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당뇨병 환자에서의 고관절 전치환술

        서근택(Kuen Tak Suh),이홍석(Hong Seok Lee),김명수(Myoung Soo Kim),이정섭(Jung Sub Lee),김정일(Jeung-Il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5

        목적: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당뇨병 환자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 및 빈도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선행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9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일차성 무시멘트형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379명 중 59명(62예)의 당뇨병 환자를 대상군, 320명(378예)의 비당뇨병 환자를 대조군으로 이 두 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평균추시 기간은 36개월(12-117개월)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5.5세(16-79세)였다. 당뇨병군과 비당뇨병군의 수술 전과 수술 후 매년 Harris hip score를 조사하였고, 수술 후 합병증을 조사하였으며 당뇨병군에서 수술 후 합병증과 연관된 요인에 대해여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 당뇨병군은 비당뇨병군에 비하여 비뇨기 감염 합병증이 많았고(p=0.001), 입원 기간이 연장된 경우가 더 많았다(p=0.002). Harris hip score는 당뇨병군과 비당뇨병군에서 각각 수술 전 52 대 53 (p=0.185), 마지막 추시 관찰 시 93 대 95 (p=0.467)이었다. 당뇨병 환자에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선행 요인으로는 높은 당화 혈색소 수치와 당뇨병 이외의 동반된 질환의 유무이었다. 결론: 당뇨병 환자에서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할 경우 당뇨병이 없는 환자에 비해 더 높은 술 후 합병증이 있었고, 입원 기간이 연장되었다. 높은 당화 혈색소 수치와 당뇨병 이외의 동반된 질환의 유무가 이러한 합병증과 주요한 연관성을 가지는 인자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incidence and the predisposing factors f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at diabetes mellitus (DM) patients suffer after undergoing total hip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379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cementless total hip arthroplasty from September 1998 to February 2007, fifty-nine patients (62 hips) who had DM were selected and the other 320 patients (378 hips) without DM were set as a control group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36 months (range, 12-117 months) and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55.5 years (range, 16-79 years). The preoperative and annual postoperative Harris Hip Score (HHS) and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checked. We analyzed the factors that were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DM patients. Results: The DM group had a higher incidence of urinary tract infection and a longer admission period than did non-DM group (p=0.001 and p=0.002). The HHS was 52 and 53 (p=0.185), respectively, for the DM patients and the non-DM patients preoperatively, and it was 93 and 95 (p=0.467), respectively, at the last follow up. The predisposing factors f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DM patients are a high hemoglobin A1c (HbA1c) level and comorbidities. Conclusion: Total hip arthroplasty in DM patients is associated with a higher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a prolonged admission period. A high HbA1c level and comorbidities are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these complications.

      • KCI등재

        당뇨병이 합병된 임신에서의 모체 및 주산기 합병증의 발생에 대한 임상적 연구

        백은정(Eun Jeong Baik),김사진(Sa Jin Kim),이귀세라(Gui Se Ra Lee),신종철(Jong Chul Shin),김은중(Eun Jung Kim),김수평(Soo Pyung Kim),노승혜(Seung Hye Rho),이해남(Hae Nam Lee),강병채(Byung Chae Kang),심상인(Sang In Shim),이초희(Cho H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2

        목적: 임신과 관련된 당뇨병을 발생시기를 기준으로 하여 임신 전 당뇨병군과 임신성 당뇨병군으로 분리하여 모성 합병증과 주산기 합병증의 발생 및 당뇨병 치료에 따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5년 1월 1일부터 1998년 12월 31일 까지 내원하여 분만하였던 8,495명의 산모 중 당뇨병이 동반되었던 108례를 대상으로 임신전 당뇨병군(22례)과 임신성 당뇨병군(86례)으로 나누어서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1) 임신성 당뇨병 산모에서 임신성 고혈압 7례(7%), 신우신염 3례(3%), 빈혈 8례(8%), 조기 진통 1례(1%), 망막증 1례(1%), 만성 고혈압 1례(1%), 갑상성 기능 항진증 2례(2%), 조기 심실 수축 1례(1%), 갑상선종 1례(1%), 태반 조기 박리 1례(1%)가 발생했으며 임신전 당뇨병 산모에서는 임신성 고혈압 4례(18%), 신우신염 3례(14%), 빈혈 3례(14%), 조기 진통 2례(9%), 망막증 2례(9%), 신증 1례(5%), 심한 구토 1례(5%)가 발생했다 2) 임신성 당뇨병 산모의 신생아에서 선천성 기형 3례(3.1%), 양수 과다증 7례(7.3%), 과빌리루빈 혈증 17례(17.7%), 저혈당증 39례(40.6%) 나타났으며 임신전 당뇨병 산모에게서는 1례(4.6%), 4례(18.2%), 5례(22.7%), 6례(27.3%)에서 나타났다. 그 외 과체중아의 분만으로 인한 견갑 난산 및 자궁내 태아 사망이 임신성 당뇨병 산모에게서 각각 1례(1.0%)에서 발생했으며 호흡곤란 증후군이 임신전 당뇨병 산모에서 조산으로 출생한 4례에서 모두 발생했다. 3) 당뇨가 합병된 임신에서 당뇨 치료에 따른 결과는 임신 전 당뇨병의 경우 식이요법만 한 경우와 insulin치료를 같이 한 경우를 비교했을 때 임신 주수, 모체 체중 증가, 신생아 출생 체중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임신성 당뇨병의 경우는 치료를 전혀 받지 않았을 때가 insulin요법을 병행했을 때에 비해 모체의 체중증가가 유의하게 적었고 신생아 출생시 체중은 식이요법을 하였거나 insulin요법을 병행했을 경우가 치료가 없었을 때 보다 유의하게 적었다. 또한 모성 및 신생아 합병증 발생도 치료가 병행된 경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임신전 당뇨병 산모는 임신성 당뇨병 산모에 비하여 모성 합병증 및 신생아 합병증의 발생이 높은 경향을 보이므로 임신 전부터 철저한 당뇨의 조절과 교육이 필요하며 임신성 당뇨병의 경우에도 치료의 유무에 따라서 임신시 체중의 변화, 신생아 출생시 체중과 모성 및 신생아 합병증 발생에 영향이 있으므로 임신 중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e aim of the current paper is to analyze maternal and neonatal complication of pre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to compare with the outcome Method: The study included 108 pregnancies with diabetes mellitus among 8,495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Medical College, Holy Family Hospital from January 1, 1995 to December 31, 1998. The pregnancies were divided into pre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roup and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and reviewed retrospectively based on medical records Results: 1) Incidence of maternal complication in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was 7% of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3% of pyelonephritis, 1% of retinopathy and 1% of chronic hypertension. In case of pre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18% of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5% of nephropathy, 9% of retinopathy and 14% of pyelonephritis. 2) Incidence of neonatal complication in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was 1% of congenital malformation, 1% of shoulder dystorcia, 7.3% of polyhydramnios, 17.7% of hyperbilirubinemia, 40.6% of hypoglycemia and 1% of FDIU. In case of pregestaional diabetes mellitus, 1% of congenital malformation, 18.2% of polyhydramnios, 22.7% of hyperbilirubinemia, 27.3% of hypoglycemia, 18.6% of RDS and 4.6% of FDIU. 3) The outcomes of the treatment of pregestational diabet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ternal weight gain, neonatal birth wight but the incidence rates of neonatal complication was lower in case of insulin treatment 4) The outcomes of the treatment of gestational diabet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ternal weight gain, neonatal birth weight and the incidence rates of maternal and neonatal complication was decreased in case of treatment. Conclusion: Incidence of maternal complication and perinatal complication was higher in pregestaional diabetes mellitus compared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so strict control of blood glucose level and education for diabetes mellitus were essential before gestation. And the proper treatment of gestational DM was necessary because maternal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neonatal birth weight and the maternal and neonatal complication were affected by treatment.

      • KCI등재

        지역사회 당뇨병 유병자에서 당뇨병 이환 기간에 따른 건강관리 지표의 차이: 2018년 지역사회건강조사 분석

        김미나,이영훈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0 No.3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levels of healthcare indicators vary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diabetes in diabetic people. Methods: From the 2018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a total of 20,113 diabetic people aged 40-79 years wer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people with diabetes and its corresponding diabetes duration were as follows: 34.9%, less than 4 years; 22.4%, 5-9 years; 18.9%, 10-14 years; 9.4%, 15-19 years; and 14.1%, more than 20 years. Outcome variables included eight health behavior indicators and seven diabetes management indicators. Results: After adjusting for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longer the duration of diabetes, the less alcohol drinking and the more influenza vaccination was availed, whereas the regular tooth brushing, perceived usual stress, and perceived depressive symptoms tended to be unhealthy. Smoking, regular walking, and utilizing food nutrition label did not differ based on the duration of diabetes. Moreover, blood glucose control was evaluated to be poorly controlled as the duration of diabetes lengthened; however, diabetes management education and medical institution services (glycated hemoglobin measurement, diabetic retinopathy screening, and diabetic nephropathy screening) tended to increase significantly.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in relation to diabetes duration in the recognition of early symptoms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which are the major complications of diabetes. Conclusions: People with long-lasting diabetes are at a higher risk of developing diabetes-related complications; therefore, more active community strategies are needed to improve their health behavior. 연구배경: 본 연구는 지역사회 당뇨병 유병자를 대상으로당뇨병 이환 기간에 따라 건강관리 지표들의 수준 차이가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지역사회건강조사 2018년 원자료에서 40-79세의 당뇨병 유병자 20,113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당뇨병 이환기간에 따른 당뇨병 유병자의 분포는 4년 이하 34.9%, 5-9년22.4%, 10-14년 18.9%, 15-19년 9.4%, 20년 이상 14.1%였다. 결과변수인 건강관리 수준은 8개의 건강행태 지표와 7개의 당뇨병관리 지표로 평가하였다.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보정한 후 이환 기간이 길수록 연간 음주는 감소하고,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규칙적 칫솔질 실천, 주관적 스트레스수준, 우울감 경험은 불건강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현재 흡연, 규칙적 걷기 실천, 영양표시 활용은 당뇨병 이환 기간에따른 차이가 없었다. 당뇨병 이환 기간이 길수록 본인 인지혈당 조절은 부정적인 경향이었지만, 당뇨병관리 교육 및당화혈색소검사, 당뇨병성 안질환 합병증검사, 당뇨병성 신장질환 합병증검사는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당뇨병의 주요 합병증인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 조기증상에 대한 인지는 당뇨병 이환 기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결론: 당뇨병이 오래 지속되는 유병자들은 합병증 발생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이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지역사회 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당뇨병 환자의 만성합병증에 대한 지식, 인지된 심각성, 예방행위 실천도

        정인숙,길계숙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5 No.2

        Background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perceived seriousness and adherence to preventive behavior on chronic complications of diabetes mellitus(DM). Method : The study subjects were conveniently sampled from 240 diabetic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or visited out-patient clinics, and 200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study.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searcher from July 1st to August 31st, 2003, and analys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t the significant level of 0.05, using SPSS Win Program(ver 10.0).Results : The level of knowledge on chronic complications of diabetes was 17.8 points(maximum 24 points).The items with the highest correct answer was 'to exercise regularly is needed for prevention', and the item with the lowest point was 'to apply lotion between toes is needed for preventing dryness. The level of perceived seriousness on chronic complications of diabetes was 12.0 points(maximum 16 points). The level of adherence to preventive behavior on chronic complications of diabetes was 55.3 points(maximum 75 points). The highestitem was 'to wash the feet everyday', and the lowest was 'to walk with bare foot is good for health'. Conclusion : It was strongly recommended to prepare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to increase knowledge and adherence to the preventive behaviors of DM complications. Diabetic patients regularly visited outpatient clinic but they seldom take their eye examination or urine test. It was suggested that diabetic patients shoul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regular checkup for preventing the complications of the eye and the kidney, and be provided with more opportunities to have those checkups. 연구배경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당뇨병 만성합병증에 대한 지식, 당뇨병 만성합병증에 대한 인지된 심각성, 예방행위실천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방법 : 서울A종합병원(500병상), 울산B종합병원(400병상)과 울산C대학병원(500병상)에 입원했거나 외래를 방문한 당뇨병 환자, 그리고 울산A보건소에 등록된 당뇨병 환자중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240명을 임의표출하였으며, 이 중 20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질문지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문항, 질병관련 특성 14문항, 당뇨병 만성합병증에 대한 지식 24문항, 당뇨병 만성합병증에 대한 인지된 심각성 4문항, 당뇨병 만성합병증에 대한 예방행위실천도 2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 당뇨병 만성합병증에 대한 지식은 24점 만점에 17.8점이며 점수가 가장 높았던 문항은 ‘규칙적인 운동은 당뇨병 만성합병증 예방에 필요하다’이며, 점수가 가장 낮았던 문항은 ‘발가락 사이에 로션을 바르면 건조되는 것을 예방한다’이었다. 당뇨병 만성합병증에 대한 인지된 심각성은 16점 만점에12.0점이며, 당뇨병 만성합병증에 대한 예방행위실천도는 75점 만점에 55.3점이었다. 실천도가 가장 높은 문항은 ‘매일 발을 씻는다’이며, 실천도가 가장 낮은 문항은 ‘집안에서도 양말을 신는다’이었다. 당뇨병 만성합병증에 대한 지식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변수는 교육수준, 정확한 진단명에 대한 인지, 치료방법, 당뇨병 교육을 받은 경험 등이었다. 당뇨병 만성합병증에 대한 인지된 심각성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변수는 교육수준, 직업유무, 현재흡연상태 등이었다. 당뇨병 만성합병증에 대한 예방행위실천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변수는 경제상태 정확한 진단명에 대한 인지여부, 치료방법, 당뇨병 교육을 받은 경험, 현재 흡연상태 등이었다. 결론 : 당뇨병에 대한 교육은 만성합병증의 지식, 예방행위실천도 모두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로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당뇨병 환자들은 규칙적으로 외래방문은 잘 하고 있었으나 정기적인 안저검사나 소변검사는 잘 받고 있지 않았으므로 외래방문시 안저검사, 소변검사 등 정기검진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당뇨병 환자가 실제검진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호흡기 ; 당뇨병 환자에서의 결핵: 고혈압 환자와의 비교

        박은경 ( Eun Kyoung Park ),배준호 ( June Ho Bae ),정유민 ( Yun MinJung ),정숙희 ( Sook Hee Chung ),이재형 ( Jae Hyung Lee ),김상훈 ( Sang Hoon Kim ),이병훈 ( Byoung Hoon Lee )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지 Vol.79 No.6

        목적: 우리나라에서 결핵의 발생률은 증가추세이며 여전히 주된 사인을 차지하고 있다. 당뇨병은 결핵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고령화 사회가 진행됨에 따라 발생률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당뇨병이 결핵에 미치는 영향은 인종과 지역에 따라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당뇨병이 결핵의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코호트 연구로 당뇨병군과 대조 군으로는 비당뇨병 고혈압군을 선정하여 6년간 결핵 발생률을 조사하였다. 당뇨병군은 2004년 1월부터 2004년 4월까지 본원 당뇨센터를 방문하여 경구 혈당강하제 또는 인슐린을 처방 받은 자로 하였고, 비당뇨병 고혈압군은 동일 기간 본원 순환기내과에서 고혈압으로 약물을 처방 받아 추적관찰 중인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 중 만성신부전 상태이거나, 악성종양을 진단 받은 자, HIV 양성자는 제외하였다. 본연구에서는 해당군의 연간 결핵 발생률과 당뇨병군에서의 상대위험도 및 각 군의 무결핵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당뇨병군에서는(n=2491, 평균연령 59.1±11.8, 남성비율 44.5%) 총 32명에서 결핵이 발생하였고, 고혈압군에서는 (n=1885±12.8, 평균연령 59.9±12.8, 남성비율 41.6%) 총 10명에서 결핵이 발생하였다. 당뇨병군에서의 연간 결핵 발생률은 십만 명당 282.8명이었으며 고혈압군은 112.9명이었다. 당뇨병군은 고혈압군에 비해 2.220 (p=0.028, 95% CI 1.090~4.523)의 상대위험도를 보였다. 그러나 무결핵 생존율에서 두 군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p=0.075). 결론: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는 비당뇨병 고혈압 환자에 비해 높은 결핵 발생률을 보인다. Background/Aims: Tuberculosis remains a major cause of mortality in South Korea, and the prevalence of diabetes is also increasing rapidly. Diabetes is a well known risk factor for tuberculosis. However, the risk varies according to race and regional prevalence. We assessed the potential impact of diabetes as a risk factor for tuberculosis in South Korea.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 a secondary referral hospital. The incidence of tuberculosis in a diabetic cohort was compared with that in a non-diabetic hypertensive cohort for 6 years. Diabetics who visited our diabetic clinic and non-diabetic hypertensive patients who visited our cardiology clinic from Jan 2004 to April 2004 were assigned to the diabetic cohort and the non-diabetic hypertensive cohort, respectively. Patients in each cohort had to receive medications to control their diseases.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malignancy, or HIV infection were excluded. Relative risk and tuberculosis-free survival rates of each cohort were calculated. Results: The incidences of tuberculosis were 32 in the diabetic cohort (n=2491; mean age, 59.1±11.8 years; 44.5% male) and ten in the non-diabetic hypertensive cohort (n=1885; mean age, 59.9±12.8 years; 41.6% male). The estimated annual incidences per 100,000 persons were 282.8 and 112.9, respectively. The relative risk was 2.220 (p=0.028; 95% confidence interval, 1.090~4.523).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umulative tuberculosis-free survival rate was observed between the cohorts (p=0.075). Conclusions: A trend for a higher incidence of tuberculosis existed in diabetics, as compared to non-diabetic hypertensive patients, among a Korean population. (Korean J Med 79:646-651, 2010)

      • 당뇨병의 이환기간에 따른 당화혈색소 및 합병증

        김두희,김동욱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1999 東國醫學 Vol.6 No.-

        국문초록목적 : 당뇨병 환자에서의 합병증은 사망률과 이환률을 증가시키는 주요원인이며 당뇨병의 조절정도와 이병기간과 관계가 깊다. 이러한 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해서는 병인규명과 더불어 역학적 조사가 절실히 요구되고 혈당 및 다른 위험인자 조절이 중요하다. 당화혈색소는 당뇨병 환자에서 정상인보다 2∼3 배 증가되어 있음이 보고되면서 당뇨병조절 및 관리의 합병증 발생의 대사지표로서 연구되어왔다. 저자는 당뇨병의 이환기간에 따른 합병증의 발생양상을 관찰하고 합병증들에 대한 당화혈색소와의 연관성 및 임상지 유용성에 대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방법 : 대구 파티마병원 내과에 입원하였던 7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문진, 이학적 검사, 흉부 X선 사진, 심전도검사, 소변 및 당화혈색소를 포함한 혈청검사, 안지검사, 근전도검사를 시행하였고 합병증은 망막증, 신증, 신경병증, 족부병변 및 대혈관 장애 등으로 분류하였다.결과 : 당뇨병성 망막증의 빈도는 40.5%로서 이환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 71.4%의 이환율을 보였으며 이 중 증식성 망막증도 9.46%이었다. 당뇨병성 신증의 빈도는 17.5%로서 이환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빈도도 증가하였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81.8%로 가장 흔한 합병증이었으며 이환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빈도도 증가하였다. 대혈관 장애는 21.6%의 이환율을 보였으며 당뇨병성 족부병변은 3례에서 관찰되어 4.1%의 빈도를 보였다. 당뇨병의 합병증과 당화혈색소 사이에는 유익한 상관관계는 없었다(p>0.05).결론 : 합병증의 빈도는 당뇨병의 이환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각 합병증 발생과 당화혈색소치와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고, 당뇨병의 이환기간과 당화혈색소치 사이에도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 중년기 여성 당뇨병환자의 자기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장수미,최정숙,김연수,송자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2 이화사회복지연구 Vol.1 No.-

        당뇨병은 조절은 가능하지만 완치되지 않는 만성 질환으로, 약물요법,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자기관리가 필요한 병이다. 당뇨병은 자기관리가 잘 이루어진다면 정상인과 같은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이점을 갖지만, 평생동안 혈당 조절을 계속해야한다는 자기관리에 대한 부담으로 다른 어떤 만성질환보다 삶을 위축시킬 가능성이 크다. 특히, 중년기여성에게 있어 당뇨병은 중년기의 발달 단계적 특성으로 인한 어려움과 함께 당뇨병에 대한 자기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오는 문제를 동시에 갖게 해 효과적인 당뇨병 자기관리를 더욱 어렵게 한다. 현재 임상현장에서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개입은 연령, 성별과 무관한 정보제공중심의 교육적 접근이 전부인 실정으로, 중년기 여성 당뇨병환자의 상황과 욕구를 반영하는 프로그램이 개발·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중년기 여성 당뇨병환자의 욕구를 반영하고 스스로가 당뇨병을 잘 관리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함께 지속적인 동기화률 통해 적절한 혈당관리와 건강한 삶을 누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복지적 개입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개발 을 위하여 문헌고찰과 일 중합병원의 중년기 여성 당뇨병환자 대상 욕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강화(empowerment), 즉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지, 문제해결 능력, 당뇨관리 의사결정 책임 강화를 프로그램 개발의 구성요소로 하여 사회복지사에 의해 실시되는 중년기 여성 당뇨병환자의 자기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Diabetes is a controllable but incurable chronic disease that needs constant self management of the blood sugar level through medications, diet and exercise. If managed properly diabetics can live a normal life but the burden of having to manage one's blood sugar level for life can restrict their daily living. Especially, midlife diabetic women have to deal with the problems of self management of diabetes along with the problems pertain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midlife. In the current clinical setting, intervention is limited to providing educational information regardless of the patient's age or sex and there are no program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midlife diabetic women. So, the development of a social welfare interventional program that targets on maintaining an adequate blood sugar level and pursuing a healthy life through continuous motivations and self confidence is necessary. The authors reviewed the literature and performed a need assessment study, and based on this, developed a self management program for midlife diabetic women using empowerment, or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problem solving ability, enhancement of decision-making responsibilities in diabetes management as the constructs of program development.

      • KCI등재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자가 주사 및 자가 혈당측정과 관련된 공포와 혈당조절 및 당뇨병 자가 관리상태

        서수미,한성호,박영진 대한가정의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9 No.10

        Background: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impact of diabetes fear of self-injecting (FSI) and fear of self-testing (FST) on glycemic control and diabetes self-management.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in the form of one-on-one interviews with 100 insulin-treated diabetic patients. The questions included subject traits, FSI/FST, and confidence in diabetes self-care (CIDS). Glycemic control was determined by the measurement of glycated hemoglobin (Hemoglobin A1C). Results: The patients who did not have a spouse and were less well educated showed high FSI/FST scores and low CIDS scores. The patients who had taken high quantities of insulin, had diabetes related complications, and performed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less frequently showed high FSI/FST scores. The patients who had received diabetes education, possessed glucometer and performed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frequently had high CIDS scores. High FSI/FST scor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each other, negatively related to low CIDS scores and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Hemoglobin A1C. On the other h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een between CIDS scores and Hemoglobin A1C. Conclusion: High levels of FSI and/or FST were associated with high diabetes-related distress, poor general well-being, and psychologic comorbidity as well as poorer adherence to the diabetes treatment regimen. It is important in diabetes care to lower injection-related fears and improve diabetes self-management through systematic desensitization, relaxation therapy, the use of pen- type injection device, and proper education such as insulin injection amount adjustment, properties of insulin, and the risk of hypoglycemia for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연구배경: 당뇨병 환자에서 인슐린 자가 주사 및 자가 혈당측정과 관련된 공포를 확인하고 이것이 혈당조절 및 당뇨병 자가 관리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당뇨병 환자의 자가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인슐린 치료 중인 당뇨병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상자의 특성, 인슐린 자가 주사 및 자가 혈당측정에 대한 공포정도, 당뇨병 관리의 자가 효능감에 대한 설문을 일대일 면접을 통해 시행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주사 관련 공포와 자가 관리 이행 정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배우자가 없는 군, 교육수준이 낮은 군에서 주사 관련 공포가 더 높고 자가 관리 이행도 낮았다. 또 인슐린 용량이 30단위 보다 높은 군, 당뇨병 합병증이 있는 군, 혈당검사 횟수가 적은 군에서 주사 관련 공포가 컸다. 당뇨병 자가 관리는 당뇨병 교육 경험이 있을 경우, 혈당 측정기가 있는 군, 혈당검사를 자주 하는 군에서 이행정도가 높았다. 인슐린 자가 주사 할 때의 공포(FSI) 및 자가 혈당측정 할 때 공포(FST)는 서로 관련성이 있어 FSI가 높을수록 FST도 높게 나타났으며 공포점수가 높을수록 자가 관리 이행이 잘 되지 않았으나 당화혈색소와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반면 당뇨병 자가 관리 이행과 당화혈색소는 관련성이 있어 당뇨병 자가 관리가 잘 될수록 당화 혈색소가 낮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인슐린 주사 치료 중인 당뇨병환자에서, 인슐린 주사 관련 공포가 높을수록 자가 관리 이행정도가 낮았다. 따라서, 주사 관련 공포를 조절하는 것이 자가 관리 이행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이를 통해 당뇨병의 경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우리나라 시군구 단위 당뇨병 유병률과 당뇨병 치료율의 시공간 분포 특성 : 공간 의존성 및 핫스팟 분석을 중심으로

        박종호 한국보건복지학회 2022 보건과 복지 Vol.24 No.4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the prevalence of diabetes and its treatment rate at the district level in Korea, and suggest public health approach for diabetes management in the community. Data was collected from Community Health Statistics of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rom 2012 to 2021, and analyzed by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s including spatial dependence analysis and hotspot analysis. The results pointed out that there was a spatial dependence in the prevalence of diabetes at the district level, but there was little spatial dependence in the diabetes treatment rate by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Gangwon-do was the most urgent region needed to manage the prevalence of diabetes based on hotspot analysis. The presented results suggest that effective interventions for diabetes can be achieved by collaborative efforts between neighboring districts with high diabetes prevalence, wherea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district as for diabetes treatment. 본 연구는 공간통계기법인 공간 의존성 및 핫스팟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시군구 단위의 당뇨병 유병률과 당뇨병 치료율의 시공간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지역사회의 당뇨병 관리에 대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10년간 질병관리청 지역건강통계의 우리나라 시군구 단위 당뇨병 유병률과 당뇨병 치료율의 지표 결과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 결과 우리나라 시군구 단위에서 당뇨병 유병률은 공간 의존성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당뇨병 치료율은 공간 의존성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핫스팟 분석 결과 강원 지역 시군구의 당뇨병 유병률 관리가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의 당뇨병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당뇨병 유병률이 높은 서로 인접한 시군구 및 시도 간의 협력, 협업을 통해 당뇨병 유병률 관리 사업을 공동으로 수행하고, 대응하는 등 당뇨병 유병률 관리에 지리적 연관성, 공간적 효과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며, 당뇨병 치료율은 각 시군구의 특성에 맞는 지역사회 맞춤형 당뇨병 치료율 관리 사업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인 산모에서 임신성 당뇨병과 관련된 위험 요인

        김민정,이상교,이정아,이필량,박혜순 대한비만학회 201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2 No.2

        연구배경: 임신성 당뇨병 산모는 출산 후 당뇨병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증가하며, 태어난 아이도 향후 비만과 당뇨병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병과 연관된 위험 요인 및 주산기 예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산과 외래에 방문하여 산전 진찰을 받은 1,161명의 산모 및 해당 산모의 신생아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임신성 당뇨병과 관련된 위험 요인은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대상에서 임신성 당뇨병의 유병률은 4.1%였다. 임신성 당뇨병 산모군에서 부당 중량아 빈도가 14.6%로 정상 산모군의 3.8%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임신성 당뇨병에 대한 교차비는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에 비해 2.26 (95% CI 1.15~4.43)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임신 전 체질량지수가 21 kg/m2 미만에 비해 21~23 kg/m2, 23~25 kg/m2, 25 kg/m2 이상일 때 교차비가 각각 2.13 (95%CI 0.99~4.61), 3.83 (95% CI 1.65~8.90), 4.04 (95% CI 1.63~10.06)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비만도가 증가할수록 교차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당뇨병의 가족력과 임신 전 비만도는 한국인 산모에서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가족력이 있을 경우와 임신 전 과체중 및 비만일 경우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에 대해 인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