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미경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2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7 No.6
본 연구는 코덱스 식품분류에 포함된 식물성 가공식품에 대해 그 원료식품에 대한 코덱스 식품원료 분류 정보(그룹 및 subgroup)와 국내 식품원료 분류 포함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덱스 주요 가공식품 그룹별로 코덱스분류 내용을 가공식품 그룹(분류 코드의 수/원료식품이 포함되는 식품원료 그룹 수/식품원료 분류에 포함되지 않은원료식품의 수)로 보면, 건조 과일류(46/8/0), 건조 채소류(76/11/1), 건조 허브류(54/4/12), 곡류 도정 가공품(36/1/0), 차(19개 코드, 가공식품으로만 분류), 식물성 조제유(17/4/ 3), 식물성 정제유(34/8/9), 과일 주스(20/8/0), 채소 주스(3/ 2/0)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식품원료 분류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원료식품의 수는 건조 과일류 9종, 건조 채소류14종, 건조 허브류 35종, 곡류 도정 가공품 0종, 차 6종, 식물성 조제유 3종, 식물성 정제유 9종, 과일 주스 2종, 채소 주스 0종이었다. 셋째 코덱스와 국내 식품 분류에 차이를 보이는 코코넛(코덱스는 열대과일뿐만 아니라 견과로도 분류), 올리브(유지종실뿐만 아니라 열대과일로도 분류) 그리고 코덱스 분류에서 특이점을 보이는 건조 고추( 향신료로 분류, 건조채소류로 분류하지 않음), 토마토 주스(원료식품은 채소류, 주스는 과일주스로 분류), 생강(잎은 식품원료 분류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뿌리줄기는 향신료에 포함)과 같은 식품에 대해 코덱스 식품 분류를 활용하는 데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주요 5성급 호텔의 위생실태 조사와 ATP 결과의 상관분석 평가 연구
김보람,이정아,하상도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1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6 No.1
외식산업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호텔을 비롯한 외식업체에서는 식품안전 요구 및 위생에 대한 중요성 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현장에서 위생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신속하고 실용적인 모니터링기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국내5성급 호텔 5군데를 대상으로 개인위생(작업자의 손), 조리기구(칼, 도마, 식품보관용기, 슬라이스 머신 칼날, 제빙기 스쿱), 시설·설비(냉장고 손잡이, 작업대, 싱크대), 고객 접점항목(뷔페용 집게)에 대한 위생관리 실태를 조사하였고 그에 대한 검증법인 ATP 값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5개 호텔의 위생관리 실태조사 결과, 다른 검사 항목보다 상대적으로 조리기구 및 개인위생 결과가 비교적 위생적으로 관리되고 있었으며(조리기구 92.2%, 개인위생 91.4%, 시설·설비 76.19%, 고객 접점항목 88.6%) 으로 시설·설비는 비교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ATP검사 결과, 조리 기구(51±45 RLU/25 cm2)는 시설·설비(167±123 RLU/25 cm2)보다 비교적 위생적으로 잘 관리되었다. 위생실태 조사 결과 점수와 ATP 값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호텔 별 작업자 손, 조리기구, 시설·설비의 대부분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높은 상관성(-0.64 - -0.89) 을 보였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각 검사 항목의 평소 상태의 ATP 값(1020±1254 RLU/25 cm2)에 비해 세척 후 ATP 값(92±67 RLU/25 cm2)이 현저히 감소되어 세척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도구로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호텔을 비롯한 외식업체에서 수행하는 주관적인 위생실태조사와 ATP 검사법을 병행한다면, 실시간으로 보이지 않는 오염 물질의 객관적인 수치화를 통해 식품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모니터링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long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food safety requirements and hygiene are increasing in importance in restaurants and hotel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quick and practical monitoring techniques to determine hygiene status in the fiel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5 domestic 5-star hotels specifically, personal hygiene (hands of workers), cooking utensils (knife, cutting board, food storage container, slicing machine blade, ice-maker scoop) and other facilities (refrigerator handle, sink). In addition, we examined the hygiene management status of customer contact points (tongs for buffet, etc.) to deri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TP values as a, a verification method. As a result of our five-hotel survey, we found that cooking utensils and personal hygiene were relatively sanitary compared to other inspection items (cookware 92.2%, personal hygiene 91.4%, facilities and equipment 76.19%, customer contact items 88.6%). According to our ATP-based mothod, kitchen utensils (51 ± 45 RLU/ 25cm2) were relatively clean compared to other with facilities and equipment (167 ± 123 RLU/25cm2). In the present study, we also evaluated the usefulness of the ATP bioluminescence method for monitoring surface hygiene at hotel restaurants. After correlation analysis of surveillance of hygienic status points and ATP assay, most results showed negative and high correlation (-0.64--0.89). Our ATP assay (92 ± 67 RLU/25cm2) of each item after cleaning showed signigicantly reduced results compared to the ATP assay (1020 ± 1254 RLU/25cm2) for normal status, thereby indicating its suitability as a tool to verify the validity of cleaning. By our results, ATP bioluminescence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visual numerical evaluation of invisible contaminants.
학교급식의 위생안전성에 대한 학부모의 지식,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연구 - 제1보
김종규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4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학교습식의 위생안전성관리에 대한 학부모의 지식, 태도 및 행동 수준과 이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1개 도지역에서 직영급식을 실시하는 초등학교에 다니는 학생의 어머니를 무작위로 추출하였으며, 미리 개발된 설문지에 의하여 2001년 4월부터 5월 사이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응답자의 자기기입식으로 수행하였으며 응답자 301명의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점수에서 전반적으로 행동 수준(평균 2.89점)은 지식 수준(평균 4.48점)이나 태도 수준(평균 4.34점)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5). 또 5개 범주(식품안전성관리, 종사자개인위생관리, 시설·설비·기구위생관리, 폐기물관리 및 기록유지관리)에서도 모두 그러한 경향을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응답자의 학교급식의 위생안전성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교육 수준이 비교적 많이 제시되었으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용인으로는 학교급식활동 참여 여부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Pearson 상관분석 결과, 응답자의 지식과 태도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r=0.61404, p<0.01). 이러한 결과는 응답자의 지식과 태도는 양호한 수준이나 지식과 행동 및 태도와 행동 사이에는 큰 격차가 있음을 제시한다. 학부모의 학교급식의 위생안전성관리에 대한 행동 수준을 향상시키고 또한 이러한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학교급식참여 프로그램을 강화 및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knowledge, attitudes and related behavior on the food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programs among mothers and the find factors affecting their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offered to a random sample of 301 mothers who have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one region of Korea. The survey was carried out over a two-month period (April-May, 2001). They had lower behavior scores compared to the scores of knowledge and attitudes(p<0.05). The micro levels of the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scores also showed the same tendenc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others' education level affected their knowledge and attitudes, while the participating activity in school food-service programs affected their behavior the most frequentl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ed that the knowledge and attitude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r=0.61404, p<0.001).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knowledge and attitude levels of mothers regarding the food hygiene and safety of sch ool food-service programs were good, however, their behavior levels were not satisfactory.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ng programs in school food-service programs to close gaps between the behavior and knowledge or attitudes of mothers and to improve their behavior levels.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1997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12 No.2
Gulbi, salted and dried yellow corvenia, is a favorite diet food in Korea from the ancient times. A Few studies have dealt with sanitary concerns related to its products, while a number of investigators studied its taste compounds. This study attemps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ensuring the safety of Gulbi. The contents of nitrate and nitrite were detected 1.2 and $lt;0.1 mg/kg in raw sample, but their contents were detected 3.6-3.9 and 1.2-2.0 mg/kg during its processing and storage of Gulbi, respectively. TMAO contents decreased while betaine, TMA, DMA and formaldehyde increased in yellow corvenia during its processing and storage. Recovery from raw, salted, salt-dried and stored sample spiked with 10 ug/kg for NDBA was 83.2-102.7%(average 92.7%). N-nitrosamine such as NDMA, NDEA and NDPA was not detected in raw sample and drastically increased during Gulbi processing and storage. The levels of NDMA, NDEA and NDPA in Gulbi stored for 30 days were about 2.7, 4.5 and 5.3 times higher than those in salted sample, respectively. Regardless of cooking methods, NDMA, NDEA and NDPA levels increased during cooking Gulbi stored for 30 days, and more N-nitrosamine was formed during cooking when sample were cooked using direct heating methods such as a gas and a briquet fire than when sample were cooked using indirect methods such as an microwave oven and a fried pan. Indirect cooking methods was effective to minimize the N-nitrosamine formation such as NDMA, NDEA and NDPA during cooking of Gulbi.
건조식품, 초고온가열식품 및 종이제 포장재의 이행실험용 시뮬란트로서 Tenax®의 이용
김형준,이근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3 No.4
현재 국내 용기포장재 안전성 평가를 위한 용출시험에서 액체 시뮬란트를 사용하는 경우 실제와 다른 이행량 결과를 나타내는 상황과 고온가열 및 건조식품용 포장재, 그리고 종이·판지의 경우 액체 시뮬란트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들을 감안한다면 유럽연합과 같이 고체건조 시뮬란트의 도입이 필수불가결해 보인다. Tenax®를 건조식품용 시뮬란트로 사용하여 얻어진 실험 결과치가 실제 식품에서보다 높을 경우 Tenax®에 대한 기준치를 설정하여 안전성 평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가 성립한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결과들이 이러한 전제를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Tenax®를 이용한 실험 방법이 완전하게 틀을 잡고 있지 못하다고 판단된다. 이는 Tenax®로 포집되어 측정되는 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들이 매우 다양할 수 있는데, 이를 포장재로부터 또는 이행된 식품으로부터 추출분석하기 위한 용매, 추출방법, 추출시간, 오염표준물질들의 종류에 따른 추출 및 분석 방법, Tenax®의 상태에 따른 분석 재현성 등에 대한 자료들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다양한 식품종류를 감안한다면 Tenax®를 국내 식품포장재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고체건조 시뮬란트로 공식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Currently, in Korea, a dry food simulant has not been designated for the migration testing of paper and board, and food contact materials (FCMs) being used for dry foods and foods heated at ultra-high temperature. Considering the diverse usage of FCMs, in order to secure reliable and confident safety evaluation and to overcome the securing and overcoming.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available literature on the use of Tenax® as a simulant for dry foods as well as its suitability and limitations, and examines the feasibility of its introduction into Korean FCMs regulation. Most experimental studies using Tenax® showed overestimated migration values when used in real foods, which reflects the potential of Tenax® as a dry food simulant in a worst-case scenario. However,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optimize migration testing using Tenax® by standardizing the solvent type and the extraction method for surrogates of various FCMs and foods, and to resolve the potential drawbacks in the use of Tenax®.
김현정,최성욱,전향숙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3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28 No.1
식품 이물의 검출 및 저감화 기술 개발과 안전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국내 보고된 식품 이물의 혼입 자료를 바탕으로 식품별, 이물별 검출율과 건강 위해도, 경제·산업적, 소비자 민감성 등의 인자를 고려한 다인자기반 위해평가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식품-이물의 위해순위를 분석하였다. 사용한 인자 중 이물별 발생 빈도와건강 위해도는 이물에 대한 위험지표로 이용하였으며 식품별 국내 연간 생산량과 해당 식품의 이물 혼입율은 식품 중 이물발생이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지표로 이용하였다. 식품-이물에 대한 소비자의 민감성에대한 간접적인 지표로는 각 식품별 이물 저감화에 따른추가비용부담률을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여러 인자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인자기반 종합위해지수는 금속-면류가가장 높게 추정되었다. 그 외에도 곤충-면류 및 금속-음료의 위해순위가 높은 것으로 산출되었다. 본 결과는 지금까지 단순히 이물별 발생 순위 또는 식품별 발생 순위 중심의 자료 제공에서 나아가 식품 안전 관리에서 고려해야할 여러 인자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위해지수를 산출함으로써 향후 식품 중 이물의 관리와 이물의 검출 기술 개발 등 식품안전 분야의 연구에서 자원의 배분과 연구개발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Foreign matters in foods are important food safety issue of consumers, retailers, food manufacturers and food safety authorities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risk management options and detection technology for foreign matters, multifactorial risk of foreign matters in foods was estimated based on various factors including detection rate, health adverse effect, economic and social aspects. For the each of five food items and foreign matters which were selected from previous study, factors including detection rates, health adverse effects, annual production amounts and willingness to additional pay to reduce foreign matters in foods were quantitatively estimated. The highest risk score was estimated for metal-noodle combination followed by insect-noodle and metal-beverage combinations. The multifactorial risk assessment on foreign matters in food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support risk managers and scientist in complex decision making when various factors should be concerned and different food-foreign matter combinations are compared.
Ja Gyung Heo,Jee Hye Lee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5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0 No.4
본 연구는 학교급식위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조리종사자의 위생관리수행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위생자료 제공을 위해 급식소의 일반사항, 위생교육에 대한 조리종사자의 태도, 그리고 위생관리수행수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경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초ㆍ중ㆍ고등학교급식소 23곳의 조리종사자 185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급식운영형태에서는 직영보다 위탁이 위생관리 수행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하루제공 끼니수 에서는 1식이 2식, 3식을 하는 집단보다 위생관리 수행수준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조리종사자의 위생교육 태도에 따른 위생관리 수행수준 차이를 살펴본 결과,위생교육에 대한 태도가 좋을수록 위생관리 수행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급식소의 일반사항과 학교 조리종사자의 위생교육에 대한 태도는 위생관리 수행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In order to provide efficient information ensuring school food safety, this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food service operation and food hygiene practices and employee’s attitudes toward food hygiene education and food hygiene practices.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185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in the GyeongSangNam-do area.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overall the evaluation of sanitary practice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the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 of school food service and times of serving food per day. Also, hygiene practices in solo foodservice were better than in joint foodservice. The respondents who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food safety education showed better food safety practices. It is recommended that consistent food safety education based on various methods can contribute to appropriate food safety performance.
편의점 판매용 김밥 도시락 생산 및 유통과정의 품질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1996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11 No.3
Time-temperature relationship and microbiological quality were assessed and critical control points were identified through hazard analysis during the phases of production in two different packaged meals (Dosirak) manufacturing establishments (A, B:Kim Pab). Microbiological tests on foods, equipments and utensils were done according to standard procedures and included total plate count, coliforms and fecal coliform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time-temperature control management was needed because timetemperature abuse more than 8 hours at dangerous temperature zone (5-60℃) was observed from pre-preperation to distribution phase; Poor sanitary practices of employees were observed in hand washing and using disposable gloves; Microbiological analysis results of equipments and utensils showed possible cross-contamination risks when foods were contacted with them; Kim Pab needed thorough quality control because it included various mixed ingredients of cooked and uncooked and had many apportunities of cross-contamination either by equipments or hands through whole production processes.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관련 식품위생공무원의 인지도 조사
오경남,이순호,이우영,박혜경,박선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5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20 No.1
유전자재조합식품과 관련된 담당 총무원 및 기타 전문가들의 인지도출 조사하기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들을 근무년수별, 소속별, 업무별로 분류하였으며 설문지의 각 문항에 대한 결과는 위 분류별로 통계분석하여 빈도수 및 응답률로 나타내었다. 조사 결과, 유전자재조차식품에 대해 들어본 경험은 95%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유전자재조합식품의 혜택은 식량난 해결이라고 가장 만이 응답하였다. 유선자재조합식품의 표시에 대해서는 '90% 이상이 표시해야 한다' 또는 '가급적 표시해야 한다'로 응답하석 식품위생공무원 및 기타 전문가들은 유전자재조합 표시를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었으며 학력 수준 및 전문 수준이 높을수록 구입하여 먹을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대부분은 근무년수별, 소속별, 업무별 구분에 상관없이 기본적인 지식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도 공무원 및 국립검역소 그룹은 다른 전문가 그룹에 비해서 유선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안전성 인식은 대제로 안전하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나 20년 이상 근무자와 일반 행정 업무자는 다른 그룹에 비매시 안신하지 않거나 불안하다는 견해를 더 많이 나타냈다 식품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식품취급 부주의 및 취급 불량'으로 응답하였으며,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위협요인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매우 적었나(4.4%). 결론적으로 유전자재조합식품 관련 공무원 및 기타 전문가들은 일반시민들에 비해서 섭취나 안전성에 보다 긍정적인 견해를 나타냈지만 생물학 지식에 대해서는 그룹별 차이가 있었으며 유전자재조한식품에 대한 민인업무 치리에 어려운 점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아 관련 전문가들에게도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food sanitation officers toward the Genetically Modified Foods. Thee were mainly, from Regional Agencies of KFDA, CityiProvince office, and National quarantine station. Some of them were professors of university and researchers of research institute, Most of respondents had experiences of hearing or reading GM foods (over 95%) and over 90% of respondents much needed the label of GM foods. Although some of officers of city/province office and national quarantine station showed less knowledge than other respondent groups, most of respondents had basic knowledge about biology. The frequency of respondents worked over 20 years and worked in the general administr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groups in the question of unsafe of GM foods. The answer frequency- of careless treatment of foods was highest in the question of risk factor, and the frequency of GM foods was lowest (4.4%). It was concluded that trod sanitation officers had positive opinion about GM foods,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know ledge among agenc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more educations and informations are needed for food sanitation offic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