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건축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적용을 위한 목재 열전도율 데이터베이스 구축
서정기,강유진,김수민 한국가구학회 2016 한국가구학회지 Vol.27 No.2
The increasing interest in the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around the globe, while the importance of building energy saving is increasing. The building energy simulation program is used for evaluating of energy performance of buildings. However, an input value of wood thermal conductivity in the program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in this study, wood thermal conductivity was measured according to species. Through construction database by species of wood, the error of simulation program are able be decreased. In addition, if used as a structural and interior of buildings,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moisture of the wood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program because they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occupant’s lifestyle. In this paper, thermal conductivity and moisture content.of wood confirmed changes in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25°C, 50% R.H.) condition.
서정기,고경욱 한국지역사회연구소 2007 지역사회 Vol.56 No.-
컴퓨터는 현대 사회를 상징하는 모든 것들의 중심에 서 있다. 발전의 선두에 있는 만큼 컴퓨터의 발전 속도는 여타의 것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빠르다. 하지만 빠른 발전 속도만큼 시대의 흐름에 뒤떨어지는 지각장애인 및 대다수 노인들에게는 더욱 더 접근하기 힘든 매개체가 되어버렸다. 컴퓨터의 시스템은 인간의 사고에서 시작되어 입력 장치로 입력되고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처리된 내용이 다시 모니터로 출력되는 형식이다. 키보드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해주는 일반적인 매개체로 인식되어 있다. 본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그 동안 외면 받아 온 시 지각장애인과 대다수의 노인들을 위한 키보드의 문자 전달 방식을 다양한 형식으로 조절이 가능한 키보드에 대한 연구이다.
서정기,박홍영,이상윤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11
본 논문에서는 캔위성 경연대회에서 사용된 모델로켓에 대한 개요를 기술하고 있다. 모델로켓(Model Rocket)을 이용한 캔위성 발사방식은 해외 캔위성 경연대회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국내에서는 2012 년 제 1 회 대회에서 시연된 바 있다. 모델로켓은 1960 년대 이후 미국의 동호회를 중심으로 대중화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까지 활발한 활동이 전개되고 있다. 모델로켓은 조립식 키트(Kit) 형태로 시판되고 있으며 내부구조는 제조사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궁극적으로는 동일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델로켓의 일반적인 내부구조, 추진제의 내부구조 및 분리 메커니즘, 발사 및 안전 등 모델로켓에 전반에 대한 기본지식을 정리하여 기술하였다. Cansat launching by model rocket is a typical launching method adapted in many Cansat competition in the world. Model rocketry has been started in the middle of 1960, and now it becomes a one of popular hobby in USA. Model rockets are supplied in form of prefabricated parts. Model rockets have a similar but distinct internal structure according to manufacturer. Assembling model rocket requires experiences and comprehension for aerodynamics. In this paper overview of internal structure, motor, separation mechanism, launching and safety issues related to model rocket is described.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위성 탑재체 열제어기구 개발 및 환경시험
서정기,이상윤,김택영,현범석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1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열제어 장치는 상변화 물질이 갖는 잠열특성, 특정온도 상변화 성질을 활용한 온도제어 장치이다. 이는 첨단 열제어기술로 달탐사선, 화성탐사선 등에 사용되어 달과 화성의 극단적인 열환경에서도 시스템 정상임무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실용급 위성에 적용된 바 있는 위성 탑재체 열제어 장치를 상변화 물질 열제어 장치로 대체하여 경량화 및 열전달성능 개선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상변화 물질과 히트파이프(Heat Pipe)을 병렬로 연결한 새로운 열제어 시스템에 대한 개념 설계를 수행하였고, 핵심 부품인 상변화 물질 용기의 설계/해석/우주인증시험을 수행하여 개발된 장치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제작된 열제어장치는 향후 개발 예정인 달탐사선 열제어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CDPCM(Thermal Control Device with Phase Change Material) is a thermal control device designed for spacecraft thermal control using phase change material. TCDPCM’s have been used in thermal control of several lunar rovers, Mars rovers and proved their thermal performance in spite of extreme thermal condition in Moon or Mars. In this study, a new thermal control device using phase change material and heat pipe is proposed and validated. Also, structural analysis and space qualification tests were performed for a PCM Container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the device. TCDPCM shows a good thermal/structural performance and can be used in thermal control device of real spacecraft.
서정기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9 No.2
The relationship between H. pylori(Hp) infection and recurrent abdominal pain(RAP) in children is not clear. Current data in the literature regarding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Hp infection and childhood RAP are conflicting. However, meta-analysis and most of the recently published studies have not supported an association between Hp infection and an increased prevalence of abdominal pain. Most published studies have some problems and have been criticized on methodological grounds.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have not been designed to include double-blind placebo controls. And, because of the low incidence of Hp infection in children, they have a problem of obtaining sufficient numbers of the Hp infected children. There is also a concern about the heterogeneity of testing methodology in the studies and diagnostic accuracy problems of the non-invasive tests such as low sensitivity of the serology tests and false positive results of the UBT in children. And conflicting results may be explained, in part, by the poor definition of RAP or dyspepsia for the study subjects. To date, no consensus exists for the treatment of Hp-infected children with RAP. Some authors suggest the clinical efficacy of Hp. But others suggest that eradication of Hp is not associated with improvement of RAP. The problem of the most treatment studies is that they had usually no control groups and the number of the subjects was small. In order to make reasonable decisions about treatment of Hp infection in children with RAP, long-term, randomized, double blind, well controlled studies in large numbers of children will be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