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교민속학회 30년의 반성적 회고와 성찰적 전망

        임재해(Lim, Jae-Hae)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회고와 전망의 기본적 준거는 학회를 타자화 할 것이 아니라 자기 문제로 끌어들여 스스로 성찰하는 일이며, 구체적 준거는 학회 학술활동에 관한 바람직한 전망을 제시하는 일이다. 학회에 대한 두 차례 비판이 있었는데 한결같이 비교연구 부재를 지적하는 당위론이다. 공교롭게도 이 사실을 비판한 회원은 학회에서 비교연구 논문을 발표하거나 게재한 실적이 거의 없었다. 그러므로 스스로 실천하지 않는 당위론을 교사적 태도로 주장하는 것은 자기모순을 드러낼 뿐 학회 발전에 이바지하지 못한다. 학회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길은, 첫째 비교민속 기획발표를 개최하고, 둘째 외국 민속답사를 실천하여 비교연구의 기반을 다지는 것이다. 비교민속 기획은 학회 초기부터 한일비교민속을 특집으로 정체성을 살렸으나, 논문 평가가 시작되면서 비교논문보다 일반논문의 비중이 더 커져서 정체성이 약화되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려고 ‘아시아 민속 비교연구’를 표방하는 학술대회를 4년 동안 계속하면서 비교연구의 정체성을 살린 한편, 회원들이 비교연구에 염증을 느끼게 되자 다시 주제 중심의 학술대회로 방향을 바꾸었다. 학회의 중심이 비교민속과 일반민속 기획연구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오가고 있는 셈이다. 외국 민속답사 기획도 초기에는 연구주제 중심으로 답사하고 그 결과를 학회발표와 논문게재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이루었다. 그러나 점차 다수 회원들이 참여하면서 지역중심의 외국답사를 하게 되어 비교연구로 이어지지 않았다. 다만 현지 학자들과 국제학술대회를 하고 그 결과를 학회지에 수록하는 일은 지속되었다. 외국답사에 따라 국제학술대회와 외국학자들의 논문 수록으로 학회지 평가에 상대적으로 비교우위를 점유하며 학회 발전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기획발표와 외국답사를 시기별로 나누어 단계별로 정리하면서, 왜 그러한 변화가 일어났는가 하는 사실을 국내 학계의 요인과 외국 수교관계에 따라 밝혔다. 학회의 정체성 확립을 넘어서 학문의 이론적 발전을 위해서도 비교연구는 필요하다. 그 결과, 전파론적 비교연구에서 동이론적 비교연구로 나아가다가, 마침내 신비교주의에 따라 ‘유목?농경 문화 비교모형’을 수립하고 생업양식에 따른 총체적 비교연구의 분석틀을 개척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학회는 해마다 정기적인 외국 민속답사를 기획하여 동아시아에서 동남아, 중앙아, 동북아, 시베리아 지역을 넘어 미주 지역까지 답사지역을 확대하며 다양한 외국민속 경험을 쌓아왔다. 그러나 다수 회원의 민속 참관 수준에 머물러서 학술연구로 이어지는 현지조사가 되지 못했다. 따라서 진전된 성과를 위해서는 소수 학자들 중심의 밀도 높은 현지조사를 수행하고 비교연구로 이어지도록 하는 기획이 필요하다. 더 절실한 과제는 대안과 전망을 열거하는 데 머물 것이 아니라 하나라도 자기 것으로 안고 실천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성찰 없는 회고와 실천 없는 전망은 학회 형식주의에 머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학회의 진정한 전망은 회원 각자의 학문활동 전망에서 마련된다.

      • KCI등재

        비교민속학의 방법론 재론

        남근우(Nam, Kun-Wu)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이 글에서는 일본의 민속학계에서 펼쳐진 비교민속학의 방법론적 성과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보았다. 우선 야나기타 구니오가 필생의 과업으로 추구한 일국민속학의 방법을 개관하고 일제 말기 그가 구상한 비교민속학의 정치성을 고찰해보았다. 1970, 80년대에 활성화하는 일본의 비교민속학론은 대부분 그의 일국민속학과 비교민속학 구상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이 학조의 관련 논의와 발언들을 짚어본 다음, 전후 일본민속학에서 추구해온 비교민속학의 방법론과 그 연구 실천의 주요한 성과들을 한국과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점검해보았다. 그리고 결론을 갈음하여 90년대 이후 일본에서 비교민속학의 논의가 어떻게 퇴행하고 있는지를 살펴 한국 비교민속학론의 반면교사로 삼아보고자 했다. This paper investigated critically into the methodological results of comparative folklore that came out in the field of japan folklore. Firstly, it summarized the method of ‘folklore in one country’ that Yanakita Kunio pursued as his lifetime’s work, and examined the politicity of the comparative folklore that he designed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Because the japanese comparative folklore vitalized in the 1970-80s, make them a springboard of the argument. Next, this paper analysed the methodology and the major results of the comparative folklore in the japan folklore after war pursued, focusing on the comparative research with the korean. And as the substitutes of result, it examined into the recessiveness of the argument in japan since 1990s and insisted that the case of japan should let be a lesson to the comparative folklore of korea.

      • KCI등재

        독일민속학의 비교연구의 역사 및 특징

        이상현(Lee, Sang Hyun)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본 연구는 독일민속학의 비교연구의 특징, 특히 독일민속학 연구가 시작되었던 19세기부터 학문 명칭이 변경되었던 1970년까지 독일민속학의 비교 연구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독일민속학의 비교연구의 역사를 특정 민속에 한정하여 비교하는 연구 그리고 특정 대상에 함축되어 있는 다양한 요소를 비교한 연구로 나누어 기술하고 분석하였다. 전자를 박물관 전시 기법과 유사하다고 판단하여 박물관 전시와 비교 연구를 연관하여 설명하였다. 실제로 당시 이러한 비교연구를 진행한 민속학자들은 박물관 전시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작업을 한 민속학자들이었다. 후자의 비교연구는 특정 민속아카이브처럼 특정 민속과 관련된 다양한 민속 혹은 특정 민속에 내포되어 있는 하위 요소들을 일련의 체계 속에서 정리된 상태에서 비교한 연구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민속아카이브의 구축 그리고 운영을 비교 연구와 연관 지어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독일민속학의 비교 연구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비교연구는 하나의 연구 방법 특히 특정 지역 혹은 주민들의 삶과 문화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방법 이어서, 비교 연구 대상에 대한 맥락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야 한다. 또한 비교연구도 연구방법론의 체계를 갖춘 연구 방법으로써 자료의 수집하고 정리한 이후 특정 연구 목적에 맞게 정리된 자료를 해석하는 단계에서 활용되어야 연구방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도출된 비교 연구 결과가 학문적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독일민속학의 비교 연구에서는 비교 대상인 민속이 포함되어 있는 맥락에 대한 관심 부족하였고 더구나 연구 방법론의 절차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하여 비교연구의 많은 문제점을 파생시켰다. This study has been composed for the analysis of the features of the comparative studies of German Volkskunde of the 19th century, when German Volkskunde studies began, until the 1970’s, when the title of the subject changed. To achieve this, this study has been divided, enumerated, and analyzed in categories of: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history of comparative studies of German Volkskunde, limited to specific folklore, and the comparative study of various elements implied in specific subjects. The former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omparative studies and museum exhibitions, based on the judgment that the study is similar to the method of museum exhibitions. In actuality, folklorists who conducted such comparative studies took great interest in museum exhibition during their progress.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latter was conducted within the series of systems of sub-categories contained in specific or various folklores related to specific folklore, as a specific folklore archive. Thus, this study has explained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folklore archives in connection with comparative studies. Lastly, this study has examined the problems of the comparative studies of existing German Volkskunde. Comparative studies is a method of analyzing and studying the life and culture of specific regions or residents, hence the context of the subject of study must be written in detail. Further, comparative studies is also a method that carries a system of methodology, that must be used in the stage of interpreting data summarized to suit the purpose of specific studies after collecting and summarizing data.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studies deduced through such process could obtain academic objectivity. However, existing comparative studies of German Volkskunde had insufficient interest on the context comprising of the comparative subject of folklore, and additionally, caused many problems of comparative studies due to a lack of recognition of the procedure of study methodology.

      • KCI등재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

        박환영(Park, Hwan-Young)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는 대표적인 학문분야는 인류학과 민속학이다. 두 학문분야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문화연구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고찰하기 위하여 인류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비교연구의 관점과 연구주제를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즉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가 가지고 있는 관점과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인류학적 입장에서의 비교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다음으로 이러한 비교연구가 민속학(특히 비교민속학)에서의 비교연구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으며 향후 비교민속학적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본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는 초창기에는 문화진화론적인 입장에서 일방적인 측면에서의 문화 비교를 하면서 점차로 19세기 이후부터는 문화상대주의적 입장에서 다양한 인류문화를 대등한 입장에서 바라보는 통문화적인 문화의 상호비교(cross-cultural studies)로 바뀌게 된다. 더욱이 anthropology at home과 같이 자신의 문화를 연구하는 인류학의 경향은 비교연구의 방법을 더욱더 세분화하고 정밀하게 발전시키는 계기가 된다. 한편 초장기 한국민속학에서 비교민속학적인 접근을 취했던 20세기 초반의 민속학자들과 그들의 업적 중에서 민속학의 고유한 방법인 역사지리학적 방법은 인류학에서의 문화전파론적 방법과 만난다. 또한 1990년 전 세계적으로 사회주의가 본격적으로 약화되면서 한국민속학에서 아시아지역의 민속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된다. 특히 중국과 몽골 그리고 구 소련연방(USSR)에 속했던 사할린 연해주와 중앙아시아 지역의 민속연구를 위한 현지조사가 가능해지면서 인류학의 통문화적 연구와 밀접한 연계를 가지게 된다. 더욱이 21세기 다문화사회(multicultural society), 탈사회주의 사회(post-socialist society)1), ‘아시아적 가치(Asian Values; 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민족이 공유하거나 공감할 수 있는 문화적 가치) 등 이제까지 인류학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았던 다양한 인류문화와 비교해서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연구영역과 관심2)이 생겨나고 있어서 인류학과 비교민속학적 연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즉 아시아 인류학자에 의한 또 다른 아시아의 문화연구는 비교민속학적인 입장에서 아시아 민속의 비교와 관련해서 살펴볼 수 있으며, 탈사회주의 사회에 대한 인류학적인 연구는 북한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이전 문화와 사회주의 문화 그리고 향후 탈사회주의 문화를 상호 비교해서 한국의 민속문화와 비교민속학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comparative studies” and how anthropological approaches these studies from the standpoint of its perspectives and research subjects. It shows how anthropological comparative studies are closely linked to folklore studies and furthermore may have an impact on future comparative studies. Comparative studies in anthropology based on cultural evolutionism and therefore were focused on one-side direction. However when cultural relativism emerged, various human cultures were equally treated and valued. As a result, the comparative study of cross-cultural perspectives gradually developed and solidated to the realm of anthropology. Furthermore, some recent research trends in anthropology such as “anthropology at home” contributes to delicate and broaden the methodology of anthropological comparison. On the other hand, some efforts (i.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methods) of comparative folkloristic researches on early 20th century in Korea are connected to cultural diffusionism in anthropology. Since the decline of socialism in Asia and Eastern Europe in 1990, Korean folklorists could extend their research interests towards Asian regions. In particular, Korean folklorists started to carry out fieldwork in China, Mongolia and Korean minority communities in USSR, thus they contributed to the cross-cultural studies of anthropology. Today new cultural distinctions (such as multi-cultural society, post-socialist society, Asian values) stimulate further research topics and hence surely lead to a new paradigm of future anthropology and comparative folkloric studies.

      • KCI등재

        비교사회학의 향방

        정수진(Jung, Soojin)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이 글에서는 1970년대 미국의 사회학계에서 분과 학문으로 제도화된 비교사회학을 주목하고 그 방법론적 성과들을 정리했다. 이어 그것들에 대한 비판들을 참고삼아 비교민속학의 방법론적 문제들을 분석했다. 나아가 비교사회학의 방법론적 쇄신과 그 과정에서 산출된 대표적인 성과들을 살펴봄으로써 비교민속학의 방법론적 쇄신과 그 향방을 가늠해보았다. 비교사회학과 비교민속학은 비교를 추구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그 방법론에서 큰 차이가 난다. 비교사회학이 방법론적 실증주의의 토대 위에서 거시적인 역사 변동을 이론화하려고 노력했던 것과 달리, 민속학은 애초 지역문화 혹은 민속의 특수성과 차이를 미시적?맥락적으로 포착하려고 애썼으며, 바로 그 점에 특유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교민속학은 민속학 본연의 이 특장을 몰각한 채 학문적 대의만을 되풀이 주장함으로써 비교연구 자체에 대한 방법론적 고민을 등한시했다. 그 결과 비교민속학이 봉착한 최대의 문제는 ‘비교민속학의 탈민속학화’다. 오늘 우리가 천착해야 할 문제는 비교민속학의 과학화가 아니라 그 불가능성인 까닭이다. This paper was written in the discussion for the full-fledged reflection of the methodology of comparative folklore through sharing the results and the problems of the comparative method that related studies have been pursued. Especially focused on the comparative sociology institutionalized as the academic discipline at 1970s in America, it summarized the methodical results. And referring to the critics about them, it analysed the methodological problems and the basic contradictions of comparative folklore. Focusing on the course of methodological innovation and its major results of comparative sociology, it tried to find a direction to the methodological innovation of comparative folklore. In terms of methodology the comparative sociology and the comparative folklore are very different except that they adopt the comparative method together. The comparative sociology tried to theorize the macroscopic social change on the basis of methodological positivism, but the folklore have originally the strong point at the microscopic and contextual grasp the difference and distinctiveness of folklore or local culture. Nevertheless disregarded the strong point, the comparative folklore have been neglected the concern for the methodology and repeated its doxic contention. As a result, the problem faced comparative folklore is just ‘the desertion of comparative folklore from the folklore.’ Accordingly the digging and concerning point now should be not the scientification of comparative folklore but the incommensurability of folklore.

      • KCI등재

        비교불교민속론의 비교기준에 관한 소고-마야부인 태몽이야기의 코끼리 모티브를 중심으로-

        편무영 비교민속학회 2023 비교민속학 Vol.- No.77

        This paper starts from the necessity that Buddhist folklore should extend its denotation into comparative Buddhist folkl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y the scriptures should be the standard for comparative Buddhist folklore. Buddhist folklore, unlike other folklore, does not necessarily focus exclusively on the culture created by the people. Rather, the core of Buddhist folklore lies in the face that the scriptures has had a major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Buddhist folklore. However, there is no sign of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t scriptures and Buddhist folklore in either of the two perspectives, the folkloric perspective and the Buddhist perspective, that discuss Buddhist folklore. The folklore focuses on explaining the meaning of Buddhism as it permeated folk culture, while the Buddhist perspective looked at the folk cultures as it interfered with Buddhist rituals. In other words, although it was called Buddhist folklore, it only considered Buddhism and folklore from their separate perspectives. Consequently, the key issues to be addressed are, firstly, the rebirth of Buddhist folklore as comparative Buddhist folklore and, secondly, the use of the scriptures as a criterion for comparison. In this study, using the ‘Dream of Maya’ as a specific example, a comparison of the Pali and Chinese translations of the scriptures was attempted, as well a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types of scriptures and the temple murals. It became clear that the ‘Dream of Maya’ is in fact transmitted differently in the Pali and Chinese scriptures in each region. The differences between Southeast Asian and Northeast Asian Buddhism and related Buddhist discourses are notable. It was also possible to speculate on the areas in which the Chinese struggled to understand Buddhism as it was transmitted from India. In other words, the lotus flowers and elephants in the scriptures were difficult for the Chinese to understand and interpret. Chinese attitudes to solving difficult problems were also diverse, with reinterpretations and attempts at over-paraphrasing from a Taoist perspective. However, the Chinese translations of the scriptures that were the result of these efforts were transmit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spread to Japan. Buddhist paintings were then painted based on these scriptures and related Buddhist discourses were passed on orally. Behind the distinction of the murals of Southeast Asian temples from those of Korean Peninsula is the scriptures that have already been interpreted in a different direction before discussing temple traditions and folk culture. In comparative Buddhist ethnography, therefore, the comparison of Pali and Chinese versions of the scriptures is not an option, but a necessity. Although Buddhist folklore tended to be explained solely in terms of regional and ethnic logic as an inherited culture, it was confirmed that in many cases the scriptures should be considered first. Monk Da-Yeo of Anjeongsa Temple repeatedly stated that there is no content in Ttangseolbeop sermon that is unrelated to the scriptures, which is an important issue for Buddhist folklore and comparative Buddhist folklore. 본고는 불교민속론이 비교불교민속론으로 외연을 확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비교불교민속론은 삼장[三藏, 經論律]이 기준이어야 하는 논리적 근거를 밝히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불교민속이 여타 민속과 다른 것은 지역의 민중이 주체가 되어 발생하고 전승되는 문화가 전부는 아니라는 점이다. 전승에서 그렇게 인정되는 부분이 물론 존재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즉, 경전을 축으로 하는 삼장이 불교민속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끼쳐왔다는 사실이야말로 비교불교민속론에서 유념해야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불교민속론에는 특히 삼장과 불교민속의 관계에 주목했다는 연구 사례가 많지 않았다. 민속학적 관점은 민속에 스며든 불교의 의미 설명에 치중하였으며 불교학적 관점은 가령 불교의례에 간섭한 민속을 살피는 식이었다. 그러니까 불교민속 연구는 불교와 민속이라는 양방향에서 바라보되 불교의 근본에 입각하는 경우는 드물었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불교민속론이 비교불교민속론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삼장이 비교기준이어야 하는 문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를 논증하기 위해 마야부인의 태몽이야기를 범어 경전과 빨리어 경전, 그리고 한역 경전을 비교 분석하였고, 또 경전과 사찰 벽화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결과적으로 범어 빨리어 경전과 한역 경전의 전파지역에서 마야부인 태몽이야기의 코끼리 모티브가 실제로 어떻게 다르게 전승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그러다 보니 남방불교와 북방불교의 커다란 차이점과 더불어 관련 불교설화의 차이점도 알게 되었다. 그뿐만이 아니라 한국 도솔내의상의 무엇이 중국적 모방이고 한국적인지도 가늠할 수 있게 되었다. 인도에서 전해진 불교를 이해하고자 중국인들이 어떠한 문제로 고민했는지도 짐작할 수 있었는데 백련화를 코로 문 흰 코끼리나 연화화생은 특히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였다. 난제를 대하는 중국인들의 태도 역시 다양해서 도교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거나 과도한 의역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물인 한역 경전은 거의 그대로 한국과 일본에 전파되었다. 그리고 경전을 바탕으로 불교회화가 제작되거나 관련 불교설화가 구전되었다. 동남아의 사찰 벽화가 한국의 그것과 구별되는 배경에는 사찰의 전통이나 민중 문화의 영향도 물론 있으나 이를 논하기 전에 이미 서로 다른 방향을 걷기 시작한 경전이 자리하고 있었다. 그러니 비교불교민속론에서 세 갈래의 경전 비교는 불가피하다고 본다. 전승문화로서의 불교민속을 지역이나 민중의 논리로 해석할 수도 있으나 경전을 비롯한 삼장의 논리 또한 고려해야 한다는 이유를 마야부인 태몽이야기의 코끼리 모티브를 통해 밝혀보았다. 한마디로 불교민속의 연구 관점과 방법의 하나로 삼장이라는 비교 기준을 통한 분석을 시도해 보았고 결과적으로는 그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는 판단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민속학과 사회학 개론서의 비교 고찰

        정수진(Jung, Soo-Jin)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59

        이 글의 목적은 최근 출간된 사회학 분야의 개론서들을 민속학개론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민속학개론의 새로운 구상에 도움을 받으려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이두현, 장주근, 이광규가 함께 펴낸 『한국민속학개설』과 비교사회학회의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 문화사회학회의 『문화사회학』이 그 비교의 대상이다. 이 글은 이 세 권의 책을 대상으로 삼아, 독자에 대한 인식, 연구 목적과 대상, 방법론, 학문 고유의 현실 인식과 문제의식, 목차 및 장별 내용 구성 등과 관련해서 각 개론서들이 보이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비교 고찰했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민속학개론의 집필 방향을 모색했다. 이상의 항목들을 중심으로 살펴 본 민속학개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주된 독자가 누구인지를 명확히 하는 것, 그들의 관심과 이해를 높이기 위한 기술 장치를 다각도로 마련하는 것, 그들의 삶이나 일상적 경험과 밀착된 방식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배열하는 것, 민속학의 개념과 방법론을 가지고 오늘의 현실과 일상을 이해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보여주는 것, 무엇보다 오늘의 사회적 현실과 그 변화에 공명하는 학문이 되도록 지속적인 고민과 보완을 반복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weigh the existing introduction of folklore against the introductions of sociology, therefore to get help for the new design of an introduction of folklore. The concrete comparison targets are An introduction of folklore, Sociology: critical reading of society, and Cultural sociology. This paper compared and weighed this three books, especially focused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awareness of audience, description of purpose and objects of learning, methods and critical issues, awareness of social reality of their own, table of contents, contents organization. As a result, this paper tried to grope the direction of content organizing of the new introduction. First of all to resolve the problems of the introduction of folklore exposed by this discussion, it emphasized to definitize the core readership, to make the various writing devices to enhance its attention and understanding, to organize and arrange the contents close to its real life and ordinary experiences, to show how we can understand the social reality today with folkloristic concepts and methods, to evaluate and revise continually to be the responsive learning to social reality and change.

      • KCI등재

        세계화 시대 한국 민속학의 현실적 과제와 자각적 전망

        임재해(Lim, Jae-Hae) 비교민속학회 2013 비교민속학 Vol.0 No.50

        학문이 생명력을 지니려면 역사의식과 함께 현실인식을 갖추고 상아탑의 학문에서 시계탑, 감시탑, 조명탑의 학문으로 나아가야 한다. 외국학문 인용주의를 극복하고 자문화를 독창적으로 읽는 통찰력을 발휘함으로써 학문주권을 확립할 수 있어야, 세계화시대이자 문화의 세기에 부응하는 민속학을 개척할 수 있다. 세계화는 서구화가 아니라 세계 각국이 유기적 관계를 이루는 것이라는 현실인식 아래, 세계사의 흐름을 통시적으로 포착하고 문화의 세기를 포착해야 미래의 전망을 정확하게 제시하는 민속학이 가능하다. 통시적으로 보면 세계사는 두 갈래의 흐름 속에 있다. 영역 중심으로 지방화시대에서 국가화 시대, 세계화시대로 나아왔으며, 국제관계 중심으로 무력전쟁의 시대에서 무역경쟁의 시대, 문화교류의 시대로 나아왔다. 따라서 21세기를 세계화시대 또는 문화의 세기로 자리매김하는 것이다. 문화가 세계화되려면 자문화의 정체성을 확보해야 하는 것처럼, 학문이 세계화되려면 학국학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고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학문적 독창성을 발휘해야 한다. 그것은 곧 문화주권과 학문주권을 확보하는 일이다. 문화주권은 자문화로서 정체성이 뚜렷한 민속문화가 확보해 주는 것이며, 학문주권은 자기사회의 민속현상을 귀납적으로 해석하고 일반화 가능한 민속학 논리를 개척할 때 확보되는 것이다. 민속학은 현장학과 전통학, 민중학의 특징을 살려 문화주권론을 펼침으로서 스스로 학문주권을 확립해야 세계화된다. 현장학으로서 민속학은 현재 세계화 수준의 한류문화를 자문화의 논리로 해명하고, 미래의 문화적 전망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전망은 비판적 현실인식에 서 출발한다. 현실은 생태위기 속에 놓여 있다. 이 위기는 세계화나 문화로 극복할 수 없으므로 생태주의로 나아가야 한다. 따라서 20세기의 경제주의와 21세기의 문화주의에서 22세기의 생태주의 체제를 표방하는 것이 민속학의 전망이다. 민속문화는 자연친화적인 생태문화로서 지속 가능한 미래의 대안문화로 제기되고 있으며, 문화되돌이 현상이 그러한 문화적 가치를 입증하고 있다. 그러므로 민속학은 현실 체제의 모순을 극복하고 대안문화를 제시하는 미래학문으로서 입지를 전망하지 않을 수 없다. 한국 민속학의 세계화는 한국학으로서 질적 수준을 확보하는 데서 출발한다. 해외학계와 횡적 교류가 아니라 한국 민속학으로서 독창성을 발휘하여 학문주권을 누리게 되면 세계화는 자연스레 이루어진다. 민속연구를 통해 문화주권 이론을 확대시킨 것이 학문주권론이다. 민속학이 문화주권을 의식하고 학문주권을 자각하며 한국학으로서 독자성을 추구할 때 한국 민속학은 세계화 수준을 밝게 전망할 수 있다. In order for a field of study to be revitalized, the applicable academic circle will need to be equipped with consciousness of the reality along with historical sense, and evolve the vision of the study from an image of ivory tower to that of monitor or enlightenment. Also the academic circle will need to establish the academic sovereignty by overcoming the extravagantly widespread practices of quoting overseas academic circles and demonstrating the insight to read the native culture uniquely in order to develop the folk study of this nation Korea that complies with the global era and culture century. To that end, the academic circle will need to capture the flow of the world history and culture and ultimately propose the future prospect precisely under the recognition of the reality that globalization is not westernization but the formation of organic relations among each country of the world. In diachronical perspective, the world history has progressed in two directions. In area perspective, it has evolved from localizing era to nationalizing era and globalizing era, and in international relations, it moved from an era of military war to an era of trading competition and an era of cultural exchange. Therefore, the 21st century is establishing itself as an era of globalization and cultural promotion. Just as globalization of cultural promotion requires acquisition of the nation’s own identity, globalization of the Korean folk study requires establishment of identity as a nation, and demonstration of the academic uniqueness with high quality, ultimately acquiring the cultural sovereignty and academic sovereignty. Cultural sovereignty is when folk culture is established with clear identity as the nation’s native culture, and academic sovereignty is when the academic circle excavates the logic of the folk study that can interpret and generalize the society’s own folk phenomena. The folk study can be globalized only when cultural sovereignty and thus academic sovereignty are exercis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ield study, tradition study and populace study enhanced. The folk study as field study should be able to clarify the ‘Hanryu’ Korean wave culture of globalized level and also the cultural prospect of the future with the logic of the nation’s own culture. Such prospect begins from the critical recognition of the reality. Since the reality lies in ecological risks, and such risks put obstacle to globalization or cultural promotion, the folk study should pursue ecology. Therefore, the folk study is anticipated to pursue ecology in the 21st century when it pursued economy and culturalism in the 20th century. Folk culture is proposed as an eco-friendly sustainable form of future alternative culture, and cultural reversion phenomenon is proving such cultural value. Therefore, the Korean folk study is desired to cope with the contraditions of reality system and pursue future oriented study.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folk study begins from acquiring the qualitative standard as the study of Korea. Once this field of study accomplishes to relish the academic sovereignty by demonstrating the uniqueness as the study of Korea rather than through horizontal exchanges with overseas academic circles, then globalization will come naturally. The academic sovereignty of the Korean folk study is to extend the theories of cultural sovereignty through the folk study. The Korean folk study will be able to prospect brighter future for globalization when the academic circle gains consciousness of cultural sovereignty and academic sovereignty and pursue the uniqueness as the study of Korea.

      • KCI등재

        야나기타 민속학을 통해본 일본 민속학의 현재

        남성호(Nam Sung-Ho) 비교민속학회 2012 비교민속학 Vol.0 No.48

        야나기타 구니오(柳田?男)에 의해 성립된 일본 민속학이 최근 10여년 사이에 ‘황혼의 민속학’, ‘해 저무는 민속학’이라 일컬어질 만큼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그러한 배경에는 다양한 요인이 있겠지만 그 중 하나가 야나기타라는 민속학을 대성시킨 거장의 그림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자구의 반성에서 출발하고 있다. 본고는 야나기타가 제기한 과제, 특히 야나기타 민속학의 키워드인 민속학 목적으로서의 ‘經世濟民’, 민속학의 위상으로서 ‘역사학이냐 혹은 현재학이냐 라는 문제’, 민속학의 주체 또는 대상인 ‘상민’, 방법론으로서 비교 귀납적인 ‘중출입증법(重出立?法)과 방언주권론(方言周圈論)’, 그리고 민속학 범위로서의 ‘일국민속학(一國民俗學)’ 이라는 몇가지 쟁점을 통해 현재적인 상황을 개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야나기타학(柳田?)이라고도 일컬어질 만큼 문학, 역사학, 인류학, 지리학, 농정 과학 등 다방면에 걸쳐 방대한 연구성과가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주요 키워드를 중심으로 야나기타 민속학을 이해하고 이와 연관된 일본 민속학의 현재적 담론에 대해서 언급하는 것으로 한정했다. 현재 일본 민속학은 야나기타 민속학에 대한 비판과 계승이라는 두 개의 흐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본 민속학의 창시자라는 것에는 이견이 없는 만큼 현재 대두되고 있는 민속학 관련 과제는 그의 공과(功過)를 불문하고 야나기타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야나기타 민속학에 대한 비판 혹은 계승에 대한 검토는 오늘날 일본 민속학의 현재적인 모습을 반영한다. 특히 일본 민속학이 성립하기까지 문화 인류학, 고고학, 민족학, 역사학 등 인접 학문과의 접촉을 통해 학문으로서 민속학의 자리매김과 비판과 반성, 그리고 정보화 시대 속에서 새롭게 일어서는 민속학의 여러 과제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經世濟民의 學’으로 출발한 야나기타 민속학이 상민이라는 신조어의 탄생, 그것이 곧 일본인이라는 개념 확장으로 이어지고 민속학이 일본 문화학의 지평을 넓히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지만 이에 대한 비판으로 비상민(非常民) 민속학이 대두되기도 하였다. 또 최근에는 야나기타가 꿈꾸어 왔던(?) ‘세계 상민학’이 제창되기도 하였다. 둘째, 일본 민속학이 민속자료의 조작법에 불과하다는 비판과 함께 야나기타 민속학의 방법론인 중출입증법과 방언주권론에 대해서 비판과 함께 회의적인 논의가 제기되었지만 지역민속학의 대두와 함께 한정된 지역(지방)내에서 중출입증법이 적용되기도 하고 언어중심의 방언주권론에서 민속주권론, 문화주권론으로 확대 재생산되기도 하였다. 끝으로 무엇보다 일본 민속학의 위기감은 그 목적의 상실 또는 유효성의 의문에서 출발하고 있다. 그리하여 일본 민속학이 성립하기 이전으로 돌아가 새롭게 재출발해야한다고 제기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논의들이 애초에 야나기타에서 비롯되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현재 일본 민속학은 非常民민속학, 지역민속학, 도시민속학, 환경민속학, 생태 민속학 등 세분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야나기타를 비롯하여 일본 민속학계에서는 거의 논외시 되어 온 민속에 대한 정책과 관광자원으로서의 민속, 창조된 민속 등 이데올로기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과제들이 제시되고 있다. 즉 민속자료의 고정화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글로벌화, 세계 문화유산 문화 등재 등 문화 이데올로기의 영향 하에 놓인 현실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였고 이에 다양한 출구를 모색하는 가운데 일본 민속학은 새로운 기로에 놓여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