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반도 서해안 곰소만 갯벌의 수심 및 지형 변화

        장진호,김영길,이명선 해양환경안전학회 202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9 No.6

        한반도 중부 서해안의 곰소만에서 조하대의 수심측량과 갯벌의 고도측량을 통해 곰소만의 해저지형을 조사하였다. 곰소만은 80%의 갯벌과 20%의 조하대로 구성되며, 만의 중앙부를 가르는 주진천 하구수로에 의해 외만과 내만으로 나뉜다. 외만 갯벌은 조류로가 거의 없고, 지형단면이 위로 오목하며, 쉐니어와 조간대사주가 발달하는 특징을 보여 파랑의 영향을 받는 경사가 완만한 침식해빈의 모습과 유사하다. 내만 갯벌은 고도가 높아 상부갯벌과 중부갯벌이 넓고, 조류로 시스템이 잘 발달하며, 조류로 사이의 지형단면이 위로 볼록한 특징을 보여 조석과 조류로 작용이 활발한 퇴적 우세 환경임을 나타낸다. 곰소만 갯벌에서 1981년과 2018년 사이의 등수심선 변화를 조사하여 갯벌환경의 수평적 이동을 분석한 결과, 곰소만 갯벌환경이 점차 내만 쪽(육지 방향)으로 후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곰소만의 수심 변화가 침식 및 퇴적에 따른 해저의 고도 변화와 해수면 변화(1.49mm/y)에 기인한 것으로 가정하고 곰소만의 침·퇴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지난 37년(1981-2018) 동안 외만에서는 평균 1cm가 침식되었고(0mm/y), 내만에서는 평균 50cm가 퇴적되었다(14mm/y). 특히 작은 침식이 일어난 외만 갯벌에서는 상부갯벌이 크게 침식되었는데, 이곳 해안을 모니터링한 사진들은 외만의 상부갯벌 침식이 대부분 1999년을 전후로 몇 년 사이(1997-2002)에 발생하였고, 주로 해안사구와 고조선해빈의 침식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곰소만 어촌의 어로활동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1970년대 이후 어업의 변화를 중심으로

        조숙정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23 No.2

        This paper examines fishery changes of a fishing village in Gomso Bay ethnographically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local fishing from local fishermen’s experience. Firstly this paper describes one-year- period fishing activities. Then the changes of the fishery and the village from 1970’s to the early 2010’s are discussed in three dimensions of fishing area, fishing equipment and technique, and fishing targets. The fishery of the village in the Bay changed greatly in the mid 1970’s, and the depletion of coast marine resources was getting worse. The significant changes are the motorization of fishing boats, the introduction of nylon fishing nets, the development of new species of fish caught, and the expansion into the open sea. It is remarkable that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 in the past became functionally the full-time fishing village. 본고는 곰소만 연안어촌의 민족지적 사례를 통해 서해 조기잡이가 쇠퇴 하는 1970년대 이후 어업의 주요 변화를 미시적 관점에서 기술 · 분석한 것이다. 그럼으로써 어민들의 입장에서 중요하게 경험된 어로활동의 변화 가 무엇인지를 이해해 보고자 했다. 먼저 조사지 어촌의 1년 주기 어로활동 을 계절별 · 어장별로 기술함으로써, 현재 어민들이 종사하고 있는 어로활 동의 양상을 살펴본다. 이를 토대로 어민들이 강조하여 설명하는 어업 변 화를 어로공간, 어구어법, 어로대상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살펴본다. 조 사지에서는 1970년대 중반에 어선의 동력화와 나일론그물이 도입되었고 새로운 어장이 개발되는 등 커다란 변화가 있었다. 곰소만과 위도 앞바다에 서 1톤급 풍선을 타고 조기 · 갈치 등을 주낙으로 잡던 어민들은 오늘날 1~2 톤급 선외기 어선과 그물·통발로 꽃게·주꾸미 등을 잡는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그리고 1980~90년대에 양식어촌과 관광어촌의 기능을 가졌던 조사 지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오히려 어선어업 중심의 순수 어로어촌으로 기능 이 더욱 강화된 양상이다.

      • KCI등재

        곰소만 지역의 기반암 및 상부 층서 파악을 위한 시험 탄성파반사법 탐사

        김지수 ( Ji Soo Kim ),양우헌 ( Woo Hun Ryang ),한수형 ( Soo Hyung Han ),김학수 ( Hak Soo Kim ) 대한지질공학회 2006 지질공학 Vol.16 No.2

        곰소만의 기반암과 상부 층서들을 규명하기 위해 짧은 측선의 탄성파 반사법탐사가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주로 자료처리에서 신호대잡음을 높임으로써 기반암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자료처리의 주요과정은 중합 전후과정에서 모두 큰 진폭의 잡음에 가려진 신호성분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시변필터, 불량 트레이스 제거, f-k 필터와 NMO 보정 후의 뮤팅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 연구에서 규명된 기반암과 상부 층서들은 이전에 수행된 MT자료의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며 당시에 자료질의 한계로 규명되지 못한 측선 중앙부근에서 기반암 표면이 약 30m 깊이의 수평층으로 나타났다. A short seismic reflection survey was performed to map the basement and the upper units in the Gomso Bay. This research was mainly aimed at clarifying the basement by improving the signal-to-noise ratio in data processing steps. The strategies employed in this research included enhancement of the signal interfered with large-amplitude noise, through pre- and post-stack processing such as time-variant filtering, bad trace edit, careful muting after f-k filter and NMO correction. The subsurface structure mapped from this survey mainly consists of the top of basement and the upper three units, which were well correlated to the result from the previously conducted MT survey. Furthermore seismic section clarifies approximately 30m deep subhorizontal event of the top of the basement, which was not shown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T section due to data quality.

      • KCI등재

        해수유동모형의 조간대 모의 특성

        강주환(Kang, Ju-Whan),박선중(Park, Seon-Jung),김양선(Kim, Yang-Seon),소재귀(So, Jae-Kwi)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9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1 No.5

        EFDC, ESCORT, MIKE21 등 3가지 해수유동모형을 곰소만에 적용하여 각 모형의 조간대 모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검증결과 세 모형 모두 관측치와 부합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는 등 해수유동 및 조간대를 무난하게 모의하고 있다. CPU 시간과 WCM 기능을 통해 계산 효율성을 검토하였고, 침수심/노출심 설정과 바닥마찰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여 조간대 모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EFDC 모형은 정확성과 안정성 및 적용성에서 모두 우수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효율성 측면과 모형수립이 다소 복잡하다는 단점을 보이고 있다. ESCORT 모형은 조간대 모의와 WCM에서는 EFDC에 비해 나은 결과를 보이는 반면 계산시간과 마찰특성에서는 열등한 결과를 보였다. MIKE21 모형은 계산시간에서 여타 모형에 비해 매우 빠른 반면, 저조시 수치진동이 유발되기도 하는데 상용모형이기에 모형의 개선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EFDC, ESCORT and MIKE21 models are applied at the Gomso Bay to investigate each models' facilities of tidal flat simulation. Comparisons with observation data show that all models simulate hydrodynamic phenomena and tidal flat well. CPU time and WCM are examin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models, and the effects of flooding/drying depth and bottom friction are examined to analyze models' facilities of simulating tidal flat. The EFDC model is considered to be fairly good in accuracy, stability and applicability, it is, however, poor in efficiency and its complexity. While the ESCORT model is superior to the EFDC in simulation of tidal flat, it is inferior to the EFDC in CPU time and simulation of bottom friction. The MIKE21 model is excellent in efficiency, but some numerical noise would be detected at low water, not permitting correction of the model.

      • KCI등재후보

        갯벌 표층의 지질환경 특성자료를 이용한 데이터셋: 2021년 시범연구 곰소만 갯벌지역의 퇴적상 특성자료 활용

        박경규,우한준,정회수,정주봉,유주형,이준호 (사)지오에이아이데이터학회 2022 GEO DATA Vol.4 No.2

        곰소만 갯벌은 전라북도 부안군과 고창군 사이에 위치하고 반폐쇄 형태의 만(bay)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파랑에 비해 조류가 우세한 지역에 속한다. 갯벌은 주로 남쪽 고창군 지역에 발달해 있으며 갯벌 북쪽에 위치한 주조류로의 깊이는 약 15 m, 폭은 저조시 약 900 m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다. 조간대 갯벌의 지질환경 특성자료 분석을 위한 직접적인 정점 시료 채취는 출입이 허용되는 간조시간 및 조사항목 수량에 따라 매우 제한적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시범연구지역인 곰소만 갯벌에서 퇴적상 특성자료 활용 및 지질환경 특성자료 구축을 위한 현장 측정 항목 및 실험실 분석 항목을 선정하여 총 30개 정점에 대해 2021년 6월 22일 및 24일(실제 갯벌 조사 시간: 2일간 약 5시간)에 진행하였다. 연구지역에 대해 현장 측정 항목은 샘플일 일시(년/월/일/시간/분), GPS-RTK를 이용한 정밀 지형 표고 측량 타원체 고도(m), 전단강도(kg/cm2), 색도를현장에서 측정 및 기재하였으며 현장조사 이후 실험실 분석을 위해 입도(Φ, phi), 전용적밀도(가밀도), 공극률(%),함수률(%), 총유기탄소(%), 총탄소(%) 및 총질소(%)용 샘플을 각각 2개 용기(지퍼백 및 폴리프로필렌 병)에 채취하였다. 입도 습식 실험 이후 Folk 및 Ward (1957)에 의한 퇴적상 분류, 입도분석 결과에 기반한 유기물 특성등 각 실험 결과물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향후 이번 시범 연구지역의 지질환경 특성자료를 이용한 데이터셋 사례는 2021년 6월 곰소만 갯벌 현장에서의 연구항목 데이터 선정, 갯벌 지형변화 및 퇴적환경 변화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자료들은 융합적 연구, 갯벌 환경보전관리 자료 및 관련 연구자사용자 위한 데이터 무료 개방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 KCI등재

        서해 곰소만 조간대 퇴적작용에서 모래톱의 역할

        이인태,전승수,Lee, In-Tae,Chun, Seung Soo 한국지구과학회 200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2 No.2

        곰소만 중앙부의 하부 조간대(lower tidal flat)에는 길이 1300m, 폭 400m규모의 조간대 모래톱(intertidal sand shoal)이 남북 방향으로 발달한다. 이 모래톱을 경계로 3개 구역으로 구분하고, 각 구역에서 표층 퇴적구조, 입도 분포, 퇴적물 이동량(집적율), 그리고 천부 퇴적상을 분석하여, 각 구역의 에너지 영역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각 구역의 퇴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구역(offshorewards zone) -세립사(평균입도 3${\varphi}$), 혀모양 연흔, 월 평균 70mm의 집적율과 미발달생물교란구조, B 구역(sand shoal) -중립사(평균입도 2.5${\varphi}$), 사구(4${\sim}$5m의 파장),월 평균 30mm의 집적율과 미발달 생물교란구조, C 구역(onshorewards zone) - 조립질 실트(평균입도 5${\varphi}$), 굴곡형 연흔, 월 평균 10mm의 집적율과 잘 발달된 생물교란구조. 이러한 결과로부터 하부 조간대에 분포하고 있는 모래톱은 외해에서부터 유입되는 파랑의 에너지를 분산시키거나 또는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즉 곰소만 조간대에 사주섬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저 에너지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은 만의 안쪽 지역에 위치하는 모래들이 방파제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A sand shoal (1300 m long and 400 m wide) with an orientation of north-south is formed on the lower tidal flat of Gomso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Surface bedforms, sedimentary structures, sedimentation rate, grain size distribution and can-corer sediments have been measured and analysed along the sand shoal proper zone B and its offshore zone A and onshore zone C during the period of 14 months. These three zones can be differentiated based on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A zone - fine sand (3${\varphi}$ mean), linguoid-type ripples, 70 mm/month in sedimentation rate and no bioturbation, B zone - medium sand (2.5${\varphi}$ mean), dunes (4${\sim}$5 m in wavelength), 30 mm/month in sedimentation rate and no bioturbation, and C zone - coarse silt (5${\varphi}$ mean), sinuous-type ripples, 10 mm/month in sedimentation rate and well-developed bioturbation. These characteristics indicate that the zone C represents a relatively low-energy regime environment whereas the zone A corresponds to a relatively high-energy environment. The zone B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for a barrier to dissipate the approaching wave energy, resulting in maintaining of low-energy conditions in the inner part of Gomso-Bay intertidal flat behind.

      • KCI등재

        서해 어류의 민속 생물학적 분류와 변화: 곰소만 어촌의 민족지적 사례 연구

        조숙정 ( Jo Sook Jeo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8 韓國文化人類學 Vol.51 No.3

        본고는 한국 동식물이 개념화되는 문화적 방식을 규명하기 위해서 어류 분류를 중심으로 어민들의 민속 생물학적 지식에 주목한다. 곰소만 어민들은 바다 동물을 고기ㆍ두족류(頭足類)ㆍ게ㆍ새우ㆍ가재ㆍ조개ㆍ고둥 등 7범주로 구분하는데, 물속에서 지느러미로 헤엄치는 어류가 바다 동물의 전형적인 범주로 인지된다. 어류의 원형성을 통해 고래가 생물학적 분류와 달리 민간에서 물고기로 범주화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다. 민속 명칭으로 인식되는 100개의 ‘괴기’ 종류는 2중간칭 53속칭 61종칭 분류군으로 구조화된 민속분류법으로 나타난다. 서해 어류의 심리적 원형은 조기였는데, 과거 조기잡이의 중심 어장이었던 서해안의 생태적ㆍ어업사적 배경에서 발달한 서해 어촌의 민족어류학적 특징일 것이다. 끝으로 어업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는 민속 분류 지식의 변화를 살펴본다. 곰소만 어민들의 어류 분류체계에서 나타나는 언어적ㆍ분류법적 변화 현상들은 어업 환경의 변화 및 새로운 지식체계와의 접촉 등으로 발생한 새로운 환경에 어민들이 그들의 민속 분류 지식을 조정해 나가는 문화적 역동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In this paper I present my study of the folk biological knowledge by which fishermen classify fishes, illustra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animals and plants in Korean culture. Gomso Bay fishermen classify marine animals into 7 categories: fish, cephalopod, crab, shrimp, lobster, shellfish, and gastropod. The fish swimming in water and possessing fins are recognized as a typical category of marine animals, and the basis of a prototype. From the prototype of fish in the system of folk knowledge, Korean fishers logically categorize whales as fish in contrast to their phylogenetic classification by scientists. There are 100 kinds of fish that are recognized and represented by the folk taxonomy structured by 2 intermediate, 53 generic, and 61 specific taxa. The psychological prototype of fish in the West Sea is the croaker, which is characteristic of the folk biology of the West Sea area and developed from its historical ecology as the center for croaker fishing in the past. Finally, I examine the dynamics of folk classification as knowledge which reflects the changes of the environment. The knowledge of fish classification by fishermen shows the adaptation to the new environment, not only reflecting the changes of the fishery environment such as biological distribution, fishery technology, market preferences and price change, but also contact with the new knowledge system that is transmitted from outsid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곰소만·근소만 갯벌어장 관리를 위한 퇴적물-해수 경계면에서 영양염 플럭스 추정

        전승렬,조윤식,최윤석,김경태,최용현 해양환경안전학회 2017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3 No.7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interactions in the sediment-water environment because nitrate(N) and phosphorus(P) nutrient fluxes released into overlying water can represent a significant fraction of the total nutrient requirement for primary productivity.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estimated benthic nutrient fluxes at the sediment-water interface, investigat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Gomso and Geunso Bays. Also, we compared previously reported nutrient flux data to identify regional differences. As a result, benthic nutrient fluxes in Beopsan were DIN: 6.14 mmol m-2 d-1 and DIP: 0.32 mmol m-2 d-1 higher than other survey sites. Sediment COD were 4.0-10.8 mg/g·dry,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was observed due to organic pollution. If no solution is found for tidal flat farm management,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aquaculture production will follow. Therefore, long-term monitoring of tidal flat environments should be pursued to enable the sustainable use of biological resources. 수층으로 용출되는 질소(N)와 인(P)의 영양염 플럭스는 1차 생산성에 대한 총 영양요구량의 상당 부분을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퇴적물-해수 환경의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곰소만·근소만의 환경 일반항목들과 퇴적물-해수 경계면에서 저서 영양염 용출 플럭스를 분석 및 추정하였다. 또한 이전에 보고된 영양염 플럭스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지역적인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근소만 법산에서 봄철 영양염 용출 플럭스가 DIN 6.14mmol m-2 d-1, DIP 0.32mmol m-2 d-1로 조사정점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퇴적물 COD의 경우 법산의 사계절 값이 4.0~10.8mg/g·dry로 나타나 유기물 오염에 의한 환경 악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앞으로 갯벌어장 관리에 대한 방안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양식생물의 생산량 감소의 문제가 발생될 것이다. 따라서 생물자원의 지속적인 이용을 위해 갯벌 환경의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