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宋代 文化形成과 人文學의 發展

        강길중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5 No.-

        송대는 중국 문화의 발전과정에서 선진(先秦)시대의 백가쟁명(百家爭鳴) 이후 중국 사상문화의 제2 발전시기이며 황금시기이다. 송대는 전대(前代)의 풍부하고 다양한 학술사상을 종합하여 정밀하고 깊은 완전한 체계를 갖춘 송학사상체계를 형성하였다. 그리하여 송대 학술문화는 중국문화의 정화(精華)이며, 중국문화사상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인류문화 발전에 걸출한 공헌을 하였다. 송대 문화는 위로는 한당을 계승하고, 아래로는 명청시대를 여는 특징을 갖추고 있었다. 당말오대의 전란과 분쟁은 기존의 사회질서체제에 엄중한 충격을 주었고, 송대는 새롭게 사회조직을 조정하였다. 세속화와 평민화 그리고 인문화 발전 추세가 명확해졌으며, 일련의 조정을 통하여 당중엽부터 시작된 사회구조의 변천은 송대에 이르러 기본적으로 새로운 국면을 조성하였다. 송대 토지제도, 부세제도, 정치조직, 사상문화, 풍속관념 등은 전대에 비해 현저하게 변화되었다. 특히 경제중심의 남천과 문화구조의 변천은 모두 이후 중국 봉건왕조시대 후반기의 특색이며, 중국 역사발전의새로운 단계를 열었다. 송대는 사회경제, 정치, 과기(科技), 문화가 고도로 발전한 시기이다. 송대 문화는 풍부하고 깊은 연원(淵源)과 강개(慷慨)한 기세를 가지고 장차 중국 고대문화를 최고봉에 올려놓았다. 이후 천여년 이래 중국민족문화에 깊은 영향을 주었으며, 주변국의 문명 발전에도 커다란 공헌을 하였다. 송대 문화정책은 초기에 수립되어 일관되게 진행되어 300여년간 지속되었다 그것은 당시대와 이후의 중국 고대사회발전에 거대한 영향을 형성하였다. 이것은 독특한 역사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우연한 요인 혹은 어떤 사람의 한 순간의 생각을 말한것이 단독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그것은 반드시 여러 가지 역사조건의 상호 작용의 결과이다. 또한 역사발전의 필연성과 우연성이 통일된 결과이다. 송대 문화 정책의 관용은 먼저 중구 다원화 문화 국면과 관명한 문화정책의 우수한 역사가 전승된 것에 있다. 송대는 사회경제, 정치, 학술 등 여러 방면에서 모두 전면고도발전의 시기를 실현하였다. 특히 황제권 강화를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제를 고도로 강화하였다. 이러한 체제는 과거를 통해 등장한 문신관료사대부계층을 기초로 전대의 세습문벌귀족제 사회를 대신하였다. 이러한 제 방면의 변화는 완전히 사회모습을 열었다. 이 체제는 자연히 송학의 발전과 학문경향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송대 문화는 중국문화 발전사상 풍부한 내용과 현실성 등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 다. 그 형성배경 가운데 하나는 사회경제발전과 정부의 중문중교(重文重敎)의 정책을 들 수 잇으며, 이외에 송대가 제공하였던 문화 발전에 양호한 기회에 있다. 당송시기 사회변화는 문화발전에 강력한 활력을 주었으며, 국내외 민족융합과 문화교류는 발전에 충분히 문화발전의 분위기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정치경제와 사회적 배경아래 형성된 송 문화는 과도기성, 의리(義理)성, 무실(務實)성, 보급성, 수용(收用)성 그리고 정합(整合)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서민계층을 중심으로 한 서민문화(世俗文化)가 크게 발전하였다. 서민문화의 실용성과 생동(生動)감이 풍부한 문화는 점차 송대 문화의 특징으로 발전되었다. 이러한 송대 문화의 징은 사회생산력의 증가와 더불어 출판인쇄술 발전이 서적 보급의 확대 를 가져왔으며, 학문의 보편화를 조성하여 자연스럽게 학술문화 진흥의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또한 경제발전과 번영에 따라 농업, 수공업자 그리고 일련의 상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막론하고 모두 자신의 문화적 요구를 갖고자 하였으며, 서민문화도 이러한 사회변화에 적응하며 발생하였다. 즉 문화의 보편화와 서민화에 대해 소홀히 할 수 없는 관건의 하나는, 송대가 후세문화발전의 기초를 이루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서민문화가 송대 문화의 주체이며, 이후 중국문화발전의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송대 문화 보급원인의 하나는 정형화된 과거제도와 국가가 실시한 중문중교 등 기본정책을 들 수 있다. 송학의 흥기는 이성주의 학문의 발전을 촉진하였으며, 사회 전체에 인문학 연구의 풍조를 조성하였다. 송학은 자연, 사회, 인간을 일체(一體)로 융합하고, 고대 이래 중국 사상을 조화롭게 집대성하였으며, 정치, 사상, 인성(人性), 교육 등 각 영역을 광범위하게 언급하였다. 송학은 장구(章句)학에 구속되지 않고 의리지학을 중시하였다. 이것은 송대 문화특징의 형성에 중요한 작용을 하였다. 송대 문화의 이성화(理性化) 경향은 각 문화영역에 충분히 반영되어 인간성(人性) 연구의 표적이 되었으며, 송문화의 인간성(人間性)과 사회상 학문의 보편화를 이루게 하였다. 그리하여 일반인들이 관리에 추천되어 선발될 기회가 크게 증가하였다. 宋代是繼先秦時代百家爭鳴之後, 中國思想文化的第二重要的發展時期和黃金時期.宋代綜合前代豊富多樣的學術思想, 形成了精深完備的宋學思想體系. 宋代學術文化可謂中國文化的精華, 在中國文化史上獨領風騷, 竝對人類文化發展做出了傑出貢獻. 宋代文化具有上承漢唐, 下啓明淸的時代特徵. 唐末五代的戰亂紛爭嚴重衝擊了旣存的社會秩序體制, 宋代重新調整社會組織. 明確表現出世俗化、平民化以及人文化發展趨勢. 經過一系列的調整, 自唐中葉開始的社會結構演變, 至宋代基本造成新的格局. 宋代土地制度、賦稅制度、政制結構、思想文化、風俗觀念等等, 明顯不同于前代. 尤其,經濟重心的南遷和文化結構的變遷, 都顯現出自此以後的中國封建時代後半期的特色,開啓了中國歷史發展的新階段. 宋代是社會經濟、政治、科技、文化高度發展的時期. 宋代文化以豊厚的底蘊、深遠的思想淵源、慷慨的氣勢, 將中國古代文化推進到了最高峰. 不僅給近千年來的中國文化帶來極其深刻的影響, 而且對周邊國家的文明發展都做出了巨大的貢獻. 宋代的文化政策自宋初確立, 一以貫之, 連續了是三百年, 對當時代以及此後的中國古代社會發展形成巨大影響. 這是一種獨特的歷史現象, 這一現象之産生, 當非偶然因素或者說某個人的一念之想能夠單獨促成的. 它必定是多種歷史條件交互作用的結果, 亦卽歷史發展的必然性與偶然性統一的結果. 宋代文化政策之寬明, 首要源於以前中國多元文化格局及寬明文化政策的優秀歷史傳承. 宋代是政治、經濟、學術思想、敎育文化等諸方面均實現全面高度發展的時期. 尤其是, 由以皇權强化爲中心的中央集權制. 這一體制以通過科擧考試出仕的文臣官僚士大夫階層爲基礎, 代替前代世襲門閥貴族的體制. 從而形成了全新的社會風貌. 這一體制自然影響到宋學的發展方向及學問傾向. 宋代文化是在中國文化發展史上, 包括豊富的內容含意和現實性等强烈的生命力. 其形成背景中之一, 爲社會經濟發展和政府的重文重敎的政策, 且有靠宋朝提供的各方面良好的政策. 就在唐宋時期的社會變化提供了對文化發展的强烈的活力, 且國內外民族融合和文化交流也充分地提供了文化發展的環境. 在這種政治經濟等歷史背景下生成的宋代文化, 就有過渡期性、義理性、務實性、普及性、兼用性和整合性等特點. 宋代社會文化是以庶民階層爲中心, 庶民文化的實用性和生動感逐漸發展成爲宋代文化的特徵. 宋代印刷術高度發展, 造成了書籍普及, 亦造成了學問的普遍化, 由此自然形成學術文化振興的風潮. 然伴社會經濟發展和繁榮, 無論農業、手工業還是商業群體必然有自己的文化需要, 庶民文化正是適應這樣的社會需要而發生竝發展的. 就文化的普遍化而庶民化而言, 不可疏忽的關鍵一點是, 宋代爲後文化建立發展奠定了基礎. 因此可以說, 庶民文化旣是宋代文化的主體, 也成爲以後中國文化發展的方向. 宋代文化普及的原因之一, 是定型化的科擧制度和國家重文重敎等基本政策. 宋學的興起, 促進了理性主義學問的發展, 造成社會整體硏究人文學的風氣. 宋學鎔鑄自然、社會、人間爲一體, 集古來中國思想之大成, 而廣泛涉及政治、思想、人性、敎育等各領域. 宋學不拘泥于章句之學, 而注重義理之學, 這對宋代文化特徵的確立起到了關鍵作用.宋代文化的理性化傾向, 充分反映各個文化領域, 硏究人性的目標, 促成了宋文化的人間性以及社會上學問的普遍化, 因之一般人推選爲官吏的機會大大增加, 這也促成使人們通過學問來追求提升自身的社會地位. 一般來講, 宋代理學家都重視哲理思辨. 他們以理說天, 把天人合一的思想推向了新次元的位置. 他們提倡通物格物致知、內省愼獨來發明人間本心, 主張嚴格的道德自律. 他們爲內省外王之學提供理論基礎. 內省無非明天理, 外王無非行天理.綜上可見, 宋代學術文化的理性化特徵, 在各個文化領域有着普遍的反映. 宋代是物質文明和情神文明所達到高度的地位, 在中國整個封建社會歷史時期之內, 可以說是空前絶後的. 這證明了宋朝文化在中國文化史上的重要地位. 宋代文化在傳統性文化特徵上具有兼用情神、創新思想、經世理念、理性態度、民族意識、平等觀念等時代的特徵,在中國文化史上有着承上啓下、繼往開來的歷史意識. 宋文化不對其後的中國歷史和文化産生了深遠的影響, 而且在當時北方遊牧民族國家和東亞細亞儒學文化圈國家發揮了主導作用, 竝極大左右了這些國家未來的文化方向.

      • KCI등재

        The Trans-National Ties of Koryeoins in Russia to Korea

        임영상(Young-Sang YIM)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역사문화연구 Vol.38 No.-

        페레스트로이카와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고려인과 한국의 초국적 연계를 한인종교단체(제2장)와 NGO(제3장)와의 협력을 통해 살펴보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지난 20여 년 동안 한국 내 많은 종교단체들이 CIS 선교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여왔다. 필자는 종교단체의 경우, 3가지 종교집단을 살펴보았다: 1985년에 설립된 초교파적인 러시아(소련)선교회, 문화선교로 러시아 및 고려인사회에 기여해온 모스크바 삼일문화원, 그리고 원불교가 세운 모스크바 원광한국학교. 현재 구소련 14개 지역에 38명의 선교사를 파송하고 있는 소련선교회(1984년 설립)는, ①노어성경 보급 및 문서선교, ②러시아어 강좌 및 선교사명자 훈련, ③선교사 파송 및 후원관리, ④선교사대회 개최 후원, ⑤CIS교회 지도자 초청훈련, 및 ⑥국내 체류 외국인 선교 등을 중요사역으로 시행하고 있다. 기독교 선교사로 목회활동과 함께 문화선교를 통해 고려인을 섬겨온 사례로 1995년 8월 15일 설립된 모스크바 삼일문화원이 있다. 그는 무료대여 도서관을 운영하면서 한국문화에 관심을 가진 러시아인과 고려인들과 부단하게 만나는 한편, 『베라 이 지즈니(믿음과 삶)』 잡지를 한국어와 러시아어판으로 간행했다. 그는 한국학 전문가인 러시아인 학자들과 또 고려인 학자들에게 투고 기회를 제공하면서 친구관계를 맺어왔다. 이형근 원장은 이를 기반으로 이기백 교수의 『한국사신론』의 러시아판 등 한국을 알릴 수 있는 학술서와 문학작품을 출판하고, 각종 기념일을 맞아 국제학술행사를 개최해왔다. 모스크바에서 한인선교사들의 개신교회 못지않게 고려인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이 원불교이다. 이는 1991년 12월에 활동을 시작한 원불교가 1993년 1월에 주말한글학교로 세운 원광한국학교 때문이다. 1993년 개교한 원광학교는 총 6학기 3년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매학기 시험을 거쳐 다음 학기로 진급시키고 있다. 원광학교가 모스크바의 명물이 된 것은 연중 특별행사 때문이다: 한민족민속큰잔치(1994년 이래 개최), 한민족민속큰잔치, 어버이날 행사. 현재 러시아에는 고려인사회를 돕는 수많은 한인 NGO들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필자는 학술단체이면서도 고려인사회를 위한 많은 실천적인 활동을 전개해온 (사)해외한민족연구소와 최근 연해주고려인사회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사)동북아평화연대의 활동을 간단하게 살펴본다. (사)해외한민족연구소는(1979년 창립) 1993년부터 학술지 『韓民族共同體』(처음에는 韓民族共榮體)를 연1회 발간했고 학술행사도 연1~2회 개최해왔다. 해외한민족연구소 이윤기 소장은 2009년 외교통상부장관 표창을 받았는데, 1910년 국권상실 이후 해외독립운동기지였던 연변의 용정과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토크의 해외한인사회가 한민족의 동포애를 영원히 기억할 수 있게 한 역사적인업적을 남겼기 때문이다. 1994년 해외한민족연구소는 용정에서 구 대성중학교와 윤동주생가와 명동교회를 복원했으며, 1999년에는 신한촌 망명정부 수립 80돌을 맞아 역사 속으로 사라진 과거의 신한촌 자리에 신한촌기념탑을 건립한 것이다. (사)동북아평화연대는 1996년에 설립된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내 재외동포사업국이 시행한 1997년 고려인 강제이주 70주년을 맞아 “회상의 열차” 사업에서 출발했다. (사)동북아평화연대는 2002년 10월5-6일 제2회 고려인문화의날 행사를 개최, 후원하고는 10월15-28일 연해주 고려인 아리랑가무단을 한국에 초청하여 전국 12개 도시의 순회공연을 통해 연해주 고려인과 한국사회의 만남을 주선했다. (사)동북아평화연대가 러시아 연해주 고려인과 한국사회를 연대시 킨 활동 가운데 최대 성과는 러시아 한인이주 140주년기념관의 개관이라 할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가 전 세계에 흩어져 사는 해외동포들을 위해 지원한 어떤 문화센터보다도 큰 규모인 〈고려인문화센터〉로 명명된 기념관은 동북아평화연대와 재외동포재단이 총 40억 원을 들여 1만㎡ 부지에 지상 2층, 연면적 4천㎡ 규모로 발해시대부터 현재까지 한인들의 연해주 이주 역사를 한눈에 알 수 있는 전시관을 비롯해 한국어와 컴퓨터를 배울 수 있는 교육문화센터, 치과. 내과. 한방. 외과 등을 갖춘 병원, 다목적 공연장, 고려인단체 사무실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how Koryeoins in Russia have been developing the trans-national ties to Korea through collaboration with religious associations (chapter Ⅱ) and NGOs (chapter Ⅲ) since perestroika and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Over the past 20 years, many Korean religious Associations have greatly been interested in spreading the Gospel in CIS countries. I wrote three religious Associations: the Soviet Missionary Association, a group transcending Christian religious bodies which was established in 1985, the Moscow Samil Cultural Center which has contributed to Russia and the Koryeoins’ commutniy and the Moscow Wonkwang Korean School founded by Won Buddhism. The Soviet Missionary Association(founded in 1984) currently has 38 missionaries in 14 former Soviet regions. The Association’s principal missions are: first, sending Russian bibles and spreading the Gospel through documents, second, giving Russian language classes and training missionaries, third, sending and supporting missionaries, fourth, organizing and sponsoring missionaries’ reunion, fifth, inviting and training CIS church leaders, sixth, evangelizing foreigners living in Korea. The Moscow Samil Cultural Center is another example of serving Koryeoins. The Center was founded on August 15, 1995 and its Christian missionaries have spread the Gospel through cultural activities. He went to Moscow with about 2,000 books on Korean history and culture. He opened a library which enabled him to meet Russians and Koryeoins interested in Korean history and culture. Moreover, he published a magazine entitled Faith and Life in Korean and Russian. He encouraged Russian and Koryeoin scholars specializing in Korean studies to write articles for the magazine, thus enhancing friendship with them. In this context, Mr. Lee also published academic books and literary works on Korea such as a Russian version of New Introduction to Korean History written by Professor Lee Gi-baek. He has also organized international academic events on occasions of a variety of anniversaries. Another religion who is as influential as Protestantism spread by Korean missionaries is Won Buddhism. Won Buddhism started its activities in this region in December 1991 and it established the Moscow Wonkwang Korean School, a weekend school teaching hangeul, the Korean alphabet. The Wonkwang Korean School which was opened in 1993 offers a six-semester (three-year) program. The Wonkwang Korean School’s special annual events have contributed to the School’s fame: the Korean People’s Folk Festival(since 1994), the Study Presentation, the Parents’ Event. A large number of Korean NGOs are engaging in a variety of activities designed to help Koryeoins in Russia. I would like to elaborated on the activities of the Institute of Overseas Korean Affairs and the Northeast Asia Peace Movement as examples of such NGOs. The Institute of Overseas Korean Affairs (founded in 1979) has published its academic periodical entitled The Community of Korean People once a year since in 1993 and it has also organized academic events once or twice a year. In 2009, Mr. Lee Yun-gi, director of the Institute received the prize from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especially for historical achievement of helping overseas Korean communities (those in Longjing, Yanbian and Vladivostok, Maritime Province). In 1994, the Institute restored Daeseong Middle School, Yun Dong-ju’s house and Myeongdong Church in Longjing. For commemorating the 8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government in exile, the Institute built in 1999 the New Korean Village monument at the former New Korean Village in Vladivostok which had disappeared. The Northeast Asia Peace Movement was born with the project called the “Train of Memory” which was launched commemorating the 70th anniversary of Koryeoins’ forced emigration in 1997.

      • KCI등재

        遼의 自國에 대한 인식과 중국관

        박지훈(朴志焄)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3 역사문화연구 Vol.48 No.-

        10세기 중엽에서 12세기 초까지 중국역사에서 송과 요는 대치의 시기였다. 이 150여년 동안 송과 요는 두 개의 강대한 정권으로 서로 대결하였는데 전쟁과 평화가 교차되었다. 일반적으로 당시의 중국역사 가운데 송이 대표적인 왕조로 되어있으나 이미 당시에도 남북조 說이 있었다. 요 왕조(907~1125년)가 북방을 통일한 것이 남방에 비해 반세기가 앞서 있었다. 영토면적만으로 보면 요는 송의 2배에 달한다. 요조는 尙武的이고 전투력이 강한 騎兵을 앞세우고 중국 동북, 북과 서북을 향해 진출하여 차지하였고, 전에 없는 효과를 거두었다. 전연의 맹약에 따라 요송 쌍방은 피차에 서로 승인한 ‘남조’, “북조” 라는 두 개의 독립적 왕조가 당시의 역사무대에 출현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송에 관한 기술과 연구가 많이 있으나 요에 대해서는 제대로 평가하지 않았던 점을 극복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거란인 스스로 자신들의 민족과 국가에 대한 생각과 관점 및 중국에 대한 입장을 정리해보았다. 당시 遼人의 著作이 거의 남아있지 않고, 宋人과 蒙古人들의 기술이 대부분이므로 실체를 파악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중국 왕조의 입장에서 서술한 자료에는 요에 대한 왜곡된 시각과 평가가 적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능한 한 요의 입장을 위주로 하여 해석하고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북송과 마찬가지로 요 역시 스스로 중국을 대표한다고 인식하였고 또한 ‘正統’이라고 자처하였다. 상고시기에 유가들은 소위 ‘華夏’와 ‘夷狄’의 구별은 주로 문화에 의한 것이었지 혈통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거란통치자들을 이러한 관념을 접수하였을 뿐 아니라 진일보시켰다. 그들은 요조가 이미 중원의 전통문화를 접수하였다고 하였으며 다시 ‘四夷’의 반열에 속하지 않는다고 하고 마땅히 북송과 병렬한다고 보았다. 우선 중원지역을 지배하게 되면서 北面, 南面에 의한 이중적인 통치 구조를 채택하였다. 우선 북면관에 있어서는 고유성을 존중한 것이다. 그런가하면 남면관은 정복한 漢地와 漢人에 대해 어찌할 수 없는 현실적 필요에 따른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요가 이원적인 제도에 의해 자신들의 부족의 전통을 보존하면서도 연운십육주를 얻은 다음에 당의 제도를 도입하고 중국인들을 불러 모아서 등용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한편으로 자신들의 유목적인 통치방법이 중국에 비해서 수준이 낮다는 것을 인정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한족의 문화나 중국식 제왕의 성대한 시대를 요에서도 이루기 원했던 의지가 담겨있다고 볼 수 있다. 先祖를 炎帝라고 한 점으로 보아 중국 민족과 同一視하려는 의도도 엿보인다. 이를 해석하면 자존심과 열등감의 양면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하나 간과하기 어려운 것은 현재 중국에서의 민족융합과 고대사 탐원공정 및 동북공정의 빌미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요사』서술은 중국적 왕조로서의 자신감과 동일시를 보여준다. 그 이외의 역사 서술 또한 그와 같은 맥락이다. 거란 민족의 고유성을 보여주는 예로는 두 차례에 걸친 거란문자 창제를 들 수 있다. 한편 요는 중국과 대등한 국가라는 인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거란을 건국한 야율아보기 이후 오대의 불안정한 정권교체에 개입하면서 때로는 중국왕조를 책봉하기도 하였고, 전연의 맹약에서 문서상으로도 북조와 남조라는 호칭을 사용함으로써 중국 대륙의 두 개의 나라가 있다는 것을 천명한 것이다. 하지만 문화적인 면에서는 중화민족의 선진적인 문물을 도입하는 것을 피할 수는 없었다. 또한 여러 정복국가의 예에서 보듯이 유목국가로부터 농업국가로 변신하는 것을 마다하지 않았다. 요의 후기는 한화정책을 강도 높게 추진하는 추세로 옮겨가는데 이는 이미 중국의 문물을 받아들이고, 또한 중국인과 융합함으로써 또 하나의 중국으로 변신해 가고자 하는 추세의 한 면일 것이다 결국 요는 건국 초기부터 중원의 왕조와 남북조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가, 전연의 맹약 단계에서는 공식적으로 남조와 북조로 천명하였고, 후기에 가면 ‘華夷同風’이라고 표현 것처럼 자신들도 夷狄의 나라가 아닌 중국과 동일시하며 요의 통치자가 요 역시 禮法을 갖추었기 때문에 중화와 같다는 자존심을 드러내 보여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從10世紀中葉至12世紀是在中國歷史上的宋遼對峙時期. 在這150餘年間, 宋遼兩大政權戰•和不定. 在中國歷史上, 宋朝是代表當時的正統, 但是也有人提倡‘南•北朝說’. 遼王朝建立比南方的宋王朝早半世紀. 從領土面積來看, 遼朝比宋朝大一倍. 遼朝利用戰鬥力強悍的騎兵, 征服了中國東北•北方•西北的大片地區, 空前強大. 澶淵之盟以後, 宋遼雙方承認彼此, 而在歷史舞台上出現‘南朝’•‘北朝’兩個獨立的王朝. 本文要主題爲遼朝契丹人的民族意識•對漢文化的認同感•正統觀以及其對中原王朝的看法. 由於流傳至今的契丹文獻極少, 研究這一問題難度較大. 現在流傳的記載大部分是宋朝•蒙古人所做記載, 其中有不少對遼人的偏見. 這就造成了目前學界有 關宋朝的研究成果較多, 有關遼的研究成果卻較少, 而且以前對遼的評價大部分持‘非正統’觀點. 本文將以遼人的立場•視角爲中心, 重新做出評價, 以期能在一定程度上能扭轉這一狀況. 實際上, 翻檢史書, 不難發現遼朝在保有強烈的民族自豪感同時, 也表現出較爲強烈的對漢文化的認同感, 自認是中華文化的‘正統’, 能夠代表中國. 在上古時期, 儒家按照文化, 而非按照血統, 劃分所謂‘中華’與‘夷狄’的分別. 契丹統治者接受了這些觀念認爲, 他們已經接受中原傳統文化, 甚至宣稱自己爲炎帝後代, 所以自己不應該包括‘四夷’的範圍裏, 而應該與北宋並列. 這也今天中國進行的民族融合•探源工程•東北工程的歷史依據. 必須指出, 遼人這種行爲, 折射出了他們內心中自尊心和自卑感並存的複雜情緒. 遼人一直有自己與中國對等國家的想法. 建立契丹的耶律阿保機以後, 憑借強大軍事實力, 幹涉五代中原王朝, 有的是冊封中國王朝, 在澶淵之盟的文書上更是使用“北朝”和“南朝”的稱呼, 證明在中國大陸存在兩個國家. 但是, 在交往過程中, 遼不可避免受容中國的先進文化影響, 逐步從遊牧國家向農業國家發展. 遼朝在統治地區內, 實行的‘北面•南面’的二元統治體制就是一個體現. 北面官是保存遊牧民族的固有傳統, 南面官統治漢地與漢人. 遼朝在北部施行北面制保存自己部族的傳統, 同事在新征服的燕雲十六州, 接受唐朝的制度, 采用漢人統治漢人方式, 這就是反映了他們接受遊牧民族的統治方法比中國落後的現實. 在文化上, 遼人也有這種矛盾心態. 一方面, 契丹民族兩次創制契丹文字, 這就是證明契丹民族的固有性. 但在同時, 遼朝也實行漢化政策, 這表現他們接受中國文化•與中國人融合後自己的身份成爲中國文化代表的意願. 總之, 遼朝從建國初期已經有中原王朝和南北朝的認識. 在澶淵之盟時期闡明南朝與北朝, 到後期使用‘華夷同風’, 都證明他們並不認同自己爲夷狄國家, 而是中原的國家. 遼朝他們說他們也是用禮法, 因此他們應當跟中原王朝同等的地位, 這就是表達他們的自尊心.

      • KCI등재

        헤르만 산더의 한국 기행(1906~07) 목적과 조사방법

        조관연(Cho, Gwan-Ye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7 역사문화연구 Vol.26 No.-

        헤르만 산더는 두 번의 한국 기행을 통해 한국문화에 관해 많은 수의 사진들을 촬영하고, 다양하고 많은 수의 문헌자료들을 수집했는데, 이에 대한 이유는 복합적이다. 그는 독일 외교정책을 재정립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한국 을 방문해서 자료를 수집하지 않았다. 또한 그가 사진을 촬영한 방식은 독일 르포타주 사진 사조와 별다른 관련이 없다. 산더는 역사학, 그중에서도 특히 전쟁사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관심이 많았다. 때문에 동아시아에서 일어났지만 세계적으로 그 파장이 매우 컸던 러일전쟁의 현장을 답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기록을남기고자 하는 개인적 욕구가 한국기행의 가장 중요한 이유였다. 하지만 이런 설명만으로는 그가 한국에 와서 왜 민속에 대해서 수많은 사진들을 촬영했고, 정치, 경제, 사회 그리고 교육 등에 관한 자료들을 수집했는지에 대해 설득력 있는 답을 주지 못한다.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인해 20세기 초반에는 독일의 대도시 사람들은 ‘낯설고’‘이국적인’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산더도 이와 같은 관심을 가진 사람이었으며, 이와 같은 관심은 서구에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은 한국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당시 서구 사회에서는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인해 미지의 세계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왜냐하면 계몽주의 신봉자들은 일반적으로 인간 이성의 힘을 믿었고, 이성 또는 오성을 통해 인간은 세계의 원리를 알 수 있다고 생각했다. 또한 인간과 자연에 대한 지식과 이해의 폭을 넓힘으로써 인간 사회가 진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상적인 사회가 실현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인식의 지평을 넓히는 방법으로 여행이 높이 평가받고 있었다. 여행을 하기에 경제적 여유가 되지 않은 사람들은 인종전시회를 통해 낯선 문화들을 접했으며, 자신의 지식을 넓혔다. 하지만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소수의 지식인들은 우리 속에 갇혀서 전통적인 생활을 연출하는 원주민이 아니라 현장에서 이들의 진짜 문화를 경험하고 싶어 했다. 이런 사람들을 중심으로 이미 19세기 중반부터 독일에서는 낯설고 이국적인 문화를 보기 위한 탐험여행이 붐을 이루기 시작했다. 이들은 대부분 여행을 하면서 사라지는 문화를 담기 위해, 자신의 추억을 위해 그리고 자신이 세계 시민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사진을 찍었는데, 산더도 이 범주에 속한다. 산더가 방문할 당시 한국은 오랜 역사와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이나 일본과는 달리 서구인들에게 비교적 잘 알려지지 않은 나라였다. 이와 같은 점은 새로운 지식에 목말라하던 여행가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도전과 탐험의 장소였다. 산더가 한국을 여행하기로 택한 또 다른 이유로는 외세에 의해 한국의 주요 도시들이 개방되고, 교통과 편의시설들이 막 갖추어지기 시작 한 덕분에 비교적 안전하고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산더가 촬영한 사진들이나 자료들은 한국 사회와 문화를 매우 포괄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 그의 사진촬영과 문헌자료 수집 방식들은 매우 독특하고 뛰어난데, 이는 당시 독일 중상주의와 긴밀한 관계 속에서 발전한 초기 독일 민속학의 전형적인 접근방식을 그대로 수용한 결과이다. 산더가 남긴 자료들은 독일 민속학의 연구방법론과 시각에 의해 채집되었기 때문에 당시 한국사회의 문화를 종합적이고 정확히 보여주지는 않는다. 하지만 당시 한국문화에 대한 시각과 문헌자료가 부족한 현실에서 그가 남긴 자료들은 20세기 초의 한국문화를 또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고 재구성할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Gustav Theodor Hermann Sander(1868~1945), a colonel of German embassy in Japan, is known to have made journey around Korea twice during 1906~1907 and took more than 188 photographs and collected many materials and objets d'art about Korean culture. He is also renowned for a peculiar research method for collecting data, namely Systematic classification. His systematic classification is even more worth our research on account of its holistic aspects. The central purport of this article lies in the treatment of the relation between his research methods and the German mercantile system. It is strongly advocated by some Korean scholars that Hermann Sander came to Korea as an intelligence agent. He collected some crucial information about the process and the result of Russo-Japanese War. This information was very important for German government to build foreign policies in East Asia. Although this argument can not be throughly denied, it is not convincing as it does not provide with sufficient ground for his journey to Korea. It remains an open question why he took so many hotographs about people's everyday life and collect social and cultural data in Korea. Meanwhile, owing to the enlightenment movement in Germany many people dwelling in large cities showed their strong interest in foreign exotic cultures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ccording to the rationale underlying the enlightenment movement the accumulation of our knowledge is to help find the ultimate principle of our world and this would also help improve our world. Influenced by this movement many scientists and explorers went abroad to collect the data about other cultures. Sander was one of them and his activities were regarded as highly noble and prestigious.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Korea was relatively unknown, but this land has an old history over two thousand years and profound and peculiar traditions. Since Korea was forced to open the door towards outside world by Japan it was possible for westerners to travel in Korea without difficulties. Sander took the pictures of Korean traditional lifestyle and collected data about Korean culture probably in the hope of expanding mankind's knowledges and also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museum in his hometown, although this plan failed due to the outbreak of the Second World War. His research methods can be explained in the context of German mercantilism. In 18th century Germany was an underdeveloped country. The then German government intended to build policies on the basis of detailed and precise information about his country and the way of people's living. A new branch of science, namely folkloristics, played a great role in collecting such data. It is to be noticed that the way of classifying reality and collecting data in folkloristics exhibits much similarity with that of Sander's.

      • KCI등재

        혼례 속에 담긴 문화요소들과 그 의미를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방안 연구

        문형진(Moon, Hyoung-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역사문화연구 Vol.40 No.-

        본고는 혼례 속에 담긴 문화적 요소와 그 의미를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Ⅱ장 혼례의 변천과정에서는 한국 혼례의 역사적인 변천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 혼인문화의 경우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Ⅲ장 혼인문화 속에 담긴 문화적 요소에서는 의례문화, 언어문화, 정신문화, 제도문화로 나눈 후, 그 속에 담긴 역사적인 현상과 의미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의례문화의 경우 혼례과정과 그 절차에 주목하였고, 언어문화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필수적으로 익혀야 할 전문 어휘들을 정리함과 동시에 속담 속에 담긴 혼인관련 표현들과 그 사용법들에 대해 다루었다. 정신문화에서는 혼인문화속에 담긴 유교사상의 의미와 가치체계 그리고 음양오행 사상의 영향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도문화에서는『대명률』과 『경국대전』등 조선시대 법전 속에 담긴 혼인관련 요소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Ⅳ장 혼례를 활용한 교육방안 연구에서는 Ⅱ,Ⅲ장에서 살펴본 여러 문화요소들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 방안에 대해 현대의 학습자들이 영상자료에 익숙한 세대인 점을 감안하여 그림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고, 의미론적 접근방안에 서는 ‘어떤 현상이 존재하였다’보다 ‘어떤 의미가 담겨있다'에 주목하였으며, 학제간 융합 교육 방안에서는 역사적 학문과 민속학 그리고 언어학 등이 융합 적으로 교육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문화적인 교육 방안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혼인문화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화 충돌현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한국문화를 쉽게 수용하도록 하기 위해 주변국 혼인문화를 비교하여 습득하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meaning in Korean marriage custom and the educational methods. In the chapter Ⅱ, this study examined historical changing procedures of Korean marriage custom. It is about the changing procedures of Korean traditional marriage custom which was changed from Seoryubuga(Korean traditional marriage custom) to Chinyeongjae(Chinese marriage custom). I wrote about changed custom and linguistic elements during the process in this article. In the chapter Ⅲ, this study divided cultural elements in ritual custom, linguistic custom, mental custom, institutional custom. And it examined historical phenomenon and the meanings of them. In the chapter Ⅳ, ‘study of educational methods which utilized marriage’, this study suggested educational methods by using pictures which considered that modern learners are accustomed to images. The study attentioned more about 'which it means' than about ‘which phenomenon was existed' in the semantic approach. It mentioned that historical learning, folklore and linguistics should be educated amalgamatively in the educational methods about school systems.

      • KCI등재

        한국문화원연합회와 지방문화원의 기능적 역할 연구

        한동현(Han, Dong-h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2 역사문화연구 Vol.44 No.-

        지방문화원과 한국문화원연합회의 역사와 관계를 들여다보면 지방문화원은 지역민의 문화정체성과 지역 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 설립되었고,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지방문화원의 사업을 원활히 지원하고 지방문화원을 대신해 지역 문화의 진흥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정부에 전달했다. 그리고 정부는 한국문화원연합회를 통해 재정적 지원을 하고 지방문화를 보호하는 역할을 각각 맡아왔다. 그러나 지방문화원이 각 지방자치단체의 승인과 예산을 받게 됨에 따라 그 관계가 불명확해졌다. 이전에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지방문화원들을 중재하고 국가예산을 받아 각 지방문화원이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방문화원의 정점에 있는 조직이었다. 지금은 각 지방문화원들이 지방자체단체의 예산을 받고 있고, 한국문화원연합회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예산을 받아 자체적인 사업을 하고, 일부 사업의 경우에 있어서 지방문화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수행사업의 결과를 보고받는 기관으로 변화되었다. 이로 인해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 하는 지방문화원은 한국문화원연합회와의 소통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을 보이기까지 한다. 금년에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설립 50주년을 맞이하였다. 그 동안 다방면으로 지방문화의 보존과 발전에 기여해 온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이제 앞으로의 새로운 50주년을 생각하며 지방문화원과의 관계를 재정립해야 할 필요를 느끼고 있다. 문화정책의 목표는 크게 문화유산을 보전하고 모든 형태의 예술 창작의 질과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원을 하고, 가급적 많은 사람들에게 문화유산과 예술 창작물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것이다. 유럽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몇 차례 문화정책의 변화를 겪어왔다. 초기에는 문화 정체성에 주력하였던 각국의 문화정책이 1960년대 들어와 고급예술을 좀 더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하자는 ‘문화민주화’ 개념이 그 중심에 들어섰다. 그러나 ‘문화민주화’ 정책에 한계가 있다고 느낀 유럽의 여러 국가들은 1970년과 1980년대에 ‘문화민주주의’ 개념으로 방향을 선회하게 되었다. 오늘날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 다양성은 언어나 의상, 전통, 사회를 형성하는 방법, 도덕과 종교에 대한 관념, 주변과의 상호작용 등 사람들 사이의 문화적 차이를 인정한다. 문화적 다양성은 문화민주주의와 지역 문화의 발전에도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문화민주화에 따른 하향식 정책은 문화의 획일화에 이를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다.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해야만 지역민의 현재 문화들도 인정을 받고, 이를 토대로 문화민주주의도 이루어질 수 있다. 현재 정보통신분야의 발전은 문화민주주의의 길을 더욱 열어 놓았다. 오늘날 문화 정보화 사업의 핵심은 소통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지방문화원들이 하는 사업들의 결과물들을 관리하고 국민에게 알려야 하며, 지방문화원들은 지역민의 문화적 요구를 수용해야 한다. 지방문화원들이 가지고 있는 문화 자료들은 과거와 현재의 지역 문화를 연구 하기 위한 원자료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갖고 있다. 또한 새로운 문화상품 기획에 열의를 내고 있는 문화콘텐츠 산업 종사자들 사이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지방문화원과 한국문화원연합회는 두 주체 사이의 관계와 역할의 재정립을 통해 지방문화 정보 서비스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한국문화연합회는 전국 229개의 지방문화원과 네트워크로 연계되기에 지역문화를 서비스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해야 한다. 그리고 지방문화원들은 노드로서 지역민들과 소통하며 지역의 문화자원을 끊임없이 발굴하고 그 문화자원을 한국 문화원연합회에서 디지털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전달을 해야 한다. 이와 같은 지역 문화 자원의 생산과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지방문화원과 한국문화원연합회의 역할과 프로세스가 새롭게 형성된다면, 지방문화원은 현재의 사업들을 계속 수행 하면서, 동시에 사업 결과물도 바로 관리할 수 있으며, 대중을 향한 홍보의 역할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로써 지역문화원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좀 더 확보될 수 있겠고,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지역문화의 진흥을 위한 허브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Looking into the relation between local culture centers(hereafter, LCC) and the Fereation of Korean Culture Center(hereafter, FKCC), we can figure out LCC have been established for cultural identity of local people, and for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while FKCC has taken on the role of supporting activities of LCC and telling the needs of LCC to the government which provides financial supports for LCC through FKCC to keep local cultures. But the relation is getting unclear, since LCC has to get approval and financial support by the local governments. KFCC does run its own programs and businesses supported financially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checks the results of businesses of LCC, which are sponsored financially by KFCC. Consequently, LCC do not obtain substantial help and support from KFCC, showing tendency of not thinking highly of communicating with KFCC. This year, KFCC celebrates its 50-year anniversary on the establishment. Looking back on the past, it now feels the need to re-organize the relation with LCC for another celebration of 50-year anniversary. The purposes of cultural policy are to keep quality and diversity of all kinds of art works and to provide the people with opportunities of accessing cultural heritage and creative works. Europe has changed cultural policy several times since the second World War. Cultural policies European countries which were focused on building up their own cultural identity began to embrace the concept of 'Democratization of Culture' in 1960s. It intended to spread classic arts among the people. However, European countries introduced 'Cultural Democracy' policy in1970s and 1980s after they recognized the limits of 'Democratization of Culture' policy. Today, discussions on cultural diversity go on in many ways. 'Cultural Diversity' policy admits cultural differences, including languages, clothes, tradition, ways of organizing their own society, ethics and religions, and interaction with one another. It also is an important concept for cultural democracy and development of local cultures. The top-down policy of 'Democratization of Culture' could have risk of falling into cultural standardization. But only if cultural diversity is admitted, the present cultures of local people can be acknowledged, developing into cultural democracy. The lately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opened the way to 'Cultural Democracy'. The core of culture informatization is to be put on the fluid and flexible communication. In this respect, FKCC has to manage and publicize the results of businesses and activities done by LCC, and the latter has to actively embrace and meet the cultural needs and wants of local people. Cultural materials of LCC are a good source worth of studying the past and present of local cultures. Also, they might be used by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insiders who are eager to create new cultural items. Therefore, FKCC and LCC need to re-set up a role to each other to prepare for information services of local cultures. FKCC should be a platform to do services of local cultures, because it connects to the network of 229 units of LCC. And LCC as nationwide nodes are to communicate with local people, discover local cultures continuously, and transfer results of business and activity to FKCC for providing digital services. Likewise, if new roles and work process of FKCC and LCC are set up for the production and service of local cultural resources, LCC can have an advantage of doing businesses and activities and, at the same time, managing its results for public relations. And FKCC can be a hub for the promotion of local cultures.

      • KCI등재

        한국사 교과서에서 보이는 전근대 일본

        고영진(Koh,Young-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6 역사문화연구 Vol.25 No.-

        2001년 일본 후소샤의 『새로운 역사교과서』의 검정통과와 2003년 중국의 동북공정으로 촉발된 동북아시아 역사 갈등은, 3국의 양식 있는 학자와 교사, 시민단체들의 역사인식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해결의 실마리를 보이지 않고 오히려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중국과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에 대응하기 위해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 개편 작업에서 역사교육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그 결과 사회교과에 통합되어 있던 역사과목이 다시 독립하게 되고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 교육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역사교육의 강화와 더불어 고려해야 할 것이 있으니 바로 역사교과서의 내용이다. 동북아시아 역사 갈등은 기본적으로 중국과 일본 역사교과서의 자민족중심주의와 국가주의적 경향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한국 역시 여기서 자유스러운 것은 아니다. 한국의 역사교과서도 이전보다 나아졌지만 아직도 자민족 중심의 일국사적인 관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 제8차 교육과정에 의해 새로 만들어질 역사교과서는 중국과 일본 등 동북아시아 주변국들에 대한 서술이 인류의 보편된 가치를 지향하며 상호 이해와 협력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 역사교과서에서 중국과 일본등 주변국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 위에서 기존의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서 일본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전근대시기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전체적으로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 보이는 전근대 일본의 모습은 문화후진국으로서 선진문화의 수혜자, 침략자, 약탈자의 모습이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은 근현대의 식민지수탈론으로 그대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다. 수혜자, 침략자, 약탈자로서의 전근대 일본의 모습은 일면 타당한 점이 없지 않으나 정확한 것은 아니다. 더욱이 이러한 일본의 이미지가 교과서 발행과 서술제도 등 우리 내부의 잘못에서 비롯된 측면이 적지 않다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일본을 하나의 관계 주체로 보지 않는 『국사』교과서의 일방향적인 인식은 한반도를 둘러싸고 현재진행되고 있는 난제들을 해결하고 바람직한 한일관계를 만들어 나가는데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바람직한 한일 관계 서술은 과거 역사의 전개가 그랬듯이 일국사가 아닌 동아시아 전체의 넒은 시각에서 관계사적인 측면에서 서술할 필요가 있다. 말하자면 ‘경계의 역사학’이 아닌 ‘관계의 역사학’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서양의 국제 역사교과서 협력 운동을 모범으로 삼아 한·중·일 3국의 양식 있는 학자와 교사, 시민단체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역사교과서의 교류와 협력 활동은 앞으로도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the observation of the image of Japan portrayed in the 6th edition and 7th edition of the high school course book『Korean History』, mainly during the in the premodern era. Compared to the 6th edition, the 7th edition of the high school textbook『Korean History』has less nationalistic factors in the narration, subjectivity has diminished in the word selections, and the narration has become more objective. Likewise, this is true for the relationship narrations with Japan. However, the narrations of the relationships with Japan have been in many circumstances, referenced fragmentarily in the process of narrating the Korean history. To be exact, they are being narrated as objects, rather than as equal subjects. Accordingly, even though the quantity of narrations is not small, in the Korean History books, the recognition of the two countries is superficial most of the time.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the image of Japan is simple. For most of the periods, Japan is acknowledged as a culturally underdeveloped nation that was accepting Korea's advanced culture, a cultural beneficiary, a looter who was continuously plundering Korea, and invader. Overall it can be observed that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China is positively acknowledged and Japan is absolutely acknowledged in a negative way. This can be easily seen through the fact that, even if they were same invasions, in the case of China, our conflicts were emphasized rather than the invasions, however, in the case of Japan; the plunderous parts were emphasized for the invasions. It can be said that, cultural exchange can not be one-sided, but it goes underway because it is mutually necessary and it is a reciprocal thing.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when narrating a cultural exchange from the perspective of a superior and benefactor. An example is that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China's culture acceptance is emphasized in the subjective perspective; however, Japan is emphasized in the perspective of a one-sided beneficiary. This kind of one-sided acknowledgement is not only narrated for the cultural exchanges but it appears in the narrations for Japan's invasions, and the plundering process. It is because there are only explanations about the disputes and invasions, there are almost no explanations on the domestic and foreign circumstances,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political status, causes or characteristics for the outbreak of wars. These kind of one-sided and superficial acknowledgements of nearby nations are hindrances in solving the difficult problem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For a desirable Korea-Japan relationship there is a need for the narration of the past to be narrated in the view of the entire Southeast Asia in a relational point of view rather than as one nation's history. In other words, it should be the ‘history of relationships’ rather than the ‘history of boundaries.’

      • KCI등재

        A thought on the mutual Relationships of History, Culture and Area Studies in the light of Epistemology

        노명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29 No.-

        The true nature of a certain (special, individual, particular) area implies the ultimate outcome of the history unique to the area. Because, the history unique to an area is the aggregate of all past experiences of the area people. History has a stratified structure which represents the aggregate (totality) of the diachronic accumulations of the occurrences. Each period builds upon the past. In the each phase (slice) of this stratification of history live the area contemporaries. Each phase can be understood as the culture which comprises whole life fields of the area inhabitants. This culture is formed through the history of this individual area. So, without understanding the stratified structure of history of an area (that is, the total accumulations of historical occurrences), we can not recognize the culture as the aggregate lifestyle of the area accurately. Culture may be defined briefly as a community of a people who hold numerous features of belief, behavior, and overall way of life in common, including ideology, technology, social institutions, and material possessions. Without a doubt, history is the aggregate of all past experiences. But in reality, we can only realize history which comes within our spheres of cognizance. That means that history which we know, in its volume and character, also depends on our faculty of understanding. We can conclude that history stands in a strong relationship with epistemology. The central object of area studies is the human beings of the area who are in the process of the history. Area studies can be regarded as a continuous process of interaction (an unending dialogue) between the researcher of an area and the research object (and other area). From this point of view, I conclude that area studies is a science of epistemology. Because of the different history each area possesses particularity, that is individuality. The first goal of area studies lies in the recognition of this individuality. This individuality can be more obviously recognized through continuous comparisons between areas. Under this process we can also extract universality (generality) gradually. In the end we can develop a third new perspective. That is the dialectic unification between speciality and universality. 역사 과정을 통하여 한 지역의 개성적인 문화가 형성되고 그 지역인의 성격이 결성된다. 역사의 중층적 구조의 각 층은 제 단계의 문화를 보여준다. 문화란 그 지역인들의 가치관, 사고방식 그리고 행위방식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지역학 (지역연구)의 핵심 연구 대상이다. 그런데 역사란 과거에 속하는 사료와 현재에 속하는 역사가의 끊임없는 접촉 속에서 밝혀지는 인식론적 차원의 결과물이다. 인식자인 역사가의 관점이 큰 역할을 한다. 그런가 하면 한 지역의 문화라는 것도 인식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게 파악될 수 있는 인식론적 차원의 결과물이다. 이는 지역학의 결과가 그러함을 의미한다. 각 지역의 문화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우리는 그 특수성과 보편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지역을 연구하는 방법도 이와 유사할 수 있다. 각 지역의 역사를 과거, 현재, 미래의 끊임없는 “대화” 라는 관점에서 파악하고 각 지역간의 상호 인식의 끊임없는 “대화” 속에서 각 지역의 성격을 규명한다. 각 지역 역사는 그 지역의 개별성을 나타내 주는 것이고 그 개별성은 각 지역간 끊임없는 상호 교차 인식 속에서 그리고 비교 과정에서 더욱 선명해 진다. 각 지역의 개별성은 이 끊임없는 교차 인식 과정에서 변증법적 통일을 기하여 보편성을 추구한다. 이는 역사학과 지역학이 인식론의 바탕위에서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역사학과 지역학의 관계가 위와 같이 규명될 수 있는 것이며 역사학은 각 지역의 개별성 파악을 위해 필수적으로 투입되어야 할 학문 분과이고 그 개별성들의 끊임없는 비교과정을 통해 역사의 개별성과 보편성의 자대가 확립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지역학을 통해 역사연구는 심대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풍부한 역사학의 지평을 열 수 있다.

      • KCI등재

        동북의 조선족문화관과 콘텐츠 기획

        임영상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2 역사문화연구 Vol.44 No.-

        동북의 조선족문화관마다 무형문화유산을 발굴하고 이를 등록하는 노력들을 대대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문화유산의 보호와 관광산업이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동북 조선족문화관의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에 대해서는 자치지구와 산재지구를 구분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문화관 업무의 핵심인 대중을 위한 문화사업에서 그 역할이 보다 적극적일 수밖에 없는 산재지구 문화관(철령시, 목단강시, 길림시)의 활동사례를 소개했다. 이어서 동북의 조선족문화관들이 보다 구체적으로 바로 준비에 착수할 수 있는, 문화사업의 영역이지만 장차 문화산업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 「가와사키 재일코리언 생활문화자료관」(http://www.halmoni-haraboji.net/)과 같은 사이버박물관을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특히 문화관 관내 조선족사회의 역사문화 공간(사라진 민족학교 포함)에 대한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웹사이트에 올리자는 내용이다. Each Korean Chinese Community's Center for Ethnic Culture has recently made active efforts to discover and registe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 is becaus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tourism are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As for the ways to develop these centers' cultural content, it would not be necessary to divide autonomous regions and provinces. Nevertheless, this paper elaborates on the cases of the centers located in provinces (Tieling, Mudanjiang, Jilin) which obviously play more active roles in cultural projects for the public, the core activities of the centers. Afterward, it also suggests construction of a cybermuseum like Kawasaki Korean Japanese Life Culture Archive (http://www.halmoni- haraboji.net/). Such a museum would be designed by the Korean Chinese Community's Centers in a more concrete and prompt manner. In addition, as part of cultural projects, the museum would also build a basis for the future cultural industry. The research also requests digitization of the information on the Korean Chinese community's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s (including the ethnic schools that disappeared) located inside the centers, so that the information can be shared on a website.

      • KCI등재

        Photographic Records in Archivalization

        윤은하(Youn, Eun-ha)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50 No.-

        본 논문은 기록학적 관점에서 역사연구의 기초가 되는 역사 자료의 증거적 성격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고 역사적 사실과 증거에 대한 논의를 해보자 했다. 1990년대 이후 역사학과 마찬가지로 서구 기록학(Archival Studies)은 포스트모더니즘을 광범위하게 받아들였다. 아카이브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 정치, 경제적 담론이 주목받기 시작했고, 권력과 아카이브, 지배 담론과 기록 관리의 연관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그리고 역사 기록의 선별, 관리, 보존 등 아카이빙을 둘러싼 과정에서 이제껏 관례적, 원칙적으로 작용해 왔던 이론들이 재검토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기록학의 관점에서 역사 기록의 증거적 성격과 본질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했다. 특히, 역사적 증거로서 사진과 이미지 기록이 갖는 특성을 밝히고, 이러한 특징들이 아카이빙 과정을 거쳐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는지 살펴보았다. 현재 문화사가들 비롯한 역사가들은 다양한 역사 자료를 활용하고 새로운 해석적 읽기의 방법 등을 도입하여 역사학의 지평을 넓혔음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증거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식에는 과거 실증주의사가들과 큰 차이가 없었다. 아카이브의 자료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역사적 증거로 인정되고 관리되는지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았는데 기록의 선별과 관리과정에서 아키비스트의 가치 결정에 따라 내려지는 일련의 조치들은 기록의 증거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특히 사진과 그림과 같은 비문자화된 이미지 기록들은 종종 역사적 사건의 생생한 재현물로 여겨짐에도 불구하고, 컨텍스트화 되는 과정에서 아키비스트의 주관적 개입이 다각도로 이루어지는 매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를 밝히기 위해 첫째, 사진 기록의 특성과 본질에 대해 논하며, 둘째 사진기록이 아카이브에서 선별, 평가, 분류, 보존되는 과정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implication of historical evidence by identifying the nature of archival process, in particular, photographic managements. Archives has been believed to be the most objective, transparent place where historical records have been preserved. Since 1990s, western archival studies widely accepted postmodernism and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nature of archives. The new archival studies discovers new meaning of archival process on how the archival records contribute to construct historical truth; how archival records come to be recognized as historical evidence and how they are physically and intellectually controlled by archivists in order to support the historian's argument. With archival management of photograph, the study examines in detail how photographic evidence can be understood and how becomes historical evidence in arch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