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읽기(독서)에서의 교육 내용 위계화 :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과정의 비판적 검토 -고등학교 선택과목을 중심으로-

        김중신 ( Jung Sin Kim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교육과정은 교과의 시작이자 종결이지만 최근 우리의 교육과정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된 지 2년만에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었고, 다시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이라는 명목하에 교육과정이 개편되었다. 그런데 교육의 근간을 이루는 교육과정이 특정 기관이나 단체에 의해서 개발되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국어 교육 관련 학회에서는 학회 연합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공정하며 합리적이라는 판단 하에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과정 공모에 참여하기로 하였고, 그 결과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담당하게 되었다. 본고는 학회 연합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던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에서 주로 선택과목 중심으로 개발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먼저 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에 의해 개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들은 2009 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선택 과목 체계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세 가지를 지적한 바 있다. 하나는 ``국어``에 대한 세부 성취 기준을 마련하지 않았다는 점. 둘째는 총론의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점, 셋째는 국어과 내용 영역 간의 자연스러운 결합을 도출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토대로 하여 재구조화안은 고등학교 보통교과 선택과목은 ``국어Ⅰ``, ``국어Ⅱ``, ``국어사고와 표현``, ``국어탐구와 이해``, ``국어문화와 창의``, ``고전``의 총 6과목으로 정하였다. 그런데 이를 구체화하는 작업을 맡은 학회 연합의 연구진은 과목 명칭에 대한 논의, ``국어Ⅰ``과 ``국어Ⅱ``의 성취 기준 설정 문제에 대한 논의, 셋째, ``고전``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집중적으로 진행하였다. 이 결과 과목명은 ``국어Ⅰ/ 국어Ⅱ / 화법과 작문 / 독서와 문법 / 문학 / 고전과 교양``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국어Ⅰ``의 기본 성격은 교양(일반)으로 하고, ``국어Ⅱ``의 기본 성격은 교양(전문)으로 하고, 국어과의 다섯 개 영역 중 핵심이 되는 성취 기준을 국어Ⅰ과 국어Ⅱ의 중핵적 성취 기준으로 삼았다. 다음으로 ``고전``의 성격은 교과목명을 ``고전과 교양``으로 하고 국어과 다섯 영역의 현대 및 고대의 명문 중심으로 통합적 이해와 표현 활동을 목표로 하는 과목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최종 심의 과정에서 약간의 변이는 있었으나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의 핵심이 되었다. 교육과정 개발은 누가 하는가 보다도 어떻게 하는가가 더 중요하다. 교육과정은 주체의 문제가 아니라 공유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교과별 교육과정 개편 과정을 기록하는 것은 어쩌면 영역별 그릇싸움의 적나라한 기록일 수도 있다. 또한 교과목의 나눠먹기식 배분의 흔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학문적 영역이 중등학교 교과목에 여하히 설정되느냐 하는 것은 학문의 존재 가치와도 관계된다. 교과 교육은 어차피 교단에서 완성되기 때문이다. 교단에 설 자리가 없는 교과교육은 학자들의 선문답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The curriculum is the beginning of subject. Also is a terminated point of it. However the curriculum of Korea is not like that. The curriculum is reorganized after 2 years. For fairness and rationality, I think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academic society is responsible for the Korean curriculum development. This writing will review a development process of 2009 Revised Korean Subject Curriculum. According to ``elective restructurization plan, high school elective course name was ``Korean language I(국어Ⅰ)`` and ``Korean language II(국어Ⅱ), ``Korean thinking and expression``, ``Korean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of language``, ``Korean culture and the Creative``, ``The canon`` . First of all, the research team of academic society union processed intensively the discussion of subject name and accomplishing standard of ``Korean language I, Ⅱ`` and ``character of The Canon``. Discussed, the names of subjects has been determined as ``Korean language Ⅰ / Korean languages Ⅱ / speech and writing / reading and grammar / literature / Canons and the liberal`` And the research team decided the basic character of Korean I`` with culture (the public) and Korean II with culture(specialty). Also, they decided the main accomplishing standard of reading, writing, speech listening, the grammar, the literature with core accomplishing standard of Korean I, II. They also changed the name of ``Canons`` with the ``Canons and liberal arts.`` And they decided this subject with intergrated understanding and expressive activities for students in five areas of Korean subjects. Although there was few variations in last review process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uch discussion result was became the core of 2009 Revised Korean Subject Curriculum.

      • KCI등재

        제1차 국제학술대회 ; 미군정기 검인정 중등 문법 교과서의 문법 지식 체계 구조화에 대한 시론

        오현아 ( Hyeon Ah Oh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5 No.-

        본 연구의 목적은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까지 미군정 당시에 이루어진 국어과 교육 중 문법 교육에 한정하여 검인정을 통해 발행되었던 문법 교과서를 사(史)적으로 고찰하여 교과서에 서술된 문법 지식의 체계를 구조화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밝히는 데 있다. 광복 이후 국어과 교육은 일본어 보급과 조선어과 위축 및 폐지라는 일제강점기의 교육의 영향 아래 교육과정, 학제, 교과서, 교수법 등의 제반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었다. 따라서 광복 이후의 국어 교과서 연구는 국어 교과의 확립 및 국어 교육의 기틀 확립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시기 국어과 교육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면 1)국어교육사의 (1)종적인 차원에서는 ①국어 교과의 형성 및 교과 성격 획득 과정 관련한 연구(박영목·민현식·김종철 외, 2005; 윤여탁 외, 2006; 오현아, 2011), ②국어 교과서의 수록 제재 변천 양상에 관한 연구(조희정, 2005a; 조희정, 2005b; 조희정, 2005c; 서명희·조희정, 2006a; 조희정·서명희, 2006b; 이명찬, 2008), ③교과서 서지사항 및 단원 체계 및 내용 변천에 관한 연구(조희정, 2011), 국어과의 개별 내용 영역 변천에 대한 연구(유옥순, 1995; 고영근, 2001; 최호철 편, 2008)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그리고 (2)횡적인 차원에서는 미군정기에 한정한 검인정교과서의 소설 제재를 다룬 연구로는 최현섭(1990), 미군정기부터 1차 교육과정 고시(1956년) 전까지인 건국기에 한정한 중등 국어 교과서분석에 관한 연구로는 허재영(2005), 교수요목기를 중심으로 초등 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화의 유형과 양상을 다룬 정진헌(2005)가 있다. 이상을 통해 우리는 국어교육사에 대한 심화된 논의가 전반적으로 충분하지 않지만 그 중에서도 횡적인 차원에서의 국어교육사 논의가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광복 이후 국어 교과서 연구가 이후 정부 주도의 교육과정 아래 이루어진 국어 교과 정체성 및 기틀 확립에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는 문제의식 아래 국어교육사의 횡적인 차원에서 미군정기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까지로 시기를 한정해 문법 교과서에 기술된 문법 지식의 체계를 구조화하는 연구를 본격화하기 전에 시론으로서 이러한 연구가 국어교육 그리고 문법교육 안에서 어떠한 지정학적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문법 지식 체계의 구조화는 어떠한 방식으로 가능할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historically grammar textbooks published through authorization by the government and to show the necessity for research to structure the grammatical knowledge system presented in textbooks, focusing on grammatic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under the rule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Liberation an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the Liberation, it was difficult to solve at once all problems related to the national curriculum, school system, textbooks, teaching methods, etc. establishe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which had promoted the spread of the Japanese language and the shrinkage and removal of the Korean language. Accordingly, research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after the Libera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is closely connec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fundamental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evious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during this pe국어교육학연구45_riod can be divided into the longitudinal dimension and the horizontal dime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Studies in the longitudinal dimension include: ①studies o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its curricular characteristics(Park Yeong mok, Min Hyeon sik, Kim Jong cheol et al., 2005; Yoon Yeo tak et al., 2006; Oh Hyeon ah, 2011); ② studies on changes in materials 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Jo Hee jeong, 2005a; Jo Hee jeong, 2005b; Jo Hee jeong, 2005c; Seo Myeong hee & Jo Hee jeong, 2006a; Jo Hee jeong & Seo Myeong hee, 2006b; Lee Myeong chan, 2008) and ③studies on changes in the bibliography, unit system and contents of textbooks(Jo Hee jeong, 2011) and on changes in the content areas of the Korean language(Yoo Ok soon, 1995; Ko Yeong geun, 2001; Choi Ho cheol, 2008). Among studies in the horizontal dimension, Choi Hyeon seop(1990) analyzed the materials of novels in textbooks authorized during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Heo Jae yeong(2005) analyzed second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during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until the announcement of the 1st National Curriculum in 1956, and Jeong Jin heon(2005) studied the types and patterns of traditional fairytales in elementary textbooks focusing on the period of syllabus.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advanced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not been sufficient and, in particular,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horizontal dimension have been quite insufficient. Thus, recognizing the problem that studies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since the Liberation became crucial foundation for the es국어교육학연구45_tablishment of the identity and framework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under the government l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as preliminary research before full scale studies to restructure the grammatical knowledge system described in grammar textbooks, limited the scope of research to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until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horizontal dime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and discussed the geopolitical position of such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grammatical education and how the grammatical knowledge system can be structured.

      • KCI등재후보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교육

        정명숙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0 한국어문화교육 Vol.4 No.2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여성결혼이민자나 외국인 근로자, 새터민 등의 이주 외국인과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새로운 한국어 학습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한국어 교육의 개념도 기존의 ‘재외동포 및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에서 벗어나 새롭게 변모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은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교육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물음을 던지고 이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고,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에게 고민을 던져 주고 있는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다문화가정 구성원 대상의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시대가 요구하는 ‘한국어교육’의 정의가 무엇이며, 향후 교육 현장에서의 한국어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의 당면 과제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As Korean society evolve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previously extrinsic elements such as migrant workers, migrant spouse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even North Korean defectors becoming new Korean learners within the nation's borders, so has evolved the concep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previously had existed as just teaching Korean language to overseas Koreans and foreign students. In this process, Korean language researchers can't help but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a fundamental question like ‘what i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ries to search for an answer. In order to look for the answer, this paper looks into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onducted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nd how Korean education study is going on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Based on this, this paper tries to suggest a defin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quired for this multicultural context, as well as a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and tasks required of Korean education researchers within this multicultural context.

      • KCI등재

        국어 교사의 토론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행 양상

        서영진 ( Youngjin Seo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3

        본고는 국어 교사들이 토론 교육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토론 교육을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지, 토론 교육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이나 시행착오는 무엇인지 등을 조명해 보고 토론 교육의 질 제고 및 국어교사의 토론 지도 역량 강화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중학교·고등학교 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국어 교사들은 토론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절대 다수가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토론 담화에 대한 이해 수준이 충분하지 못하고 토론 지도 효능감도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이라고 보기 어려웠으며, 과반수 이상이 토론 교육을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국어 교사들은 토론 준비 단계가 토론 수행 경험의 질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라고 인식하면서도 토론 준비를 지도하는 데 적극적이지 못했고, 이를 가장 지도하기 어렵다고 호소하였다. 한편 교과서 토론단원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교과서 내용이나 학습활동에 의존하여 토론 교육을 실행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으며, 토론 교육 실행 과정에서 교사 역할을 섬세하게 수행하는 데 다소 부족한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현재 국어 교사들의 토론 교육에 대한 인식이나 실행 양상은 토론 교육이 갖는 교육적 중요성을 뒷받침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토론 교육 질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정리하면서 토론 교육 단계별로 국어 교사들이 주의해야 할 점을 논의하였다. 국어교사는 교실 토론 교육의 제약 조건을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토론 교육 실행 과정에서 국어교사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시행착오에 대한 분석 결과에 터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지원 방안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토론 교육의 질을 제고하고, 국어 교사의 토론 지도 전문성이 강화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paper tried to look into general awarenes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on debate education and its implementation modes. The study explored ways to improve quality of debate education and reinforce debate teaching competencies, and deeper implications. For these purposes,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Korean language teachers of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Most of respondents agreed upon the necessity of debate education. However, it seems that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n debate education and a rather lower debate teaching self-efficacy.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debate education. Especially, the teachers, although they acknowledge a preparatory stage of debate is crucial for the quality of debate experience, were not active and felt most difficult in teaching or helping students for this. Despite all the questions continuously raised against debate unit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many still replied upon textbook contents or tasks therein. A lack of accuracy was found in roles played by teachers in a process implemented for debate education. Further, there were some limitations on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modes of debate education for teachers in light of its educational importance. Korean languag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se limitations on class debate education and find ways to overcome them. In addition, the education system could provide necessary assistances to teachers and help them to overcome difficulties, trials or errors occurring in debate education implementation processes. Thus these efforts will improve the quality of debate education in class and reinforce professional competence of teachers in teaching debate education.

      • KCI등재후보

        국어 교육과 사고력

        노명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4 No.-

        국어 교과는 전통적으로 국어학 지식과 국문학 지식을 가르치는 교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다가 제1차 교육과정 개정에서부터 언어적 사고력과 언어적 의사 소통 능력 신장을 중심에 두는 교과로 새롭게 규정되기 시작하였다. 그 구체적인 증거가 제5차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의 개정이며,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명칭을 「국어」에서 「말하기·듣기」, 「읽기」, 「쓰기」로 바꾼 것이다 국어 교육에서의 사고력 신장 강조는 언어의 도구적 기능 즉 사고의 도구로서의 언어 그리고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의사 소통 도구로서의 언어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언어는 사고를 자극하기도 하고 반영하기도 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 구체적인 예가 바로 언어를 사용하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이다 이 네 가지 언어적 사고는 매우 높은 수준의 사고 기능이다.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언어 사용에 동원되는 사고는 전통적으로 교육학자들이 강조한 교육의 목표와 상당히 일치된다. 그리고 이 네 가지의 언어 사용 기능은 또한 심리학자들이 밝혀 낸 고등 수준의 사고 기능과도 상당 부분 중복된다. 그래서 언어 기능이 사고 기능이고 사고 기능이 언어 기능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이다. 그리고 이 둘은 모두 교육의 궁극적 목표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국어교육을 종래의 국어학 및 국문학 지식 교육 중심에서 언어적 사고 기능 교육으로 바꾸게 된 배경은 여러 가지이다. 그 중에서 수동적 인간에서 능동적 인간으로의 인간관의 변화, 교사 중심에서 학생 중심으로의 수업 변화,지식의 단순 수용에서 배경 지식의 활성화 및 재구조화로 보는 학습관의 변화 등이 그 중심이 된다 고등 수준의 사고를 기르기 위한 국어 교육으로 이 논문에서는 스키마를 활용한 국어 수업 모형과 '읽기-이야기하기-쓰기'의 통합적 언어 활동 중심 수업 모형을 제안하고 있다. 이 두 모형은 모두 학습자의 능동적 활동과 고등 수준의 사고를 강조하고 있다. The concep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chools had been changed via the fifth curriculum change in 1987, from teaching mainly the knowledge and/or grammar abou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o increasing students' verbal thinking skills in speaking·listening·reading·writing. The new contents of the fifth curriculum, and the titles of the newly developed three textbooks as 'speaking and listening', 'reading' 'writing' are the very evidences of the dramatic chang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Language is a tool for both thinking and communication. And the thinking skills needed in verbal communication are urged as the higher mental abilities by both scholars in education and psychology. It could be said that language skills are thinking skills, and thinking skills are language skills.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bases for the changes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ame from the recent development of various academic fields: To say some, the conceptual change of human beings from passive learners to active learners, the conceptual change of school instruction from teach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and the schema theory developed in recent years. In this study, two instructional models are suggest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first one is the instructional model that is based on the schema theory, in which student's background knowledge is highly activated and applied in the classroom activities. And the second is 'reading-talking-writing' model in that the three verbal activities are efficiently integrated in the student-centered classroom activities. It is expected that the classroom activities would be moved from teacher's teaching to students' learning, teach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and passive to active.

      • KCI등재후보

        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원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김지혜,심상민,윤경원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2 한국어문화교육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의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봉사단원들의 요구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KOICA는 연간 200명 이상의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개발도상국으로 파견하여 국외에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보급하고 있다. 봉사단원의 자격이기는 하나, 한국어 교사로서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한국어교육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봉사단원은 국내에서의 한국어교육 경험이 부족하고 전공자가 아닌 경우가 많아 활동 종료 후 경력을 잘 이어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봉사단원들이 한국어 교육자로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과 봉사단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32명의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대상으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및 내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이 전문성을 제고하여 경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첫째, 시대적 변화에 맞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한국어 교수 역량을 강화하고, 둘째, 한국문화 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익히고, 셋째, 현지 학습자의요구와 상황에따라 유연하게 교육과정을 수정 및 개선할 수 있어야 하며, 넷째, 한국어능력시험(TOPIK)과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EPS-TOPIK) 등에 대비할 수 있는 실제적인 수업 운영 능력이 있어야 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사로서 자신의 향후 진로에 대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통일 관련 국어교육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정진석,강보선 국어교육학회 2023 國語敎育學硏究 Vol.58 No.1

        This study conceptualized all research on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unification’; the work comprehensively analyzed 178 papers extracted from four databases in terms of research period, subject, area, topic, method, and resources depending on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oreover based on this analysis, implica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joint research with foreign researchers is essential.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already available North Korean data, it is necessary to conduct various literature studies on North Korean data itself.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from school education to lifelong education. Fourth, there is a need to study custom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Fifth,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how to train exper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 Sixth, comparative and integrated research contrasting the two Koreas needs to be more active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education. Seventh,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in South Korea needs to be conducted at the overall sub-area level. Eighth, it is essential to expand the discourse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unifi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discourse of unification education. Ninth, efforts to diversify research methods are required. 이 연구는 국어교육에서 통일교육 문제를 다룬 일체의 연구를 ‘통일 관련 국어교육 연구’로 개념화하면서, 체계적 문헌 고찰에 기대어 4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17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시기, 연구 대상, 연구영역,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연구 자료의 차원에서 연구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통일 관련 국어교육 연구는 국외 연구자들과의 공동 연구가 필수적이다. 둘째, 이미 입수된 북한 자료의 활용도를 높이는 차원에서 북한 자료 자체에 관한 다양한 문헌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셋째, 통일관련 국어교육 연구의 범위를 학교교육에서 평생교육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넷째, 북한이탈주민 대상 맞춤형 국어교육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통일 대비 국어교육 전문가 양성 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의사소통교육 영역에서 남북한의 비교 및 통합 연구가 좀 더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일곱째, 남한의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통일 대비 국어교육 연구가 범영역차원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여덟째, 통일교육 담론과의 연관 속에서 통일관련 국어교육 연구 담론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아홉째, 연구 방법을 다변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 정책 결정 양상과 합리성 제고 방안

        양정실 ( Jeongsil Yang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2

        이 연구는 국가 수준 국어과 교육과정 개편사 속에서 국어과 교육과정 정책의 결정 양상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정책 문서로서의 국어과 교육과정의 합리성과 타당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가 수준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발에는 1~3차 개정 시기까지 행정적 모형이 적용되다가, 4차 이후 연구·개발 모형이 도입되었고, 2009 개정 교육과정기부터는 공모제를 통해 교육과정이 연구·개발되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교육과정 개발에서 교과로서의 국어과의 자율성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처럼 보인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개편에 이르기까지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 시기와 개정 배경은 국가 주도로 결정되고 국어과 교육과정 연구·개발자는 이를 사후적으로 합리화하는 체제로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졌다. 또한 교육과정 총론이 각론에 요구를 부과하는 형식으로 교육과정이 개발되고 문서 형식의 통제를 통해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제한하는 개발 방식은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에 제약을 가져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국어과 교육과정의 합리성과 타당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수시 개정 체제 속에서 국어과 공동체가 주체적으로 국어과 교육과정 개편의 내적 논리를 개발하고 온축하는 것이다. 둘째,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주체가 교육정책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교육정책행위자임을 인지하고 그 역량을 강화하고 책무성을 요구하는 체제를 마련하는 것이다. 셋째, 실행된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를 교육과정 개정에 반영함으로써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이 교육 현장을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데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넷째, 총론 또는 일반 교육과정 연구자와의 소통 및 교육계 외의 다양한 사회 구성원과의 소통과 정보 공유를 통해 국어과 교육과정 정책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survey aspects of policy making of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and to suggest the ways for enhancing its rationality. Time and reason in revising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have been determined by government and curriculum developers have justified ex post. And curriculum guideline (``chong-lon``) has restricted korean curriculum by controling document format. It is needed to construct the system to enhance the rationality of the korean curriculum as a policy document. First, korean education community should develop internal logic of korean curriculum revision independently. Second, korean curriculum developers should recognize theirselves as policy actors. Third, evaluation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should be emphasized during revising curriculum. Finally, it is needed to communicate with curriculum guideline or general curriculum researcher and diverse members of society.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원 정책의 발전 방안 연구: 유사 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민수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

        이 연구는 국어기본법과 유사 제도의 규정을 비교 분석하여, 국어기본법의 한국어교원 관련 규정이 개선해야 할 점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원 정책을 ‘한국어 교육에 관련된 국가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한국어교원을 양성하여 임용하 고, 그들이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신장하도록 지원하는 정책’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선 행 연구 등을 토대로 한국어교원 정책을 1) 임용 전의 양성 정책, 2) 임용을 위한 자격 인증과 임용 인원 조절, 3) 임용 이후의 재교육 및 처우 정책으로 나누었다. 한국어 교육은 사회 여러 계층에 한국어 교육 학습자들이 분포하고, 적용 대상이 외국 인이라는 특성도 지니고 있다. 또한 향후 다문화 사회의 진전에 따라 국민교육의 영역 과 겹치는 부분이 더 늘어날 여지도 있다. 한국어 교육의 대상이 광범위하다는 것은 그 정책의 대상이 넓고 여러 법과 연관된다는 뜻이다. 대학 부설 어학당의 경우 고등교육 법과 관련이 되고, 학령기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가르치는 교원은 초,중등교육법과 무관 하지 않다.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과정 강사나, 다문화 가정 대상 한국어 방문지도사 등은 일정 부분 평생교육사와 유사한 성격도 지닌다. 이 점에 유의하여, 이 연구에서는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 평생교육법에서 교원 정책의 세 범주가 어떻게 구현되어 있 는지 검토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유사 제도의 교원 정책에 비하여 국어기본법에는 교원의 자격 인증 이후 임용 정책과 임용 이후의 후속 정책이 다소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 대로 이 연구에서는 주로 자격을 갖춘 한국어교원의 임용과 이후의 처우에 대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국어교원들은 미시적으로는 학생을 가르치는 교육자이지만, 거시적으로 보면 그 위 치가 차지하는 정책적 의의가 적지 않다. 한국어교원은 그 소속 기관과 분야에 따라 다 문화사회로 돌입한 한국의 사회 통합과 안정화에 기여하고, 유학생의 유학생활을 성공 을 이끌 수 있는 집단이다. 한국어교원의 처우 개선과 전문성 향상, 그로 인한 한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 등은 한국의 이주민 정책과 유학생 정책의 성공으로 이어질 것이다.

      • KCI등재

        기로에 선 국어교육 : ‘국어’ 교과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

        김창원(Kim, Chang-won) 국어교육학회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70

        교과(敎科)는 개인․사회․국가의 요구 및 학교 제도의 특성을 반영하여 발견/구성된다. 기본․도구․중핵 교과로서의 ‘국어’ 교과 역시 근대조선․대한제국 시기, 일제강점기, 해방․군정기, 대한민국 시기를 거치면서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이는 지금 이 순간에도 국어과의 외연과 내포가 계속 진화하고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 교과는 항존성과 가변성의 긴장 위에서 진화하는 역동적인 실체이자 현상이므로, 그 개선을 논하려면 한 세기가 넘는 전통과 한 세대를 앞서 보는 비전을 아우르는 통찰이 있어야 한다. 차기 교육과정은 20세기 말의 7차 교육과정과 21세기 초의 2007․2009․2015 교육과정의 연속선상에 있다. ‘경험 중심→학문 중심→기능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변해 온 20세기 교육과정과 달리, 21세기 교육과정은 소통과 맥락, 문화를 강조하는 특성을 보인다. 특히 2015 교육과정은 창의인성을 바탕으로 핵심 역량을 전면에 내세우고 매체, 연극, 한 권 읽기, 교과 통합 등을 강조하며 개발되었다. 또한, 교수․학습과 평가의 방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제시한 특성을 보인다. 이런 변화는 2015 교육과정의 성취라 할 만하지만, 여전히 영역 간․선택 과목 간 벽이 높고 12년에 걸친 이수 경로가 모호하며 실질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교과 역량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2015 교육과정의 성취를 발전시키고 한계를 극복하여 국어과교육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어’라는 교과의 개념과 본질을 전면적으로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 지식정보의 폭발적 증가와 테크놀로지 발달에 따른 사고․의사소통 양상의 변화, 성(性)․세대․지역․종교․인종․학력․부(富)․정치 성향 등 다기화되는 사회 분화로 비롯된 언어문화의 변화, 남북․국제 관계와 학업․직업 환경의 변화에 따른 국어 능력에 대한 요구 변화 등이 맞물리면서 전통적인 국어과교육으로는 제기되는 문제들에 대응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국어 순혈주의 극복, 세계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이해 심화, 국어활동의 실제성 확보, 매체 언어 수용, 문학 개념 재설정, 정전 텍스트 재구성, 선택 과목재편, 새로운 도구성 발견과 같은 논점들이 새로이 제기되었다. 국어교육계는 이들 논점에 관해 앞으로 한 세대를 견딜 수 있는 답을 찾아야 한다. 국어 교과 재설계를 위한 작업들은 과거와 미래, 학교 안과 학교 밖, 이론과 실제의 복합적인 타협으로만 가능하다. 이를 ‘국어 교과의 정치학’이라 부를 수 있는바, 이 정치에 간여하는 여러 집단과 담론들이 각기 자신의 입장과 논리를 관철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는 가운데 국어 교과의 개념이 새로이 구성될 터이다. 이때 적용할 원칙은 주체(개인․집단)-언어(음성․문자․매체)-맥락(시간․공간․관계)의 본질과 상호성에 대한 이해에서 나온다. 그 결과가 ‘국어과’라는 교육과정 생태계를 이루며, 이 생태계가 건강하고 활발하게 작동, 발전하도록 준비하는 것이 국어교육 전문가의 역할이다. Curriculum reflect requests of individuals, society, and the nation, along with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system. After accepting various requests ever since the late 19th century, ‘Korean’ Education has evolved as nowadays’. The means of ‘Korean’ is constantly changing. However, despite of such changes, the purpose and nature of ‘Korean’ education has not changed much since the beginning. ‘Korean’ always has been a dynamic and substantial phenomenon that develops through constancy and vari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discuss its improvement, an insight that embraces both the tradition of over a century long curriculum and the future of next generation is required. To continue the curriculum of 2015 and improve ‘Korean’ curriculum, complete restructure of the concept and nature of ‘Korean’ curriculum is essential, as the traditional ‘Korean’ is incapable of responding all requests that are overwhelming due to dramatic increase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This restructure process, referred as “the politic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only possible through compromising past and future, inside and outside of the school, and theory and reality. The concept of ‘Korean’ should be based on interactions among various organizations and discourses with their own stances and logics that take parts in the ‘politics’. Here, a standard principle is required and it from understanding essence and reciprocity of the subject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ext(oral, literal, and media), and context(time, place, and interrelationship). The outcome of this process will form the ‘Korean’ subject’s “ecological system of curriculum,” and the role of ‘Korean’ educators is to prepare to keep this system healthy and active in the middle of the 21st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