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우리나라 국민의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인지도 및 수용도 변화
권선향,정인식,최미경,채경연,경규항,Kwon, Sun-Hyang,Chung, In-Shick,Choi, Mee-Kyung,Chae, Kyung-Yun,Kyung, Kyu-Hang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23 No.3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일반 국민의 의식을 설문 조사하여 연차별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2007년 조사 결과 65.1%가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여 과거 3년(2000-2002년)동안의 평균 66.2%와 큰 차이가 없었다. 유전자재조합식품 개발의 큰 이익이 식량난 해결일 것이라는 응답은 모든 조사에서 가장 높았지만 2000년 이후 계속해서 줄어드는 경향을 보여 식량난 문제에 대해 기대치가 낮아진 것으로 해석되었다. 약 95% 이상의 응답자가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해 표시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나 과거 3년의 결과와 매우 유사하였으며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해 소비자들이 알권리와 선택할 권리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음은 변함이 없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의 구입 여부는 주변의 추이를 보고 결정하겠다는 응답이 50% 이상으로 나타나 표시를 희망하면서도 결정을 유보하는 사람의 비율이 높았다. 생물학의 기본지식이 매우 미흡한 상태인 것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전자재조합기술로 개발된 제초제 내성 콩을 먹겠다는 사람보다 같은 방법으로 개발된 비타민 함량이 높은 콩을 먹겠다는 사람이 여전히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보아 제품의 특성은 중시하지만 유전자재조합 여부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식품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농약 등의 화학물질 오염이나 기업인의 윤리의식을 들었고 식품을 구입할 때 표시 내용 중 가장 관심 있게 보는 내용은 조사시간 동안 유효기간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나 과거 3년에 비해 크게 감소하는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이나 태도에 변화가 없었는데 이는 유전자재조합식품과 관련하여 사회 전반적으로 유의할 만한 변화가 수반되지 않았기 때문에 개인의 인식에도 변화가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A survey on consumer's awareness and perception toward genetically-modified(GM) foods was conducted on 2110 random samples of Korean consumers. More than 65% of the respondents were exposed to some information related to GM foods.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greatest benefit of the development of GM foods is remedy of potential food shortages in the future. More than 90% of Korean consumers wanted GM foods to be labeled as such. More than 50% of the respondents would not buy until they know more about GM foods. Only 35.8% of Korean consumers were found to know that food items originating from plants contained genes. More consumers responded that they would not buy herbicide-resistant GM soybean but buy vitamin-enriched GM soybean. Many Korean consumers' decision of acceptance or rejection of GM foods depend not on the basis of biotechnology, but on the basis of the degree of benefit to the consumers. Only 6.4% of Korean consumers responded that GM foods were the greatest threat to the safety of Korean foods. The perception of Korean consumers on GM foods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during the past 5 years.
곽동경,홍완수,문혜경,류경,장혜자,Kwak, Tong-Kyung,Hong, Wan-Soo,Moon, Hye-Kyung,Ryu, Kyung,Chang, Hye-Ja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1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급식의 위생관리 실태를 분석하므로 학교급식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식중독 사고예방 및 급식품질 개선을 이루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ACCP에 기준한 위생관리 평가도구를 설문지로 개발하여 관리자들이 자가 평가하게 하고,그 결과를 분석하여 위생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취약한 부분을 규명하였다. 위생관리 평가도구는 온도 소요시간, 개인위생 및 기기 설비위생의 3영역으로 구분 하여 33문항, 5문항, 15문항씩 총 5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평가문항에 대해서는 5점척도를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하였다. 조사된 학교는 초등학교 98.4%(253개교), 고등학교 1.6%(19개교)였다. 세 영역중 개인위생에 관한 수행수준은 평균 4.06$\pm$0.57로 나타나 가장 잘 수행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기.설비위생의 수행수준은 평균 3.84$\pm$0.53로 나타났고, 온도.소요시간은 평균 3.45$\pm$0.46으로 나타나 보통정도의 수행수준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전체 문항중 수행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된 ‘조리 후 보관(2.03$\pm$0.94)’의 경우는 현행 학교급식업체들이 조리가 끝난 식품을 취급할 열장 또는 보온 기기, 냉장고를 거의 구비하지 못하고 있으며, 조리된 음식이나 차게 배식하는 음식의 적정 온도유지를 위한 온도계 사용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 된다. 기기 설비위생영역에서 가장 낮은 수행정도를 보인 ‘싱크대의 용도별로 분리사용 여부(3.03$\pm$1.10)’와 ‘손 씻는 시설의 적절한 장소 위치 여부(3.07$\pm$1.13)’의 수행수준을 향상시키려면 적절한 개수의 싱크대를 구비해야 하며, 조리실내에 손 씻는 시설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학교급식 안전성 확보를 위한 위생관리 업무 향상을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드러난 시설 및 기기들을 우선 보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were assessed to insure the safety of school foodservice, to prevent the outbreak of foodborne illnes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foodservice.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a survey was conducted and analyzed on elementary and high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located in Seoul area. A Questionnaire from based on HACCP standards was developed and used for self-reported evaluation of the school foodservice managers on their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The results were analysed by examining their activities and identifying weaknesses in those activitie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ree sectors with all 53 questions; 33 questions for time-temperature management, 5 for personal hygiene and 15 for equipment/facility sanitation. Five-point-scale was used on the questionnaire answers. Among the schools responded,253 (98.4% of the total) were elementary schools and 19 (1.6%) were high schools. Among the three sectors, personal hygiene performance was mostly well conducted by marking average 4.06$\pm$0.57. Equipment/facility sanitation came next by marking average 3.84$\pm$0.53. Time-temperature marked average 3.45$\pm$0.46. “Storage after cooking (2.03$\pm$0.94)”was identified as the least managed activities because the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were not equipped well with hot holding and/or cold holding. “Separate use of sink per usage (3.03$\pm$1.10)” and “proper location of hand washing facility (3.07$\pm$1.13))” were identified as the least practiced activities in equipment/facility sanitation sector. To enhance these practices, proper number of sinks and hand washing facilities should be equipped first within the kitchen area.
즉석섭취·편의식품류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를 통한 기준·규격 재평가
송보라,김순한,김진광,한정아,곽효선,정경태,허은정,Song, Bo Ra,Kim, Soon Han,Kim, Jin-Kwang,Han, Jeong-A,Kwak, Hyo Sun,Chung, Kyung-Tae,Heo, Eun Jeong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7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2 No.5
본 연구에서는 단일 시료를 검사하는 식품공전의 방법을 통계적 개념인 n, c, m, M을 도입하여 국제기준에 발맞춘 시스템을 확립하고자 식품 중 미생물 오염실태 조사 및 기준 규격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즉석섭취 편의식품류에 대한 미생물의 오염도 조사를 위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통계적 개념을 도입하여 새로운 기준 규격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즉석섭취 편의식품류 총 2,040건(즉석섭취식품 630건, 즉석조리식품1,020건, 신선편의식품390건)을 구입하여 일반세균수, 대장균군, E. coli, B. cereus, S. aureus, C. perfringens 에 대한 모니터링을 진행하였다. 즉석섭취 편의식품류의 일반세균수는 평균 2.10 log CFU/g, 대장균군은 평균 -0.60 log CFU/g, E.coli은 평균 -1.33 log CFU/g, B.cereus은 평균 -1.23 log CFU/g으로 검출되었으며, S.aureus은 신선편의식품에서만 평균 -1.35 log CFU/g, C. perfringens은 즉석조리식품에서만 평균 -1.37 log CFU/g 검출되었다. 일반세균수, B. cereus, S. aureus, C. perfringens은 현 기준규격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선편의식품에 한하여 E. coli 는 34건이 식품기준 및 규격을 초과 하였다. 즉석섭취 편의식품류의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Newsamplesplan 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론적 규격을 도출하였다. 오염 분포도가 넓어 사실상 규격 마련의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대장균은 즉석섭취식품 및 즉석조리식품에서 n=5 c=1 m=0 M=10으로, 신선편의식품에서는 n=5 c=1 m=10 M=100으로 이론적 규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ternationally different food safety regulation and standards could cause troubles in trade unless those are built on scientific knowledge. In this research, we monitored the microbial population and analyzed the results to determine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foodstuffs using relatively new statistical analysis (microbiological sampling plan, International Commission on Microbiological Specification for Foods). The goal of this research falls on establishing entirely new standards for various food categories addressed in the Korean "Food Code". Targets for monitoring were indicator organisms (i.e. total aerobic count, coliform and Escherichia coli) and foodborne pathogens (i.e.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in ready-to-eat (RTE) products. As the result of the monitoring, total aerobic count, coliform, E. coli, and B. cereus in RTE products were found at the mean values of 2.10 log CFU/g, -0.60 log CFU/g, -1.33 log CFU/g and -1.23 log CFU/g, respectively. S. aureus was detected with the level of -1.35 log CFU/g only in fresh-cut food, while C. perfringens was -1.37 log CFU/g only in ready-to-cook food. Other samples did not have any food borne pathogens. Total aerobic count, B. cereus, S. aureus and C. perfringens satisfied the Food Code (the MFD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we proposed a draft of microbial criteria for RTE products.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1997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12 No.2
Gulbi, salted and dried yellow corvenia, is a favorite diet food in Korea from the ancient times. A Few studies have dealt with sanitary concerns related to its products, while a number of investigators studied its taste compounds. This study attemps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ensuring the safety of Gulbi. The contents of nitrate and nitrite were detected 1.2 and $lt;0.1 mg/kg in raw sample, but their contents were detected 3.6-3.9 and 1.2-2.0 mg/kg during its processing and storage of Gulbi, respectively. TMAO contents decreased while betaine, TMA, DMA and formaldehyde increased in yellow corvenia during its processing and storage. Recovery from raw, salted, salt-dried and stored sample spiked with 10 ug/kg for NDBA was 83.2-102.7%(average 92.7%). N-nitrosamine such as NDMA, NDEA and NDPA was not detected in raw sample and drastically increased during Gulbi processing and storage. The levels of NDMA, NDEA and NDPA in Gulbi stored for 30 days were about 2.7, 4.5 and 5.3 times higher than those in salted sample, respectively. Regardless of cooking methods, NDMA, NDEA and NDPA levels increased during cooking Gulbi stored for 30 days, and more N-nitrosamine was formed during cooking when sample were cooked using direct heating methods such as a gas and a briquet fire than when sample were cooked using indirect methods such as an microwave oven and a fried pan. Indirect cooking methods was effective to minimize the N-nitrosamine formation such as NDMA, NDEA and NDPA during cooking of Gulbi.
편의점 판매용 김밥 도시락 생산 및 유통과정의 품질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1996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11 No.3
Time-temperature relationship and microbiological quality were assessed and critical control points were identified through hazard analysis during the phases of production in two different packaged meals (Dosirak) manufacturing establishments (A, B:Kim Pab). Microbiological tests on foods, equipments and utensils were done according to standard procedures and included total plate count, coliforms and fecal coliform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time-temperature control management was needed because timetemperature abuse more than 8 hours at dangerous temperature zone (5-60℃) was observed from pre-preperation to distribution phase; Poor sanitary practices of employees were observed in hand washing and using disposable gloves; Microbiological analysis results of equipments and utensils showed possible cross-contamination risks when foods were contacted with them; Kim Pab needed thorough quality control because it included various mixed ingredients of cooked and uncooked and had many apportunities of cross-contamination either by equipments or hands through whole production processes.
Ja Gyung Heo,Jee Hye Lee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5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0 No.4
본 연구는 학교급식위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조리종사자의 위생관리수행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위생자료 제공을 위해 급식소의 일반사항, 위생교육에 대한 조리종사자의 태도, 그리고 위생관리수행수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경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초ㆍ중ㆍ고등학교급식소 23곳의 조리종사자 185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급식운영형태에서는 직영보다 위탁이 위생관리 수행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하루제공 끼니수 에서는 1식이 2식, 3식을 하는 집단보다 위생관리 수행수준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조리종사자의 위생교육 태도에 따른 위생관리 수행수준 차이를 살펴본 결과,위생교육에 대한 태도가 좋을수록 위생관리 수행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급식소의 일반사항과 학교 조리종사자의 위생교육에 대한 태도는 위생관리 수행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In order to provide efficient information ensuring school food safety, this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food service operation and food hygiene practices and employee’s attitudes toward food hygiene education and food hygiene practices.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185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in the GyeongSangNam-do area.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overall the evaluation of sanitary practice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the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 of school food service and times of serving food per day. Also, hygiene practices in solo foodservice were better than in joint foodservice. The respondents who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food safety education showed better food safety practices. It is recommended that consistent food safety education based on various methods can contribute to appropriate food safety performance.
경남 한산·거제만해역에서 생산된 패류의 위생학적 안전성 평가
하광수,이가정,정연중,목종수,김풍호,김연계,이희정,김동욱,손광태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3 No.5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경남 한산·거제만 해역에서 생산되는 패류에 대한 위생지표세균, 마비성 패 류독소, 설사성 패류독소를 분석하여 세균학적·독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굴 시료 404점에 대한 분변계대장균은 < 18~330 MPN/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나, 대장 균 230 E. coli MPN/100 g을 초과한 시료는 없었다. 굴 수확시기 동안 분석한 대장균의 기하학적 평균치는 24.3 MPN/100 g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한산·거제만해역에서 생산되는 굴의 세균학적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식품위 생법의 생식용 굴에 대한 위생기준을 만족하였고, EU의 패 류생산해역 A등급 기준에 부합하였다. 한산·거제만해역 의 독물학적 평가를 위해 굴 532개 시료와 패류독소 지표 종인 지중해담치 268개 시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비성패류독소는 2013년 4월에 지중해담치 3개 시료에서 1.20~2.29 mg/kg 범위로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었으나, 굴 시료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총 120개 시료에서 설사성패류독소를 분석하였으나, 정량한계 이하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독물학적 안전성 평가결과, 굴 시료에서는 마비성 및 설사성패류독소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나, 지 표종인 지중해담치에서는 마비성패류독소 기준치를 초과 한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안전관리가 요구 되었다. To evaluate bacteriological and toxicological safety hygienic indicator bacterium and paralytic and diarrhetic shellfish toxins in the shellfish produced in Hansan·Geojeman 2013-2017 were investigated. Fecal coliforms were < 18~330 MPN/100 g in 404 oyster samples. But all samples tested, did not exceed 230 E. coli MPN/ 100 g. Geometric mean of E. coli for oyster samples collected during major shellfish production period was 24.3 MPN/100 g, considerde stable results. Bacteriological quality of oysters collected from Hansan·Geojeman meets the standard value based on shellfish hygiene of the Food Sanitation Act of Korea and also meets Grade A,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shellfish harvesting areas of the European Union. For toxicological evaluation of Hansan·Geojeman, 532 oyster samples and 268 mussel samples as an indicator, were analyzed. Paralytic shellfish toxins were detected in the range of 0.42~2.29 mg/kg in eight mussel samples, and exceeded criteria in three samples from early to late April 2013. Diarrhetic shellfish toxin was detected in three of 120 samples, but it was revealed to be under regulation value (0.16 mg Okadaic Acid equ./kg). As a result of toxicological evaluation, paralytic and diarrhetic shellfish toxins were not detected in oyster samples, but it was found that mussel as an indicator species, exceeded the threshold value of paralytic shellfish toxin. Accordingly, sanitary surveys were continuously requested for food safety management of shellfish.
건조식품, 초고온가열식품 및 종이제 포장재의 이행실험용 시뮬란트로서 Tenax®의 이용
김형준,이근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3 No.4
현재 국내 용기포장재 안전성 평가를 위한 용출시험에서 액체 시뮬란트를 사용하는 경우 실제와 다른 이행량 결과를 나타내는 상황과 고온가열 및 건조식품용 포장재, 그리고 종이·판지의 경우 액체 시뮬란트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들을 감안한다면 유럽연합과 같이 고체건조 시뮬란트의 도입이 필수불가결해 보인다. Tenax®를 건조식품용 시뮬란트로 사용하여 얻어진 실험 결과치가 실제 식품에서보다 높을 경우 Tenax®에 대한 기준치를 설정하여 안전성 평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가 성립한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결과들이 이러한 전제를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Tenax®를 이용한 실험 방법이 완전하게 틀을 잡고 있지 못하다고 판단된다. 이는 Tenax®로 포집되어 측정되는 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들이 매우 다양할 수 있는데, 이를 포장재로부터 또는 이행된 식품으로부터 추출분석하기 위한 용매, 추출방법, 추출시간, 오염표준물질들의 종류에 따른 추출 및 분석 방법, Tenax®의 상태에 따른 분석 재현성 등에 대한 자료들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다양한 식품종류를 감안한다면 Tenax®를 국내 식품포장재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고체건조 시뮬란트로 공식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Currently, in Korea, a dry food simulant has not been designated for the migration testing of paper and board, and food contact materials (FCMs) being used for dry foods and foods heated at ultra-high temperature. Considering the diverse usage of FCMs, in order to secure reliable and confident safety evaluation and to overcome the securing and overcoming.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available literature on the use of Tenax® as a simulant for dry foods as well as its suitability and limitations, and examines the feasibility of its introduction into Korean FCMs regulation. Most experimental studies using Tenax® showed overestimated migration values when used in real foods, which reflects the potential of Tenax® as a dry food simulant in a worst-case scenario. However,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optimize migration testing using Tenax® by standardizing the solvent type and the extraction method for surrogates of various FCMs and foods, and to resolve the potential drawbacks in the use of Tenax®.
광주지역 식품안전보호구역내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고열량·저영양 성분함량 조사
양용식,서정미,문수진,김태순,김보경,최수연,조배식,하동룡,김은선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3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28 No.4
This study surveyed the real state of children-favored food sold within the green food zone in Gwangju and whether they were high calorie and low nutrition food (HCLNF) or not. A total of 124 samples, which were kimbab (8), tteokbokki (7), toast (12), and Mandu (8) in meal and fried (potato, 6), fried (etc, 6), sundae (7),chicken (skewed, 7), chicken (gangjeong, 5), hot dog (7), corn dog (7), oden (7), slush (27), and oden soup (10) in between meal, were surveyed. The test items are moisture, ash, crude fat and protein, carbohydrate, free sugars,sodium, and saturated fat. In 35 samples of four meal categories, every samples had sodium more than the criteria (600mg per serving size) and had saturated fat lower than the criteria (4 g per serving size) except twelve toasts. All of toasts were identified as HCLNF due to saturated fat and sodium contents. Four toasts also exceeded the calorie criteria (500 Kcal per serving size). In 89 samples of ten between meal categories, every samples had protein more than the criteria (2 g serving size) excepting slushes and had free sugars lower than the criteria (17 g per serving size)excepting one chicken (gangjeong). Most of fried foods, chickens (gangjeong), and corn dogs had saturated fat more than the criteria (4 g per serving size). But only five fried foods and five chickens (gangjeong) were identified as HCLNF due to calorie (500 Kcal per serving size). In 27 samples of slushes, 20 samples had free sugars more than the criteria (17 g per serving size) with no protein, so they all were identified as HCLNF. 2012년 3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광주시내 초·중·고등학교 주변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내 분식점, 길거리음식점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김밥, 떡볶이, 꼬치류, 오뎅, 튀김류 등 식사대용 및 간식용 어린이 기호식품 중 조리식품 124건에 대해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 영양성분과나트륨, 당함량 등을 검사하여 고열량·저영양 식품 해당여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식사대용 어린이 기호식품 35건 중 토스트 12건이 모두 포화지방과 나트륨의 기준을 초과하여 고열량·저영양 식품에 해당되었고, 간식용 어린이 기호식품 89건 중에서 튀김류 4건과 닭강정 5건이 열량기준을 초과하였고, 또한 슬러쉬 27건 중에서 20건이 당함량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총 29건이 고열량·저영양식품에 해당되었다. 그러나 이번에 조사한 식품들은 슬러쉬를 제외하고는 모두 저영양 식품 판단의 한 요소인 단백질 함량이 높고, 튀김류 등은 식품의 특성상 지방함량이 많아서 열량이 높고, 모두 조리식품들이기 때문에 식사로 섭취하게 되는 식품과 마찬가지로 나트륨 함량이 높아서 고열량·저영양 식품으로 분류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고열량·저영양 식품이라 하더라도 한두 번 섭취한다고 해서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편식을 피하고 싱거운 맛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노력과 더불어 전체적으로여러 유형의 식품들을 골고루 섭취하는 등, 올바른 식생활 습관이 어릴 때부터 형성되도록 소비자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