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재난대응 욕구와 스트레스 및 불안 간의 관계

        윤기봉(Kibong Yun),오윤진(Yunjin Oh),오충원(Chungweon Oh)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1 재활복지 Vol.25 No.3

        본 연구는 재난약자로서 시각장애인의 재난과 관련한 정신건강에 관심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재난대응욕구와 스트레스 및 불안 간 관계를 살펴보고 어떠한 재난대응 욕구가 충족이 되면 시각장애인의 재난상황에 대한 스트레스와 불안이 감소될 수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5월 ~ 6월까지 서울의 시각장애인복지관 5곳의 모집문건을 통해 참여의사를 밝히고 서면동의를 한 시각장애인 20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결과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재난대응 욕구들은 시각장애인의 스트레스와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재난대응 욕구 중 의사소통욕구만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쳐 의사소통 욕구가 이미 충분히 충족되어 있으면 시각장애인의 스트레스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난대응 욕구들은 시각장애인의 불안과도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재난대응 욕구 중 이동 욕구만 불안에 영향을 미쳐, 이동 욕구가 이미 충분히 충족되었다면 시각장애인의 불안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시각장애인의 정신건강을 고려한 재난대비 훈련 프로그램 및 매뉴얼 마련의 필요성과 정책적 접근이 마련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visually impaired as a disaster vulnerable person needs attention to mental health related to disas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al need for disaster response and stress/anx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stress and anxiety of the visually impaired in a disaster situation could be lowered when certain disaster response special needs are satisfied. This study targeted 203 blind people from May to June 2020. Research subjects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through the recruitment documents of five blind welfare centers and gave written consent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pecial needs for disaster response, only the communication need affects stress. When communication needs are already sufficiently satisfied, the stress of the visually impaired is lowered. Second, special needs for disaster respons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nxiety of the visually impaired. Among the special needs for disaster response, only the move need affects anxiety, so if the move need is already sufficiently satisfied, the anxiety of the visually impaired is reduc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the necessity of preparing a disaster preparedness training program and manual considering the mental health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that a policy approach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윤기봉(Kibong Yun),김민주(Minjoo Kim),이운경(Woon Kyung Lee)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8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이들 간의 관계에서 온라인 친구관계의 질이 중재적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총 170명(남: 101명, 여: 69명)의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22.0을 사용하여 편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및 온라인 친구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온라인 친구관계의 질의 중재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의 행복감에 대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부정적 영향에서 온라인 친구관계의 질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온라인 친구가 청소년의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낮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부정적 영향을 온라인 친구관계의 질이 완화하는 보호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어, 청소년에게 있어 온라인 친구의 의미를 지속적으로 탐색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Both parent-adolescent relations and peer relations are two important elements known to have close associations with adolescent happiness. This study focused o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s an important facet of parent-adolescent relations,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online friendship quality, which has been insufficiently investigated in spite of its increasing importance, to investigate their roles in adolescent happiness. A total of 170 adolescents(boys: 101, girls: 69) who had close online friendships were examin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rtial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dolescent happiness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online friendship quality, and online friendship quality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dolescent happiness. In spite of a few limitations,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roles of online friendship quality, especially in the presence of low parent-child communication, suggesting the need for prospective studies that further examine the in-depth meaning of having close online friendships.

      • KCI등재
      • KCI등재

        어머니-자녀 간 상호작용이 학령기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순차적 매개효과

        윤기봉(Kibong Yun),이사라(Sarah Lee) 한국생애학회 2023 생애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아동의 자존감과 그릿, 그리고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즉, 어머니-자녀 간 상호작용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뿐만 아니라, 아동의 자존감과 그릿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PSCK 데이터를 사용하여 5학년 아동 1,234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자녀 간 상호작용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아동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각각 아동의 자존감과 그릿이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아동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존감과 그릿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가 아동과 다양한 활동을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정책과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아동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과 개입 방법론을 구체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athways between mother-child interaction, children’s self-esteem and grit, and school adaptation. In other words, we examined the direct effects of mother-child interaction on children’s school adaptation, as well as the indirect effects of children’s self-esteem and grit. Using PSCK data, this study included 1,234 children in fifth grade and their mot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her-child interaction was shown to have a direct impact on children’s school adapta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school adaptation, children’s self-esteem and grit were shown to play a mediating role, respectively.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school adaptation, children’s self-esteem and grit were shown to play a sequential mediating role.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specific policies and support to help mothers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with their children and to help them receive positive parenting, and will help to formulate educational programs and interventions to support children adapt to school lif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부·자녀 및 모·자녀 의사소통과 친구관계의 질이 중·고등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윤기봉(Kibong Yun),도현심(Hyun-Sim Doh) 한국아동학회 2017 아동학회지 Vol.38 No.2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its indirect effects through adolescent friendship quality on happiness among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126 adolescents (667 middle school students and 459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oung-gi Do.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adolescents, which included measure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riendship quality and happiness. Data were analyzed by t -tests, correlations, and SEM using SPSS 22.0 and Mplus 6.0. Resul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happiness. However,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did no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adolescent happiness. Specifically, only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had an significant indirect effect through friendship quality on adolescent happiness. For high school students,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had direct effects on happiness, while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adolescent happiness via friendship quality. Conclusion: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friendship quality in predicting adolescent happiness with differences in direct and indirect path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role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friendship quality in developing programs to improve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재난인식 및 재난대응 욕구에 대한 연구

        윤기봉(Yun, Kibong),오윤진(Oh, Yunjin),오충원(Oh, Chungweo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0 시각장애연구 Vol.36 No.4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각장애인의 재난에 대한 인식과 재난 상황에서의 대응에 대한 욕구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 2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여하고자 하는 연구대상자가 2020년 5월~6월까지 서울지역 5개의 시각장애인복지관의 모집문건을 통해 참여의사를 밝히고 서면동의를 한 후에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인이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는 재난유형은 감염병이었고 그 다음은 지진, 화재, 태풍 순으로 나타났다. 시각장애인의 재난대응 욕구들 중에서 충족되고 있는 욕구는 자립성유지 욕구, 의사소통 욕구, 의료적돌봄 욕구, 이동욕구 순이었으며, 슈퍼비전 욕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재난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재난대응에 대한 이해를 높여 재난약자로서의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재난관리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자료가 되었다는 의의를 갖는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disasters and their desire to respond to disaster situations of the visually impaired in Korea. Method: This study targeted 203 blind people from May to June 2020. Research subjects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through the recruitment documents of five blind welfare centers and gave written consent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tudy. Results: The type of disaster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ceived most seriously was infectious disease, followed by earthquake, fire, and typhoon. Among the needs for disaster response of the visually impaired, the need to be satisfied was the need to maintain independence, followed by the need for communication, the need for medical care, and the need for mobility, and the need for supervision was the lowest.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become a basic data suggesting the direction of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for the blind as the disaster vulnerable by enhancing the awareness of disasters and their understanding of disaster response.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재난적 스트레스와 재난적 우울감의 매개효과

        윤기봉(Yun, Kibong),오윤진(Oh, Yunjin),오충원(Oh, Chungweo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1 시각장애연구 Vol.37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과 함께 재난적 스트레스와 재난적 우울감을 매개로 하여 미치는 간접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 263명(남자 154명, 여자 10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1년 6월에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지관 및 활동지원서비스 수행기관을 통해 모집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시각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시각장애인이 본인의 건강이 좋다고 인식할수록 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다. 둘째, 시각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 간 관계에서 재난적 스트레스와 재난적 우울감은 각각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시각장애인이 건강하다고 인식할수록 재난적 스트레스와 재난적 우울감이 낮아서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생활 만족을 높이는데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이 모두 중요하다는 사실 뿐만 아니라, 그 구조적 관계를 밝힘으로서 시각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influence of the subjective health level of the visually impaired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indirect influence of stress and depression about disaster as a mediating role.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63 blind people (154 males, 109 females), who were recruited in June 2021 through welfare centers in the Seoul and Gyeonggi-do area. Results: Firs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visually impaired had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stress about disaster and depression about disaster each play a mediating role. Conclusion: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presenting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as a mechanism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visually impaired.

      • KCI등재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변화추정

        김소영(Kim, Soyoung),윤기봉(Yun, Kibo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연구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체계, 부모체계, 또래체계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자료(KCYPS)의 중학교 1학년 총 2,348명을 대상으로 중학교 1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2학년까지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였다. 이차함수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초기에는 증가하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형태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초기치에는 개인내적 요인 중 성별,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이 영향을 미쳤고, 부모의 양육태도 중 감독, 애정, 일관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또래애착 중 신뢰, 소외가 영향을 미쳤다. 셋째, 청소년 삶의 만족도 변화율에는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부모의 애정양육, 부모의 일관성 양육, 또래 내에서의 소외가 영향을 미쳤다. 특히,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은 보다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종단적인 접근법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변화양상을 살펴보았을 뿐 아니라,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체계, 부모체계, 또래체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는 정책수립 및 실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and the effects of individual factors, parenting behaviors, and peer relationship in such changes. To accomplish these goals, a Latent Growth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first, third, fourth, and the fifth wave of the longitudinal panel data set of 2,348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take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beginning in 20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initially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Second, gender, ego-resilience, self-esteem, parental monitoring, parental affection, parental consistency and trust, the experience of rejection among peer relationships had effects on the initial status of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Third, ego-resilience, self-esteem, parental affection and consistency, and peer rejection had effects on the change rate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adolescents’ ego-resilience and self-esteem had a continuous effect on the subsequent changes. This study revealed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factors, parenting behaviors and peer relationships for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over time. Additionally,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in future work aimed at enha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 KCI등재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또래관계의 순차적 매개효과

        김소영(Kim, Soyoung),윤기봉(Yun, Kibong)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 간 관계에서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또래관계가 순차적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학교 1학년 패널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총 2,137명의 청소년(남자 1,148명, 여자 98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높았다. 둘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이 긍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또래관계의 순차적 매개를 통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대한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의 영향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의해 순차적으로 매개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을 예방하고 개입하는 교육프로그램에서 부모의 스마트폰에 대한 의존 뿐만 아니라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또래관계를 함께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f mothers and the quality of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s have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in which mothers’ smartphone dependency affects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ey.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137 adolescents (1,148 males, 989 females)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1st year of the middle school 1st year panel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smartphone dependency directly affected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The higher the mother’s smartphone dependency, the higher the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Second, the influence of mother’s smartphone dependency on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mo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 This study revealed a process of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between mothers’ smartphone dependency and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This study also emphasized the role of mo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s in the process of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smartphone depend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