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비대칭 헤드기어의 적용시 상악 제 1 대구치에 나타나는 힘과 변위 및 초기 응력분포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김종수,차경석,주진원,이진우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1

        편측성 Ⅱ급 부정교합 환자를 만나는 것은 임상에서는 흔한 일이지만, 치료 방법은 제한적인 것이 사실이다. 그 중에서도 asymmetric head-gear는 그 사용의 횟수에 비해 정확하고 완전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며,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장치의 디자인에 대한 정보 역시 아직도 논란이 많고, 그 동안의 연구들도 확실한 해답을 주지는 못하고 있다. 더욱이 asymmetric face-bow를 유한요소법을 통해 해석한 것은 그 예를 찾아볼 수 없었기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발치나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정상교합자를 대상으로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편측성 Ⅱ급 부정교합의 상악 치열궁을 모델링하고, RMO사의 Face-Bow(Penta-FormTM/Medium Size)를 기본 모델로 오른쪽의 outer-bow가 15mm, 25mm, 35mm씩 짧은, 세 개의 asymmetric face-bow를 모델링한 후, 편측성 Ⅱ급 부정교합 상악 치열궁 모델의 좌, 우측 상악 제 1대구치에 세 종류의 asymmetric face-bow를 적용, 편측당 0.3kgf의 힘으로 견인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양쪽 제 1 대구치가 받는 힘의 총합은 세 경우 모두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근심 위치된 치아가 받는 힘의 크기는 증가하였고, 정상 위치된 치아가 받는 힘의 크기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2.양쪽 제 1 대구치가 받는 측방력은, 정상 위치된 치아에서는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협측으로의 힘이 커졌고, 근심 위치된 치아에서는 협측으로의 힘이 작아지는 경향을 보여,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전체적인 측방력이 정상 위치된 치아의 협측으로 이동되는 경향을 보이긴 했지만, 양쪽 제 1 대구치 모두 혈측으로 힘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Archial Expansion Effect"를 보였다. 3.양쪽 제 1 대구치가 받는 원심력과 정출력, 그리고 distal tipping의 양은, 정상 위치된 치아에서는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감소하였고, 근심 위치된 치아에서는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양쪽 제 1 대구치의 rotation은, 정상 위치된 치아에서는 distal-in의 rotation을 보였으며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그 양이 증가하였고, 근심 위치된 치아에서는 두 가지의 결과를 나타냈는데, outer-bow가 15mm 짧은 경우에는 distal-in의 rotation을 보였으나, 25mm와 35mm 짧은 경우에는 distal-out의 rotation을 보여 15mm와 25mm 사이에 변환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치근 분지부 직하방에서 치근막의 초기 음력분포를 관찰한 결과, 정상 위치된 치아의 원심협측 치근에서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압축음력이 구개측에서 원심측으로, 그리고 협측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6.치근 분지부 직하방에서 치근막의 초기 응력분포를 관찰한 결과, 정상 위치된 치아의 원심협측 치근을 제외한 근심협측 치근과 구개측 치근, 그리고 근심 위치된 치아의 세 개의 치근 모두는,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응력의 크기만 변할 뿐 전체적인 음력분포의 양상에는 변화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orce, the displacement and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maxillary first molars altered by the application of various asymmetric head-gear. For this study, the finite element models of unilateral Cl II maxillary dental arch was made. Also, the finite element models of asymmetric face-bow was made. Three types of asymmetric face-bow were made : each of the right side 15mm, 25mm and 35mm shorter than the left side. We compared the forces, the displacement and the distribution of stress that were generated by application of various asymmetric head-gea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The total forces that both maxillary first molars received were similar in all groups. But the forces that mesially positioned tooth received were increased as the length of the outer-bow shortened, and the forces that normally positioned tooth received were decreased as the length of the outer-bow shortened. 2.In lateral force comparison, the buccal forces that normally positioned tooth received were increased as the length of the outer-bow shortened, and the buccal forces that mesially positioned tooth received were decreased as the length of the outer-bow shortened. Though the net lateral force moved to the buccal side of normally positioned tooth as the length of the outer-bow shortened, both maxillary first molars received the buccal force. That showed "Archial Expansion Effect" 3.The distal forces, the extrusion forces and the magnitudes of the crown distal tipping that mesially positioned tooth received were increased as the length of the outer-bow shortened, and the forces that normally positioned tooth received were decreased as the length of the outer-bow was shortened. 4.The magnitude of the distal-in rotation that normally positioned tooth received were increased as the length of the outer-bow was shortened. But, mesially positioned tooth show two different results. For the outer-bow 15mm shortened, mesially positioned tooth showed the different rotation, but for the outer-bow 25mm and 35mm shortened, mesially positioned tooth showed the distal-out rotation. Thus, the turning point exists between 15mm and 25mm. 5.This study of the initial stress distribution of the periodontal ligament at slightly inferior of the furcation area revealed that the compressive stress in the distobuccal root of the normally positioned tooth moved from the palatal side to the distal side and the buccal side successively as the length of the outer-bow shortened. 6.This study of the initial stress distribution of the periodontal ligament at slightly inferior of the furcation area revealed that the magnitudes of stress were altered but the total stress distributions were not altered in the mesiobuccal root and the palatal root of normally positioned tooth, and also three roots of mesially positioned tooth as the length of the outer-bow shortened.

      • SCOPUSSCIEKCI등재

        제 2 대구치 발거에 의한 Ⅲ급 부정교합자의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이성희,박영국,정규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4 No.2

        이 연구는 제 2 대구치를 발거하고 하악 제 1 대구치의 후방이동을 위해 CPHG(cervical pull head gear)와 경우에 따라 Ⅲ급 고무줄을 사용하여 고정성 교정장치로 치료한 Ⅲ급 부정교합자의 치료전후 안면골 및 치아치조부, 연조직의 평균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평균 ANB 가 -1.4˚ 이고 IMPA가 85˚ 인 중등도이하의 Ⅲ 급 부정교합자 15명을 대상으로 치료전후 측모두부 X-선 규격사진의 평균 두개안면부 측면 중첩모식도를 작성하고 계측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안면고경에 대한 전하안면고경의 비율은 0.6%증가(P< 0.01)하였고, 하악 평면각이 1.5˚증가(P<0.05)하였다. 2. 전방 두개저에 대한 하악골 위치는 미약하게 후하방회전하였다. 3. 하악 제 1 대구치가 4.06mm(P<0.001)후방경사이동하였고 하악 전치는 설측으로 3.2˚경사이동(P<0.05)하였다. 4. 하순의 후퇴로 인한 안모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골격성 부조화가 중등도 이하인 Ⅲ급 부정교합자에서 하악 제 1대구치의 후방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하악 전치의 지나친 설측경사를 피하기 위해 제 2 대구치를 발거하는 것은 조심스러운 증례의 선택시 치료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제 2 대구치 발거 후 제 3 대구치의 맹출 및 치료후 예후에 대한 장기적인 관찰은 이루어지지 못하여 향후 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skeletal, dentoalveolar, and soft tissue changes of Class Ⅲ malocclusion cases treated by second molar extraction. The lateral cephalograms of 15 subjects with moderate Class Ⅲ malocclusion by average ANB -1.4˚ and IMPA 85˚ were traced and the computerized superimposition of average craniofacial change was made. The data was gather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Lower anterior facial height/anterior facial height increased by 0.6%(P<0.01), mandibular plane increased by 1.5˚ (P<0.05). 2. There was a slightly downward & backward rotation of the mandible. 3. Lower first molar tipped distally by 4.06mm(P<0.001), lower anterior teeth lingually tipped by 3.2˚ (P<0.05). 4. Retracted lower lip improved facial profile. This study may suggest that second molar extraction could be effective for a moderate Class Ⅲ malocclusion to make distalization of the lower first molar easier and avoid severe lingual tipping of the lower incisor, if the lower third molar has a normal shape, good direction of eruption and adequate time for lower second molar extraction.

      • KCI등재

        양측성 고정원을 이용한 이소 맹출의 치료에 대한 증례 보고

        선예경,심연수,안성인 大韓小兒齒科學會 199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6 No.2

        제 1 대구치의 이소 맹출이란 제 1 대구치가 비정상적인 맹출 경로를 취해 제 2 유구치의 비정상적인 조기 흡수를 일으키는 경우를 뜻한다. 비가역적 이소 맹출의 경우 제 2 유구치의 조기상실은 공간 상실, 제 1 대구치의 근심 경사, 제 2 소구치의 함몰, 총생과 대합치의 과맹출등을 야기 시킨다. 치료의 주목적은 (1) 제 2 유구치의 조기 상실을 막아 공간 유지의 역할을 하게하고 (2) 상실된 치열장을 회복해 제 2 소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을 돕는 것이다. 치료 방법은 제 1 대구치의 맹출 정도, 제 1 대구치의 위치 변화, 제 1 대구치가 걸려있는 제 2 유구치의 enamel ledge 양, 제 2 유구치의 동요도, 동통이나 염증의 유무에 의해 결정된다. 제 1 대구치의 근심 경사의 치료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편측성 장치는 결과적으로 공간 상실을 증가시키는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원의 보강을 위해 holding arch와 같은 양측성 고정원의 사용이 추천되고 있다. 본 증례 보고는 삼성 서울 병원을 내원한 환아 중 제 1 대구치의 비가역적 이소 맹출로 제 2유구치의 치근 흡수와 동요도 증가를 보이는 환아에서 양측성 고정원을 이용한 장치를 사용해 제 2 소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Ectopic eruption of the first permanent molar means the first permanent molar assumes an atypical path of eruption resulting in premature atypical resorption of the second primary molar. If the reversible eruption does not occur, early loss of the second primary molars results in space loss, mesial tipping of the first permanent molar, impaction of the second premolar, buccal segment crowding and overeruption of opposing tooth. The main objectives of treatment are (1) to prevent loss of the second deciduous molars so it can continue to serve as a space maintainer and (2) to regain lost arch length, allowing the second premolar to erupt into normal position. The optimal treatment approach depends on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the clinical eruption status of/6/, the change in position of/6/, the amount of enamel ledge of/E/ entrapping/6/, the mobility of/E/, and the presence of pain of infection. Unilateral appliance to correct the mesial angulation of ectopic permanent first molars, as in the majority of the appliance designs, would produce a resulotant force that would further enhance the space loss. A bilateral support similar to the holding arch design is recommended to maximize the anchorage. These case reports present the successful result of preserving space for the second premolar in treatment of ectopic eruption of the first permanent molar using Halterman appliance with bilateral anchorage on patients visti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in Samsung Medical Center.

      • KCI등재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유도

        이두영,송제선,이제호,최병재,김성오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2

        영구치의 매복온 다양한 빈도로 보고되며, 인구 집단의 약 5.6~18.8%에서 발생한다. 그 중에서 하악 제2대구치의 맹출장애 빈도는 약 0.06%, 하악 제l대구치는 약 0.01%로 매우 드물게 나타난다. 영구 대구치는 기능적으로 저작을 위한 중요한 교합적 지지를 제공하며 안면의 조화로운 성장발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영구 대구치의 매복시 발생되는 문제점으로는 구치부의 개방교합과 대합치의 정출, 인접치의 치근흡수와 기울어짐, 낭종의 형성, 심할 경우 하안면고경의 감소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유발될 수 있다. 매복치의 치료 방법으로는 우선적으로 외과적노출술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외과적노출술 후에 추가적인 인위적 아탈구로 자발적맹출을 기대해 볼 수도 있다. 자발적맹출이 관찰되지 않으면 교정적 강제 견인이나 외과적 재위치술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에는 발치 후 보철치료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맹출장애를 보이는 치아의 조기진단과 치료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늦은 시기에 발견될 경우 자발적 맹출력이 감소되어 치료의 성공률도 감소하고, 치료기간도 증가하며 임상적으로 다양한 합병증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장애를 조기에 발견할 경우 우선적으로 맹출유도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다음 두 증례는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에 대하여 외과적 노출술을 시행 후 자발적 맹출을 기대하였으나 상반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Incidence of tooth impaction varies from 5.6 to 18.8% of the population. Failure of erup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ermanent molars is rare; the prevalence in the normal population is 0.01% in case of the first permanent molar, and 0.06% in case of the second permanent molar. Permanent molars a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providing sufficient occlusal support and co-ordinating facial growth. Failure of eruption of permanent molars may result in various complications such as decrease in vertical dimension, posterior open bite, extrusion of antagonistic teeth, resorption and inclination of adjacent teeth, formation of cyst and so on. Treatment options of impacted teeth are periodic observation, surgical exposure, surgical exposure with subluxation, orthodontic relocation, and surgical extraction before prosthetic treatment.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are important, because delayed treatment induces various problems such as decreased spontaneous eruptive force, decreased successful percentage, increased treatment period, increased various complications. Prevalence of the failure of mandibular first molars is rare but eruptive guidance before extraction of impacted teeth is necessary due to importance of permanent molars. We reported two cases of surgical exposure of impacted mandibular first molar. In these cases, we could observe different result of the impacted mandibular first molar after surgical exposure.

      • KCI등재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매복 양상과 역학적 조사

        김소현,김영진,김현정,남순현 大韓小兒齒科學會 201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3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trospective study was to analyze gender, age, awareness, etiology, and treatment choice in patients with failed eruption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Radiographic material and dental records from 67 patients with 74 mandibular first molars with failed eruption treated during the years 2001-2014 were evaluated. As results, the prevalence of mandibular first molar with failed eruption was higher in males than females, and the average awareness age was 9.19 years old. The most common etiological cause was unknown, and the next most common causes were abnormal eruption pathway and odontogenic tumor in order.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more dental education to children about the time of eruption of permanent tooth is required, and the importance of regular dental check-ups is emphasized during mixed dentition. 하악 제1대구치의 매복은 흔치 않은 맹출 장애이나 부정교합, 낭종성 변화, 치관 주위염, 인접치아의 치근 흡수와 같은 많은 합병증을 야기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악 제1대구치의 매복이 관찰된 6세 이상의 아동 67명과 그들에서 관찰된 74개의 매복된 하악 제1 대구치를 대상으로 역학적 조사를 시행하고 매복 양상에 대하여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로 매복치의 유병률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으며, 좌우측의 차이는 없었다. 매복에 대한 평균 인지 연령은 9.19세로 제1대구치의 평균 맹출 연령보다 약 3세가량 늦었다. 또한 매복의 원인으로서 원인불명이 가장 많았으며 비정상적인 맹출경로를 가진 경우, 치성종양, 낭종성 변화의 증대 순이었다. 매복양상은 Type I이 가장 많았고, Type III, Type IV, Type II 순이었으며 매복치의 맹출 유도를 위해서는 외과적 노출술이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저자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연령에 대한 구강 교육이 필요하며 영구치 맹출 시기의정기적인 치과 검진이 이루어질 것을 권장하는 바이다.

      • KCI등재

        외과적 노출술을 이용한 매복된 하악 제 1 대구치의 자발적 맹출 유도

        김은정,김난진,조호진,김현정,김영진,남순현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4

        하악 제 1대구치 매복의 발생 빈도는 전체 인구의 0.01%로 드물게 나타난다. 매복의 원인으로는 맹출 공간의 부족, 과잉치, 치성 종양이나 낭과 같은 맹출로상의 장애물, 유전적 요인, 내분비 질환, 외상 등이 있다. 하악 제 1대구치의 매복으로 인해 하안면 고경의 감소, 낭의 형성, 치관 주위염, 인접치의 치근 흡수, 부정 교합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며, 치료 방법으로는 외과적 노출술, 교정적 견인, 외과적 재위치술, 발거 등이 있다. 다음의 두 증례는 하악 제 1대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게 외과적 노출술을 시행하여 원심 경사 매복된 하악 제 1대구치의 자발적 맹출을 유도한 증례들이다. Impaction of mandibular first molar is relatively rare and its overall frequency has been reported to be 0.01%. The etiology of impaction are lack of eruption space, physical obstacles such as supernumerary teeth, odontomas or odontogenic tumors, hereditary factors, functional disturbances of endocrine glands and traumas. Impaction of mandibular first molar can result in a short lower facial height, formation of a follicular cyst, pericoronal inflammation, resorption of the roots of neighboring teeth and malocclusion. The treatment options available for impacted teeth include surgical exposure, orthodontic forced eruption, surgical repositioning and surgical removal of unerupted molar. This report presents two cases of distally tilted and impacted mandibular first molars which were treated by surgical exposure. In these cases, we could observe spontaneous eruption of the impacted mandibular first molars after surgical exposure.

      • KCI등재

        Pendulum 장치를 이용한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 증례

        이현정,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3

        상악골과 치조골 전돌을 가진 II급 부정교합 증례 중 상악 치아 발치의 적응증이 아닌 경우와 하악 구치의 전방 이동을 허용할 수 없는 경우 상악대구치의 원심이동기법을 사용하게 된다. Pendulum 장치는 환자의 협조도 없이 상악 대구치를 원심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장치로 소구치를 안정화 시키며,구 개측 고정원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구치부 정출로 하안면 고경이 증가할 수 있고,전치부 전방 이동이 동반되며,추벽부 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장치의 사용과 환자 선택에 선중을 기해야 한다. 이에 pendulum 장치를 사용하여 상악 대구치를 원심 이동시킴으로써 공간 문제를 해결하고, 대구치 관계를 개선한 증례 들을 보고하는 바이다.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is a treatment approach for patients with Class II malocclusions who do not require extractions and mesial movements of mandibular molars. The pendulum appliance is effective for distalization of the maxillary molars and independent of patient cooperation. This appliance can stabilize the maxillary premolars and use the palatal rugae area as an additional anchorage. However. caution is needed to control collateral effects, including increase of lower facial height, incisor protrusion and damage to the rugae area. This article reports the cases in which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achieved by pendulum appliance resolves the space problems and corrects the molar relationships.

      • KCI등재

        Study of endodontic working length of Korean posterior teeth

        김정엽,이상훈,이광희,박상혁 大韓齒科保存學會 2010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5 No.6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verage working lengths of Korean posterior teeth and evaluate validity of endodontic file length. Materials and Methods: The endodontic working length of the posterior teeth of 670 Korean patients were measured than each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investigated than the frequency deviation and standard deviation per each length were calculated. Results: Among the canals of premolar, 66.5% of canal length was marked under 20 mm by endodontic working length and 95.4% could be measured under 22 mm and Among the canals of molars, 95.5% of canal length was marked under 20 mm endodontic working length. Conclusions: With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endodontic working length of premolars of Korean, it suggested that 23 mm endodontic file is more proper than the 21 mm and 25 mm file on the marke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근관 작업장에 대한 ISO규격의 근관 치료용 기구의 길이가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006-2008년까지 경희의료원 동서신의학병원 보존과에서 구치부의 근관 치료를 받은 환자를 670명 선발하였다. 모든 근관 치료는 한 명의 술자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통법의 와동을 형성하였고 변연 융선부터 0.5 mm의 교합면삭제를 시행하였다. 근관장은 전자 근관장 측정기(Root ZX)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방사선 사진으로 보정하였다. 근관장의 길이는 근관 성형 정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 실험에서는 초기 근관장만을 이용하였다. 심한 우식이 있거나 보철물이 있는 경우, 근관이 석회화 되어서 정상적인 근관 치료를 할 수 없는 경우, 상악 대구치의 근심 설측 근관과 하악의 C-shape 근관을 가진 치아는 실험군에서 제외하였다. 총 487개 소구치 근관과 870개 대구치 근관의 근관장을 측정하였고 각각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측정하였다. 또한 각 길이별 빈도 분포 및 정규 분포를 관찰하였다. 결과: 1. 소구치 근관에서 20 mm 이하의 근관장을 갖는 경우는 전체의 66.5%였으며 22 mm 이하의 근관장을 갖는 경우는 전체의 95.4%였다. 2. 한국인의 소구치 근관장을 측정한 결과, 현재 시판중인 21 mm, 25 mm의 기구보다는 23 mm의 기구가 더 적절하였다. 결론: 한국인의 소구치 근관 치료시 21 mm, 25 mm의 기구보다는 23 mm의 기구가 더 적절하였으며 대구치의 경우 21 mm의 기구의 사용이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Bone-supported pendulum을 이용한 상악대구치 원심이동

        장용걸,박호원,이주현,서현우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3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이 요구되는 경우, 구외견인, Wilson distalizing arches, 가철식 스프링 장치 그리고 Schwarz plate-type 장치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대구치의 원심이동 장치들로 치료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협조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많은 소아치과 의사들은 환자 의존성을 최소화하고 임상가가 통제 할 수 있는 장치들로 전환하고 있다. 이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이 pendulum 장치인데, 고정원이 되는 전방치아의 원하지 않는 이동과 고정원 소실, 그리고 구개부 고정원이 좋지 않은 경우 원하는 정도의 구치부 원심이동을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전통적인 pendulum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SAS(Skeletal Anchorage System)를 pendulum에 접목하여 골에서 직접 지지를 얻는 변형된 형태의 pendulum, 즉 bone supported pendulum을 제작하여 장착 시킨 후 주기적인 관찰을 시행하였다. 본 증례는 혼합치열기 환자를 대상으로 bone supported pendulum을 사용하여 안정된 고정원 유지, 원치 않는 치아이동의 최소화 및 양호한 상악 대구치 원심이동 등을 관찰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To distalize the maxillary molars. the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extra-oral traction. Wilson distalizing arches. removable spring appliances and Schwarz plate-type appliances have been used. But, these need considerable patient cooperation. For minimal patient compliance. many practitioners use the pendulum appliances. Several clinical studies demonstrated pendulum is effective molar distalization appliance in the growing patient(using the premolars and the palate as anchorage). But unfortunately, maxillary anterior teeth also shift mesially as the molar moves distally. As a result anchorage loss is occurred.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we used bone-supported pendulum, combined the conventional pendulum with Skeletal Anchorage System(SAS). The miniscrew was implanted in the anterior paramedian region of the median palatal suture, which has comparatively sufficient bone thickness and is low risk to damage on the dental follicles. We report three cases, using bone-supported pendulum for the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in children. After treatment, we find out anchorage stability, minimal unfavorable anterior tooth movement and sufficient molar distalization.

      • KCI등재

        하악 제1 대구치 근단부의 형태학적 연구

        정현,박상진,박상혁,최기운 대한치과보존학회 2009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4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c shapes and diameters of the physiological foramen and anatomy of the root canal at 3mm from apex in mandibular first molars. Slxty mandibular first molars were randomly selected. The apical anatomy of 60 mandibular first molars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a stereomicroscope (60x magnification). Thc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high percentage of two physiological foramina in mesial (61.67%) and one foramen in distal (71.66%) roots of mandibular first molars. 2 There was a high frequency of accessory foramina in mesial roots with one foramen (26.07%) 3 The diameters of physiological foramen was as follows: ·0.329mm in single mesial foramen ·0.266mm in mesioccal foramen and 0.246mm in mesiolingual foramen ·0.375mm in single distal foramen ·0.291mm in distobuccal foramen and 0.237mm in distolingual foramen 4 The most common physiological foramen shape was oval (69.93%) 5 The incidence of isthmus in mesial root at 3mm from apex was 55%. The 3mm-sections contained a complete isthmus 31.66% and a partial isthmus 23.34% 6 3mm from tho apex, the most common canal shape was oval (50.64%) Knowledge of the apical anatomy of mandibular first molar would be necessary for success of surgical and nonsurgical endodontic treatment. 본 연구는 한국인의 하악 제1 대구치 60개를 대상으로 생리적 근단공의 크기와 형태, 근심 치근의 치근단 3mm에서 isthmus의 발생 빈도와 형태, 그리고 원심 치근의 치근단 3mm의 근관 형태를 입체현미경하에서 60배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물 얻었다. 1.근심 치근은 두 개의 근단공을 가지는 비율이 높았으며(61.67%), 원심 치근은 하나의 근단공을 가지는 비율이 높았다(71.66%). 2.부근단공의 빈도는 근심 치근의 1개의 근단공을 가지는 경우가 가장 높았다(26.07%). 3.생리적 근단공의 크기는 근심 치근에서 하나의 근단공을 가지는 경우 0.329mm, 근심 협측 근단공은 0.266mm 근심 설측 근단공은 0.246mm였으며, 원심 치근에서 하나의 근단공을 가지는 경우 0.375mm, 원심 협측 근단공은 0.291mm, 원심 설측 근단공은 0.237mm로 나타났다. 4.근단공의 형태는 oval 형태(69.93%)가 가장 많았다. 5.근심 치근의 치근단 3mm에서 isthmus의 발생빈도는 55%였으며, partial isthmus는 31.66%, complete isthmus는 23.34%로 나타났다. 6. 원심 치근의 치근단 3mm의 근관 형태는 oval 형태(50.64%)가 가장 많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하악 제1 대구치의 성공적인 근관 치료를 위해서는 생리적 근단공의 실제 크기와 형태 및 isthmus의 존재에 대한 사전 지식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