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 성인에서 비타민 D와 경동맥 동맥경화증과의 연관성

        김경한,권혁태 대한가정의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1 No.6

        Background: Vitamin D is known to inhibit atherosclerosis through several mechanism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D and carotid arteriosclerosis in Korean adults. Methods: In this study, 3,495 adults who underwent vitamin D tests and carotid ultrasonography during their medical checkups between January 1,2015 to July 31, 2020 were enrolled. After dividing them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vitamin D levels, deficiency (<20 ng/mL) insufficiency(≥20, <30 ng/mL) sufficiency (≥30 ng/mL), a multivariable analysis was conducted. Additionally, we conducted a subgroup analysis using visceralobesity in 1,991 adults who had received visceral fat CT scans.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vitamin D (95% confidence interval [CI], 0.80–1.19; P=0.84) and carotidatherosclerosis (95% CI, 0.80–1.20; P=0.90). In add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vitamin D-deficient groups in terms ofcarotid artery thickness or carotid plaque risk. However, in obese men with a visceral fat cross-sectional area of 100 cm2or more, calculated byvisceral fat CT scans, the risk of carotid plaque in the vitamin D-deficient group increased by 1.59 times (95% CI, 1.01–2.48; P=0.04). There was,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carotid artery thickness of plaque in non-obese men (95% CI, 0.21–1.20; P=0.12). Conclusion: Vitamin D deficiency increases the risk of carotid atherosclerotic plaque in men with visceral fat obesity, calculated by visceral fat CT scans. When conducting a study with obesity as a control variable,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visceral fat 연구배경: 비타민 D는 여러 기전을 통해 동맥경화증을 억제할 수있다. 본 연구는 한국 성인에서 비타민 D와 경동맥 동맥경화증과의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법: 2015년 1월 1일부터 2020년 7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수진한 성인 중 비타민 D와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받은 3,4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타민 D 농도에 따라 결핍(<20 ng/mL), 부족(≥20, <30 ng/mL), 충분(≥30 ng/mL)으로 세 그룹으로 나눈 뒤 경동맥 동맥경화증 유무와 다변량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 중 복부지방 CT를 촬영한 1,991명에 대해 내장지방 단면적을 이용한 복부 비만도에 따라 하위집단 분석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결과: 비타민 D 결핍인 군에서의 경동맥 동맥경화증이 있을 오즈비는 0.96 (95% confidence interval [CI], 0.80–1.19; P=0.84), 부족한 군은0.98 (95% CI, 0.80–1.20; P=0.90)로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경동맥 두께 증가와 경동맥 경화판 유무와의 관계도 연관성이 없었다. 하지만 복부지방 단면적이 100 cm2이상인 남성을 내장지방비만 남성으로 하위분석 결과 비타민 D 결핍인 군에서 경동맥 경화판 오즈비가 1.59 (95% CI, 1.01–2.48; P=0.04)로 유의하게 관찰되었고, 내장지방비만이 아닌 남성에선 연관성이 보이지 않았다. 허리둘레를 이용하여 복부비만을 나눈 뒤 같은 방법으로 하위집단분석을 한 결과 유의미한 연관성이 없었다. 여성은 복부지방 단면적70 cm2이상인 군을 내장지방 비만으로 두고 분석했으나 비타민 D결핍, 부족은 경동맥 동맥경화증, 두께 증가, 경화판 증가와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내장지방비만인 남성에서 비타민 D가 결핍되면 경동맥 경화판 증가의 위험도가 1.59배 증가하였다. 앞으로 비만을 교란변수로두는 연구를 할 때 내장지방 단면적을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 성인에서 관상동맥 석회화에 대한 Visceral Adiposity Index와 Chinese Visceral Adiposity Index의 유용성 비교

        이승민,김철환,성은주,신호철,강새미,이하늘,이동준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3

        Background: Visceral adiposity index (VAI) was developed to estimate visceral fat, and its association with various diseases including cardiovascular disease, insulin resistance, and fatty liver has been revealed. The Chinese VAI (CVAI) has been newly developed in China.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VAI and CVAI for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by using the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CACs)–a predictable index of asymptomatic atherosclerosis.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that included 66,011 participants (76.3% male and 23.7% female participants) visiting an university hospital for medical check-ups between January 2014 and December 2016.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was calculated to compare the concordance of the CACs and the VAI, CVAI, waist circumference, body mass index, triglycerides,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Results: In all participants, the AUC for the CVAI was the largest, while that for the VAI was fourth among all the indices (AUCCVAI=0.653, AUCVAI=0.592). The AUC for the CVAI was the largest among the indices in both sexes (female AUCCVAI=0.77, male AUCCVAI=0.592), while that for the VAI was the second largest (female, AUCCVAI 0.771>AUCVAI 0.651; male, AUCCVAI 0.592>AUCVAI 0.564).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CVAI showed a higher degree of concordance with CACs, which is an indirect indica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than the VAI in Korean adults. 연구배경: 내장지방을 반영하기 위한 지표로 VAI가 개발되었고 심혈관 질환, 인슐린 저항성, 지방간 등 다양한 질환과의 연관성이 밝혀지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CVAI가 새로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경화증을 반영하는 지표인 관상동맥 칼슘점수(CACs)를 이용하여, 관상동맥 석회화에 대한 VAI와 CVAI의 유용성을 비교하고자한다.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건강검진을 위해 한 대학병원종합검진센터를 방문한 수진자 중 CT를 통해 CACs를 측정한 66,011명(남성 76.3%, 여성 23.7%)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내장지방지표인 VAI와 CVAI, 그리고 WC, BMI, TG, HDL과 CACs와의 일치도를 비교하기 위해 ROC curve를 수행하여 AUC를 구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에서 CVAI의 AUC가 가장 컸고, VAI는 지표들 중에서 네 번째 면적을 나타냈다(AUCCVAI, 0.653; AUCVAI, 0.592) 남녀 각각에서 CVAI의 AUC가 지표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을 보였는데 특히여성에서 CVAI의 AUC는 0.771로 큰 값을 보였으며, 남성에서는0.592를나타냈다. 남녀각각에서 VAI는지표들중에서 AUC가 CVAI다음으로 큰 값을 보였다(여성: AUCCVAI 0.771>AUCVAI 0.651, 남성:AUCCVAI 0.592> AUCVAI 0.564). 결론: 본 연구 결과, 한국 성인에서 심혈관 질환의 간접적인 지표인CACs와의 일치도는 두 가지 내장지방 지표 중 CVAI가 VAI보다 더높았다.

      • KCI등재

        이중판막 재치환술 시 발생한 급성 대동맥 박리증으로인한 비폐쇄성 장간막 허혈

        이삭,송석원,송승준,김관욱,장병철,조상호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2

        Nonocclusive mesenteric ischemia (NOMI) is a rare complication that occurs in about 0.05% of patients after open- heart surgery, and NOMI refers to the mesenteric ischemia that’s caused by splanchnic vasospasm without occlusion of the great intestinal vessels. In the presently reported case, NOMI developed to maintain the blood flow to the heart and brain after several minutes of a hypotensive status and the latter was caused by acute aortic dissection that complicated an aortic cannulation procedure. Unfortunately, the patient died even though the problems were diagnosed early and proper treatment was administered. Early diagnosis of NOMI by angiography and the selective infusion of vasodilators are thought to be the only way to improve survival for patients with clinically suspected NOMI. 비폐쇄성 장간막 허혈(nonocclusive mesentericic ischemia, NOMI)은 개심술 후 약 0.05%에서 발생하는 아주 드문 합병증으로 주요 장 혈관의 폐색 없이 내장 말초 혈관의 심한 혈관 경련(vasospasm)에 의해 장 허혈이 발생하는 것을 일컫는다. 본 증례에서는 상행 대동맥을 통한 동맥관 삽입시 발생한 급성 대동맥 박리로 수분간의 저혈압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중요한 심장과 뇌의 혈류를 유지하기 위한 장 혈관의 수축으로 NOMI가 발생한 경우로 비교적 빠른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졌음에도 장 경색으로 진행되어 사망하였다. 임상적으로 NOMI가 의심되는 경우 조기 진단 및 치료만이 생존률을 높일 수 있으므로, 빠른 대동맥 조영술 및 혈관 확장제의 선택적 주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Clinical Experience of Symptomatic Spontaneous Isolated Splanchnic Artery Dissection

        고진,박제훈,노영남 대한혈관외과학회 2013 Vascular Specialist International Vol.29 No.4

        Purpose: Symptomatic spontaneous isolated splanchnic artery dissection (SSISAD) is a rare disease entity. The treatment guideline for SSISAD has not been established. Isolated dissection of splanchnic artery can be clinically asymptomatic or symptomatic. Symptomatic dissection is more important because it can indicate ischemia of abdominal organ.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15 consecutive patients (mean age, 47.0 years; male, 87%) with SSISAD from January 2006 to July 2013. Each patient had acute onset abdominal pain and was diagnosed with SSISAD by abdominal-pelvic computed tomography. Results: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14.5±27.7 months (range, 1 to 79 months). Splanchnic arterial dissection involved celiac artery in three patients and superior mesentery artery in 12 patients. Conservative management (including bowel rest, hypertension medication, anticoagulation, and prophylactic antibiotics) was done in 14 patients. Endovascular treatment with stent insertion was performed in one patient. We experienced favorable clinical outcomes with SSISAD, even though one case needed endovascular treatment. Conclusion: Conservative management and selective revascularization could be a treatment option in patients with SSISAD.

      • 비반회 후두신경 1예

        최재영,윤주원,김정훈 고신대학교의과대학 2007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2 No.1

        Nonrecurrent laryngeal nerve(NRLN) is a rare anomaly that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ally aberrant subclavian artery. The NRLN is important clinically. Because this abnormal course of nerve is vulnerable during thyroid surgery, and if it is injured, it is associated with difficulty in swallowing and hoarseness. This abnormality can be to predicted from signs associated with the vascular anomaly, clinical symptoms or imaging studies. When an vascular anomaly is not detected preoperatively, overlooking possibility of NRLN may lead to severe operative morbidity. Hence, identification of NRLN during thyroid surgery and meticulous surgical tedhniques can significantly decrease the incidence of this complications. We experienced a case, which is found out abormality of NRL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