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스포츠 팀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대학 학생선수 만족도와의 관계
최윤석,남중웅,석강훈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thletes. Specifically,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ology of sports organizational culture in 4 different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such as growth, goal, relation and innovation with the 2 aspects of students athletes’ school satisfaction including academic and lifestyle satisfactions. A total of 194 college students athletes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4 types of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satisfaction of student athlet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growth, innovation, and goals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athletes’ life satisfaction, and in academic satisfaction,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in the order of growth and relationships. Finally, in terms of overall college life satisfaction level, a significant effect was derived from the growth and relationship-oriented sports team organization type. 이 연구는 기존의 학원스포츠와 관련한 연구들이 도출한 문제점을 기초로 교육정책에서 지향하고 있는 ‘행복교육’을 지지할 수 있는 학생선수의 만족수준을 스포츠 팀조직문화와 연결하여 그 관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스포츠문화의 발전 방향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스포츠 팀 조직문화 유형(성장, 목표, 관계, 혁신)을 파악하고 이를 학생선수들의 대학생활 만족도(학업생활, 선수생활)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목적표본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선정된 194명의 대학학생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스포츠 팀 조직문화 유형 중 성장, 혁신, 목표 순으로 선수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생활 만족도에서는 성장과 관계 순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끝으로, 전반적인 대학생활 만족도 수준에서는 성장과 관계 지향적인 스포츠 팀 조직 유형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도출되었다.
최윤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20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in college sports. Specifically, the study attempted to diagnosis the types and strengths of the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in college sports as a new scale to generate a realistic observation method and various cultural interpretations. To meet the purpose of the study, 4 types(autonomy, relationship, goal achievement, change) and 6 sub-factors(organizational climate, leadership, communication, decision making, teamwork, and goals) of organizational culture were used in 5 different ways such as overall, gender, grade, sports, and region by cross-sectional analysis with 580 student athlet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goal achievement and human relationship were identified as a dominant type of sport team organizational culture in five different approaches. Second, teamwork communication and leadership were emphasized as meaningful sub-factors of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Finally, the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addressed.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스포츠 팀 조직문화의 관찰을 통해 문화적 이해와 특징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포츠 팀 조직문화의 관찰단위를 하위문화로 적용하여 문화적 강도와 유형의 다양성 및 핵심적 가치의 유사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네 가지 조직문화 유형(자율, 관계, 성과, 변화)과 여섯 가지 하위요인(분위기, 리더십, 의사소통, 의사결정, 팀워크, 목표)을 이용하여 다섯 가지 차원(전체, 성별, 학년, 종목, 지역) 위계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n=580),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국내대학 스포츠팀 조직문화는 전체적 접근을 포함한 다섯 가지 접근에서 성과와 인간관계에 대부분 중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섯 가지 조직문화 하위요인 중 분위기, 팀워크, 의사소통, 리더십의 경우 강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사결정과 목표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점유의 법적 성질-로마법과 독일법이 우리 점유법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최윤석 한국법사학회 2023 法史學硏究 Vol.67 No.-
고대 로마인들이 처음으로 점유(possessio)와 소유(proprietas)를 구별한 이래로 로마의 점유개념을 계수한 유럽의 각 나라들은 독자적인 점유제도를 법전에 두고 있다. 우리 민법에서는 민법 제192조 이하에서 개념의 해석상 많은 논쟁을 유발하고 있는 점유권이라는 용어를 규정하고 있다. 현재 점유권이 점유와 동일한 개념인지, 그리고 점유권은 법적으로 사실인지 아니면 권리인지 등에 관한 여러 해석상의 논쟁이 우리 민법 학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우리 민법 제194조에서 간접점유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는데, 이 간접점유라는 개념이 우리 민법 제192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점유권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유와 점유권의 명확한 개념이해를 위하여, 직접점유와 간접점유의 법적 성질, 직접점유와 간접점유의 관계 및 점유권의 개념과 그것의 법적 성질을 각각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해 논의를 전개해 나가고 있다. 특히 우리의 점유권을 이해하기 위하여 법역사적 해석방법론과 비교법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로마법과 독일법에서의 점유개념을 우리의 점유권과 비교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한 결과를 기초로 우리의 점유와 점유권 그리고 직접점유와 간접점유 및 직접점유자와 간접점유자에게 존재하는 점유와 점유권의 법적 성질을 규명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로마법상의 점유, 소지 및 특시명령점유, 그리고 보통법(ius commune) 시대의 프리드리히 칼 폰 사비니(Friedrich Carl von Savigny)의 점유법(Das Recht des Besitzes), 나아가 독일민법 입법과정에서 독일입법자들의 점유에 관한 생각을 추적 조사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점유는 본질적으로 사실이며, 우리의 점유권은 점유보호를 설명하기 위하여 법리적으로 사용할 수는 있지만, 법전에서 그 용어를 사용할 실익이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고 있다.
국제크루즈 부두 및 터미널 개발 여건 분석 -창원시 관내 항만을 대상으로-
최윤석,김종남 한국해양관광학회 2019 해양관광학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Changwon City to build infrastructure for international cruise porting, such as operation of cruise pier and development of cruise terminal. To this end, we analyzed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n developing international cruise docks and terminals for several container ports in Changwon c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cruise ports and terminals in Korea and overseas. In addition, literature analysis, internet research, etc.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onditions of cruise ships entering and leaving the ports in the Changwon city. In addition,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port to select the best place for the development of cruise wharf and terminal. This study analyzes the international cruise port conditions in various angles for container ports in Changwon cit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et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cruise docks and dedicated terminals that can minimize the burden on large-scale facility investment while making the most of the existing port infrastru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 useful resource for Changwon City to attract international cruise ships in the Northeast Asian cruise market.
동산선의취득제도상 도품 및 유실물에 대한 특례의 문제에 관한 연구
최윤석 한국법사학회 2018 法史學硏究 Vol.57 No.-
“If a person who peaceably and openly was assigned a movable, had possession of it in good faith and without negligence, he shall acquire its ownership immediately even if the assigner is not a legal owner.” This section 249 of the Korean Civil Code admits the so called bona fide acquisition of movables. However, if the movable mentioned in section 249 of the Korean Civil Code is a stolen or lost article, the injured party or loser may demand the return of the article within two years from the time when the article was stolen or lost (section 250 of the Korean Civil Code). According to the prevailing opinion in Korean law the bona fide purchaser acquires the ownership of a stolen or lost article. In case of a claim for return of the injured party or loser within these two years the bona fide purchaser loses the ownership. In addition, if the assignee has bought the stolen or lost article in good faith at a sale by auction, in a public market, or from a merchant selling articles of the same kind, the injured party or loser may demand the recovery of the article after he reimburses the assignee for the price paid for it (section 251 of the Korean Civil Code). The special provisions on stolen and lost articles in the Korean Civil Code are similar to the regulations in the French Civil Code and Swiss Civil Code. The German Civil Code admits the good faith acquisition from a person not entitled, unless the article is stolen from the owner, missing or has been lost in any other way. This study clarifies the origin as well a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good faith acquis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ention of the legislator and interpret the regulations accordingly. Furthermore, the research with respect to the above mentioned foreign legislations enabl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provisions. The author questions and does not agree with the prevailing opinion in Korean law. He proposes to consider the results of the historical and comparativ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in case of an amendment of the Korean Civil Code. 본 연구는 우리 민법의 盜品, 遺失物에 對한 特例에 관한 문제들을 검토대상으로 삼고있다. 이를 규율하는 우리 민법 제250조를 해석함에 있어서 우리의 判例와 多數說은 占有 離脫物의 선의의 양수인이 소유권을 취득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만약 被害者 혹은 遺 失者가 盜品, 遺失物의 반환을 2년의 기간 내에 요구하면 이 물건의 소유권을 취득한 양수인이 반환을 하여야만 한다. 이 경우 피해자, 유실자가 행사하는 返還請求權이 과연 어떠한法的 性質을 갖는 것인지 현재 논리적으로 명확하게 밝혀진바 없다. 나아가 우리의 판례와다수설이 비교법적으로 독일, 프랑스, 스위스 및 오스트리아의 입장과는 다른 도품, 유실물의 所有權歸屬에 관한 입장을 취하고 있어서, 이에 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法歷史的 觀點과 比較法的 視角에서 독일, 프랑스, 스위스 및 오스트리아의 입법례와 견해들을 우리법과 비교한다. 그 결과우리 민법의 動産善意取得制度가 善意의 讓受人保護에만 置重하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고 있다. 이러한 전반적인 논의를 우리 民法 改定時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2019년 독일 임대차조절법에 따른 차임인상제동에 관한 연구 ― 도입가능성 검토를 중심으로 ―
최윤석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법학논총 Vol.42 No.3
정권이 바뀔 때마다 소액임차인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주택임대차보호법과 관련되는 법령들은 반복되는 개정을 경험하고 있다. 최근에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임대차3법이 폐지될 가능성도 상당히 높아진 상황이다. 어떠한 방식이든 대대적인 개편이 예고된 상태다. 현재 주태임대차에 관한 학계의 연구결과와 사회적 이슈는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이 분명하지만, 국회의 입법과 정부의 정책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우리 대한민국 헌법 제23조 모든 국민의 재산권을 보장하고 있으며, 그 내용과 한계를 법률로 정하고 있고(동조 제1항), 공공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 사용 및 제한은 법률로써 하며,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는 것(동조 제3항)으로 규정하고 있다. 현재 전세보증금 및 월세의 인상이 전세계적 물가상승과 맞물려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의 입장에서는 어떻게든 안정적인 주택시장보호를 관철시키기 위한 노력을 경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독일에서는 2015년 이후 임대료증액에 대한 관심과 언론보도가 증가하고 있고 차임인상제동(Mietpreisbremse)에 관한 법원판결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학계와 실무계가 이를 주목하고 있다. 나아가 2015년 독일 임대차수정법(Mietrechtsnovellierungsgesetz)을 통하여 개정된 독일 임대차법이 계속적으로 발생되는 임대차제도의 문제해결에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어 2019년 독일 임대차조절법(Mietrechtsanpassungsgesetz)을 통해 재차 개정된 점도 우리에게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최근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결정이 2015년부터 계속적으로 진행된 독일임대차제도의 변화와 문제점에 관한 여러 논의를 종식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국내에서 임대료 및 보증금 증액에 관한 관심과 분쟁이 꾸준히 증가하는 상황이다. 때마침 독일에서는 임대차법개정을 통해 차임인상제동제도가 시행되었는바, 우리에게 이 제도의 도입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과, 도입된 이 제도가 차임증액 및 보증금증액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내용을 중점으로 연구가 진행된다.
LED(Light Emitting Diode)램프의 건축조명적 적용방안
최윤석,김정태 경희대학교 산학협력기술연구원 2000 산학협력기술연구논문집 Vol.6 No.-
The study aims to apply LED(Light Emitting Diode) lamp to architectural lighting. For the purpose, The emission principale, composition, development of LED, the illumination properties of LED and the application cases were investigated from the literature and the internet. And some buildings, monuments and facilities with LED lamp were examined throug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Finally, the potentiality on application of LED lamps to architectural lighting wa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