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ase of Congenital Nephrogenic Diabetes Insipidus Confirmed by Gene Analysis

        조은영,오진희,고대균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8 No.6

        Nephrogenic diabetes insipidus (NDI) is a disorder in which the secretion of antidiuretic hormone is normal, but the response of the renal collecting tubules to vasopressin is impaired. Compared with acquired NDI (a-NDI), which is secondary to chronic bilateral incomplete urinary tract obstruction with hydronephrosis, congenital NDI (c-NDI) is a very rare heritable disorder that usually follows the X- linked recessive pattern. Clinical symptoms of c-NDI can be non specific, and often the disease ultimately results in failure to thrive, or mental retardation. Recently, the diagnosis can be confirmed by direct sequencing analysis of the peripheral blood specimens. The long-term results of treatment for c-NDI are not satisfactory. Reports on the follow up of c-NDI cases are rare and there is no report on the cases treated with combinations of three drugs. We report herein a case of severe c-NDI in an 8 year-old-boy with a severely dysconfigurated urinary tract system. The patient and his mother showed a frameshift mutation on the AVPR2 gene on chromosome Xq28:.847_851delTGCTG (p.C283fsX90). The patient showed 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by treatment with combinations of hydrochlorothiazide (65 mg/m2), amiloride (0.3 mg/kg/d) and indomethacin (100 mg/m2), yet after five years he needed adjuvant cystostomy to relieve him from the residual symptoms of urgency with polyuria. 유전자 분석검사로 확진된선천성 신성 요붕증 1례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조은영·오진희·고대균신성 요붕증은 항이뇨호르몬의 정상적 분비에도 불구하고, 신장의 집합관의 항이뇨호르몬에 대한 반응이 저하되어 요농축능에 이상이 초래되는 질환이다. 특히 선천성 신성 요붕증은 대게 반성 열성 유전 양식을 따르는 유전 질환으로 매우 드물어 소아에서는 간헐적 보고만 있어 왔다. 어린 소아에서는 증상이 비특이적일 수 있고, 임상적 진단도 쉽지 않은데, 최근에는 항이뇨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돌연변이들이 확인되어 유전자 검사로 확진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존의 보고들은 선천성 신성 요붕증이 진단된 환아들에 대한 이뇨제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등을 포함한 치료가 이루어진 증례보고이었으나 이들의 치료 후 장기적 추적 결과 보고가 극히 드물며, 이들 약제에 의한 치료 효과는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극심한 이뇨로 인한 이차적 요로기관의 변형이 초래되었던 8세 소아에서 환아와 엄마의 말초 혈액 유전자 분석 검사상 Xq28 염색체 부위의 AVPR2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확인되었고 hydrochlorothiazide, indomethacin 및 amiloride 병합 치료 후 배뇨량은 하루 12리터에서 4리터로 감소하였고, 성장 발육도 정상이었으나 더 이상의 호전이 없고 일상 생활에 불편함이 지속되어 보조적 방광루 형성술을 시행받은 후, 증상 호전 및 심리적 안정을 얻었던 심한 선천성 신성 요붕증 1례의 5년간의 추적 관찰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치매노인 가족원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은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4

        This study is a descriptive investigation research which was attempted to grasp effects of ADL, family strength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n seized factors which effected influences to burdens of family caregiver.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 by objecting 95 caregiver at 7 dementia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analyses were made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3.0 program. As research results, the burden average of family caregiver was 82.19, family strength was 106.24, and ADL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ere 2.53 in average. Burdens of family caregiver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DL (r=-.370, p<.001), and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amily strength (r=-.257, p<.005). Relevant factors which affected influences to burdens of family caregiver included family strength, ADL and overall explanatory power was 18.9%. Regarding matters of having to consider as the arbitration method to reduce family members’ burden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promoting family strength was necessary in family members’ aspects, and it implies that preparing the method which can promote or maintain ADL in aspect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본 논문은 치매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치매노인 가족의 가족건강성 정도를 파악하고 가족원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서울, 경기지역 7개 치매센터에서 치매노인의 주 가족원 9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Scheffe 사후검증), Pearson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족원의 부담감 평균은 82.19점, 가족건강성은 106.24, 치매노인의 ADL은 2.53점이었다. 주 가족원의 부담감은 치매노인의 ADL(r=-.370,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가족건강성(r=-.257, p<.005)과도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가족원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은 가족건강성과 치매노인의 ADL로 전체 설명력은 18.9% 이었다. 치매노인의 가족원부담감 감소를 위한 중재방법에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가족원 측면에서는 가족건강성의 증진이 필요하며, 치매노인 측면에서는 ADL을 증진 또는 유지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미국 시각이미지 속의 동북아시아 여성: 1850년대 - 1870년대

        조은영 미술사학연구회 2009 美術史學報 Vol.- No.33

        This paper is the first in a series of articles in which I will investigate the stereotyped images of Northeast Asian women and Asian American women appearing in American art and visual culture from the mid-nineteenth century onwards. The changing and conflicting visual images of each nation and its male inhabitants resulted from the shifting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relat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Northeast Asian nations since the mid-nineteenth century, demonstrating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and image-making. The stereotyped images of Northeast Asian women, however, have consistently remained in the American imagination even to this day and have replaced the reality of the women. American visual images of the past one and a half centuries have not only reflected, but also helped formulate the two most prevalent characterizations of Asian women: submissive and delicate figures who exist to serve men or conniving "Dragon Ladies." Previous scholarship on this subject has largely focused on the representation system of American portrayals of Asian women in film and mass media since the 1920s. Howev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origin and dissemination of the stereotyped characterization of Northeast Asian women in American visual representations from the 1850s to the 1870s. It also shows that its roots extend to the beginning of American relations with East Asia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widely- circulated visual images of Asian women, mainly Japanese and Chinese, that appeared so often in American households, artists' studios, and public arenas in the form of multitudes of book, magazine, and newspaper illustrations, paintings and sculptures, photographs and prints, postcards and trade cards, ornaments and advertisements, confirms that the majority of imagery can be categorized into one homogeneous group regardless of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They are not portraits of specific individuals; instead they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stereotypical images of sexualized, exotic, and submissive Asian women. This was true both in the visual images produced or imported by Americans, reflecting their preconceptions and preferences for specific aspects of Asian women, and also in those executed by Japanese and Chinese artists and artisans who complied with American desires and tastes and aimed for American markets. In this sense, the dissemination and popularization of the stereotypical images of Asi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was co-produced by Americans and Asians themselves. The exotic, docile, delicate, submissive images of Japanese women as "geishas" and "cherry-blossoms," in particular, were held strongly by American men from the very onset of American-Japanese relations. Early accounts and visual representations of Japanese maidens seen through rose-tinted glasses stimulated Western fancies and became the most powerful lure of Japan. Some images of Chinese women, in comparison, were less romanticized and became the prototype of the "Dragon Ladies" partly because of white Americans' xenophobia toward Chinese immigrants as they were seen as an unstoppable horde threatening the labor market and ultimately the foundation of white society itself.

      • KCI등재

        A Study of Verb-Second Phenomena in MedievalSpanish Complex Sentences

        조은영 한국언어정보학회 2005 언어와 정보 Vol.9 No.2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verb second' phenomena indicated in complex sentences of medieval Spanish. Especially, when the complex sentence is composed of a preposed adverbial clause and its succeeding main clause, the subject inversion is noticeable in the latter. The fundamental motive of this type of inversion is due to the `verb-second' structure, in which a topic appear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verb immediately after the topic. So it can be said that the subject inversion is a prerequisite for a verb to be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adverbial clause functions as a topic to the main clause, as is often the case with Germanic languages like German, Dutch, etc.. On the contrary, modern Spanish complex sentences do not show this phenomenon, with a strong tendency to locate a grammatical subject in the preverbal position. Therefore, medieval Spanish might be typologically closer to Germanic languages than to modern Spanish. In order to argue for this assumption, the formal and functional criteria by which the preposed adverbial clause could be defined as a topic NP will be examined across the comparison with left-dislocation structure.

      • KCI등재

        배달앱 광고가 브랜드 가치와 브랜드 태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배달앱을 이용하는 외식 소비자를 중심으로

        조은영,고재윤 한국호텔관광학회 2019 호텔관광연구 Vol.21 No.3

        배달앱은 2011년에 등장하여 10년이 채 되지 않는 시간동안 가파른 성장을 보여주었고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배달앱 업체들은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여러 마케팅 활동을 하고 있으며 가장 효과적인 것이 광고이다. 본 연구는 배달앱 광고가 브랜드 가치와 브랜드 태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설계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배달앱 이용경험이 있는 20세 이상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 번째, 배달앱 광고는 브랜드의 정서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브랜드의 정서적, 기능적 가치는 모두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는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배달앱 광고가 브랜드 가치와 브랜드 태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배달앱의 광고를 접한 소비자는 브랜드의 정서적, 기능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게 되며 이는 결국 브랜드에 대한 감정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되어 충성 고객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 배달앱 광고의 효율성을 증명해 준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광고를 통해 소비자는 브랜드에 대한 탁월하고 차별화된 가치 뿐 만이 아니라 정서적인 가치까지 영향을 받으므로 광고를 하는 배달앱 업체에서 향후 광고 제작의 성공적인 방향을 제시해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인공지능(ChatGPT)을 활용한 중학생 시 쓰기 교육 실제

        조은영,김지윤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ChatGPT)을 활용한 시 쓰기를 시도하고, 글쓰기 도구로써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인공지능은 인간 고유의 영역이라 여기는 창의적 글쓰기까지 가능하다는 관점에서 창의성의 개념 문제, 표절, 윤리적인문제, 인간 고유의 사고 문제 등 비판적인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글쓰기의 개념이 변화하고 있는 시대에 교육 역시 새로운 접근과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인공지능 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시 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경기도 소재 중학생 148명(여학생 67명, 남학생 81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ChatGPT)을 활용한 시 쓰기를 실시하였다. 먼저 자신을 소개한 글을 프롬프트에 입력하여 인공지능에게 ‘나는~이다’라는 방식으로 정의를 내려달라고 요청한다. 이후 산출된 정의를 활용하여 시를 쓰고, 이를 다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고쳐쓰기’ 한 뒤 최종 결과물을 제출하였다. 설문을 통해 인공지능이 어떤단계에서 유용했는지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결과 학생들은 인공지능(ChatGPT)을 활용하여 시를 쓴다는 것에 대해 흥미를 보였고, 계속되는 질문 끝에 ‘나는~이다’라는 비유를도출해냈다. 하지만 어떻게 입력해야 원하는 결과물이 나오는지 질문 생성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설문에서 글쓰기에 자신감을 가진 학생일수록 향후 인공지능 사용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시 쓰기 후, 인공지능이 유용한 도구라생각할수록 향후 사용 계획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공지능은 글쓰기의 ‘표현하기, 고쳐쓰기’ 단계에서 시 쓰기에 도움이 된다는의견을 보였다. 결론 인공지능(ChatGPT)은 글쓰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하나의 도구로써 활용 가능하나, 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지 않으면 활용하기 어려웠다. 질문 생성 능력은 곧 글쓰는 주제와 목적, 장르의 이해가 선행되어야 키울 수 있다. 질문하는 능력은 곧 문제 해결 능력과연결된다. 또한 자신의 글과 인공지능이 도출하는 문장의 적절성을 판단하여 위해서는 언어적 능력과 예술적 심미안을 키우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