 여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두 명의 한국 음악치료 선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생애사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사회문화적 환경의 맥락과 함께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총체적 내용 접근으로 전문성 발달과 의미에 대한 코딩 및 범주화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9개의 범주와 함께 ‘음악과 조우하기,’ ‘음악치료사의 길로 들어서기,’ ‘음악치료사로 바로서기,’ ‘1세대 음악치료사로서 역할하기’ 등 4개의 영역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국내 음악치료의 학문적, 직업적 정착과 발전과정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며, 앞으로 한국 음악치료가 발전해나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한방신경정신과 한의원에서의 음악과 심상(Music and Imagery)치료를 통한 우울 감소 사례연구

        조현아,유종호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19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ful result of music and imagery (MI) therapy which is one of the music therapy techniques to reduce depression of a client in a Korean oriental neuropsychiatric clinic. In an oriental neuropsychiatry clinic, six sessions of music and imagery (MI) therapy was given to one client. As a result, the client's self-report presents that music helped the client to express her feelings safely. Moreover, imagery which was induced by music helped the client to identify her own supportive resources, thereby enabling internal work such as searching for causes of fear. After MI, BDI-2 scores showed decreased level of depression of the client indicating reduced scores (27 in the pre test but 9 in the post test). Moreover, the additional Hwa-byung scale also showed a reduction of the client’s negative feeling (29 in the pre test but 18 in the post t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upportive level of MI can be used as an adjunctive therapy for relieving depression of clients in Korean oriental neuropsychiatry.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한방신경정신과 한의원에서 내원환자의 우울 감소를 위하여 음악치료 기법 중 하나인 음악과 심상(Music and Imagery: MI) 치료를 실시하였을 때의 의미 있는 결과를 보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연구 절차 및 방법으로는 한방신경정신과 한의원에 내원하여 주요우울장애로 진단된 내담자 1인에게 6회기의 지지적 수준의 음악과 심상(MI)치료를 실시하였으며 내담자의 자기보고 및 사전 사후 BDI-2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MI 치료는 매 회기 음악이 내담자 감정의 안전한 표현을 도왔고, 음악으로 유도된 심상은 내담자의 지지적 자원을 다시 확인하는 데 도움을 주어 두려움 원인 탐색 등의 내적 작업을 가능하게 하였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BDI-2 점수는 MI 치료 후 내담자의 우울개선(BDI-2 사전 27, 사후 8)을 나타내었다. 더불어 추가적으로 실시한 Hwa-byung척도에서 내담자의 화가 감소(사전 29, 사후 18)되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지적 수준의 MI 치료가 한방신경정신과 한의원 내원환자의 우울완화를 위하여 부가적 치료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나아가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생의학적 접근 외에 통합적(integrative)이고 전체적(holistic) 접근의 중요성 및 기존 생의학적 치료에서의 예술치료 도입의 의의를 시사한다.

      • KCI등재

        발달과정을 중심으로 본 석사과정생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미술치료 실습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도연,이홍숙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23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석사과정생의 발달 과정을 중심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 병동 미술치료 임상실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하여 4인의 연구참여자의 단독 인터뷰를 통해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미술치료 임상실습 경험을 탐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4명의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으로 이들은 각자 6개월에서 2년 동안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에서 미술치료 임상실습을 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5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고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기대와 두려움을 가지고 임상실습을 시작함, 어려움을 해결해 나가면서 현장에 적응함, 미술치료의 역할과 가치를 이해하고 미술치료사의 역할을 자각함, 내담자의 죽음으로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며 삶과 죽음을 성찰함, 성찰을 통해 미술치료사로서의 정체성을 발달시킴’이다. 미술치료 석사과정생들은 자신이 가진 미술치료 이론을 바탕으로 경험하는 임상실습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면서 자신의 삶과 미술치료에 대한 성찰 과정을 거쳐 전문성을 갖춘 미술치료사로 성장하기 시작한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 병동 임상실습 과정을 통해 석사과정생이 초보 미술치료사로 전문성을 갖춰가는 과정을 확인했다는 의의가 있으며 이상의 연구결과는 미술치료사의 초기 발달과정을 이해함과 동시에 미술치료 석사과정생들의 호스피스 임상실습현장에서의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운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비대면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진효원,최명선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22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비대면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1~4학년 대학생 18명을 대상자로 구성하였고, 매주 1회 90분 총 10회기 동안 ZOOM 을 사용하여 비대면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에는 처치 없이 실험집단과 동일하게 사전-사후 검사만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도구는 자아존중감 척도와 자기표현척도(RAS)를사용하였다. 연구 자료 처리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집단 간의 동질성을 살펴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Mann - Whitney U 검증과 효과성 검증을 위해 Willcoxon singned –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회기별 작성된 관찰 기록지와 녹화된 내용, 작품, 참여자들이 직접 작성한 회기별 소감을 토대로 참여자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비대면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비대면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의 실시과정에서 나타난 대학생들은 자기 신뢰, 자기표현의 어려움 감소 및 자신감 증진과 같은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의 질적인 부분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따라서 비대면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발견하고 언택트 시대에서 표현예술심리치료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비대면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untact group expressive art psycho-therapy programs on the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of college students. We conducted the untact group expressive art psychotherapy program using ZOOM to eighteen university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a total of 10 sessions of 90 minutes once a week. Control group also underwent the pre-test and post-test in the same way a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elf-Esteem Inventory and the Rathus Assertive Scale (RAS) were used as the research too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self-esteem and self-assertiveness in two groups, non-parametric Mann Whitney-U 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as a pre-post comparis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reported in the untact group expressive art psychotherapy program on the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s. Second, the effect of the untact group expressive art psycho-therapy program on the self-assertiveness of college studen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ird, during the course of the untact group integrative art psychotherapy, the participating college stude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ir self-esteem and self-assertiveness. Therefore, the study is meaningful in discovering new possibilities of the untact group expressive art psychotherapy, suggesting the direction for the expressive art psychotherapy program in this untact era, and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the untact group expressive art psychotherapy program.

      • KCI등재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미술치료: 개념, 잠정적 정의,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곽민정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22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2 No.2

        The current study aims to discuss the theoretical concept and tentative definition of art therapy using metaverse platform, introduce previous cases of the metaverse-based art healing programs in Korea, and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art therapy utilizing metaverse platform. Before providing a tentative definition, we discussed the therapeutic implication of virtual space and digital media, and suggested the possible range of art therapy clinical practice in the metaverse. The use of virtual space and digital media makes it possible to integrate sensual experiences and unreal elements in the unconscious. In the metaverse platform, either a therapist or a client can have opportunities to create a healing space in which the client can recover and grow.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herapeutic function of metaverse and digital media, we defined the art therapy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as 'The art therapy intervention offered by an art therapist by using a therapeutic digital art media in metaverse; which allows a client to interact with the art therapist, promote the expression of one’s desires, emotions, and thoughts, enhance the self-understanding, and foster therapeutic growth.’ Findings from the metaverse-based art healing programs in Korea indicate that the participants can engage in the therapeutic experience either individual or in community-wise by creative and dynamic interaction with therapeutic digital art media.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미술치료의 개념과 잠정적 정의에 대해 논의하고 메타버스 플랫폼 기반 국내 미술 치료적 개입 사례들을 소개하며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들인 가상공간과 디지털 매체의 치유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고,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서 가능한 미술치료 임상의 범위를 제안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미술치료의 잠정적 정의를 제시했다. 가상의 실재감과 익명성이 특징인 가상공간에서 디지털 매체의 활용은 개인의 무의식에 존재하는 감각적인 경험과 비현실적인 요소들의 통합이 가능케 하기에, 메타버스에서 치료사 혹은 내담자가 치유적 공간을 만들고 그 안에서 재창조된 존재로서 회복하고 성장할 수 있는 창조적 기회들을 제공한다. 메타버스, 가상공간 및 디지털 미디어의 특징 및 치유적 기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미술치료를 ‘메타버스에 구현된 가상공간에서 디지털로 변환되거나 디지털 매체를 통해 제작된 치유적 성격을 가진 예술 미디어를 활용하여 미술치료사와 내담자가 상호작용을 하고, 내담자가 자신의 욕구, 감정, 생각들의 표현을 촉진하며, 자기이해 및 성장을 도모하는 치유적 경험을 제공하는 개입’으로 정의한다. 본 잠정적 정의에 포함되는 미술 치료적 개입들을 실시한 국내 사례들을 살펴본 결과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이루어진 미술 치료적 개입들을 경험한 사람들은치료적 성격을 띈 디지털 미디어와의 창의적, 역동적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적, 공동체적 치유의 경험을 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주향기,소혜진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20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care experiences of music therapists.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music therapists currently active in the field for more than three yea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s. As a result, music therapists‘ self-care experiences derived three domains and 26 categories. The emerged domains include: a) self-care motivation; b) personal self-care experience; c) professional self-care exper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music therapists underwent self-knowledge and self-acceptance through self-care experiences, which allowed them to experience positive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ersonal growth. In addition, music therapists who engaged in self-care felt that they grew to understand their clients better and was found to promote client-centered intervention. Therefore, music therapists’ self-care has value as a developmental task for the growth of a music therapist, both personally and professionally. Finally, this study examined music therapist’s self-care experiences and raised the importance of it. The study is meaningful as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self-care strategies and education.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 경험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임상에서 3년 이상, 현재 임상에서 활동하고 있는 음악치료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면담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 경험은 ‘자기돌봄의 동기’, ‘개인적 자기 돌봄 경험’, ‘전문적 자기 돌봄 경험’의 3개 영역과 26가지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음악치료사들은 자기 돌봄을 통하여 자기성찰을 하고 자신을 이해 및 수용하여 주체적 삶의 태도와 타인과의 관계에 긍정적 변화를 경험하며 개인적인 성장을 하였다. 또 음악치료사의 개인적 성장은 내담자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켜 내담자 중심 개입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은 음악치료사의 성장을 위한 발달과업으로서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 경험을 고찰하고, 자기 돌봄의 중요성을 제고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자기 돌봄 전략 및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미술치료사와 예술가의 협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현정,박소정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19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collaboration between art therapists and artists who jointly carried out a cultural therapeutic art program and to examine future development possibilities. Currently, the shapes of art therapy and the roles of therapists are expanding. While the traditional focus of ‘art therapy’ is in clinical matters, art therapy outside the therapy room is mainly used in the form of ‘therapeutic art’ which emphasizes applicability and practicality in various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ir application areas, art therapists cooperate with experts from other genres such as teachers, artists, and art museum employees. Therefore, a harmonious collaboration is considered an essential factor in creating a successful joint project. This study attempted to research the experience of collaboration through 2 art therapists and 2 artists who jointly carried out a cultural therapeutic art program. Semi-structured interviews conducted after the program, observation logs of the researcher, reports written by the art therapists, activity logs of the artists, minutes, photos, and other recorded data were used as research data. The results showed three themes in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collaboration: ‘power struggles’, ‘perception of differences’, and ‘acceptance of one another’. The combination of art therapy and local communities is considered a new possibility for the resolution of psychosocial problems of the community, which need is expected to be greater in the future. This study aims to aid art therapists who are working to create healthy communities to find the role and identity of art therapists and meaning in balance and coexistence with other groups.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을 공동 수행한 미술치료사와 예술가 두 집단이 협업의 경험과 그 의미를 밝히고 향후 발전 가능성을 점검하는 데 있다. 최근 미술치료는 임상성이 강조된 치료실 외에도 응용성과 실용성이 강조된 ‘치료적 미술’(therapeutic art)의 형태로 지역사회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이때 미술치료사는 교사나 예술가, 미술관 재원과 같은 타 장르 전문가들과 협력하게 되며, 두 집단의 유기적 협업은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필수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치료적 미술’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진행한 2명의 미술치료사와 2명의 예술가를 통해 협업의 경험과 그 의미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프로그램 이후 진행한 반구조적 인터뷰를 중심으로 본 연구자의 관찰일지, 미술치료사의 보고서, 예술가의 활동일지 그리고 회의록, 사진 및 녹음자 료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협업의 경험은 ‘힘겨루기’, ‘차이의 인식’, ‘서로에 대한 인정’ 세 단계의 발달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체의 심리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미술치료와 지역사회의 결합은 향후 그 필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는 건강한 지역사회를 위해 노력하는 미술치료사들에게 미술치료사의 역할과 정체성, 타 집단과의 공존과 균형의 의미를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