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교육 연구의 주제와 방법에 대한 메타 점검-<문학교육학>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김지남 ( Ji Nam Kim ),박나현 ( Na Hyun Park ),김창원 ( Chang Won Kim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8 No.-

        본고는 한국문학교육학회의 정기 학술지인 『문학교육학』1호(1997)~46호(2015) 중 매년 1권씩 18권을 무작위 선택하여, 거기에 실린 논문 230편을 대상으로 문학교육 연구의 주제와 방법을 분석하였다. 먼저 주제 분석을 위해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나타난 문학 요소와 교육 요소를 중심으로 논문들을 <문학 원론, 장르, 문학사, 작가ㆍ작품, 수용ㆍ생산>과 <문학교육 원론, 교육과정, 교재, 교수ㆍ학습(자), 평가>를 축으로 한 분석 틀에 분류, 배치하였다. 그리고 방법 분석을 위해 문학ㆍ텍스트 지향 방법론과 교육ㆍ활동 지향 방법론, 종합적 방법론을 대범주로, <구조론적 접근, 수용ㆍ생산론적 접근, 반영론적 접근>과 <이론 연구, 모형 연구, 실행ㆍ실험 연구>를 소범주로 한 분석 틀을 만들고 거기에 논문들을 분류, 배치하였다. 이 결과를 활용하여 논문들의 주제와 방법을 분석하여 문학교육 연구 전반의 특징과 성과, 한계를 살펴본 것이 본고의 내용이다.『문학교육학』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문학교육 연구의 성과를 살펴본 결과 문학 비평의 이론을 교육적으로 전화(轉化), 적용하는 데에는 많은 성취와 진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학회의 기획 주제를 통해 문학교육에 대한 관심이 ‘문학’에서 ‘인간’으로 변해 온 과정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학교육의 중요한 변인인 인간(주체) 요인을 다룬 연구가 적고, 사회과학적 방법론에 입각한 연구, 특히 실행ㆍ실험 연구가 소략하다는 특징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경향성은 선행 연구 등을 통해 충분히 예측되었던 바, 본고는 예측의 단순 확인을 넘어 그 세부의 내용적ㆍ방법적 체계를 정밀하게 분석함으로써 보다 실증적이고 비판적인 논의까지 밀고 나간 의의를 지닌다. 아울러, 이를 통하여 문학교육 연구의 방향에 대한 숙고도 이루어질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trends and features of research o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surveying results from the first publication of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until now, and then inducing further research issues and goals. 586 papers have been published after the first publication of JKLE that has latest version of the 46th publication in 2015. It has big contributions to establish an academic identity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he specialization field in literature education has been searched not under the premise of simple summation of literature and education but under various aspects and practical levels. It bring to needs for further literature education developments with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se research achievements. We classified and analyzed randomly selected 230 papers published in JKLE and those selected papers are evenly distributed through the years. Analysis of the results found that academic achievements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However, we found out that researches on human factor, main subject in literature education, is relatively less. It means that the topics and methods of research o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s affected more literature theory than educational theory, and research strategy for searching its own special area is focused on literary contents. In this paper, we have a contribution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research o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surveying achievement of accumulated researches. It support this paper critical meta-data analysis of research o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because it is acquired from empirical reviews.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 문해력의 관점에서 바라본 초등 교사의 성장 - 『마당을 나온 암탉』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혜 ( Kim Mi-hye ),김유미 ( Kim Yu-mi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7 문학교육학 Vol.0 No.55

        이 연구는 한 초등 교사의 사례를 바탕으로 교사의 국어과 교육과정 문해력이 교육과정 설계와 실행 및 반성의 경험을 통해 어떻게 성장해 가는지를 논의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인 K 교사는 3년에 걸쳐 『마당을 나온 암탉』을 제재로 한 3번의 문학 수업을 진행했으며, 이 연구는 그 경험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K 교사의 경험이 지니는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자기 연구와 질적 사례 연구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2014년에 이루어진 첫 번째 수업에서 K 교사는 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을 활용하여 교과서를 보완하였지만 대체로 교과서의 흐름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였다. 2015년에 이루어진 두 번째 수업에서는 『마당을 나온 암탉』 전문을 학생들과 함께 읽었고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과서 활동도 능동적으로 재구성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2016년에 이루어진 세번째 수업에서도 작품 전문을 학생들과 함께 읽었으며,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재해석을 바탕으로 교과서가 제시한 단위 차시의 수업을 넘어서서 학생들의 수준과 성취기준에 따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K 교사는 교과서 중심의 교육과정 전달자에서 스스로의 교육과정을 개발하면서 수업을 구성하는 교육과정 전문가로 성장하였다. K 교사의 국어과 교육과정 문해력이 성장하는 데는 교과서 너머에 있는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의 변화, 국어 자료인 『마당을 나온 암탉』에 대한 이해의 심화, 문학 수업의 실행에 대한 방법론적 고민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 사례를 통해서, 교사의 국어과 수업연구에 대한 관심과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국어과 교육과정 문해력의 성장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맺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how teachers` literacy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grows through teacher`s curriculum design,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 experiences based on the case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his study applied the method of self-study and qualitative case stud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K teacher`s experiences. As a participant in the research, K teacher conducted three literary lessons on “The Hen Who Dreamed She Could Fly” for three years from 2014 to 2016. And the experience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experience of K teacher, self - study an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In the first class in 2014, K teacher supplemented the textbook with the animation “The Hen Who Dreamed She Could Fly”, but generally followed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 In the second class 2015, K teacher read the whole story of the fairy tale “The Hen Who Dreamed She Could Fly” with the students and actively reconstructed the textbook activiti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third class in 2016, K teacher the whole work with the students. Based on the reinterpretatio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curriculum of the teacher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tudents` level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is process, K teacher grew to be an expert to develop her own curriculum away from a textbook-oriented curriculum deliverer. In the case of K teacher, the growth of the literacy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affected by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curriculum beyond the textbook, the deepening of the understanding of “The Hen Who Dreamed She Could Fly”, and the methodological concerns about the practice of the literature class.

      • KCI등재

        문학교육의 ‘개념’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은유’를 중심으로 -

        최미숙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문학교육학 Vol.0 No.6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concept education centered on ‘metaphors’ and to suggest the premise and direction of new concept education. Until now, the metaphor education has been composed of ‘simple definition’ and ‘formal classification’. However, in order to improve learners’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metaphors, the following should be assumed; ‘Re-conceptualiz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literature education’, ‘composition of contents consider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oday’s learners’, and ‘Configuring contents centered on processes or procedures rather than simply defining’. And the concept of metaphor should take the following directions; ‘Designing contents centered on the reader’, ‘designing contents based on process or procedure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Hierarchy of education contents consider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Sharing and utilizing Conceptual Education Contents’. 이 연구의 목적은 문학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개념’ 교육 내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새로운 ‘개념’ 교육 설계의 전제와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은유’ 개념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동안 은유 개념 교육은 ‘단순 정의 중심의 교육’, ‘형식적 분류 중심의 표현법 교육’에 그치면서 실질적인 은유 이해와 표현 능력의 신장에 기여하지 못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은유 개념 교육은 ‘문학교육 관점에서의 재개념화’, ‘오늘날 학습자가 처해 있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내용’, ‘단순 정의 중심 내용으로부터의 탈피’ 등을 전제로 하여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은유가 환기하는 새로운 관점의 설정’, ‘의미의 전경화와 배제’, ‘표현 효과에 대한 평가와 판단’을 은유 개념 교육이 다루어야 할 중심 내용으로 제안하였다. 개념 교육 내용 설계의 방향은 ‘독자 중심의 내용 설계’, ‘정의, 속성, 해석 방법을 범주로 하는 내용 설계’, ‘초⋅중⋅고등학교 단계를 고려한 교육 내용 위계화’, ‘개념 교육 내용의 공유 및 활용’으로 설정하였다.

      • KCI등재

        웹툰의 문학적 기능과 문학교육의 과제 - 작품 <실>을 중심으로 -

        한명숙 한국문학교육학회 2018 문학교육학 Vol.0 No.61

        In recent years, web toon has become a reading material that is easy to read in students’s life, including elementary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So in this paper, I point out that Web Toon can be regarded as a literary of the 21st century and discussed that we need to treat web toon works in reading and literary education. In order to reac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literary function was examined from the classical viewpoint to the social point of view and the theoretical basis was laid out and the literary function of the web toon was analyzed accordingly. The concrete discussion was focused on the completed web toon "Sil" (Written and pictured by Bory), and analyzed the reader ‘s response to it and the pictures and narrative. In addition, I examined the aspects of ‘Cartoon’ and ‘Animation’ which our literary education did not cover in the past as ‘examples of Korean language materials’ in ‘2007’ and ‘2015’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 also discussed the necessity of accepting the web toon and making efforts to use it for students’ reading educ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이 논문에서는 웹툰이 21세기 독자들에게 문학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다는인식의 토대 위에서 웹툰의 문학적 기능을 밝히며 문학교육의 대비와 과제를논의하였다. 연구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문학의 기능을 고전적인 관점부터사회적 관점까지 살펴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 그에 따라 웹툰 작품이 보이는문학적 기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논의는 완결 웹툰 <실>(글, 그림 보리)을중심으로 그에 대한 독자 반응 및 그림과 서사를 분석하여 전개하였다. 아울러우리 문학교육이 과거에 다루지 않던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2007’과 ‘2015’ 국어과 교육과정에 ‘국어 자료의 예’ 등으로 제시한 양상을 살펴, 교육과정이나교육의 장면에서 웹툰을 수용하여 학생들의 독서교육과 문학교육을 확장하고, 활용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함을 거론하였다.

      • KCI등재

        시적인 영화를 통한 영상 매체 시대의 시 교육

        윤호경 한국문학교육학회 2023 문학교육학 Vol.- No.78

        In an era when visual media exerts more power in the public than print media, poetry education needs to seek various changes while continuing traditional education. Especially, I pay attention to the cinema that is considered ‘poetic.’ The poetic cinema can be defined as a cinema that has the mood, emotion and expression of poetry.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cinema,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must be defined. A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of the poetry distinguished from the narrative genre is that it pays attention to the moment. The focus on the moment makes the text of poetry short. And as the length is short, poetry consists of efficient expressions that convey many meanings in less words. Therefore, poetry is characterized by speaking through silence, using metaphors to imply deep contemplation, and creating rhythms to express the delicate atmosphere.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poetic cinema include making the audience think for themselves through silence, deriving new meanings through figurative expressions of montage technique, and forming rhythms through repetition and variation. When we define a poetic cinema as a cinema that utilizes silence, metaphors and rhythms, poetic moments can be experienced when a cinema uses silence rather than words, uses metaphors rather than directness, and creates rhythmic movements. In this paper, I analyze <First Cow>, <AFTER YANG> and <Paterson> to embody the poetic moments when the audience thinks on their own through silence, recognizes new meanings through montage, and feels rhythm through repetition and variation. Presenting poems can be an appropriate help for learners when they interpret the expressions of the poetic cinema, because poems are the texts that learners appreciate more often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hey show the most sophisticated and beautiful examples using silence, metaphors and rhythms. The ultimate goal of poetry education is to make learners think not only about the texts but also about the life and the world in their creative way. If learners can appreciate various visual media in a poetic way, they can learn unique perspectives of the life and the world in various ways. The exploration of poetic cinema can be an attempt to expand the realm of poetry education and a search for various possibilities of cinema education. 인쇄매체보다 영상매체가 대중적으로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시대, 시 교육은전통적인 교육을 계속하면서도 다양한 변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다양한 특성과 개성을 지닌 영화들 중에서도 시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영화들에주목하였다. 시적인 영화는 시의 정취와 정서, 표현 방법을 공유하는 영화, 시적인 것이 영화로 구현된 작품으로 정의할 수 있다. 시적인 영화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시적인 것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특성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할것이다. 서사와 구분되는 시의 대표적인 속성으로는 순간에 주목한다는 점을 들 수있다. 순간에 대한 집중은 시를 필연적으로 짧은 텍스트로 만들고, 길이가 짧은만큼 시는 적은 말로 많은 의미를 전달하는 효율적인 표현으로 구성된다. 그래서 시는 침묵을 통해서 말하고 비유를 활용해서 긴 사색이 필요한 통찰을 제시하며 리듬을 조성해서 섬세한 분위기를 전달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에 대응하는 시적인 영화의 특성으로는 침묵과 여백을 통해서 관객이 스스로 사유하도록 하고, 몽타주의 비유적 표현을 통해서 새로운 의미를 도출하며, 반복과 변주를 통해서 리듬을 형성한다는 점을 제시할 수 있다. 시적인 영화를 침묵, 비유, 리듬을 활용하는 영화라고 정의할 때, 영화를 통해 만나는 시적인 순간이란 영화가 말보다는 침묵을, 직설보다는 비유를 활용할 때, 작품 내에 리드미컬한 움직임을 만들어낼 때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퍼스트 카우>, <애프터 양>, <패터슨> 이렇게 세 편의 영화를 분석하여 침묵을 통해서 관객이 스스로 사유하고, 몽타주를 통해서 새로운 의미를 도출하며, 반복과변주를 통해서 리듬을 느끼는 순간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영화의표현 기법과 그 의미를 해석하도록 할 때 시 텍스트를 제시하는 것은 학습에 적절한 도움이 될 수 있다. 시는 학습자들이 교육 현장에서 더욱 자주 접하는 제재이고, 침묵, 비유, 리듬을 활용한 가장 정교하고도 아름다운 사례들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시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시적 탐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텍스트를, 나아가삶과 세계를 독창적으로 사유하도록 하는 데에 있을 것이다. 오늘날 학습자들이적극적으로 향유하는 매체인 영화를 비롯한 다양한 영상 매체를 시적인 방식으로 감상하게 할 수 있다면, 삶과 세계를 참신하게 사유하는 관점과 태도를 다양한 방식으로 배우게 할 수 있다. 시적인 영화에 대한 탐구는 시 교육의 외연 확장의 시도이자 영화 교육의 다양한 가능성의 모색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교사교육에서 오개념을 활용한 장르 지식의 수업을 위한 설계 기반 연구

        정진석 한국문학교육학회 2022 문학교육학 Vol.- No.76

        The horizon of research on misconceptions in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from understanding the aspects of misconceptions to the use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ise an instructional intervention that promotes understanding of genre knowledge by utilizing misconceptions in the context of teacher education. For this, This study adopted a design-based research method. First, four humble theories were established that could materialize the problem consciousness through critical reflection on instructions. Second, 8 design principles and 13 detailed guidelines related to ‘setting of instruction perspective’, ‘checking and supplementing textbooks’, and ‘checking learners’ preconcepts’ were derived as 1st instructional intervention through critical review of related prior studies. Third, the formative cycle of planning, practicing, and evaluating instructions according to instructional interventions was repeated over the second round. In this process, instructional interventions were revised based on the expert evaluation, the instructor’s reflection, and learner feedbacks, such as deleting the design principles and detailed guidelines related to the area where misconceptions are learned as pedagogical knowledge. Finally, two groups of experts were evaluated for 3rd instructional intervention, and the formative cycle was terminated based on this.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ed the instructional intervention consisting of 7 design principles and 11 detailed guidelines, and suggested five points to be considered when applying this instructional intervention. 이 연구의 목표는 교사교육의 맥락에서 오개념을 활용하여 장르 지식의 이해를 촉진하는 교육적 개입안을 구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계 기반 연구를 연구 방법에 기반하여, 첫째, 수업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문제의식을 구체화할 수 있는 4가지의 잠정적 가설을 수립하였고, 둘째, 관련 선행 연구의 비판적검토를 통해 ‘수업의 관점 설정’, ‘교재의 점검 및 보완’, ‘학습자의 선개념 점검’ 등과 관련된 8개의 설계 원리 및 13개의 세부 지침을 1차 교육적 개입안으로 도출하였다. 셋째, 교육적 개입안에 따라 수업을 계획하고 실천하며 평가하는 형성적 순환을 2차에 걸쳐 반복적 시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장르 지식의 오개념을교수적 지식으로 학습하는 영역의 설계 원리와 세부 지침을 삭제하는 등 전문가의 평가, 교수자의 성찰, 학습자의 환류를 근거로 교육적 개입안을 수정하였다.넷째, 3차 교육적 개입안을 대상으로 두 집단의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고 이를근거로 형성적 순환을 종료하였다. 그 결과, 7개의 설계 원리와 11개의 세부 지침으로 구성된 교육적 개입안을 최종안으로 도출했고 교육적 개입안을 적용할때 유의해야 할 점을 다섯 가지로 정리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

        현대시 교육을 통한 융복합 수업 사례 연구

        임인화 한국문학교육학회 2022 문학교육학 Vol.- No.76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social demand for talented people with convergent capabilities is increas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subject as a tool subjec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Korean language subject as a convergence subject can be sought more than any other subject. Discussions on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egan in earnest in 2010, but most of the studies were focu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for convergence education, and research on practical measures or specific teaching patterns was not accumulated. Based on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and discuss various types of convergence classes, and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nursing education through modern poetry education was examined. To this end, what this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was the ‘emotional intelligence’ required in nursing education. Nurses need not only sympathetic attitudes toward patients such as empathy and compassion, but also critical and cold emotional attitudes toward patients for prompt and accurate treatment and treatment in the medical field. This attitude requires a high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addition, this increase in emotional intelligence can be realized through various experiences through emotion, and among them, literature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medium for indirect emotional experiences. It can be said tha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literature is high as a medium of emotional education in that experience through literature controls the emotional distance from the object and allows the same emotion to be experienced in a new way and perspective through imaginative experience. Therefore, in this study, a Poetry education plan was designed as a way to improv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nursing students. By providing the theory necessary to appreciate modern poetry using the flip learning method, students’ understanding was improved, and the activity stages of the class were divided into "perform emotional experiences" and "expand emotional experiences", respectively, and planned to encompass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해 융복합적 역량을 갖춘 인재에 대한 사회적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도구 교과라는 국어 교과의 특성을 감안하면 국어교과는다른 어떤 교과보다 융복합 교과로서의 교육적 의의를 모색할 수 있다. 국어교육 연구분야에서 융복합 교육의 논의는 2010년도 본격화되었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융복합 교육을 위한 이론적 논의에 집중되어 있고 실천 방안이나구체적 수업 양상에 대한 연구는 축적되지 못했다. 국어교육의 다양한 특성을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융복합 수업에 관한 연구 및 수업 방안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바, 본 연구에서는 문학교육과 간호 교육의 접점을 살펴 현대시교육을 통한 간호과 교육의 가능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가 주목한 것은 간호교육에서 요구되는 ‘정서지능’이었다.간호사는 공감과 연민과 같은 환자에 대한 동조적 태도뿐만 아니라, 신속하고정확한 의료현장에서의 처치와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에 대한 비판적이고 냉철한 정서적 태도 또한 요구된다. 이러한 태도는 높은 수준의 정서적 지능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서지능의 신장은 정서를 매개로 다양한 체험을 통해 실현될 수 있는데, 그중에서도 간접적 정서체험의 매개체로 그동안 주목받은 것이바로 문학이다. 문학을 통한 체험은 대상과의 정서적 거리를 조절하게 하고, 상상적 체험을 통해 동일한 정서를 새로운 방식과 관점으로 체험하게 한다는 점에서 정서교육의 매개로서 문학의 교육적 의의는 높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과 학생들의 정서지능 신장을 위한 방안으로서 현대시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다. 플립러닝 방식을 활용해 현대시를 감상하는데 필요한 이론을 제공해 학생들의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였고, 해당 수업의 활동단계를 각각 각각 ‘정서체험 수행하기’와 ‘정서체험 확장하기’로 구분해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 모두를 아우르도록 계획하였다.

      • KCI등재

        문학교과서와 정전 교육의 재구성 - 최인훈의 『광장』을 중심으로 -

        박수현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문학교육학 Vol.0 No.64

        This paper thinks about the teaching methods of the literature textbooks according to 2015 curriculum about Gwangjang by Choi In-hoon and proposes educational methods for mental growth and psychological healing of adolescents. The literature textbooks show almost similar aspects in the unit, subject, goal of learning and exemplified part. It follows long repeated and inherited education methods. To suggest educational methods for mental growth and psychological healing of adolescents, this paper discovers the universal psychology of adolescents from the main character Lee Myung-joon. As a result, it finds the psychology searching for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endless self-denial and self-centeredness, idealism and so on. It proposes an educational method that provides a link between them and students' psychology. 이 논문은 문학교육 정전으로서 확고한 위상을 지닌 최인훈의 『광장』에 대해, 현행 2015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의 교육 방식을 살펴보고, 청소년의 정신적 성장과 심리 치유를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현행 문학교과서들은 『광장』의 수록 단원, 주제, 소단원 학습목표, 지문 등에서 대동소이한 양상을 보여주며, 문학교육 역사상 유구하게 반복·계승되어 온 교육 방식을 추수한다. 청소년의 정신적 성장과 심리 치유를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서 이 논문은 주인공 이명준의 행보에서 청소년의 보편적 심리를 간취한다. 그 결과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아 방황하고 편력하는 심리, 끝없는 자기 부정과 자기중심성, 도저한 이상주의 등을 발견하며, 이들과 학생의 심리가 만나는 접점을 마련하여 학생들이 고통의 보편성을 인식하고 자신과 타인에 대한 통찰력을 얻게 도와주는 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 KCI등재

        미국 자국어 교육과정의 구현 양상 고찰 : 버지니아 주 8학년을 중심으로

        정은아 ( Eun A Chu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09 문학교육학 Vol.28 No.-

        본고는 우리나라와 외국의 자국어 교육과정이 그 영역 구분이 유사하게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의 경우 문학 수업이 곧 자국어 수업이 되는 반면, 우리는 그렇지 않은데 의문을 품고, 교육과정의 그 구현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고자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고찰 대상을, 외국의 여러 나라 중 필자가 머물며 관찰한 미국으로 하였다. 미국이나 우리의 경우 그 교육과정 영역 구분이 유사함에도, 그 구현 양상은 매우 다르다. 미국의 자국어 교육과정은 주로 문학 제재를 읽고 그것을 읽고 쓰기를 하는 것이 주요 활동이다. 즉, 각 영역이 문학제재를 통해 통합적으로 이루어진다. 그에 비해 우리의 경우는 각 영역이 분리되어 문학이나 문법을 가르치듯이 읽기, 쓰기 뿐 아니라, 듣기, 말하기 영역까지도 따로 분리하여 가르친다. 학문의 기본 속성이 분류에 있다고 할진데, 언어 교육의 실재현장에서에서도 그것을 분류하여 취급하는 것이 적절하지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교육과정을 구현하는데 좀 더 유연한 태도를 가지는 것이 언어 사용의 본질에 가까워지는 길이 될 것이다. 우리의 교육과정 구현 방향에 있어서 세계 여러 나라와 그 추세가 다르다면, 그 차이와 원인, 영향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realization of the language art curriculum between our country and other countries. Almost all countries have similar section in the language art curriculum, but a realization of the curriculum is very different from ours. In their cases, the language art class equals literature class, but it is not in our country. So, we need to know why they are different in realization of the language art curriculum. In America case, they focused in reading and writing through the literature text, and a provision of the curriculum is instructed repeatedly. In our case, six section of the curriculum is usually instructed independently and a provision of the curriculum is adopted once. So, we must reconsider that section of language curriculum adopts separately to real class. When we instruct the language art, we should teach synthetically through the all section of the curriculum. That may be a true nature of language usage.

      • KCI등재

        미디어 시대의 문학교육

        정재찬 ( Jae Chan Jeo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09 문학교육학 Vol.28 No.-

        교육의 장에서 미디어 문화를 문제 삼는 것은 주로 두 가지 측면인 것으로 보인다. 하나는 매스미디어로 대표되는 대중문화의 문제, 다른 하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문제, 특히 미디어 기술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시각적 이미지를 주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삼게 된 최근의 미디어 환경 문제가 그것이다. 그동안 미디어를 통한 문학교육은 미디어 문화를 본격문학에 이르기 위한 수단적 방편적 지위로만 인정한 경향이 있다. 이렇게 되면 결과적으로 문학과 미디어 문화 사이의 경계와 위계는 해체되긴커녕 오히려 더욱 공고화될 수도 있다. 문학과 미디어는 종속의 관계도 아니고 병치의 관계도 아니다. 미디어를 통한 문학교육이든 문학을 통한 미디어교육이든, 중요한 것은 학습자들의 생 체험 속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현상, 그러나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여 의미화하거나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그 문화적 현상을 교육의 장에서 적극적으로 현동화하여 서로 매개하고 교섭하고 통합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그것을 자신의 언어로 생산해 내게 하는 일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텍스트를 인지적으로만 접할 것이 아니라 그 기표의 작동과 유희를 경험하고, 그것을 자신의 독특하고 다양한 문화적 체험과 지식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미디어를 포함한 다양한 문화적 텍스트들과 상호텍스트적으로 조직하여 자신만의 비평과 분석, 적용의 수준으로 고양시키는 일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주체는 자신의 정체성이나 문화에 관한 입장을 발견할 수도 있으며, 특히 생비자로서 자신의 능력과 잠재력을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이 논문은 이론적 논의와 더불어 문학교육의 장에서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실천 사례이자 하나의 교육 자료물로서 일련의 비평적 에세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는 단순하게 매체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넘어 매체가 전달하는 문화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심미안과 비평 능력, 나아가 문화콘텐츠를 표현하고 생산하는 능력 신장과 이어진다. 요컨대 미디어 시대 문학교육이 해야 할 일은 바로 이러한 멀티리터러시의 신장을 목표로 언어 및 문학 능력이 문화 능력에 기여하고 동시에 문화 능력이 문학능력 신장에 기여하는 선순환적 소통 관계를 정립하는 것이라 하겠다.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education and media education should have a virtuous cycle for enhancing the students` multi-literacy and cultural literacy. However, it is often thought that media culture including film, mass media, internet etc. has a bad influence upon the minds of youths. On the other hand, literature is now so boring to them and may not have much say in the development of their cultural literacy. This paper deals this situation from a viewpoint of literature education, but eventually tries to help the students to get an advanced literacy not only of literature but also of media culture. I suggest that literature/media education for media/literature education is needed in order to develop multi-literacy. So I give an example of teaching literature/media through media/literature for enhancing the student`s multi-literacy which is composed by combining various texts of literature and mass media. Actually I give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series of lecture on literature by using multimedia that is related the literary text in terms of theme, subject matter, morals, etc. Then I ask college students to submit a report which shows their own literary or cultural experiences in reference to the text and presents the inter-textuality with other literary or cultural texts. It may look very strange to those who teach literature only by explaining literary texts itself with concrete exegesis on them. However, in my class, a lot of students write unique essays of their own and some of them show high level of cultural literacy. They find their abilities and potentials as so called `prosumers`. They navigate by the internet, follow the hypertexts, and combine them with their own ideas and experiences in relation to the literary text. Thus, multi-media in the literary classroom should be used not just to motivate the students, but to develop their potentials and literacies as producers and consumers in the age of new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