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 종단조사에 대한 학부모, 특수교사, 특수교육 전공 교수의 인식

        권현수 ( Kwon Hyunsoo ),김경화 ( Kim Kyeong-hwa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자의 학부모, 특수교사, 그리고 특수교육 전공 교수들의 특수교육종단조사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안에 대한 제안을 하는 것이다. [방법] 경기도 지역의 특수교육대상자 학부모 252명과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 53명, 그리고 특수교육 전공 교수 67명을 대상으로 특수교육 종단조사의 필요성, 조사대상, 실시 목적, 특수교육의 교육성과, 조사결과의 활용 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응답 결과를 빈도분석과 t검정, 분산분석 방법을 사용해 분석 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특수교육 종단조사에 대해 잘 알지 못하지만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사대상은 무상교육 대상인 영유아부터 전공과까지를 포함해야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수교육 종단조사의 실시 목적은 특수교육대상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있어야 한다는 응답을 하였고 특수교육의 교육성과는 일반교육과 차별화하여 학업 성취 이외의 부분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답하였다. 또한, 종단조사 결과는 법, 정책, 제도 개선을 위해 활용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 특수교육 종단조사가 앞으로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특수교육 발전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특수교육의 특성을 고려해 조사 목적과 조사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있고, 종단조사 결과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professors about the Specia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in order to know the general understandings of stakeholder on SELS and suggest a better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it. [Method] A questionnaire obtained from 252 parents, 53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67 special education professors was analyzed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these participants. [Results]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 SELS was necessary even though they were rarely aware of it, the SELS subject should include all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under free education by the legislation(from infants to transition program students), and the purpose of the SELS as well as the outcomes of special education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special education oriented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lso, they insisted that the results of the SELS should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make a better policy for special educ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SELS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and it was necessary to find the ways to reflect the results of SELS.

      • KCI등재

        유치원 통합학급 내 특수교사 배치 유형에 따른 유치원교사와 특수교사의 통합교육 인식 및 만족도 비교

        박찬웅 ( Park Chan Woong ),김현경 ( Kim Hyun Kyung ),구영주 ( Gu Yeong Ju ),신주원 ( Shin Ju Wo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통합학급 내 특수교사 배치 유형에 따른 유치원교사와 특수교사의 통합 교육 인식 및 만족도의 차이를 밝히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유치원 통합학급을 맡고 있는 유치원교사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구글 설문지를 활용하여 온라인 SNS(카톡)을 통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평균 및 표준편차, F검증과 사후검증,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특수교사 배치 유형에 따른 유치원교사 간에 통합교육 인식과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전일제 특수교사가 시간제 특수교사보다 통합교육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전일제 통합학급이나 시간제 통합학급 모두 특수교사가 유치원교사보다 통합교육의 대한 이해 및 효과, 협력교수 인식, 통합학급 경영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 유치원교사나 특수교사 모두 통합교육에 대해 높은 인식을 갖고 있으나 협력교수에 대해 어려움을 보이고 있어 서로 소통하며 협력할 수 있는 문화조성, 협력교수의 역량 강화 및 지원 방안 등이 요구된다. 또한 특수교육대상유아를 고려한 통합교육과 학급당 유아 정원 감축 및 업무 경감 등도 요구된다. 또한 특수교사가 미배치된 통합학급을 위해 특수학급 신증설, 통합유치원 설립 등을 통해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특수교육 지원이 요구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according to the type of placement of special teachers in the integrated kindergarten class.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kindergarten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in charge of integrated kindergarten classes through online SNS(Social Network Service) using Google questionnaires. The surveyed data were averaged and standard deviation, F-test and post-hoc test and t-tes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mong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full-time special teachers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integrated education than part-time special teachers. Third, in both full-time integrated classes and part-time integrated classes, special teachers showed higher understanding and effectiveness of integrated education, recognition of cooperative classes, and management of integrated classes than kindergarten teachers. [Conclusion] Both kindergarten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have high levels of perceptions of integrated education, but they have difficulties in cooperative professors, so they need to create a culture to communicate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strengthen and support the competence of cooperative professors. In addition, integrated education considering non-disabled young children, reduction of the number of young children per class, and reduction of work are also required. In addition, active and systematic special education support is requir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new special classes and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kindergartens for integrated classes where special teachers are not assigned.

      • KCI등재

        경상남도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를 통해 살펴본 특수교육대상 학생 진단·평가 및 선정과정에서의 중요도, 실행도 및 개선방안

        김요섭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4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difficulties in performance, and to suggest methods for improvement in diagnosis/evaluation and selection of students who need special education by teacher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Method] Eighty-two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18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Gyeongsangnam-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urvey was used to collect data. [Result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level of importance was over‘high’in 30 items related to diagnosis/evaluation and selection, the level of performance was over‘average’, and in comparison between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latt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former in 27 items. Second, major problems or difficulties in order were lack of workforce and heavy workload, lack of guidelines for selecting students who need special education, and lack of professionalism or experience of teachers in charge of diagnosis/evaluation. Third, concerning major methods for improvement, teachers suggested placement of sufficient workforce or experts in charge of diagnosis/evaluation, strengthening of education/training to increase teachers’competence for diagnosis/evaluation, and supplementation of guidelines or manuals to select students who need special education. [Conclusion] Summary and discussions for improvement directions on the role of diagnosis/evaluation and selection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n the bases of results were present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를 통해 특수교육 대상 학생 진단·평가 및 선정 과정에서 수행되는 요소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그리고 수행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조사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방법] 이를 위해 경상남도 18개 시·군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재직하는 특수교사 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제시된 진단·평가 및 선정 관련 요소 전체 30항목의 중요도의 평균은‘높음’이상으로 나타난 반면 실행도는‘보통’보다 다소 높은 정도로 조사되었으며, 27개 항목에서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단·평가 관련 어려움이나 문제점으로 조사된 것 중 비중이 높은 몇 가지를 보면 진단·평가 담당 인력 부족이나 업무 과중으로 인한 어려움,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기준 혹은 지침 부족, 진단·평가 담당 인력의 전문성 혹은 경험 부족 등이었다. 셋째, 개선방안으로 제시된 것 중 비중이 높은 몇 가지는 진단·평가 담당 전문·전담인력 혹은 충분한 인력 배치, 진단·평가 담당자 역량향상을 위한 연수나 교육 강화,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기준이나 지침 혹은 매뉴얼 구비나 보완 등이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후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평가 및 선정 업무의 개선을 위한 방안 위주로 요약 및 논의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요구(SNE)를 지원하기 위한 특수교사의 교수역량 및 교원연수 교육과정 요구도 분석

        조민균 ( Cho Min-gyun ),손승현 ( Son Seung-hyu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요구(Special Needs Education, SNE)를 가진 학생들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특수교사 교수역량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고, 특수교사 교수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여 특수교육 교원연수 시 우선적으로 필요한 교육과정의 내용을 중심으로 향후 체계적인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방법은 유치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특수학교(급) 교사 377명, 교육전문직 11명, 총 38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특수교사 교수역량의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구성요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특수교사 교수역량의 교육요구도(우선순위)를 분석하고, 특수교육 교원연수 시 필요한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다. [결과] 첫째, 특수교사 교수역량의 구성요인은 개별적 수업 지원, 교수태도 및 협력, 학생지도 및 의사소통, 교육환경 조성 및 전문성 신장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 교수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에 따른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학생지도 및 의사소통이 1순위로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개별적 수업 지원, 교수태도 및 협력, 교육환경조성 및 전문성 신장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교수역량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교원연수 교육과정은 개별적 수업 지원과 장애학생 온라인 학습지원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고, 운영방법은 협력학습 형태의 실습 위주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특수교육요구(SNE)를 가진 모든 학생의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서 특수교사의 교수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특수교육 교원연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현장 중심의 다양한 연수운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mands for the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quired to teach students with Special Needs Education (SNE), and to propo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raining course contents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of 388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verified the componen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etency. The requirements for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nalyzed and the necessary training course contents were derived. [Results] First,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etency to support for students with SNE showed that needs for education in “student guidance and communication”, “individualized instructional support”, “teaching attitude and cooperation”, “creation of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priority order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mand for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re were high demands for “individualized instructional”, “online learning support for disabled students” and “practice in the form of cooperative learning”.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in order to support students with SNE, a teacher training curriculum and various operational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enhance the teaching capac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대한 구조 연구

        김은정 ( Kim Eun-j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

        개별화교육계획은 장애학생의 개개인의 교육적 욕구를 지원하기 위한 학생중심의 교육과정이다. 이 연구는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하고 초임특수교사 때 경험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대한 인식이 경력특수교사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수교육 경력 5년 미만의 초임특수교사 560명과 특수교육 경력 5년 이상에서 10년 미만의 경력특수교사 439명을 대상으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해당하는 13개 문항을 설문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증과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은 차별성이 없었다. 둘째, 초임특수교사 때 형성한 개별화교육계획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은 경력특수교사에게 영향을 미치는 구조가 아니었다. 이 연구에서는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에 대한 인식이 경력특수교사에게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구조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The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IEP) is a student centered curriculum to support educational need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were the perception differences to IEP flame which means to make the IEP between novice and expert special teachers and how to transfer the knowledge of novice experiences to make the IEP flame to expert teachers. The 560 novice special teachers who had less than 5 years teaching experiences and 439 expert special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with 13 item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novice and expert special teachers’ perception toward the IEP flame; and (b) the expert teachers’ structure to IEP flame was not related with those of the knowledge during the novice special teacher experiences. This study also discussed why the expert special teachers’ IEP flame structure was not related with those of the novice special teachers.

      •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과정 구성요인의 구조 분석

        김동희 ( Kim Dong Hee ),김만인 ( Kim Man In ),김은정,박혜림 ( Park Geui Rim ),이종헌 ( Lee Jong Hyu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

        교사의 교직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교직경력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직경력 5년 미만의 초임특수교사와 5년 이상에서 10년 미만의 경력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과정 구성요인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수교육 경력 5년 미만의 초임특수교사 560명과 특수교육 경력 5년 이상에서 10년 미만의 경력특수교사 439명에게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24문항을 설문하였다. 연구의 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특수교사의 교육과정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은 경력특수교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경력특수교사의 교육과정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은 초임교사 때 형성한 구조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경력교사의 교육과정 구성요인이 초임교사 때 형성한 구조에 영향을 받지 않는 원인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The teaching experiences is an important variable to influence competency development of all of the teachers. The two group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One group was the 560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less than 5 years teaching experience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other one was the 439 exper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more than 5 years and less than 10 years teaching experiences. A questionnaire with 24 items were sent to the two groups.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expert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in the necessary of curriculum than those of the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b) the expert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ructure in curriculum factors was not influenced with those of the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expert special education teachers’s structure in curriculum was not transferred from the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to curriculum.

      • KCI등재

        우리나라 통합교육의 법적 모순과 한계에 따른 개정 방향

        김현경,박찬웅,신주원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in Korea's special education laws as they relate to inclusive education, and to propose amendments and future tasks.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terms relating to inclusive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each provision were analyzed relative to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and the subsequent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in addition, it was reviewed whether various legal support for integrated education was suitable and appropriate for the field. [Results] Special education-related laws continued to show conceptual contradictions in the definition of special classes and inclusive education, and they reveal limitations in the practical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inclusive education. [Conclusion] To provide a consistent perspective on inclusive education, the definitions of special classes and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 to be revised, and the definition of integrated classes and integr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additionally established. In addition, to provide the necessary support, the qualifications of a teacher in charge of an inclusive class should be specified in the law. And qualification system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for teachers responsible for inclusive classes. In addition, the standards for the placement and placement of special teacher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signed to general classes in general schools should also be legally prepar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특수교육 관련 법에 나타난 통합교육의 모순과 한계를 밝히고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육 관련 법의 수정방안과 향후과제를 제안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특수교육진흥법과 그 뒤를 이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을 대상으로 통합교육 관련 용어의 정의 및 각 조항의 의미 분석하였고 통합교육을 위한 각종 법적 지원이 현장에 적합하고 타당한지를 검토하였다. [결과] 특수교육 관련 법은 특수학급과 통합교육의 정의에서 개념적 모순을 지속적으로 나타내고 있었으며, 통합교육 운영을 위한 실제적인 지원에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결론] 통합교육에 대한 일관된 관점을 위해 특수학급과 특수교육기관의 정의는 수정이 필요하였으며, 통합학급과 통합교육 기관의 정의는 신설이 요구되었다. 또한 지원방법으로 통합학급 담당 교사의 명시 및 자격제도와 보상제도 도입, 일반학교의 일반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을 위한 특수교사의 배치 및 배치 기준도 마련될 것이 요구되었다.

      • 발표2 : 한국의 특수교육 전달체계: 학적 토대를 중심으로

        정용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3 No.2

        본 연구에서는 서구와 우리나라를 구분하여 특수교육전달체계를 학적 토대를 지적장애를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고찰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서구 지적장애 전달체계에서 보면, 첫째 지적장애의 학적토대는 의학적 심리학적 모형에 기초한다. 둘째, 패러다임에 따른 학적 토대의 관점에서 보면, 미시적 관점의 주관주의에서는 통합과 분리교육 장소에 관계없이 개별화된 수업을 강조한다. 의학적 심리학적 모형의 접근 방법 또한 개별화된 접근임을 고려하면, 미시적 관점의 주관주의와 의학적 심리학적 모형은 개별화된 교육 모형에서는 공존가능하다. 거시적 관점에 관심을 가진 주관주의에 전달체계에서는 일반학급이 특수아동의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장소로 제안된다. 거시적 관점의 주관주의는 의학적심리학적 모형과 공존하기 어렵다. 우리나라 특수교육학의 관점에서 보면, 지적장애 전달체계의 토대는 교육학에서 출발하였다. 특수아동에게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형태로 특수학교가 설립되었고, 일반교육의 걸림돌로서 분리되어 특수학급 교육이 만들어졌다. 둘째, 패러다임에 따른 학적 토대의 관점에서 보면, 병리학 의학적 모형은 우리나라의 특수교육학에 이식되지못하였다. 미시적 주관주의 학적 토대는 개별화 교육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학적 분리된 체계와 공존하였다. 거시적 주관주의는 포함교육 주장으로 이식되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의 일반학급을 전달체계로 구인하는데 기여하였다. 본고의 고찰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 지적장애 전달체계의 구축과 관련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지적장애 전달체계에서는 의학적 심리학적 토대가 보다 강화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은 학적으로 교육학 일변이며, 특수아동에게 특별한 교육적 실제를 제공할 수 있는 학적 토대가 없다. 둘째, 우리나라의 분리교육은 차별이 내재하기 때문에 분리된 교육장소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차별을 넘어서는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특수교사 양성대학교에서는 실습환경을 구축하고 실제적 지식의 개발 및 전수에 많은 노력이 요망된다.

      • KCI등재

        장애인 당사자의 특수교육 관련 법률 제ㆍ개정 참여에 대한 의미 연구

        유재연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4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starts from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in 1997. The time when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was established, only minor professions were interested in special education while people’s perception and knowledge were below the standard. Experts established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by persuading government in 1977. However, the law which were only influenced by minor specialists, showed passive attitude toward government’s role. Since then, the efforts to build a law were strengthened, as awareness of the people involved in special education. Therefore, the special education laws developed gradually to reinforce the government role, free education, and compulsory education. Although there were some conflicts between government and disabled people, it brought us to have the law containing much of higher contents. In conclusion, cooperation is needed to establish a law that can be trusted, in order to bring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for government and also, for disabled people.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본격적인 발달은 1977년에 제정된 「특수교육진흥법」의 제정에서 비롯된다. 「특수교육진흥법」은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이 없던 시기에 특수교육에 적극적이었던 소수의 전문가들과 정부의 노력에 의한 정부 주도형 법률이다. 이후 군사정부에서 문민정부로 정권이 바뀌면서 시민의식의 성숙과 함께 1994년에는 특수교육 당사자가 법률 과정에 참여하여 「특수교육진흥법」의 전면 개정을 이루게 된다. 이후 장애 당사자 권리의 신장에 힘입어 2007년에는 「특수교육진흥법」이 폐지되고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새롭게 제정된다. 이 과정에서 특수교육 전문가와 장애 당사자 간에 관련 법률 제정의 주도권 다툼에 따른 갈등이 표출되기도 하였지만, 이는 특수교육 발전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장애당사자의 입법 활동은 특수교육 의무교육과 무상교육의 확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임무 강화, 그리고 보호자의 의무규정 신설 등과 같은 긍정적인 결과를 만들어 냈다. 하지만 특수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법률 내용을 실천해야 하는 구성원들의 신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특수교육 발전을 위하여 관련 법률의 제ㆍ개정에 참여한 조직과 구성원 모두는 신뢰형성을 위하여 함께 노력할 의무가 있다. 또한 법률 제ㆍ개정의 주도권 다툼이 긍정적인 특수교육 발전의 동인(動因)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다 전문적으로 특수교육 관련 법률을 연구하는 다양한 주체들의 공동 협의체를 통하여 정보를 공유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중등특수교육 교원양성제도에 대한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과 개선 방안

        홍정숙 ( Hong Jeong-su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중등특수교사들의 직전교육 관련 경험과 중등특수교육 교원양성제도에 대한 인식을 질적 연구를 통해 밝힘으로써, 현행 중등특수교육 교원양성제도의 실태와 개선 방안에 대한 논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중등특수교사들이 나타낸 인식을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특수교사는 높은 교과 전문성이 요구되며, 교과 전문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특수교육 전공 수업과 표시과목 전공 수업은 이론 위주의 수업으로 이뤄지고, 기본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발달장애학생 교과교육 관련 전문성 습득에 제한을 가진다. 셋째, 중등특수교육 교원양성제도의 문제점은 양성제도와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실천 및 교원임용제도 간에 관련이 적다는 것이다. 넷째, 개선점은 교과교육의 역량을 강화하고, 기본이수과목의 장애영역별 과목을 줄이며, 특수교육 전공에서 기본교육과정의 교과 관련 과목을 편성ᆞ운영할 필요성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중등특수교사 교원양성제도 관련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중등특수교사의 정체성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본교육과정 관련 교과교육 전문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표시과목 전공의 취득학점 조정이 필요하다. 넷째, 특수교육 현장에 적합한 표시과목을 검토 및 설정하여야 한다. 다섯째, 중등특수교사 교원임용을 표시과목별 교사로 선발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e of the training system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study discusses how to improve the system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the teachers’regarding their pre-service training as well as their perceptions about the training system. The teachers’responses to interview ques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and their perceptions regarding the training system were divided into 19 sub-themes, nine themes and four categor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 high levels of subject expertise, but the expertise they acquire in this area is not adequate and needs to be increased. Second, most of the classes for special education major and subject majors consist of theory-oriented courses and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basic curriculum and acquiring specializations related to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the problem with the training system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s that there is little relationship between the system of education and both the practice that take place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employment system for the teachers. Finally, method for improving the training system include strengthening the capacity for subject expertise, reducing the number of courses on disabilities in the basic completion subject, and organizing and offering courses related to subjects that are part of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major.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explores the implications for th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system and ways in which it could b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