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아버지에 대한 애착, 자아존중감이 이러닝 교육과정의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사라(Lee, Sarah),김민주(Kim, Minjoo)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아버지에 대한 애착과 자아존중감에 주목하여, 아버지에 대한 애착과 자아존중감이 전공만족도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 사이버대학에 재학 중인 총 529명(남: 170, 여: 359)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2.0 및 AMO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버지에 대한 애착과 전공만족도 간의 직접적인 경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β=.019, p>.05), 아버지에 대한 애착이 자아존중감에(β=.269, p<.001), 자아존중감이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쳐(β=.333, p<.001), 아버지에 대한 애착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아버지에 대한 애착이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경로를 밝혀 내적작동모델을 통한 애착의 전생애적인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지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hways from attachment to father to major satisfaction of adult students in cyber University.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was examined. 529 adult students(male: 170, female: 359) who were enrolled in S cyber university were participants in this study. They answered questionnaire addressing their attachment toward their father, self-esteem, and major satisfactio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EM.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to fathe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of adult students. Second, attachment to father had an indirect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through self-esteem. In spite of a few limitations, this study showed the impact of attachment across lifespan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ttachment and self-esteem in predicting major satisfaction of adult students in E-learning curriculum.

      • KCI등재

        국내 산림식물 11종의 항산화 활성

        조명래,이종석,이사라,손연경,배창환,여주홍,이해석,마진경,이옥환,김종예,Cho, MyoungLae,Lee, Jong Seok,Lee, Sarah,Son, Youn Kyoung,Bae, Chang-Hwan,Yeo, Joohong,Lee, Hae-Sock,Ma, Jin-Gyeong,Lee, Ok-Hwan,Kim, Jong-Yae 한국식품영양학회 2015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8 No.6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ntioxidant activities from 11 forest plants, and determine their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d proantocyanidins contents. In additi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correlated with antioxidant compounds. Among the samples, Cornus officinalis, Castanea crenata, Lindera erythrocarpa, Carpinus laxiflora and Pourthiaea villos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IC_{50}=21.12{\sim}28.93{\mu}g/m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 zoline-6-sulfonic acid) (ABTS) ($IC_{50}=28.18{\sim}52.55{\mu}g/mL$) radical scavenging ability with reducing power ($IC_{50}=59.91{\sim}93.64{\mu}g/mL$) than other plants; and C. crenata, L. erythrocarpa and Rubus coreanus showed strong nitric oxide (NO) inhibition activity (${\geq}60%$). In addition, L. erythrocarpa, C. laxiflora and P. villosa showed higher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values (${\geq}1,100{\mu}M$ TE/g sample) than other samples. High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observed in C. crenata (429.11 mg GAE/g), L. erythrocarpa (437.11 mg GAE/g), C. laxiflora (408.67 mg GAE/g) and P. villosa (404.11 mg GAE/g).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reducing powe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otal phenolic contents ($R^2=0.71{\sim}0.79$), but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not correlated with NO inhibition and ORAC ($R^2=0.35{\sim}0.43$).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 officinalis, C. crenata, L. erythrocarpa, C. laxiflora and P. villosa are potential natural antioxidative candidate ingredients.

      • KCI등재

        3T3-L1 세포분화 중 지방축적 및 활성산소종 생성에 대한 국내 산림자원 5종 추출물의 효과

        최선일(Sun-Il Choi),이종석(Jong Seok Lee),이사라(Sarah Lee),이혜진(Hye Jin Lee),여주홍(Joohong Yeo),조봉연(Bong-Yeon Cho),이진하(Jin-Ha Lee),김재민(Jae-Min Kim),정태동(Tae-Dong Jung),최승현(Seung-Hyun Choi),김종예(Jong-Yea Kim),강석남(S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4

        본 연구는 국내 산림자생 식물 추출물 5종(밤나무, 진달래, 산수유, 복분자딸기, 갈참나무)에 대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 활성산소종(ROS) 생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중 세포 내 지방축적 및 ROS 생성량을 비교한 결과, 국내 산림 식물 5종 모두 지방축적량 및 ROS 생성량을 농도 유의적으로 감소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복분자딸기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에서 지방 축적 및 ROS 저감에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N-acetyl-Lcysteine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복분자딸기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지방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PPARγ, C/EBPα 및 aP2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국내 산림 식물 5종 추출물은 천연물에서 유래한 항비만 및 항산화 활성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tracts of five species of Korean native forest plants on lipid accumul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Our results show that Korean native forest plants extracts significantly reduced lipid accumulation and ROS production during adipogenesis in 3T3-L1 cells. Especially, Rubus coreanus Miq. was most effective in the inhibition of lipid accumulation and ROS production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Moreover, Rubus coreanus Miq.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which is dependent on down-regula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and adipocyte-specific fatty acid binding protein, a key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Rubus coreanus Miq. might be a valuable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with anti-adipogenic activity.

      • KCI등재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

        최선일,이종석,이사라,여주홍,정태동,조봉연,최승현,심완섭,한웅호,이진하,김종대,이옥환,Choi, Sun-Il,Lee, Jong Seok,Lee, Sarah,Yeo, Joohong,Jung, Tae-Dong,Cho, Bong-Yeon,Choi, Seung-Hyun,Sim, Wan-Sup,Han, Xionggao,Lee, Jin-Ha,Kim, Jong Dai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예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었거나, 현재 식품공전에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등록된 국내 산림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을 식품산업에 활용하고자 선행연구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인 갈참나무 잎을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갈참나무 잎을 이용하여,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 보호효과, 세포내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을 평가한 결과 25, 50 및 $100{\mu}g/mL$의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모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상태에서는 세포를 보호하여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생존율이 증가하였다. 특히, $100{\mu}g/mL$의 농도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50{\mu}M$ ascorbic acid 수준까지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확인 하기위해 사용한 $H_2-DCFDA$ assay에서는 형광현미경과 형광흡광도 측정에서 모두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내 ROS 저감 활성을 확인하였고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10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는 $50{\mu}M$ ascorbic acid와 비슷한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SA-${\beta}$-galactosidase assay를 이용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섬유아세포에 대한 항노화활성은 ROS 생성 억제 효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 노화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갈참나무 잎 추출물이 hydrogen peroxide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태에서 세포 보호효과,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가 관찰되어 기능성 식품원료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skin of the human body occupies the largest surface area of the body and acts as a protection for the person's internal organs. As such, the skin is a major target of oxidative stressors, and these oxidative stressors are known to contribute to skin aging over the course of time. For the most part, an antioxidant is an effective approach to utilize to prevent symptoms related to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induced aging of the skin.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y of the leaves of the Quercusaliena Blume extract (QBE). In our study, we confirmed that the cell viability tested with XTT {2,3-bis(2-methoxy-4-nitro-5-sulfophenyl)-2H-tetrazolium-5-carboxanilide innersalt} assay was not affected up to a concentration of $100{\mu}g/mL$. In addition, the cell viability of HDF cell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was recovered from 81% to 104% after treatment with QBE, which showed the greater protective effect than that of ascorbic acid. Treatments of QBE dose-dependently inhibit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HDF cell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which correlated with their protective effects on cell viability. Since QBE treatment exhibited the suppression effect of skin aging by decreasing the ROS production, QBE could be used as a not only natural anti-aging but also antioxidant resource.

      • KCI등재
      • KCI등재

        어머니-자녀 간 상호작용이 학령기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순차적 매개효과

        윤기봉(Kibong Yun),이사라(Sarah Lee) 한국생애학회 2023 생애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아동의 자존감과 그릿, 그리고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즉, 어머니-자녀 간 상호작용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뿐만 아니라, 아동의 자존감과 그릿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PSCK 데이터를 사용하여 5학년 아동 1,234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자녀 간 상호작용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아동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각각 아동의 자존감과 그릿이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아동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존감과 그릿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가 아동과 다양한 활동을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정책과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아동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과 개입 방법론을 구체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athways between mother-child interaction, children’s self-esteem and grit, and school adaptation. In other words, we examined the direct effects of mother-child interaction on children’s school adaptation, as well as the indirect effects of children’s self-esteem and grit. Using PSCK data, this study included 1,234 children in fifth grade and their mot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her-child interaction was shown to have a direct impact on children’s school adapta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school adaptation, children’s self-esteem and grit were shown to play a mediating role, respectively.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school adaptation, children’s self-esteem and grit were shown to play a sequential mediating role.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specific policies and support to help mothers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with their children and to help them receive positive parenting, and will help to formulate educational programs and interventions to support children adapt to school lif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헨리 나우웬(Henri J. M. Nouwen)의 영성과 미래세대 영성교육의 방향

        김정준(Jeong-Joon Kim),이사라(Sarah Lee)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4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42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20세기 탁월한 기독교 영성가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평가되는 헨리 나우웬의 영성을 고찰하면서, 21세기 한국교회 미래세대의 영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려는데 있다. 나우웬의 영성의 특징은 20세기 세속 역사의 다양한 도전에 맞서 그의 전 생애를 통하여 신앙적 응답을 모색하였다는데 있다. 그는 20세기 서구사회가 모던적 세계의 질서에서 포스트모던적 질서로 전환되는 혼란의 시대에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온전히 따르고자 영적 투쟁을 하였다. 그는 사제이자 학자로서 학문탐구와 목회실천, 그리고 영성작가로서 글쓰기를 통하여 앎(지식)과 삶(실천)을 일치시킨 통전적 영성의 모범적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나우웬의 영성생활의 특징은 네 가지로, ① 기독교적 세계관에 기초한 영성, ② 하나님의 뜻을 추구하는 영성, ③ 공동체성의 영성, ④ 통전적 영성 등이다. 한편 21세기 한국사회와 교회의 미래세대인 청소년들은 20세기 후반 한국사회에 등장한 역사적 사회문화적 변화와 충격의 상황 속에서 성장하였다. 그들이 경험한 21세기 한국사회의 변화와 충격이 미래세대에게 끼치게 될 영향은 크게 세 가지로, ① 1997년 국가부도에 따른 IMF 관리체제하의 국가경제 위기와 장기침체에 따른 물질중심주의, ②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에 따른 사고, 가치관, 삶의 스타일 변화 등에 따른 반기독교적인 정서와 태도, ③ IT기술의 발달에 따른 정보사회의 영향으로 나타난 인간소외 현상으로서 청소년들의 자기중심성, 자아정체성혼란, 익명성, 단절화/파편화, 공동체성 해체 등이 그것이다. 20세기 서구사회의 거센 세속의 역사적 도전 앞에 신앙적으로 응전했던 헨리 나우웬의 영성생활을 통하여 21세기 한국교회의 기독교교육 교사들이 미래세대 영성교육을 위하여 배워야 할 통찰들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는 영성교육 목적의 재정향으로, 일방적 전달보다는 상호주체적 깨달음의 교육이다. 둘째, 영성교육 교수-학습방법의 재구성으로 다양한 기도 훈련방법의 수용이다. 셋째, 영성교육의 새로운 접근방식으로 앎과 삶을 연결시키는 통전적 영성교육의 적용이다. 20세기 헨리 나우웬의 영성으로부터 21세기 한국교회 영성교육이 수용해야 할 통찰은 “옛 것을 익히고 그것을 통하여 새로운 것을 알아간다”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사회문화와 시대의 상황은 변하지만, ‘영성적 존재’(homo spiritualis)로서 인간의 본질은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