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상담현장에서의 복지에 대한 필요성과 실제 : 현장에서의 상담적용과 가족복지를 중심으로

        박경규 한국복지상담학회 2006 복지상담학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상담기관에서 실시하는 상담서비스 경험사례 및 실태를 분석하여 더 나은 인간복지 실현의 방법을 찾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먼저 가족복지의 실현을 위해 상담을 개관하고 가족복지의 미시적 접근방법인 가족상담, 부부상담, 가족생활교육을 중심으로 실시한 상담서비스의 사례에 대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가정폭력상담소에서 2002년 6월에서 2005년 12월까지의 상담실태를 파악하고, 가정폭력 근절 및 부부갈등 해결 향상을 위한 실시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1(대상 : 갈등부부 및 성인 20명 ), 집단상담 프로그램 2(대상 : 가정폭력 행위자 부부 6쌍)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부부의사소통, 부부결혼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끝으로 상담과 복지가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인간의 행복추구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 KCI등재후보

        갯벌 표층의 지질환경 특성자료를 이용한 데이터셋: 2021년 시범연구 곰소만 갯벌지역의 퇴적상 특성자료 활용

        박경규,우한준,정회수,정주봉,유주형,이준호 (사)지오에이아이데이터학회 2022 GEO DATA Vol.4 No.2

        곰소만 갯벌은 전라북도 부안군과 고창군 사이에 위치하고 반폐쇄 형태의 만(bay)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파랑에 비해 조류가 우세한 지역에 속한다. 갯벌은 주로 남쪽 고창군 지역에 발달해 있으며 갯벌 북쪽에 위치한 주조류로의 깊이는 약 15 m, 폭은 저조시 약 900 m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다. 조간대 갯벌의 지질환경 특성자료 분석을 위한 직접적인 정점 시료 채취는 출입이 허용되는 간조시간 및 조사항목 수량에 따라 매우 제한적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시범연구지역인 곰소만 갯벌에서 퇴적상 특성자료 활용 및 지질환경 특성자료 구축을 위한 현장 측정 항목 및 실험실 분석 항목을 선정하여 총 30개 정점에 대해 2021년 6월 22일 및 24일(실제 갯벌 조사 시간: 2일간 약 5시간)에 진행하였다. 연구지역에 대해 현장 측정 항목은 샘플일 일시(년/월/일/시간/분), GPS-RTK를 이용한 정밀 지형 표고 측량 타원체 고도(m), 전단강도(kg/cm2), 색도를현장에서 측정 및 기재하였으며 현장조사 이후 실험실 분석을 위해 입도(Φ, phi), 전용적밀도(가밀도), 공극률(%),함수률(%), 총유기탄소(%), 총탄소(%) 및 총질소(%)용 샘플을 각각 2개 용기(지퍼백 및 폴리프로필렌 병)에 채취하였다. 입도 습식 실험 이후 Folk 및 Ward (1957)에 의한 퇴적상 분류, 입도분석 결과에 기반한 유기물 특성등 각 실험 결과물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향후 이번 시범 연구지역의 지질환경 특성자료를 이용한 데이터셋 사례는 2021년 6월 곰소만 갯벌 현장에서의 연구항목 데이터 선정, 갯벌 지형변화 및 퇴적환경 변화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자료들은 융합적 연구, 갯벌 환경보전관리 자료 및 관련 연구자사용자 위한 데이터 무료 개방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 분말사료와 Pallet 사료의 생산비 비교

        박경규,D.S.Chung,K.Behnke,김인수 COLLEGE OF AGRICUL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 1985 慶北大農學誌 Vol.3 No.-

        In an attempt to compare the mash and pelleting costs, individual production costs of eash mash and pelleting are analyzed. For the analysis, Park's model(1982) are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made. 1. Total energy cost for pelleting is 4 times higher than that for mash feed production. 2. Labor cost for pelleting is 20% higher than that of mash feed. 3. Capital requirements for pelleting feed mill is approximately 20% higher than that for mash feed mill when feed mill size is 200 ton/day. 4. Total production cost for pelleting is from 30% to 50% higher than that for mash feed when mill size ranges from 100 ton/day to 400 ton/day.

      • KCI등재

        배합사료 공장의 최적 시스템 설계

        박경규,정도섭,키스 벤키,칭라이 황 ( K . K . Park,D . S . Chung,K . Behnke,C . L . Hw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1985 바이오시스템공학 Vol.10 No.2

        朴(1982, 1983, 1984 및 1985)이 開發한 配合飼料工場의 投資費用의 數學的模型을 利用하여, 配合飼料工場 適正 시스템의 設計를 例를 들어 소개하였다. 適正시스템의 設計를 爲하여 非線型 프로그램의 Single Objective Programming Problem(單一目的函數)와 Multiple Objective Decision Making Method(多目的函數)의 2가지 方法을 適用하였다. Sing]e Objective Programming Problem에서는 Generalized Reduced Gradient(GRG) Method를 利用하였고, Multiple Objective Decision Making Method(MODM)에서는 Interactive Nonlinear Goal Program(INGP)를 利用하였으며, 그 結果는 다음의 몇가직 要約할 수 있다. 1. 朴이 開發한 數學的 模型들은 2가지 方法 모두 飼料工場의 最適化 設計에 效果的으로 利用할 수가 있었다. 2. MODM方法에 依하여 얻어진 最適 시스템은 Multiple Objective Program Problem에서 求한 結果보다 均衡이 있는 시스템이었으며, 將來의 飼料原料, 飼料購買市場, 기타 다른 條件들으 변화에 對해서 보다 强力이 있는 시스템으로 나타났다. 3. 엄밀한 意味에서 絶對的인 最適飼料工場이란 있을 수 없으며, 주위의 條件, 原料價格, 飼料價格, 工場主의 취향 및 設計條件等에 따라 最適 시스템은 各各 다르게 나타난다. N/A

      • KCI등재

        공범론에서 상급자의 형사책임 강화 방안

        박경규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법학논고 Vol.0 No.70

        It is expressly stipulated in the Article 34(2) of the Korean Criminal Code in the following way: “Article 34 (Principal through Innocent Human Agent and Aggravation of Punishment for Particular Instigation or Aiding and Abetting) ② A person who causes the results envisaged in the preceding paragraph by instigating or aiding and abetting another person who is under his/her control and supervision, shall be punished by increasing one half of the maximum term or maximum amount of penalty provided for the principal in the case of instigating, and with the penalty provided for the principal in the case of aiding and abetting.” However, our court doesn't apply this provision. It is addressed in this article whether punishing a superior severely by applying Articel 34, Section 2 actively can be concordant with other provisions in the chapter of complicity of the Code and Article 5 of the Act on Punishment, ect of Crimes under Jurisdiction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The author of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Article 34 of the Korean Criminal Code is more outstanding than the Article 25 of the German Criminal Code because that Code divides cases of committing a crime by another person in several categories and attributes proper punishment to a mastermind. 우리 형법은 제34조 제2항을 통해 공범 부분에서 상급자의 책임에 관해 규율하고 있는 규정을 두고 있지만, 지금까지 판례는 제34조 제2항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판례의 태도는 한편으로는 제34조를 해석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피하고자 하는데 그 이유가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34조에 대한 학설의 비판을 어느 정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학계에서는 ‘현행 제34조는 공범부분의 다른 규정들과 조화되기 어려운 점이 있기에 제34조 제2항은 삭제하는 것이 적절하다’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제34조는 ‘행위자가 다른 사람을 이용하여 범죄를 범한 사례’에서 사안의 유형을 세분화하여 사안별로 보다 더 행위의 불법성과 행위자에 대한 비난가능성을 적절히 포착하여 책임주의에 합치하는 형벌을 행위자에게 부과하는 방향으로 범죄가담형태를 규율하고자 노력한 우리 형법 입법자의 노력의 산물이고, 제34조를 통해 우리 입법자는 독일식 범죄가담형태 규율체계가 아니라 우리만의 독자적인 범죄가담형태 규율체계를 발전시켰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역사적 해석에 의하더라도 제34조 제2항은 이른바 ‘특수간접정범’뿐만 아니라 특수교사・방조범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여지가 있고, 제34조의 체계적 해석을 강조하면 이렇게 이해하는 것이 34조를 형법의 다른 규정들과 조화롭게 해석하고, 제34조에서 나타나는 우리 입법자의 의사를 존중하는 것임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결론으로, 특수간접정범뿐만 아니라, 상급자인 ‘정범 배후의 정범’ 그리고 상급자가 하급자의 업무 관련 범죄를 하급자와의 의사연락 없이 작위 또는 부작위로 방조한 경우 그러한 상급자에게는 제34조 제2항을 적용하여 현재 판례에 의할 때 적용되는 처단형보다 높은 처단형 즉, 제34조 제2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처단형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세월호 판결의 논증상의 문제점: 미필적 고의와 범죄참가형태를 중심으로

        박경규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법학논고 Vol.0 No.53

        It is an optimal method to establish rule of law that the Korean court makes a judgement with sufficiently convincing reasoning in a case such as Sewol maritime accident to which the Korean nation payed great attention.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analyzes problems in the reasoning of judgements on the Sewol maritime accident. The most crucial merit was whether the crew survivors inclusive of ship captain had behaved with dolus eventualis. The court ruled that someone had behaved with dolus eventualis regarding death of passengers, but not for others by considering irrelevant factors decisive at determining whether the volitional element of dolus eventualis was met. Moreover Gwangju high court and Korean Supreme Court regarded the factor ‘degree of controlling the crime event’ as a conclusive factor, and doing so these courts ruled that only the ship captain had behaved with dolus eventualis. This reasoning is not convincing, because that factor should be conclusive to determining forms of participation in a crime. Furthermore these courts inconsistently assessed an identical conduct, because omission of rescue activity was evaluated as an essential contribution to the crime of ‘death caused by abandonment’, while it was characterized as unessential regarding the charge of killing with dolus eventualis. All these problems in the reasoning of judgements in the case Sewol make an impression that the courts used the punishment of ship captain as a method of symbolic penalization. 세월호 사건과 같이 전 국민의 관심이 쏠린 사건에서 법원이 설득력 있는 논증 을 통해 판결 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법치주의를 확립하는 지름길이다. 이 글은 과 연 세월호 판결의 결과가 설득력 있는 논증을 통해 도출되었는지를 살펴본다. 가 장 큰 쟁점이었던 ‘선장을 포함한 선원들이 살인의 미필적 고의로 행동하였는가’와 관련하여 법원은 용인의사와 큰 관련성을 가지지 않는 요소들을 강조하여 어느 선원에게는 살인의 미필적 고의를 인정하고, 다른 선원에게는 살인의 미필적 고의 를 부정하였다. 게다가 범죄참가형태 판단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사태지배 의 정도’를 용인의사를 판단하는 결정적인 기준으로 봄으로써 선장에게만 살인의 미필적 고의를 인정하였다. 뿐만 아니라 2심법원과 대법원은 동일한 행위를 유기 치사죄와 관련하여서는 본질적인 기여행위로 판단하고, 살인죄와 관련하여서는 비 본질적 기여행위로 판단하는 모순을 드러내고 있다. 미필적 고의와 부진정부작위 범의 공범관계에 관한 법원의 태도를 전제로 할 때 대상판결에서 법원이 이러한 모순 없이 판결을 내리고자 하였다면 선장뿐만 아니라 1등 항해사, 2등 항해사 및 기관장도 살인죄의 공동정범으로 판단하였어야 했다. 세월호 판결이 가지는 이러 한 논증상의 문제점은 ‘2심법원과 대법원이 선장을 상징적 처벌의 도구로 사용하 였다’는 생각을 가지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 KCI등재후보

        두개저 수막종 환자에 대한 저분할 방사선 수술의 임상적 효용성: 단일기관 연구

        박경규,오혁진,안재민,오재상,민철기 대한두개저학회 2022 대한두개저학회지 Vol.17 No.1

        Background : Various modalities of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have been proven to be effective and safe in the treatment of intracranial meningioma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dality, various results can be obtained. To analyze the therapeutic effect of hypofractionated SRS (hSRS) on skull base meningioma,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sults of clinical and follow-up image studies.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January 2011 and December 2020, thirty-two patients (median age, 58 years; 5 males and 27 females) had been treated with hSRS using the Novalis Tx system for skull base meningiomas (mean volume, 7.86 cm3). Tumor was located in most frequently cavernous sinus (n = 7, 21.9%), cerebellopontine angle (n = 7, 21.9%), clinoidal (n = 6, 18.8%) locations. Thirteen patients had previously undergone surgical treatment including radiosurgery. The median cumulative dose was 25 Gy (range, 21.0-27.5 Gy) in five fractions (range, 3-5 fractions). Results : During a median follow-up of 50 months (range, 13-98 months) hSRS achieves 100% tumor control rate in all patients without tumor progression. As a result of volumetric analysis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partial response (volume decrease > 20%) in 26 patients (81.3%), stable in 4 patients (12.5%). The tumor volume decreased by an average of 55.5% when compared with the beginning. Conclusions : This study showed that hSRS is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modality with a high tumor control rate and functional outcomes for skull base meningioma.

      • KCI등재
      • 인체 유방암에서 c-erbB-2 oncoprotein, cathepsin D의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에 의한 측정 및 다른 예후인자들과의 상관관계

        박경규 순천향의학연구소 1995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 No.2

        In recent years, with increasing options for adjutant therapy in breast cancer, it is even more important to know which patients are at risk for recurrent disease. Variables such as tumor size. nodal status. histologic grade,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 status, and menopausal status are well established prognostic factors. Otherwise c-erbB-2 oncoprotein and Cathepsin D have recently been proposed for prognostic factors in breast canc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gnostic significances of c-erbB02 oncoprotein and Cathepsin D expression and to analyse their correlations with other prognostic factor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s for the c-erbB-2 oncoprotein and Cathepsin D were performed on sections from paraffin blocks of 38 primary breast cancers obtained from woman treated at Soon Chun H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991 to February 1993.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Positive c-erbB-2 oncoprotein immunostaining was observed on tumor cells of 10(26%) samples. Positive immunostaining was correlated with size of tumor(p=0.039). Expression of the c-erbB-2 oncoprotein appears to be an important indicator of prognosis in human breast cancer. 2. Positive Cathepsin D immunostaining was observed on tumor cells of 28(74%) samples. Positive Cathepsin D immunostaining was correlated with unclear grading(p=0.045), but there was no association with any other prognostic factors including lymph bode status, tumor size,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 status, and menopausal status. We conclude that Cathepsin D may be an important indicator of prognosis in human breast cancer. 3.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size of tumor and other prognostic factors was analysed. The mean size of tumo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sitive c-erbB-2 immunostaining(p=0.033) and positive node metastasis(p=0.039).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c-erbB-2 oncoprothein and Cathepsin D were important indicators of prognosis in human breast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