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생물을 이용한 후발효차의 대사체 분석

        석원대(Won Dae Suk) 한국차학회 2021 한국차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찻잎 발효에 적합한 미생물을 동정하고, 발효차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대사체를 분석하여 발효 기간에 따른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F6 균주는 Internal transcribed spacer 분석을 통한 계통도에서Rhizopus. Oryzae로 동정되었다. F6 균주 처리 발효차의 발효 전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101 mg GAE/g에 비해발효기간에 따른 함량변화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효차 대사물질들의 PLS-DA score plot 결과와UPLC-Q-TOF MS를 LC/MS와 GC/MS을 이용한 결과에서 각각 27종과 28종 물질이 동정되었다. F6 균주에 접종한 발효차의 경우 당 관련 물질들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아미노산 함량에서는 theanine, phenylalanine, tryptophan은 증가하였고, alanine, serine, threonine, aspartic acid, oxoproline, glutamic acid은 발효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기산 함량은 citric acid의 경우 발효 전에 비해 발효 초기부터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Malic acid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10일째에는 약 6배 감소하였다. 그러나 lactic acid는 큰 변화는 없었고, 지방산에서는 LPC (18:3), LPC (18:2), LPC (18:1)함량은 발효 전에 비해 약 2-3배 증가하였지만 발효시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이차대사산물에서 catechin 계열의 물질들의 함량은 적은 변화가 있었고, kaempferol 관련 물질들인 경우 발효 전에 비해 조금 증가하거나 차이가 적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Caffeine와apigenin 7-glucoside는 발효에 의해 다소 증가하였고, chlorophyll 분해산물인 harderoporphyrin, pheophorbide A, pyrophaeophorbide a의 함량은 발효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Rhizopus. Oryzae를 이용한 발효차의 제조와 그 대사체 연구에 관한 기초 자료가 되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icroorganisms suitable for tea fermentation and analyze tea metabolites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period. F6 was identified as Rhizopus oryzae us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alysis.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101 mg GAE/g) of tea was not changed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period. Twenty-seven and 28 substances were identified from the results of using the PLS-DA score plot and UPLC-Q-TOF MS of fermented tea metabolites, respectively. There was little change in sugar-related substances. The amino and organic acid contents tended to decrease by ferment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fatty acids, but contents of lysophosphatidylcholine increased about 2-3 times compared to the levels before fermentation. There was little change in the content of Kaempferol-related substances in the secondary metabolites. Caffeine and apigenin 7-glucoside were increased by fermentation. Apart from this, the contents of chlorophyll degradation products, harderoporphyrin, pheophorbide A, and pyrophaeophorbide a were also increased with the fermentation time. Further, the result of this study formed the basic data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tea and tea metabolites using Rhizopus oryzae.

      • 스마트폰과 미세유체흐름칩 기반 발효 모니터링 센서

        신원진 ( Wonjin Shin ),이동춘 ( Dongchun Lee ),박두산 ( Tusan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발효식품은 간 기능 보호작용, 면역기능 강화, 항산화활성, 항암작용 등의 효과들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이러한 발효식품의 장점 때문에 이에 대한 관심도는 인간의 식품에서뿐만 아니라 축산업에서도 높음. 식품에서 젖산 발효를 진행할 수 있는 미생물에는 L. acidophilus, L. casei와 Bifid bacterium species등이 있음. 위의 언급된 미생물들은 대사과정의 결과물로서 젖산을 생산하게 됨. 발효가 진행되면서 L-lactate의 농도와 pH 값이 변화하게 됨. 그러나 발효의 조건을 잘 조절하여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제품의 초기 조건들의 편차로 인해 항상 같은 수준의 발효 정도를 획득하기를 신뢰할 수 없음. 특히, 발효 중 불필요한 균의 유입 및 공기의 접촉을 통해 부패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아짐. 그러므로 발효과정 중 젖산, pH의 변화량 추이를 모니터링하여 발효 제품의 품질 및 부패 여부를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 중요함. 본 연구에서의 목적은 L-LDH 기반 젖산 센서 및 chemical dye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발효제품의 발효과정의 모니터링 및 젖산 정량 분석이 가능한 smartphone based on-chip platform 제작임. Methyl red는 대표적인 pH indicator 중 하나로 pH 분석에 있어 매우 강력한 장점이 있음. 빠른 반응속도와 선명한 색 변화는 분석 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정확도를 높여줌. 젖산을 정량분석하기 위해 L-lactate dehydrogenase(L-LDH)를 이용한 효소-기반 바이오센서를 사용하였음. L-LDH 효소는 L-lactate와 NAD+를 각각 L-pyruvate와 NADH+로 환원시킴. 이때, 발생한 NADH는 340 nm의 자외선 파장에서 여기되어 약 460 nm에서 형광을 발생시키는데 이것의 형광 세기를 분석하여 lactate의 농도를 정량 분석함.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smartphone based on-chip platform을 제작하였음. 스마트폰 기반 광학 모듈은 NADH의 형광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아두이노 기반 항온기는 효소-기질 반응에 있어 최적의 온도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제작되었음. 이러한 플랫폼을 이용하면 현장에서 발효제품의 품질 및 발효과정을 현장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보관 환경의 변화로 인한 부패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우리는 이 플랫폼을 이용하여 유산균 음료의 젖산 정량분석과 실제로 발효가 진행되는 TMR 사료의 발효과정을 모니터링 및 품질 예측을 시행하였음.

      • KCI등재

        保存과 接神의 醱酵文化論

        전경수(Chun Kyung-Soo)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1

        음식은 문화의 문제이다.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인류학은 이 부분에 착안하여 성공적으로 ‘날 것’과 ‘익힌 것’의 이항대립을 통하여 인간의 심성을 분석하고 있다. 그런데, 그는 ‘삭힌 것’의 존재를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이항대립의 구조분석이 설 자리가 없음을 확인하게 된다. 본고는 음식문화의 성공적 등장으로 자리잡은 틀에서 간과되었던 ‘삭힌 것’의 존재에 착안하여, 발효라는 과정을 통한 음식의 문제를 재고하려고 한다. 발효음식의 대표적인 두 가지 종류는 유산발효의 결과인 장류와 알코홀발효의 대표인 주류가 있다. 유산발효의 목적은 보존에 있고, 알코홀발효의 목적은 접신에 있다고 생각한다. 발효에 의한 음식의 보존은 장기간 저장이라는 방식을 통하여 부족한 음식을 보완하는 목적이고, 접신 즉 신을 만난다는 것은 축제나 의례를 통하여 신과 조우하기 위한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전자를 신체적인 측면에서의 보완이라고 한다면, 후자는 정신적인 측면에서의 보완이라고 말할 수 있다. 발효음식의 존재는 궁극적으로 심신의 보완이라는 목적을 추구하는 것으로서 사람과 미생물 그리고 자연이 함께 어우러져서 만들어내는 조합이라고 생각한다. Food should be considered as a parr of culture. An eminent French anthropologist Claude Levi-Strauss has long been reaching us human mind in the form of binary opposition and he adapts this model to food as a contrast between 'the raw' and 'the cooked'. How about something fermented one ? Fermented foods are flooded in all over the world. There are two different ways of fermented foods: lactic acid fer mentation and alcoholic fermentation. The former aims ar preservation in everyday life, the latter does for spirit in the ritual context. Various ethnographies examine different kinds of fermented foods in various regions and different tastes of alcohols in every corner of the globe. Indonesian Tempe, Fish Fermentation Technology in Thailand, Sardinia's Ripe Pecorinos are good examples to consider the lactic acid fermentation. Fermentation process concerns microorganisms and bacteria in the context of culture through the anthropological perspective. This paper just opens an argument to raise the question of further researches in the field of anthropology of fermentation pervailed in the realm of the indigenous foods and knowledges. As we look ar the fermented foods, we never forger the reciprocal process between biology and culture of which I would like to call it as coevolution.

      • KCI등재

        발효음식과 연금술적 상상력

        최인령(Choi In-Ryeong),오정호(O Jeong-Ho)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9

        한국인의 일상적 식생활은 발효음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오늘날 발효식품을 소재로 한 영화,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영상콘텐츠들이 방영되고 있다. 이렇듯 발효음식의 중요성과 그에 따른 문화콘텐츠적 가치 창출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문화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오랜 역사적 흐름 속에서 한국인의 문화코드로 자리 잡은 발효음식과 우리의 정신문화적 원형인 음양오행사상과의 관련성에 대해 심층적으로 고찰하고, 나아가 ‘감칠맛’이란 언어표현의 분석을 통해 그속에 담겨있는 발효음식의 문화적 가치를 발견하여, 향후 발효문화의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그 의의와 목적이 있다. 인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첫째, 발효문화라는 새로운 연구 영역의 개척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발효문화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토대로 그 연구 범주를 규정하는 발효문화의 연구모형을 제시한다. 둘째, 발효음식은 ‘썩힘’과 ‘삭힘’, 곧 부패와 발효 사이의 아슬아슬한 한계를 유지해야 하는 특수한 방식의 저장식품이다. 또한 인류의 음식문화사적 관점에서 볼 때 발효음식은 익힌 음식보다 진일보 발전한 단계이다. 이러한 발효음식의 제조과정에서 나타나는 발효의 원리는 무엇이며 그것이 연금술의 원리 및 음양오행사상과는 어떤 관련성을 지니는지 살펴본 후에, 김치와 장류의 발효식품 속에 반영된 음양오행사상과 연금술적 상상력을 분석한다. 이 발효식품들은 그 속에 음양오행의 색과 맛, 변화가 반영된 연금술적 상상력의 창조물들임에 주목한다. 끝으로, 발효음식과 깊이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감칠맛’의 어휘 및 다양한 비유 표현 속에 함축된 음양의 이미지(태극도)와 연금술적 상상력을 논할 것이다. 우리는 감칠맛이란 단맛, 신맛, 짠맛, 쓴맛과 구별되는 제5의 맛으로서, 삭힘의 시간을 거친 발효식품의 숙성된 맛과 깊이 관련된 것으로 보고, 그 속에 반영된 한국 (발효)문화의 정체성을 고찰한다. 혀끝에 감돌듯 여운을 남기는 감칠맛의 독특한 이미지는 한국인의 문화전통과 깊이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한옥 및 한복, 그리고 태극도의 곡선미와 맞닿는 연금술적 상상력의 미각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발효 화장품의 인식 및 한방 화장품과의 만족도 비교 연구

        이미선,리순화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0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8 No.3

        본 연구는 발효 화장품에 대한 인식과 개선점을 알아보고, 한방 화장품과의 만족도를 비교함으로써 발효 화장품의 현시점을 알아보고자 서울, 경기도에 거주하는 발효 화장품 사용자 134명과 한방 화장품 사용자 107명, 총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발효 화장품의 재사용 구입 의사에 관하여 발효 화장품 사용자 90% 이상이 재 구매 하겠다고 응답했고, 한방 화장품 사용자 역시 50% 이상이 발효화장품 구매 의사를 나타냈으며 인식조사 결과에서 발효 화장품 사용자 31%와 한방 화장품 사용자 30%는 발효 화장품을 인공 화학성분이 들어가지 않은 화장품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화장품 사용자 만족도 비교 결과에서는 발효 화장품 사용자 41%가 에센스 제품에 가장 만족하였고, 한방 화장품 사용자는 36%가 영양크림에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 화장품의 개선점을 조사한 결과 발효, 한방 화장품 사용자 모두 브랜드력 강화와 가격의 저렴화를 높게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발효 화장품이 화장품 시장에 자리매김할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며, 중년층 이상의 고객을 확보하는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하며, 발효 화장품을 개발 시 크림류 제품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As 3 out of the 5 most healthy foods in the world have turned out to be fermented food, people from all around the world are taking note of fermentation. Even in the cosmetics industry, fermented cosmetics have been more and more increasingly introduced, creating a market emphasizing the positive image that the healthy fermented substances are environment-friendly and that it also aids skin health. The subject of research was set as 134 fermented cosmetics users, 107 'Korean Medicine Herb' cosmetics users, a total of 241 individuals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earch method was through surveys. The research results are the following. The research results on the perception of fermented cosmetics shown that both users of fermented and 'Korean Medicine Herb' cosmetics knew fermented cosmetics as cosmetics that doesn't use artificial chemical substances. The source of information about fermented cosmetics was salesmen for both users of fermented and 'Korean Medicine Herb' cosmetics.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level comparison has shown that users of fermented cosmetics were satisfied the most with essence products while the users of 'Korean Medicine Herb' cosmetics were satisfied most with skin food(nourishing cream) products. In the product quality comparison research, users who have responded that they couldn't really see the difference between fermented and Korean Medicine Herb cosmetics have taken up the largest proportion. Also, it has shown that there were many cases, domestically, where users of general cosmetics switched to fermented cosmetics. Some criteria for improvement were, enhancing brand quality and lowering prices for both types of cosmetics. Survey asking whether if the customers will continue using the product showed 90% positive for fermented cosmetics and 50% for 'Korean Medicine Herb' cosmetics. These research results tell us that fermented cosmetics have sufficient competitiveness to position itself in the cosmetics market. It is hoped that the brand's position will be strengthened soon and that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the expansion and promotion of fermented cosmetics market.

      • 단상 혐기 발효 장치 내 유기산 농도에 따른 바이오가스 발생량 검토

        조준연 ( Jun-yeon Cho ),배재근 ( Chae-gun Pha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혐기성소화 공정은 기본적으로 가수분해단계(Hydrolysis), 산생성 단계(Acidogenesis), 메탄생성단계(Methanogenesis)총 3단계로 구분지울 수 있으며, 메탄생성단계에서 아세트산(Acetic acid)과 수소 등의 유기물이 메탄으로 전환되면서 혐기발효의 안정화가 이루어진다.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는 유기성 폐기물을 기질로 하여 가수분해와 산발효 및 메탄발효 과정을 통하여 메탄으로 생성된다. 혐기 발효 시 유기산과 pH 변화는 혐기발효의 중요한 영향인자 중 하나이며, 혐기 발효의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단상 혐기 발효조를 이용하여 투입되는 유기물(VS)농도, 원료배합(돈분중 분 성분이 30%, 뇨 성분이 70%) 등 운전조건의 변화에 따라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발효가 진행되는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발효 과정 중 생성되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틸산 등 총 9종류의 유기산 분석과 이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산량과 메탄발생량을 분석하였다. 혐기성 발효조는 호기성 산화열을 이용하여 혐기성 소화조를 간접적으로 가온하였으며, 중온 혐기성 소화를 진행하였다. 음식물류 폐기물과 돈분뇨 혼합비에 따라 CASE1, CASE 2, CASE 3로 분류하였으며, CASE 1의 비율은 음식물류 폐기물 8kg과 돈분뇨 20L, CASE 2 음식물류 폐기물 10kg과 돈분뇨 20L, CASE 3는 음식물류 폐기물 8kg과 물 20L의 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혐기성 소화조의 pH는 평균 8.17로 나타내어 안정적인 혐기 소화 효율을 나타내었다. 혐기성 소화조의 온도는 평균적으로 38℃로 중온소화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혐기성 발효 과정 중 생성된 유기산의 농도는 33.67∼1,452.81mg/L로 분석되었다. 일반적으로 혐기발효시 안정적인 VFA의 농도는 500mg/L 이하이며, 운전기간 동안 전체 유기산 농도는 432.86mg/L로 분석되어 안정적인 혐기 발효가 진행되었다고 판단하였다. 바이오가스 발생량의 경우 CASE 1에서 0.29~0.31㎥/day로 나타났으며, CASE 2는 0.325㎥/day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혐기 발효시 발생되는 유기산 농도와 pH 변화에 따라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 발효 시 안정성을 판단한 결과 운전기간 동안 혐기발효는 안정적으로 이루어 졌다고 판단되었다.

      • KCI등재

        한국 전통 발효차의 전승양상과 소비형태

        장효은(Jang, Hyou-Eun),조기정(Cho, Kee-Jung) 비교민속학회 2013 비교민속학 Vol.0 No.51

        전통 발효차는 우리에게 유구한 시간동안 전승되며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음용되어왔으나 그 문헌 기록이 소략하여 형태 규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현대 문헌 분석과 하동군 악양면을 중심으로 한 현지조사를 통해 전통 발효차의 전승양상과 소비형태를 발굴하고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밝혀냈다. 첫 번째 특성은 다양성이다. 전통 발효차의 종류에는 백차·황차·청차·홍차가 존재했으며 매우 다양한 형태로 소비되었고 가격 폭 또한 넓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껏 발효차의 다양성이 조명 받지 못했던 것은 차의 명칭이 주로 ‘작설’, ‘잭살’로 통칭되었기 때문이었다. 두 번째 특성은 일상성이다. 발효차는 음료용·약용·의례용·기원용·식재료용으로 일상적으로 사용되었고 이용하던 차도구는 살림도구로도 사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것들이었다. 발효차는 자급자족되기도 했으나 전국적으로는 주로 방문판매, 장시판매를 통해 유통되었다. 세 번째 특성은 여성 주도성이다. 여성은 가족 구성원을 주도해 발효차를 소비하고 전승했다.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외부활동이 자유롭지 못했기 때문에 한가한 때 안방에 모여서 담소를 나누며 발효차를 즐겼다. 그녀들에게 발효차를 마시는 것은 여성들만의 시간과 공간을 창출한다는 의미를 가졌던 것으로 해석된다. 전통 발효차는 오랫동안 민중에 의해 주체적으로 전승되고 향유되던 한국의 독자적인 민속문화로 이에 대한 자료는 한국근대의 생활사, 구술사, 지방사를 알 수 있는 새로운 미시사적 자료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현대적 변화 속에서 전통이 급격히 사라져가는 농촌의 문화·경제적인 면을 조망하고 그 적응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The traditional fermented tea has been handed down to us long hours and drunk naturally in life. But we have difficulties to identify their existence to shortage of historical material. Therefore, this study excavated transmission aspect and consumption style about traditional fermented tea by using ‘analysis about traditional-modern materials’ and ‘field research focusing on Akyang-myun’ and identified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characteristic is diversity. There are four types of the traditional fermented tea, white tea, yellow tea, blue tea, black tea. And consumption styles of tea had been diverse and range of tea price had been wide. However, they has been still unknown because they has been called mostly ‘jakseol’ or ‘jacksal’. Second characteristic is dailiness. The fermented tea had been used as favorite drink·ritual drink·medical drink·food daily and villagers had used tea tools as utensils for practicality of tea tools. The fermented tea had been self-sufficient by villagers and had been traded through door-to-door sales·market sales nationwide. Third characteristic is women-dominated. The fermented tea had been transmitted and consumed by women on Akyang-myun. Because women had not been free than men they had drunk fermented tea together in the women’s quarters. They had used the fermented tea as good medium of communication and social culture. Because fermented tea is uniqu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we can know life history, oral history, local history of modern Korea through folk material about traditional fermented tea. Therefore we must do in-depth study about that. This study will become important opportunity that can view social·economic side on rural areas and propose strategy for adaptation.

      • KCI등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발육에 적합한 베리류톱밥 발효기간에 관한 연구

        임주락,이상식,이은진,김웅,최창학 한국응용곤충학회 202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2 No.3

        베리류톱밥 발효기간중 톱밥내 온도변화와 발효기간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발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참나무톱밥에 비해 발효속도가 빠르고, 발효기간 50~70일이 유충 발육에 가장 적합하였다. 발효기간중 톱밥내 온도변화는 발효초기에 베리류톱밥이 참나무톱밥이 40℃이하로 경과한데 반하여 베리류톱밥은 60℃ 이상 고온으로 경과되면서 빠르게 발효가 되었고, 60일 이내에 안정화 되었다. 개체사육에서 발효기간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총 발육기간은 베리류톱밥은 30일간 발효에서 104.8일로 가장 길고,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50~90일 발효는 90일 정도로 차이가 없었다. 참나무톱밥도 베리류톱밥과 마찬가지 경향이나, 유충 발육기간이 30일정도 길었다. 유충 령기별 발육기간은 베리류톱밥과 참나무 톱밥에서 차이가 컸고,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톱밥 발효기간에 따른 유충 무게는 베리류톱밥과 참나무톱밥 모두 발효기간이 긴 90일 발효에서 가장 가볍고, 발효기간 30~70일 발효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생존율은 개체사육에서는 95% 이상으로 발효기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집단사육에 서는 개체사육보다 생존율이 낮고, 발효기간 90일에서 가장 낮았다. 집단사육에서 출하기준인 2.5 g 이상 유충 비율은 베리류톱밥 발효기간 30~70일까지는 85% 정도로 차이가 없었지만, 발효기간 90일에서는 70%로 낮고,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참나무톱밥도 마찬가지 경향이며, 베리 류톱밥에 비해 10%정도 낮았다. 또한, 베리류톱밥은 40~60일이면 유충의 무게가 2.5 g 이상이 되었고, 참나무 발효톱밥은 75~105일이 걸렸다. After examining the temperature change in berry sawdust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an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period, it was found that the fermentation speed was faster than with oak sawdust and a fermentation period of 50-70 days was the most suitable for larval growth.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the temperature change in sawdust was quickly fermented as berry sawdust passed a high temperature of more than 60℃ in the early stages of fermentation compared to fermentation speed of oak sawdust, and stabilized within 60 days. In individual breeding, the total growth period of P. brevitarsis larvae by fermentation period was the longest at 104.8 days after fermentation for 30 days, which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growth period between 50 and 90 days of fermentation. Oak sawdust tended to be the same as berry sawdust, but the larval development period was approximately 30 days. The developmental period by larval stage differed greatly between berries and oak sawdust. The weight of larvae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period of sawdust was the lowest after 90 days of fermentation, with a long fermentation period for both berry and oak sawdus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30-70 days fermentation periods. The survival rate was more than 95% in individual breeding,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fermentation periods. However, in group breeding, the survival rate was lower than that of individual breeding and was lowest at 90 days of fermentation. In group breeding, the ratio of larvae weighing ≥ 2.5 g, which is the standard for shipment, was 85% after 30-70 days of fermentation of berry sawdust, but was lower at 70% after 90 days of fermentation, which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survival rate with oak sawdust showed the same trend, which was approximately 10% lower than that with sawdust. In addition, the larvae from the berry sawdust weighed > 2.5 g in 40-60 days, while it took 75-105 days with oak-fermented sawdust.

      • KCI등재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2 차 발효달팽이 추출물의 항노화 활성에 관한 연구

        조춘구,이민희 한국유화학회 2016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는 달팽이육질을 2차 발효공정을 통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개발하여, 피부미용학적 항 노화 활성에 관한 것이다. 1차 발효물을 얻기 위하여 노루궁뎅이버섯균사체로 배양하였으며, 2차 유산균 발효공정을 통하여 2차 발효달팽이 추출물을 얻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다. 이 연구에 적용된 균사체는 노루궁뎅이버섯균사체 (Hericium erinaceum Mycelium)와 유산균 (Leuconostoc mesenteroides) 발효균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물의 최종 수율은 62wt%이었다. 2차 발효된 달팽이 추출물의 수분 32wt%, 아미노산 단백질류 31.5wt%, 다당체 15.7wt%, 지방산 12.3wt%, 기타성분이 8.5wt%가 함유하였다. 또한 피부미용학적 이론과 피부의 항노화에 관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DPPH에의한 항산화 활성, 엘라스틴의 효소(elastase)감소효과, tyrosinase저해율, fibroblast의 성장율, 콜 라겐합성률에 대하여 평가한 결과를 하기와 같이 보고한다. 첫째; 2차 발효달팽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DPPH, IC50%)는 7.27 mg/mL로, 비교군인 녹차추출물 11.8 mg/mL, 일반달팽이추출물 15.7 mg/mL, DL-a-토코페롤 9.25 mg/mL가 소요되었다. 둘째; 2차발효달팽이추출물의 엘라스틴 효소(elastase)의 발 현억제능(IC50%)은 32.5 mg/mL로 비교군인 녹차추출물 45.9 mg/mL, 일반 달팽이추출물 67.7 mg/mL가 소요되었다. 셋째; 2차 발효달팽이 추출물의 tyrosinase의 발현억제능(IC50%)은 140.3 mg/mL로 비교군인 녹차추출물 250.7 mg/mL, 일반달팽이추출물 389.5 mg/mL, 니아신아마이드 125.9 mg/mL가 소요되었다. 넷째; 2차 발효달팽이 추출물의 fibroblast의 성장률은 125.6%로 비교군인 녹차 추출물 98.9%, 일반 달팽이추출물 109.5%, DL-a-토코페롤 96.2%의 활성력을 보였다. 다섯째; 2차 발 효달팽이 추출물의 collagen생합성률은 118%로 비교군인 녹차추출물 87.3%, 일반달팽이추출물 93.2%, 아데노신 127.9%의 성장률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미래에는 피부미용학적 활용 과 더불어 한국적 스킨케어 화장료 개발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related to develop a snail extract through a snail secondary fermentation process, getting anti-aging activity with healthy and beauty skin care scientific applications. In order to obtain a primary fermentation was incubated with Hericium erinaceus mycelium. Through the secondary fermentation process using Leuconostoc mesenteroides, was deeply described a total process of obtaining second fermented extract using snail body. Mycelium is applied in this study was extracted using Hericium erinaceus myceli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The final yield of the extract was 62 wt%. Experimental results of secondary fermentation snail extract were contained with 32 wt% water, 31.5 wt% total amino acid protein, 15.7 wt% polysaccharide, 12.3 wt% fatty acid and others 8.5 wt%. In addition, in order to study about skin beauty care and anti-aging activity, we evaluated antioxidant activity with DPPH, elastin enzyme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tyrosinase inhibition rate, collagen synthetic function, fibroblast synthetic activity. First; anti-oxidative activity of secondary fermentation snail extract (IC50%) was spent with 7.27 mg/mL, control samples were spent with green tea extract was 11.8 mg/mL, common snails extract was 15.7 mg/mL, DL-a-tocopherol was 9.25 mg/mL respectively. Second; elastin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secondary fermentation snail extract (IC50%) was spent with 32.5 mg/mL, control samples were also spent with green tea extract was 45.9 mg/mL, general snail extract was 67.7 mg/mL. Thir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secondary fermentation snail extract (IC50%) was spent with 140.3 mg/mL, control samples were also spent with green tea extract was 250.7 mg/mL, general snails extract was 389.5 mg/mL, niacineamide was 125.9 mg/mL. Forth; fibroblast synthetic activity of secondary fermentation snail extract was increased with 125.6%, control samples were also spent with green tea extract was 98.9%, general snails extract was 109.5%, niacineamide was 125.9 mg/mL, DL-a-tocopherol was 96.2%. Fifth; collagen synthetic activity of secondary fermentation snail extract was increased with 118%, control samples were also spent with green tea extract was 87.3%, general snails extract was 93.2%, adenosine was 127.9%. In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is study,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skin beauty car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style cosmetic products.

      • KCI등재

        고형오물을 이용한 해삼용 3단 발효사료 제조 중 질소 성분 변화

        이수정,고유진,김은자,강석중,류충호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4

        본 연구에서는 육상양식장에서 배출되는 부산물의 자원화 방안으로 뱀장어 양식장에서 배출되는 고형오 물에 미강, 탈지대두박과 같은 식품 부산물을 첨가하여 유산균, 황국균, 고초균을 단계적으로 접종하여 발 효시킨 발효사료의 성분 변화를 측정하였다. 발효사료의 제조 단계별 수분함량은 유산균을 이용한 1단 발 효물 14.6%, 황국균과 고초균을 이용한 2단, 3단 발효물은 각각 33.0%와 34.0% 였다. pH는 1단 발효물 에서는 유산균에 의한 젖산의 분비로 인해 5.38로 나타났으며 2단, 3단 발효물은 각 5.66과 7.26으로 측 정되어 pH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트산의 함량은 1단 발효물은 0.126g/100g, 2단 발효물은 0.004g/100g, 3단 발효물은 0.093g/100g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질소 함량을 측정한 결 과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2단 발효물이 1226.37mg%로 높았고, 3단 발효물에서 710.18mg%로 다소 감소 하였으며, 암모니아태질소 함량은 1단 발효물 0.988mg/kg에서 3단 발효물 1.502mg/kg로 증가되었다. 총질소 함량은 1단 발효물 2.78%와 2단 발효물 4.08% 그리고 3단 발효물 4.85%로 증가되었다. 3가지 미생물로 연속적인 발효가 진행될수록 피트산은 감소하고 단백질 분해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고 3 단 발효에 의해 저분자 질소성분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미루어 소화 흡수성이 높은 사료화가 진행됨을 추측할 수 있다. This study presented a measure for turning by-products, released from land farming sites, into resources. The measure involved adding food by-products such as rice bran and nonfat soybean to the sludge, released from the eel farming sites, inoculating the lactic acid bacteria, Aspergillus oryzae, and Bacillus subtilis by step, fermenting them, and measuring the changed ingredients of the fermented fodder. The water content of the fermented fodder by the step of preparation was the first-step fermented product (14.6%) using the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second and third-stage fermented product (33.0% and 34.0% respectively) using Aspergillus oryzae and Bacillus subtilis. The pH level was found to be 5.38 in the first-step fermented product due to the secretion of lactic acid caused by the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pH level of the second and third-stage fermented products was 5.66 and 7.26, respectively, showing that the pH level increased. The phytic acid content was 0.126g/100g in the first-step fermented product, 0.004g/100g in the second-stage fermented product, and 0.093g/100g in the third-stage fermented product. The measurement of nitrogen content revealed that the amino nitrogen content was high with 1226.37mg% in the second-stage fermented product, and a little lower with 710.18mg% in the third-stage fermented product. The ammonium nitrogen content increased from 0.988mg/kg in the first-stage fermented product to 1.502mg/kg in the third-stage fermented product. Total nitrogen content increased to 2.78% in the first-stage fermented product, 4.08% in the second-stage fermented product, and 4.85% in the third-stage fermented product. As fermentation continued with the three microbes, the phytic acid decreased, and the protein decomposition rate increased. Also, due to the 3 step fermentation, the low-molecule nitrogen ingredient content increased, suggesting that the fodder was developed to offer high digestion and absor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