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메니우스의 교수방법론에 관한 연구

        신현광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8

        코메니우스는 17세기의 위대한 교육자로 ‘세계의 교사’로 불리고 있는 인물이다. 우리는 코메니우스의 교육신학사상과 방법론에서 현대 실천신학과 기독교교육에 시사하는 점이 지대하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그의 교수방법론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우선 인물 코메니우스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그의 교수방법론의 기초로서의 범교육, 범교육의 원리에 입각한 일반적 교수방법론을 다루고, 계속하여 지식, 덕성, 경건의 교수방법론에 대하여 다루었다. 특히 지식의 교수방법론에서는 사물의 교수방법론, 기술의 교수방법론, 언어의 교수방법론에 대하여 다루었다. 코메니우스의 범교육의 철학적 원리는 세상의 모든 사람들에게, 세상의 모든 것을, 모든 방법으로 철저하게 배우도록 하는 것이다. 세상의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세상의 모든 것을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철저히 배우게 하는 교육방법은 단순한 지식의 습득이 아니라, 지식의 올바른 사용을 위한 것이다. 코메니우스의 교육목적은 지성을 통한 사고와 언어 및 행동의 성숙, 덕성을 통한 생명체와의 조화, 그리고 경건을 통한 하나님 나라의 건설이었다. 그의 범교육의 원리는 자발성을 강조한다. 그는 외부의 강제가 아니라 자발적인 자연을 모방하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잘 알려진 대로 그의 교수원리는 자연을 따르는 합자연의 원리라고 말할 수 있다. 인간의 독특한 기능들은 이성, 언어표현력, 그리고 행동이기 때문에, 학교의 목적은 인간 속에 있는 이 기능들을 계발하는 일, 다시 말하면 인간에게 ‘아는 것’, ‘행동하는 것’, ‘말하는 것’의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합자연의 원리와 이에 근거한 자발성의 원리 및 훈육의 원리, 그리고 감각적 직관에 의한 원리는 코메니우스의 교수방법에 있어 가장 근본적인 요소들이다. 특히 지성의 교수방법론으로 자연과학적 원리를, 덕성의 교수방법으로 모범, 훈련, 훈육의 원리를, 경건의 교수방법으로 묵상과 기도와 연단을 통한 영성교육, 믿음, 사랑, 소망의 실제적인 교육, 그리고 조기습관화의 교육을 제시하였다. 전체적으로 그의 교수방법은 그의 전반적인 교수원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This paper examines Comenius’ teaching methodology. While Comenius is known as an influential educationist, theologian, philosopher, and sense realist to the field of education, he is most well-known as a renowned master of modern pedagogy. First of all, I take a general review on Comenius, then look into ‘pampaedia,’ as his basic teaching methodology, general teaching methodology are based on the principle of pampaedia. Lastly, I examine the teaching methodology of knowledge, virtue, and piety. The philosophical principle of pampaedia is to let all people(omnes) on the earth throughly learn all things(omia) through all means(omnino). The principle is not only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but also for the right usage(chresis) of knowledge. Comenius reveals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o draw out the maturity of thoughts, languages, and behaviors through mind, and then the harmony with organisms through virtue, and also the establishment of the kingdom of God through piety. Especially, the three intrinsic abilities of man—reasoning(ratio), expression of languages(oratio), and behaviors(operatio)—enable everyone to realize the essence of knowledge and the truth of all objects, and eventually to manage a rational, ethical, and godly life. Comenius' principle of pampaedia stresses spontaneity. Comenius thinks that education needs no external press but imitations of spontaneous nature. Because man's unique functions are reasoning, expression of language, and behavior, the goal of school, in Comenius' view, is to develop these functions of man—teaching a person to think wisely, work honestly, and speak sagaciously. The very essential elements of Comenius' teaching method are the principle of accordance with nature(God's creation order), the principle of spontaneousness, the principle of discipline, and the principle of sense intuition.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virtue, and piety, Comenius introduces various principles. For knowledge, Comenius suggests the principle of natural science. Likewise, Comenius suggests the principle of example, training, and discipline for virtue, and the principle of spiritual activity, good practical life, and early habituation for piety. Overall, Comenius' teaching methodology is related to his pedagogical principles.

      • KCI등재

        한문교육 연구 방법론의 止揚과 指向

        진재교 한국한문교육학회 2010 한문교육논집 Vol.34 No.-

        It has been frequently pointed that weakness of teaching methods of classical Chinese comes from its short history as an academic discipline. This argument is no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ether teaching classical Chinese constitutes a viable discipline, just as the criticism that it lacks methodology. This kind of argument not only denies the possibility of teaching classical Chinese to stand as an independent field of study, but also dismisses what has been achieved by many researchers in the field. Highly desirable at this status is the reflection that the progress in teaching classical Chinese has been hindered by the lack of interest in its methodology as well as the skepticism about its being a viable discipline. In order to achieve a progress in teaching methodology of classical Chinese, researchers need to develop the methods that helps gain its viability and also need to be aware of the problems and perspectives different from those in studying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Such perspectives and efforts are much in need to achieve teaching classical Chinese as a field of discipline. 한문교육에서 연구 방법론이 허약한 이유로 한문교육의 학문적 연륜이 짧다는 것을 든다. 이는 ‘방법론이 부재한 학문’이라는 비판과 하나의 ‘학문’으로 성립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은 아니다. 한문교육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태도이자, 그간 노력을 무화시키는 논리다. 무엇보다 현 시점에서는 한문 교육 연구자들이 한문교육 연구방법론에 대한 인식과 한문교육을 하나의 학으로 선명하게 자각하지 않았다는 점을 반성해야 한다. 이 시점에서 한문교육에 대한 학문적 정체성을 분명한 인식을 할 필요가 있다. ‘한문학’과 ‘한문교육’은 학문 연구의 대상으로 당연히 그 층위가 다르다. 인문학으로서의 한문학 연구와 달리, 한문교육은 그 귀속 여부는 인문학과 사회과학 등에 두루 걸친다. 이러한 점을 십분 이해하고 한문교육의 연구방법론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문교육의 연구자는 한문교육 연구 방법론을 통한 학문적 정립을 추구하며, 한편으로는 한문학 연구 방법론과 달리 어떠한 문제의식과 시각을 통해 연구방법론을 모색해야 할 것인가를 근본적으로 재인식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각과 노력이야말로 ‘한문교육학’의 정립을 위해서도 필요한 작업이기 때문이다. 또한 새로운 연구방법론 역시 학교 현장(교실)과 정치하게 결합되어야 연구방법론으로 기능하고 학문적으로 성립할 수 있다. 지금부터라도 한문교육 현실에 맞는 연구방법론을 창신하여 한문교육학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 KCI등재

        국어교육 양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연구자의 인식

        윤준채 ( Jun Chae Yoon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교육 연구자를 대상으로 국어교육 양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그것을 토대로 국어교육 양적 연구방법론과 관련된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최근에 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박사과정을 마쳤거나 현재 공부하고 있는 37명의 국어교육 연구자가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17문항으로 구성된 <국어교육 양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인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응답한 국어교육 연구자는 국어교육 현상을 연구하는 데 양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지식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응답자는 국어교육 프로그램이 양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강좌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지 않고, 이로 인해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논문을 이해하고 연구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과반수가 국어교육 양적 연구방법론 필수 이수 학점으로 3~6학점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였다. 독립적인 모국어 교육 연구자가 되기 위해서는 모국어 교육 현상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양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어교육 석.박사과정 프로그램은 양적 연구방법론과 관련된 교육과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urvey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ers` recognition of research methodology, especiall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for Korean education and to provide some useful ideas necessary for rebuilding research-method related curriculum for the researchers in the area of Korean education. For this study, 37 researchers from universities in Seoul were participated. In order to collect data, <Korean Researcher`s Checklist for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as used. Results from the study documented as follows. First, the 37 researcher thought that knowledge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for Korean education is necessary. Second, their doctoral programs did not provide sufficient classes related to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us they experienced som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related research works and in doing research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Finally, they thought that 3~6 credit hours for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area of Korean education should be required. For Korean education researchers to become independent researchers, curriculum related to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hould be restructured.

      • KCI등재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언어교육방법론에 대한 실천적 지식 구성요인 및 관계 연구

        김정규,최성규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structure of practical knowledge to curriculum and language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perception of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students with school for hearing impairment. The 388 teachers of 22 schools for the hearing impairment over the South Korea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hich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curriculum, hearing impaired school curriculum, and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 and F 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teachers' percep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curriculum and language teaching method; (b) the practical knowledge on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such as knowledge itself of the curriculum and belief of the curriculum,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hearing impaired school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distinction and management of the hearing impaired school curriculum;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divided into validation and belief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and (c) the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to curriculum, hearing impaired school curriculum, and language teaching method were organized in the validation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the distinction of the hearing impaired school curriculum and the knowledge itself of the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structure of practical knowledge of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was constructed with the validation and distinction of the hearing impaired school curriculum, and curriculum itself of the curriculum.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the teaching experience for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was most important factor to organize the practical knowledge to curriculum and language teaching method.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좋은 수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교육과정과 언어교육방법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구성요인 및 관계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밝히기 위하여 전국 22개 청각장애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388명을 대상으로 전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천적 지식의 구성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배경변인별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변인별 t/F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언어교육방법론의 실천적 지식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Person의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언어교육방법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모두 6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뢰로운 타당도와 신뢰도를 구축하고 있다. 둘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언어교육방법론의 구성요인은 배경요인별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과정과 언어교육방법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언어교육방법론의 타당성과 청각장애학교 교육과정의 차별성, 그리고 교육과정 지식의 실제의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언어교육방법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구성요인 및 관계는 교사들의 이론과 실천의 괴리의 폭을 좁혀줄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이며, 타 장애영역에서의 실천적 지식 관계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홀리스틱 교육과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

        고진호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0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4 No.2

        이 논문은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의 홀리스틱 교육 분야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되었다. 홀리스틱 교육은 지덕체성을 추구하는 일종의 통합적․대안적 교육론으로서의 특징을 지닌다. 홀리스틱 교육은 방법론적 차원에서 학습자의 의미 있는 경험을 통해 질적 성장을 의도하고 있다. 홀리스틱 교육에서 교사는 학습자의 질적 성장을 유도해야 하고, 또한 이러한 학습자의 가능성을 알아차림(awareness)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홀리스틱 교사는 현상학에서 말하는 ‘상호 주관적 이해(intersubjective understanding)’의 능력이 필요하다. 간주관적 이해는 교사의 내적 투여를 통해서, 학습자의 존재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방식이다. 간주관적 이해는 학습자의 전인격적 존재성을 알고자 하는 방식이다. 이해와 존재는 긴밀한 관련성을 내재한다. 홀리스틱 교육에서 강조하는 질적 성장 혹은 초월의 과정으로서 변용(transformation)은 현상학에서 말하는 간주관적 이해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해와 존재의 초월(이해-존재-초월)은 긴밀한 연계개념으로서 홀리스틱 분야의 주요한 교육적 주제인 동시에 현상학의 탐구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에서는 홀리스틱 교육과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연계하여 내적 관련성을 논의하고,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이 홀리스틱 교육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fields of holistic educati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different from any other researches in the fields of educati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has a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hich will describe a subject's experience.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which pursues to understand a subject’s inner world reflect on the perspectives of holistic education in many cases. The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based on the holism that are willing to grasp intermingled connection as a whole. From this view the holistic educators aim to educate whole person fully educating not only his minds and body but his spirituality. In the holistic education teacher educate learner to be a whole person who became a harmonized growth and so teacher as a holistic researchers need to the ability to understand to the learner's inner world and to help drawing out his potentiality.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has three kinds of research dimension. The first dimension is to understand to the others’s experience and the second is to study the essence of the Being, and the third is to investigate to transcendence, in other words transformation, connectedness etc. In this paper the reason why the main issues of the holistic education might be researched by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understanding others experience, studying the essence of the Being, investigating transcendence can be explained by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In last chapter I searched to applicate phenomenological views in the context of teaching and learning in holistic education. The intention of this search is to use phenomenological view as a practical method which can be well connected theory and practice. From this search I’d like to suggest that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give new applicable method in the practice(for exam. in the context of teaching-learning situation) as well as the research field.

      •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언어교육방법론에 대한 실천적 지식 구성요인 및 관계 연구

        주지현 ( Ji-hhyun J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좋은 수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언어교육방법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구성요인 및 관계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밝히기 위하여 전국 22개 청각장애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388명을 대상으로 전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천적 지식의 구성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배경변인별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변인별 t/F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언어교육방법론의 실천적 지식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Person의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언어교육방법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모두 6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뢰로운 타당도와 신뢰도를 구축하고 있다. 둘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언어교육방법론의 구성요인은 배경요인별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과정과 언어교육방법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언어교육방법론의 타당성과 청각장애학교 교육과정의 차별성, 그리고 교육과정 지식의 실제의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언어교육방법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구성요인 및 관계는 교사들의 이론과 실천의 괴리의 폭을 좁혀줄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이며, 타 장애영역에서의 실천적 지식 관계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structure of practicalknowledge to curriculum and language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perception of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students with school for hearing impairment. The 388 teachers of 22 schools for the hearing impairment over the South Korea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hich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curriculum, hearing impaired school curriculum, and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 and F 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were utilized to analyze to analyze the teacherspercep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curriculum and language teaching method; (b) the practical knowledge on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such as knowledge itself of the curriculum and belief of the curriculum;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hearing impaired school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distinction and management of the hearing impaired school curriculum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divided into validation and belief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and (c ) the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to curriculum, hearing impaired school curriculum, and language teaching method were organized in the validation of the language teaching method, the distinction of the hearing impaired school curriculum and the knowledge itself of the curriculum.

      • KCI등재후보

        논문(論文) : 법학교육방법론에 대한 소고

        박민 ( Min Park ) 대한교육법학회 2006 敎育 法學 硏究 Vol.18 No.2

        법학전문대학원의 설립목적은 사회에서 요구되는 자질과 능력을 갖춘 법조 인력을 육성하는 것으로 현재의 법학교육방법으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새롭게 설립될 법학전문대학원의 교수들이 사용할 수 있는 법학교육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현재 논의되고 있는 법학교육방법론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하나의 교육방법론이 법학교육에 내재하는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기 때문에, 논문에서 제시된 다양한 교육방법을 교육의 목적과 교과내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서 오디오와 비주얼을 통한 교육이나 컴퓨터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을 보조수단으로 병행한다면 법학교육의 질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교육방법을 도입하기 위하여 법학교육연구위원회와 같은 기구를 설치하여 교육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선행하는 것이 법학전문대학원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선행조건이다. In Korea, a broad and sweep reform of the justice system is now taking place. It is aimed at reinforcing the function of justice in the increasingly complex and diversified Korean society and realizing an accessible and user-friendly justice system that can respond to the expectation of the people and meet their trust. One of the main goal of the reform is to expand the quality and quantity of legal professionals. To achieve this goal while ensuring legal professions with suitable quality to undertake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in the 21st century,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establish graduate schools specializing in the training of legal professionals.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explore the value of several pedagogical methods in legal education; lecture, PBL, simulation. This article asserts that to be the most effective, law teachers need to be aware of a wide range of different pedagogical methods available to them, and to use those methods which best meet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course they are teaching.

      • KCI등재

        인본주의적 소설 교육의 방법론과 방법 -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방법론’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방법’을 결합하여 -

        박수민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문학교육학 Vol.0 No.62

        「소설 교육의 방법론과 방법」은 소설의 인본주의적인 특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합리적이고 절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소설 교육의 방법을 모색한다. 먼저, ‘방법론’과 ‘방법’의 위계와 관계를 개념적으로 규정한다. 다음으로,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방법론’과 ‘방법’을 구분한다. 이어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방법론’과 ‘방법’을 구분하고,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방법론’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방법’인 백워드 설계 모형을 결합한다. 이와 같은 방법론과 방법의 교차 결합으로 소설 교육의 한 가지 가능성을 제안한다. 본고가 문학교육에서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일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discusses the method of novel education, which can be reasonably and scientifically done without compromising the humanistic character of novels. First, conceptually separate the hierarchy and relationships of methodologies and methods. Based on this, distinguishes the methodologies and methods of discipline centered curriculum and understanding by design. And then, combine the methodology of discipline centered curriculum with the method of understanding by design, the backward design. Through this cross-combination, propose a case of novel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 critical understanding of and flexible acceptance of an understanding by design in the discourse of literary education.

      • KCI등재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방법론 연구

        김태희(Taehee Kim),강진구(Jingu Kang)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8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7

        본 연구는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인 교수방안에 관한 선행연구 중에서 ‘의사소통 민족지학 연구방법론을 적용한 연구(한국)’군(群)과 ‘종합활동형 일본어교육(일본)’군(群)을 비교 · 분석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비교 대상인 두 연구는 학습자 구성, 학습이 일어나는 장소 등과 더불어 사회적 맥락을 활용한 언어와 문화의 통합모델이라는 공통점이 있어 비교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비교 · 분석은 문화의 정의, 언어교육에서 다루는 문화의 범위, 제안하고 있는 문화교육의 방법, 실제 수업적용 보고, 제안하는 평가의 방법 등 다섯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비교의 결과 ‘의사소통의 민족지학 연구방법론’은 한국에 유학 온 세계 각국의 학생들에게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사회적 맥락 속에서 통합적으로 학습하도록 설계된 유의미한 시도로 보이지만, 더욱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 방법론으로서 다음과 같은 개선책을 제안하였다. 첫째, 문화권의 유형적 차이와는 별개로 개인적 인식의 차이를 일부 고려한 수업설계, 둘째, 학습자 의식의 변화과정을 관찰할 수 있는 수업설계, 셋째, 언어적 성과와 문화능력의 변화에 대한 각각의 평가방법 개발 등이 그것이다. Of the previous studies on language-culture combined teaching methods, this study compared and examined the research (Korean) group with the application of the communicational ethnographic methodology and the comprehensive-active Japanese education group (Japanese) so 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thodology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e two comparative groups had common points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learners, the learning place, and the language-culture integration model using the social context, making it possible to compare the two groups with the difference offering a significant implication for educational research in Korea. In two studies, five items were compared and analyzed, such as the definition of culture, the scope of culture handled in language education, proposed cultural educational methods, reports of application thereof to classes, and proposed evaluation methods. As a result, the communicational ethnographic methodology was deemed a significant attempt designed to allow foreign students from various nations around the world in South Korea to comprehensively learn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in the social context, but it lacked the conducting of classes based diverse methods and the evaluation thereof. In addition, follow-up studies were proposed to design classes with individual learners’ difference partially considered, and to introduce report-type methods to the curriculum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

      • KCI등재

        세법학 교육방법론에 관한 소고

        朴敏(Min Park) 한국세법학회 2007 조세법연구 Vol.13 No.3

        법학전문대학원의 설립목적은 사회에서 요구되는 자질과 능력을 갖춘 법조 인력을 육성하는 것으로 현재의 법학교육방법으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새롭게 설립될 법학전문대학원의 세법교수들이 사용할 수 있는 법학교육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현재 논의되고 있는 법학교육방법론을 종합적으로 비교ㆍ분석하였다. 하나의 교육방법론이 법학교육에 내재하는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기 때문에, 논문에서 제시된 다양한 교육방법을 교육의 목적과 교과내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서 컴퓨터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을 학생들의 학습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사용한다면 세법학 교육의 질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In Korea, a broad and sweep reform of the justice system is now taking place. It is aimed at reinforcing the function of justice in the increasingly complex and diversified Korean society and realizing an accessible and user-friendly justice system that can respond to the expectation of the people and meet their trust. One of the main goal of the reform is to expand the quality and quantity of legal professionals. To achieve this goal while ensuring legal professions with suitable quality to undertake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in the 21st century,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establish graduate schools specializing in the training of legal professionals.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explore the value of several pedagogical methods in tax law education;lecture, problem method, PBL, simulation, computer-aided education. This article asserts that to be the most effective, law teachers need to be aware of a wide range of different pedagogical methods available to them, and to use those methods which best meet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course they are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