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지모리 테루노부의 공간표현 특성 연구

        서수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expression in the works of Terunobu Fujimori, Japan's leading eco-friendly architect, in line with the contemporary background on environmental issues. As a method of research, we will select five representative multi-room spaces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and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in the spac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were actively using the strategy of using natural materials to finish the space and introduce plants into the building. Japan's strategy of borrowing traditional methods was to use them as a way of expressing space, a way of expressing fantasy and deviance. We expect that the demands of modern people seeking novelty in this era and the eco-friendly building plan of feasible alternatives can be presented as another methodology for spatial design.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 문제에 대한 시대적 배경과에 맞추어 일본의 대표적인 친환경 건축가인 후지모리 테루노부 작품에 나타나는 공간표현 특성을 알아보고자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작품 중 그를 대표하는 다실 공간 5곳을 선정하여 문헌연구를 통하여 공간의 표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결과로는 반드시 자연소재를 사용하여 공간을 마감 하고 건축물에 식물을 도입하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일본의 전통방식을 차용하는 전략은 공상성과 일탈성을 나타내는 공간표현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이 시대에 새로움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요구와 실현 가능한 대안의 친환경 건축 계획 시 또 다른 공간디자인 방법론으로 제시할 수 있다고 기대해 본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국내 국·공립 미술관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서수미,정사희,윤갑근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2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40

        Diverse changes which have improved living quality of modern people and their living quality since 1990s have led to increased number of art museums representing public cultural facilities. The purpose of previous art museums was confined to just appreciation of artistic works, but now, they have multiple functions to provide various programs based on public interests as public cultural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sition for realization of public service through analysing cases of national public art museums, and present basic data for spatial plans of public art museum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elve national and public art museums from the 2011 Cultural Facilities Bibliography which wa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For the study, Chapter 2 speculated theories of public cultural facilities. Chapter 3 identif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national public art museums and public interests. Chapter 4 analysed cases based official sites of each art museum, field trips, relevant bibliographies, and design analy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space was characterized by symbolism, communication and recess, and identity appeared to have the highest symbolic value of local culture. Communication was related to types of accessibility, and recess was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accessibility. However, as the results are not definitely separable, it can be said that public characteristics are interdependent and each of them has influence on each other. National and city art museums had the highest accessibility, and provincial and county ones also had high accessibility although there was i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District art museums gave a focus on communication, but it was not able to be generalized through just one case.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analysed spatial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nd public art museum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aspects, and presented basic data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sition to realize public service.

      • KCI등재

        도시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한 인터프리테이션 개념의 지역 유산 자료관 디자인 사례 연구

        서수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3

        현재 국내 각 지자체는 도시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유·무형의 지역 유산을 활용하여 축제를 비롯한 지역 전시관등의 설립으로 도시의 브랜드를 알리기 위해 각종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과거의 지역 유산 자료관은 도시 브랜드 이미지와는 밀접한 연관성과 전문적인 매뉴얼 화 없이 수동적인 시각자료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지역 유산 자료관의 사례분석을 통해 나타난 디자인 표현특성을 도시 브랜드의 이미지 향상을 위한 지역 유산 자료관 디자인 계획에 사용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고찰을 통한 디자인 표현특성을 중심으로 국·내외 10곳의 사례를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한다. 연구 결과 첫째, 장소적 특성으로는 국내·외 사례 모두 도시의 개성과 정체성을 고양 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연환경을 고려한 랜드스케이프 건축을 기본으로 설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현상학적 특성의 경우 국내는 단순히 전망 공간을 활용한 반면 국외는 인터프리테이션 개념을 적극적으로 수용·반영하여 인식의 체험공간의 비중이 강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형태적 특징의 결과로는 국내·외 모두 장소적 특성과 형태적 특성의 연관성이 뚜렷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지역 유산 자료관 사례를 인터프리테이션 개념 중심으로 디자인 표현특성을 분석하였다. 도시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하여 도시가 가지고 있는 자연환경, 역사문화, 도시환경의 요소의 적극적인 활용의 방법으로 기본적인 나열위주의 전시형태에서 탈피하여 독창적이고 직접적인 체험을 통한 인터프리테이션 개념을 활용한다면 도시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매력적인 도시의 인식으로 향후 도시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Each local government in Korea has been processing all kinds of projects now in order to advertise city brand by utilizing various tangible, intangible heritages, and also establishing local museums besides festivals etc, but local heritage museums of the past had passive forms depending on visual materials without having close relevance with professional manuals or city brand imag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so that it could be used in planning local museum designs for enhancing city brand images through design case analyses on local heritage museums at home and abroad. For research methods, the study analyzes cases of 10 places centering on expressive design characteristics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then derives from a conclusion. With respect to research results: First, in the characteristic of place, all cases at home and abroad showed possibilities of designing landscape architectures considering nature environment that played important roles in improving urban peculiarities and identity. Second, it could be known that Korea applied view spaces simply in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but foreign countries accepted and reflected interpretation concept positively, and thus had strong proportions on experience spaces of recognition Third, in characteristics of space designs, all characteristics of places and space designs at home and abroad displayed relevance notably. As shown in this research, most apparent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places among cases of local heritage museums lay in reflecting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is has a meaning in enabling to plan design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visitor’s sensual experience together with nature heritages kept in each place when setting up basic plans on the museum.

      • KCI등재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자가 주사 및 자가 혈당측정과 관련된 공포와 혈당조절 및 당뇨병 자가 관리상태

        서수미,한성호,박영진 대한가정의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9 No.10

        Background: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impact of diabetes fear of self-injecting (FSI) and fear of self-testing (FST) on glycemic control and diabetes self-management.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in the form of one-on-one interviews with 100 insulin-treated diabetic patients. The questions included subject traits, FSI/FST, and confidence in diabetes self-care (CIDS). Glycemic control was determined by the measurement of glycated hemoglobin (Hemoglobin A1C). Results: The patients who did not have a spouse and were less well educated showed high FSI/FST scores and low CIDS scores. The patients who had taken high quantities of insulin, had diabetes related complications, and performed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less frequently showed high FSI/FST scores. The patients who had received diabetes education, possessed glucometer and performed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frequently had high CIDS scores. High FSI/FST scor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each other, negatively related to low CIDS scores and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Hemoglobin A1C. On the other h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een between CIDS scores and Hemoglobin A1C. Conclusion: High levels of FSI and/or FST were associated with high diabetes-related distress, poor general well-being, and psychologic comorbidity as well as poorer adherence to the diabetes treatment regimen. It is important in diabetes care to lower injection-related fears and improve diabetes self-management through systematic desensitization, relaxation therapy, the use of pen- type injection device, and proper education such as insulin injection amount adjustment, properties of insulin, and the risk of hypoglycemia for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연구배경: 당뇨병 환자에서 인슐린 자가 주사 및 자가 혈당측정과 관련된 공포를 확인하고 이것이 혈당조절 및 당뇨병 자가 관리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당뇨병 환자의 자가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인슐린 치료 중인 당뇨병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상자의 특성, 인슐린 자가 주사 및 자가 혈당측정에 대한 공포정도, 당뇨병 관리의 자가 효능감에 대한 설문을 일대일 면접을 통해 시행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주사 관련 공포와 자가 관리 이행 정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배우자가 없는 군, 교육수준이 낮은 군에서 주사 관련 공포가 더 높고 자가 관리 이행도 낮았다. 또 인슐린 용량이 30단위 보다 높은 군, 당뇨병 합병증이 있는 군, 혈당검사 횟수가 적은 군에서 주사 관련 공포가 컸다. 당뇨병 자가 관리는 당뇨병 교육 경험이 있을 경우, 혈당 측정기가 있는 군, 혈당검사를 자주 하는 군에서 이행정도가 높았다. 인슐린 자가 주사 할 때의 공포(FSI) 및 자가 혈당측정 할 때 공포(FST)는 서로 관련성이 있어 FSI가 높을수록 FST도 높게 나타났으며 공포점수가 높을수록 자가 관리 이행이 잘 되지 않았으나 당화혈색소와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반면 당뇨병 자가 관리 이행과 당화혈색소는 관련성이 있어 당뇨병 자가 관리가 잘 될수록 당화 혈색소가 낮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인슐린 주사 치료 중인 당뇨병환자에서, 인슐린 주사 관련 공포가 높을수록 자가 관리 이행정도가 낮았다. 따라서, 주사 관련 공포를 조절하는 것이 자가 관리 이행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이를 통해 당뇨병의 경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지역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안전시설의 디자인 특성 연구

        서수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Human life forms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the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seeking identity, the re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is like revitalizing the community in a region, and the infrastructure of public building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pulation in the jurisdiction, has great potential to function as a community's stronghold. However, the nation's public safety facilities are currently biased toward business activities, resulting in a lack of a positive image and a need for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verseas cases of public safety facilities that are pre-planned and executed for community revitalization, focusing on police stations, fire stations, and emergency safety centers, and to use this as basic data for the construction, extension, and renovation of public safety facilities in Korea. (Method) Divided into literature research and actual case analysis and research, chapter 2 of this study discusses community concepts and the spatial scope of public safety faciliti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Chapter 3 identifies spatial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public safety facilities that are effective in animating a community, and Chapter 4 analyzes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through representative cases. Finally, Chapter 5 introduces conclusions based on design characteristics obtained through case analysis of public safety facility designed for community revitalization. (Results) The analysis classifies public spaces according to whether their design concept succeeds in affecting community activation, an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facilities that feature a main structure composed of a steel frame and truss construction emphasize the scalability of the space by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interior space so that it can be redeployed in the future,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that emphasizes the surrounding eco-system and energy efficiency. Second, it was found that all the cases introduced natural elements to form a bright and pleasant environment in the interior and actively utilized natural light. Third, the integration of safety facilities, which have been inefficient due to their dispersion, can be increased by expanding the size of the facilities, and the shape volume of the daytime is used as a nightlight in the city to represent the area and also serves as a new landmark in the city. (Conclusions) While various discussions have been under way within many local governments to find creative ways to utilize public buildings in order to revitalize the community in the region, I hope that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direction for the strategic use of public safety facilities in the re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연구배경 및 목적) 인간의 삶은 커뮤니티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이루며 동시에 주체성을 찾기에 커뮤니티의 활성화는 곧 지역의 커뮤니티 활성화와 같다고 할 수 있으며, 관할 구역의 인구규모에 따라 설치된 공공건축의 기초생활시설들은 커뮤니티의 거점으로 기능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공공안전시설은 업무활동에 치우쳐져 시설의 이미지가 좋지 않고 미관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안전시설 중 경찰서, 소방서, 응급안전센터를 중심으로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해 사전계획하고 실행하고 있는 해외사례를 분석하여 국내에서 공공안전시설 신축 및 증, 개축 계획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문헌연구와 실제 사례 분석 및 연구로 나누어 2장에서는 커뮤니티 개념과 공공안전시설의 공간적 범위를 문헌 연구를 통하여 고찰 한다. 3장에서는 커뮤니티 활성화를 공공안전시설로 활용한 공간특성 및 디자인 특성을 알아보고 4장에서는 공간디자인 특성을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한 후 5장에서는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안전시설에 대한 디자인 사례분석을 통해 얻어진 디자인 특성을 중심으로 결론을 도출한다. (결과) 분석대상 모두 커뮤니티 활성화에 부합되는 디자인의 개념에 맞게 공용공간을 개방하고 있으며 공간디자인표현특성을 분석한 결과로는 첫째, 시설의 주구조로 철골구조와 트러스 구조 등을 사용하여 추후 내부공간이 재배치가 가능하도록 효율성을 높여 공간의 확장성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친환경 시스템과 에너지 효율성을 강조하고 있는 지속가능성의 개념과 부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모든 사례들이 실내의 밝고 쾌적한 환경을 형성하기 위해 자연요소를 도입하였으며 빛-자연광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분산으로 인해 비효율적이었던 안전시설의 통합화로 인해 시설의 규모가 커지면서 주간의 형태볼륨감을 도심 내 야간 조명으로 활용하여 지역의 상징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심 내 새로운 랜드마크 역할로도 활용하고 있다. (결론) 국내의 많은 지자체들이 공공건축을 두고 지역의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창의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다양한 논의는 진행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가이드 수립이 어려운 가운데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들이 공공안전시설을 중심으로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는데 있어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용한 방향을 제시하기를 바라는데 본 연구의 의미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커뮤니티지원센터의 복합화 유형과 공간 디자인 특성 비교 연구 -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

        서수미,이준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1 No.3

        일본의 복합화 시설들은 도시에서 급속한 정보화, 국제화, 저 출산 고령화 등의 사회‧경제 여건변화에 따른 문제점을 인식하고 도시적 맥락과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것에 기본적인 의의가 있다. 한국 역시 공급자 위주의 공공시설 분산배치와 익명성이 강조되어 닫혀진 주거문화 등으로 인하여 갈수록 약해진 지역공동체 문화를 회복하자 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커뮤니티지원센터의 특성과 비교를 통하여 커뮤니티지원센터의 복합화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는 사례 내용 중 시설명과 시설의 계획개념이 커뮤니티지원센터 혹은 복합화라고 칭하며 실제 완공되어진 커뮤니티지원센터들로 한정하며, 복합화라는 용어의 등장이 나타나기 시작한 2000년 이후에 완공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국내사례들은 현장답사를 병행한다. 국내사례는 월간현대건축(CONCEPT), 일본의 사례는 건축전문지인 신건축(新建築)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연구내용에 대한 방법적 절차로는 커뮤니티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커뮤니티의 개념과 복합화 현황을 파악한 다음 한국과 일본의 복합화 유형과 디자인 특성을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한다. 연구의 결과로는 현대의 커뮤니티의 특성은 부분적 커뮤니티, 결사체적 커뮤니티, 네트워크형 커뮤니티, 개방적 커뮤니티, 공적 커뮤니티로 나눌 수 있다. 이를 생활권 단위로 분류하여 도심의 공공행정 시설 중심인 주민자치센터의 복합화 유형을 분석하였다. 복합화의 유형에는 하나의 기능을 가진 단독형과 동일한 기능의 복합인 동종시설 중복형, 서로 다른 기능의 복합인 이종시설 복합형으로 나눌 수 있다. 디자인 특성으로는 지역 환경을 고려한 공간디자인 구성, 상호관계성, 자유로운 동선, 사용자 중심의 계획, 공간의 가변성, 색채의 활용으로 구분하였다. 비교연구를 통한 결과로는 한국의 커뮤니티지원센터는 시설간의 복합화 초기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일본은 서로 다른 커뮤니티지원센터간의 복합화를 통해 조금 더 다양한 공간의 디자인 특성을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간의 디자인특성으로는 ‘상호관계성’과 ‘공간의 가변성’이 서로 연관되어 함께 나타났다. 한국과 일본의 사례 모두 사용자들의 커뮤니티활성화와 부족한 빛을 실내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오픈 스페이스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개방적인 공간을 지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내 커뮤니티지원센터의 더 나은 발전을 위한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Convergence in Japan's facilities has the fundamental meaning that the facilities are intended to deal with problems due to social and economic changes such as rapid informatization, globalism, low birth rate, and ageing in cities and improve the urban context and national competitive power. Convergence in Korea's facilities also has the intent to recover the culture of a community which has weakened due to the dispersed arrangement of supplier-oriented public facilities, the individualized life style, and the closed housing culture where anonymity is emphasize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ypes of convergence by speculating on the concept of modern community support centers, and types of convergence in them through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community support centers.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community support centers whose names and planning concepts were for community support or convergence and only those which were actually completed. Among the books on architecture which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0 when the term 'convergence' appeared, this study focused on a monthly magazine called 'CONCEPT' in Korea and an architectural magazine from Japan called 'New Architecture.' In the procedure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community and current convergence types in community support centers, and cases focusing on convergence types in Korean and Japanese centers were analysed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community were categorized into a partial community, bodies of associations, a network-type community, an open community, and a public community according to the living zones and convergence types of public centers as a center of public administration facilities was analysed. The convergence types include overlapping of the same kind of facility, a combination of the single function type with the combined same function type, and different facility convergence types where different functions are converg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where spatial composition is made considering the regional environment, interrelatedness, free movement, user-oriented plans, the variability of space, and the use of color. Through comparison, it was discovered that Korean centers showed the initial phenomenon of convergence while Japanese centers presented modern diverse spatial characteristics through convergence of different centers. In spatial characteristics, ‘interrelatedness’ was related with ‘variability of space’, and in both Korean and Japanese cases, users introduced the open space actively to create communication and flow in a light interio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esent further directions and possibilities for national centers.

      • KCI등재

        증·개축된 학교건축물에 나타난 지속가능성 연구

        서수미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21세기 사회는 미래를 전망하는 담론으로 ‘지속가능성’이란 주제로 각 분야에서 탐구와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1987년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이 제시되면서 국내에서는 제7차 개정교육과정의 키워드로 부각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증・개축을 통하여 학교건축물의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고 있는 해외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효과적인 활용방안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및 키워드 중심 사례 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지속가능한 학교건축물의 증・개축 유형은 확장 삽입형을 기반으로 연결확장형과 공간공유형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지역커뮤니티성의 접근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고, 장소성은 개방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지속가능성의 경제적 측면으로의 기능성은 기능개선과 향후 활용을 위한 생산성이 가장 많이 고려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공간구성 특성으로는 시간과 공간을 나누어 함께 사용하는 형태로 공유공간의 확장과 사이공간의 연장, 중층적 구조생성의 특성이 나타났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특성은 학교건축물의 지속 가능성을 실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Society in the 21st century is a discourse that predicts the future, and under the theme of “Sustainability”, exploration and discussion are underway in various fields. As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was presented in 1987, it was highlighted as a keyword for the 7th revised education proces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overseas cases that realize the sustainability of school buildings through expansion and renovation and present basic data for effective future use measures. To this end,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keyword-centric case analysis. As a result, the types of expansion and renovation of sustainable school buildings were used in the form of connection expansion and space sharing based on extended inserts, the accessibility of local communities was most used, the openness was most used, and the functionality to the economic aspect of sustainability was most often considered for improvement of functions and productivity for future utilizati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sition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expansion of shared space, extension of space, and creation of medium-layer structures in the form of sharing time and space. It is expected that the characteristics shown through the analysi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executing the sustainability of school buil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