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성인에서 당뇨병 진단 기준으로서의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 비교

        최은영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0 No.4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hemoglobin A1c (HbA1c) level of 6.5% as a diagnostic criterion for diabetes mellitus (diabetes) compared with fasting glucose level of 126 mg/dl, an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s diagnosed with diabetes by each of HbA1c and fasting glucose. Methods: Data from the 199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used. Analyses were done for 4,875 adults (≥20 years) without a self-reported history of diabetes and anemia and had fasted for at least 8 hours and had the HbA1c level done. Results: Of the 4,875 adults, 1.4% had HbA1c ≥6.5% and fasting glucose ≥126 mg/dl, 0.4% had HbA1c ≥6.5%and fasting glucose <126 mg/dl, and 5.6% had HbA1c <6.5% and fasting glucose ≥126 mg/dl. The pre- valence of diabetes was 7.0% by fasting glucose and 1.8% by HbA1c, which underestimated the prevalence of diabetes compared with fasting glucose. After adjusting for age, sex, smoking status, and BMI, individuals with concordant diabetes by both fasting glucose and HbA1c had higher fasting glucose, HbA1c, and waist circumference (P<0.05), and higher odds ratio for metabolic syndrome (OR=2.6, 95% confidence interval, 1.4-4.9, P<0.01)compared with those with discordant diabetes. Conclusions: In Korean adults, HbA1c level of 6.5% as a diagnostic criterion was less sensitive in detecting newly diagnosed diabetes defined by fasting gluco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dds ratio for metabolic syndrome between individuals with concordant and discordant diabetes defined by fasting glucose and HbA1c. 연구배경: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당뇨병 진단 기준인 공복혈당 ≥126 mg/dl과 당화혈색소 ≥6.5%를 비교하여 당뇨병 진단기준으로서 당화혈색소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를 기준으로 진단된 당뇨병 환자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방법: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건강검진을 시행한 7,962명 중 공복당화혈색소 검사를 시행하고, 당뇨병 진단을 받은 적이 없으며, 빈혈이 없고,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가 2 미만인 대상자 4,87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 4,875명 중 당화혈색소 ≥6.5%이면서 공복혈당 ≥126 mg/dl인 경우가 1.4%, 당화혈색소 ≥6.5% 이면서 공복혈당 <126 mg/dl인 경우가 0.4%, 당화혈색소 <6.5%이면서 공복혈당 ≥126 mg/dl인 경우가 5.6%였다. 당뇨병의 유병률은 공복혈당 기준 7.0%, 당화혈색소 기준으로는 1.8%였으며, 당화혈색소는 공복혈당에 비해 당뇨병의 유병률을 73% 과소평가하였다. 성, 연령, 흡연상태,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후에도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 기준이 당뇨병으로 일치했던 군은 두 기준이 서로 일치하지 않았던 군에 비해 당화혈색소와 혈당 및 허리둘레가 더 컸으며(P<0.05), 대사증후군의 오즈비도 2.6 (95% CI, 1.4-4.9, P<0.01)으로 더 컸다. 결론: 한국 성인에서 당화혈색소 6.5%는 공복혈당으로 정의한 당뇨병을 진단하는 데 민감하지 않았으며,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 기준이 당뇨병으로 일치했던 군은 일치하지 않는 군에 비해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더 컸다.

      • KCI등재

        한국 성인에서 당화혈색소 수치와 당뇨망막병증 간의 관계

        윤정호,위대광,이기석 한국안광학회 2023 한국안광학회지 Vol.28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40세 이상 한국 성인에서 당화혈색소 수치에 따른 당뇨망막병증과의 위험관계를 알아보고자하였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2018년) 조사대상자의 건강설문조사와 안과 검진을 받은 40세 이상을 대상으로 당뇨망막병증과 관련 있는 당화혈색소 수치 및 나이와 성별, 체질량지수, 월평균 가구 총소득, 교육수준, 현재흡연율, 월간음주율을 보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0 미만으로 하였다. 결과: 40세 이상 당화혈색소 수치가 8% 이상인 당뇨병의 환자 유병률은 26.01%(263명)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교차비가(OR) 0.808배로 낮아지고(p<0.025), 당화혈색소가 높은 사람이 정상범위(7%)에 있는 사람에 비해 교차비가(OR) 1.674배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당화혈색소 7%일 때 교차비(OR) 1%를 기준으로, 당화혈색소가 8%로 증가함에 따라 교차비가 2.884배로 높아지고(p<0.001), 9%로 증가하였을 때는 교차비가 2.430배로 높아지며(p=0.003), 10%로 증가하였을 때는 교차비가 5.870배로 높아짐을 나타내고 있다(p<0.001). 또한 당화혈색소 수치가 11%로 증가하였을때는 교차비가 9.164배로 높아지고(p<0.001), 12%로 증가하였을 때는 교차비가 6.869배로 증가하였다(p=0.001). 결론: 당화혈색소와 당뇨망막병증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은 교육수준과 당화혈색소로 확인되었다. 이는 대졸이하의 저학력인 사람에게 건강 관련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성인 당뇨 환자는 주기적인 당화혈색소 수치 검사를 통해 당뇨망막병증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glycated hemoglobin levels in Korean adults over 40 years of age, with diabeticr Retinopathy. Methods: In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for people of over 40 years of age who had undergone an ophthalmological examination,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adjusting for glycated hemoglobin levels, age, sex, body mass index,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educational level, current smoking rate, and monthly drinking rate, all of which are relevant to diabetic retinopathy.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less than 0.050. Results: The prevalence of diabetic patients aged 40 years or older with a HbA1c level of 8% or higher was shown to be 26.01% (263 patients). As the level of education increased, the odds ratio decreased by 0.808 times (p<0.025), and the odds ratio of people with a high HbA1c was 1.674 times higher than that of those in the normal range (7%),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groups. Based on an odds ratio of 1 when HbA1c was 7%, HbA1c increased to 8%, and the odds ratio increased 2.884 times (p<0.001); when HbA1c increased to 9%, the odds ratio increased 2.430 times (p=0.003); when it increased to 10% the odds ratio increased by 5.870 times (p<0.001). In addition, when the HbA1c level increased to 11%, the odds ratio increased by 9.164 times (p<0.001), and when the HbA1c level increased to 12% the odds ratio increased by 6.869 times (p=0.001). Conclus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glycated hemoglobin and diabetic retinopathy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educational level. Hence, it is considered that less-educated people, undergraduates, and adult diabetic patients need to learn to manage their diabetic retinopathy through periodic glycated hemoglobin level tests.

      • 당뇨병의 이환기간에 따른 당화혈색소 및 합병증

        김두희,김동욱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1999 東國醫學 Vol.6 No.-

        국문초록목적 : 당뇨병 환자에서의 합병증은 사망률과 이환률을 증가시키는 주요원인이며 당뇨병의 조절정도와 이병기간과 관계가 깊다. 이러한 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해서는 병인규명과 더불어 역학적 조사가 절실히 요구되고 혈당 및 다른 위험인자 조절이 중요하다. 당화혈색소는 당뇨병 환자에서 정상인보다 2∼3 배 증가되어 있음이 보고되면서 당뇨병조절 및 관리의 합병증 발생의 대사지표로서 연구되어왔다. 저자는 당뇨병의 이환기간에 따른 합병증의 발생양상을 관찰하고 합병증들에 대한 당화혈색소와의 연관성 및 임상지 유용성에 대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방법 : 대구 파티마병원 내과에 입원하였던 7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문진, 이학적 검사, 흉부 X선 사진, 심전도검사, 소변 및 당화혈색소를 포함한 혈청검사, 안지검사, 근전도검사를 시행하였고 합병증은 망막증, 신증, 신경병증, 족부병변 및 대혈관 장애 등으로 분류하였다.결과 : 당뇨병성 망막증의 빈도는 40.5%로서 이환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 71.4%의 이환율을 보였으며 이 중 증식성 망막증도 9.46%이었다. 당뇨병성 신증의 빈도는 17.5%로서 이환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빈도도 증가하였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81.8%로 가장 흔한 합병증이었으며 이환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빈도도 증가하였다. 대혈관 장애는 21.6%의 이환율을 보였으며 당뇨병성 족부병변은 3례에서 관찰되어 4.1%의 빈도를 보였다. 당뇨병의 합병증과 당화혈색소 사이에는 유익한 상관관계는 없었다(p>0.05).결론 : 합병증의 빈도는 당뇨병의 이환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각 합병증 발생과 당화혈색소치와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고, 당뇨병의 이환기간과 당화혈색소치 사이에도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 KCI등재후보

        비당뇨인에서 당화혈색소와 안압과의 관련성

        강경오,전성흡,신경숙,손두용,유병욱,김선희,홍성호,조주연,신황식,조용진,오정은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1

        연구배경: 당뇨병을 진단받은 사람은 자율 신경계의 이상 및 유전적 요인으로 비당뇨인에 비해 평균 안압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연구에 따르면 당뇨병 뿐만 아니라 당뇨병 전단계에서도 당뇨병 합병증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고 한다. 이에 저자는 일개병원의 건강검진센터에서의 전자의무기록 자료를 이용하여 비당뇨인의 당화혈색소와 안압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15년 11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16,6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심혈관질환, A, B, C형간염, 암 및 기타 질환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자, 검사 결과 공복혈당 126 mg/dL 이상 혹은HbA1C 6.5% 이상인 자, 양안 안압 측정이 되지 않는 자는 제외한30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당화혈색소 5.7% 미만, 5.7% 이상이고6.5% 미만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평균 안압을 남녀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보정한 후, 당화혈색소와 안압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공변량분석을 시행하였다. 남성의 경우 두 그룹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여성의 경우 두그룹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비당뇨인에서 여성에서는 평균 안압과 당화혈색소 간에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 추후 다각적이고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Diabetic patients are known to have unusually high mean intraocular pressure (IOP); attributable to autonomic dysfunction and genetic factors. A recent study reported that diabetic complications occur in not only diabetes but also prediabetes. We performed this stud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glycated hemoglobin A1c (HbA1c) levels and IOP in non-diabetics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at the health screening center of Soon Chun 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Methods: We considered 16,643 individuals who visited the health screening center of Soon Chun 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between November 2015 and September 2017. In total, 3,029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Exclusion criteria included a history of hypertension, diabetes, stroke, cardiovascular disease, hepatitis (A–C), cancer, other disease, fasting blood glucose of 126 mg/dL or higher, HbA1c of 6.5% or higher, and individuals whose binocular IOP could not be measured. We categorized subjects into two groups; those with HbA1c less than or equal to 5.6%, and those with HbA1c greater than 5.6% and less than 6.5%. The mean IOP of each group was compared by gender. Results: After adjusting for factors affecting IOP,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bA1c and IO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bA1c groups in male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OP between females in the the higher and lower HbA1c groups. Conclus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ean IOP and HbA1c in females without diabet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with prospective and extensive data collection.

      • KCI우수등재

        위험 지각과 자기효능이 자가간호활동과 당화혈색소 수준에 미치는 영향

        강수진(Soo Jin Kang),심강희(Kang Hee Sim)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8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제 2형 성인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위험 지각과 자기효능이 자기간호 활동과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지역 상급 종합 병원 내분비내과 외래를 이용하고 있는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2015년 1월 4일부터 1월 30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Stata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과 분위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자기간호활동에 영향 요인으로 연령, 위험 지각, 자기효능이 유의한 변수였고, 25% 분위 이하에서는 연령, 75% 분위 이상에서는 위험 지각이 유의하였다. 당화혈색소의 영향 요인은 당뇨병 유병 기간, 약물 사용, 당화혈색소 수치 지각 여부, 위험 지각이 유의하였고, 75% 분위 이상에서는 당화혈색소 수치와 위험 지각이, 25% 이하 분위에서는 약물 사용이 유의하였다. 분위에 따른 당뇨병 관리의 영향 요인 간의 차이점을 이용하여 향후 위험 의사소통과 중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risk, self-efficacy, self-care activities, and HbA1c in adult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he study was designed as a descriptive study.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180 patients who visited a clinic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data using SPSS 23.0 and Stata 15.0 programs. Age, perceived risk, and self-efficacy were identified as factors affecting self-care activities. For quantiles under 25%, age was significant, and for quantiles over 75%, perceived risk was significant. For factors influencing HbA1c, duration of diabetes, pharmacological treatment, awareness of own HbA1c level, and perceived risk were identified. Awareness of own HbA1c level and perceived risk were significant for quantiles over 75%, and pharmacological treatment was significant for quantiles under 25%.

      • KCI등재

        모바일 헬스 기반 중재프로그램이 성인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감소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김민혜,설로마,이현주,이윤미,전진호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4

        본 연구는 성인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감소에 대한 mHealth 기반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확인하고자 실시한 체계적인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2021년 10월까지 국내외 전자데이터베이스 통해 검색된 1,058편의 논문 중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해 21편의 연구를 선택하였고, 이중 20편의 연구가 메타분석 포함기준에 부합하였다. 비뚤림 위험은 수정된 Cochrane Risk-of-Bias (RoB) 2.0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되었고, 효과크기를 추정하기 위해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검토 결과 문자메시지, 모바일전화, 웨어러블 모니터링 기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mHealth 중재가 제공되었다. 메타분석 결과, mHealth 기반 중재가 성인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감소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0.26(95% CI: -0.41 to -0.11, p=.001)으로 유의하였다. 그 중 어플리케이션 기반 mHealth 중재가 당화혈색소 감소에 효과적이었다(-0.29, 95% CI: -0.56 to -0.01, p=.040). 최근 mHealth 기술을 통한 비대면 중재 관리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가운데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만을 대상으로 메타분석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 추후 중재에 대한 결과변수로 당화혈색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수에 대한 검정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직장인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정도와 융합적인 영향요인 분석 : 2009-2013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박다혜,장은희 한국융합학회 2015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6 No.6

        본 연구는 직장인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정도와 융합적인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당뇨병관리를 위한 중재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2009-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만 19세 이상 65세 미만의 성인 중 당뇨병을 진단받고, 직장을 가지고 있는 총 7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당화혈색소 7.0% 미만을 혈당조절군, 7.0% 이상을 혈당비조절군으로 분류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질병관련 및 건강행태 특성 중 당뇨병이환기간, 당뇨병치료여부, 고혈압진단여부, 흡연, 중등도 신체활동, 걷기 실천여부가 그룹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로지스틱회귀분석결과 성별, 당뇨치료여부, 고혈압진단여부, 걷기 실천여부가 당화혈색소 조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직장인 당뇨병 환자들의 적극적인 당뇨치료와 일상생활에서의 걷기실천이 중요하며, 이를 지지해 줄 수 있는 직장 내 환경조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nvergence factors related to glycemic control in workers with diabetes mellitus. A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9-2013." The survey included 44,085 adults aged over 19 under 65 years with diabetes mellitus and 764 samples with worker were used for this stud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8.0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ood and the poor glycemic control group was gender. The Health behavior-related and disease-related variable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ood and the poor glycemic control group were diabetes mellitus duration, diabetes mellitus treatment, hypertension diagnosis, smoking, moderate physical activity, walking exercise practice. Factors related to glycemic control were gender, diabetes mellitus treatment, walking exercise practi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searchers need more active treatment and walking exercise as important factors affecting glycemic control of Korean worker with diabetes mellitus and intervention focusing on the issues needs to be developed in workplace environment.

      • KCI우수등재

        한국 성인의 당화혈색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경화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8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glycated hemoglobin A1c (HbA1c) in Kore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Subjects were adults aged 40 and older (4,718 normal range of HbA1c, 4,695 prediabetes and 1,592 diabetes) who drawn from the 6th (2013∼201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complex samples analysis with SPSS 24.0 program. The most important factor on prediabetes and diabetes was current smoking, and others revealed as old-aged, higher waist circumference, higher triglyceride, lower hemoglobin, and higher fasting plasma glucose (R2 = 0.489). Identification of influential factors of hemoglobin A1c may contribute to the early detection of patients who are susceptible to diabetes and may also be contributed to plan interventions to lowering hemoglobin A1c. In addition, monitoring of hemoglobin A1c levels and clinical laboratory indicators can be used as an indicator to monitor diabetic complications and other health problem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년 및 노년 성인의 당화혈색소(glycated hemoglobin A1c, HbA1c)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제 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에서 40세 이상 성인 (당정상범위군=4,718명, 전당뇨군=4,692명, 당뇨군=1,532명)을 대상으로 SPSS 24.0을 이용하여 복합표본설계 빈도분석, 복합표본설계 기술통계, 복합표본설계 교차분석, 복합표본설계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전당뇨군 및 당뇨군에 대한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은 현재흡연이었고, 고령, 허리둘레 증가, 중성지방 상승, 낮은 헤모글로빈, 높은 공복혈장혈당일때 위험성이 높았다 (R2 = 0.489).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당화혈색소에 취약한 대상자를 조기에 선별하고, 당화혈색소를 낮추는데 기여하는 중재프로그램을 계획할 수 있다. 또한 당화혈색소(HbA1c)수치와 임상검사수치의 모니터링이 당뇨 합병증 및 여러 건강문제를 감시하는 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이환기간에 따른 당화혈색소,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

        금혜선(Hye-Sun Keum),서순림(Soon-Rim Suh)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이환기간에 따른 당화혈색소,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의 차이와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당뇨병 환자 301명이었고, 자료는 2013년 7월15일부터 8월20일까지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Chi-square 검정, ANOVA, ANCOVA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상자의 이환기간이 길어질수록 당화혈색소가 증가하였고(p <.001), 자가간호행위(p =.003)와 하위영역 중 자가투약 이행(p <.001)을 잘 하였다. 이환기간과 당화혈색소, 자가간호행위, 자가간호행위와 자기효능감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자기효능감과 당화혈색소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가간호행위를 위해서는 이환기간에 따른 적합한 자기효능감 증진과 당뇨 자가관리 교육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s of HbA1c, self-efficacy and self-care activities depending on the duration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m. The participants were 301 type 2 diabetic patie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15 to August 20, 2013.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OVA, ANC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IBM SPSS 19.0. As a result, a longer duration of diabetes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HbA1c(p <.001) and self-care activities(p =.003). Patients with a longer duration of diabetes showed a higher compliance of self-medication(p <.001) among subcategories of self-care activities. Duration of diabet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bA1c and self-care activities.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care activities whil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HbA1c. In conclusion, it is needed to develop self-efficacy enhancement methods and education contents for an effective self-management of the disease depending on the duration of diabetes.

      • KCI등재후보

        8주간 걷기운동이 비만 노인여성의 혈중지질과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영향

        김철주,김현우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G광역시 D구 B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는 65-75세 사이의 과거병력이 없고, 현재 특별한 질환이 없으 며 평소에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지 않는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자발적 참여의사를 밝힌 28명을 무선배정하여 걷기운동 군 14명과 통제집단 14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운동수행 중 4명이 중도하차하여 최종으로 운동군 10명, 통제군 10명으로 실시하였다. 65세 이상의 비만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 걷기운동을 실시하여 혈중지질과 당화혈색소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지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걷기운동 실시 후 비만노인여성의 신체구성이 유의하게 감 소하여 걷기운동은 비만노인여성의 체중과 체지방율 감소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둘째, 걷기운동 실시 후 비만노 인여성의 혈중지질의 변화에서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나 걷기운동 실시 후 혈중지질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걷기운동 실시 후 비만노인여성의 당화혈색소의 변화에서 걷기운동 실시 후 당화혈색소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걷기운동은 비만노인여성의 대사성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체중, 체지방율의 감소에 효과적이며, 혈중지질에도 효 과적인 감소를 나타내 비만 노인여성의 생활습관병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conducted a walking exercise with obese old women of 65 and over to compare and analyze its effects on blood lipid and HbA1c, Final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fter application of the walking exercise,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composition(weight(p<.001), % body fat(p<.001) in old women, Second, after application of the walking exercise,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walking exerci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blood lipid factors(TC(p<.05), TG(p<.001), LDL-C(p<.001)) Finally, after application of the walking exerci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blood lipid factors Taken together, it is found that an walking exercise program is very effective for a decrease in weight, % body fat which can prevent metabolic syndrome in old women. It is also considered that it decreases blood lipid effectively, which is effective for a prevention against life style disease in old women. Further study should conduct both an walking exercise and a dietary cure to show more effective re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