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사’ 연구동향 분석: 한국과 미국의 기독교교육 비교연구

        손정위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8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EACHER’ research trends among Christian Education study in Korean and USA through language net work analysis(keyword network analysis). In terms of keyword frequency, ‘TEACHER EDUCATION’, ‘CHURCH SCHOOL TEACHER, ‘CHRISTIAN TEACHER’ and ‘PRELIMINARY TEACHER’ are appeared distinctively in Korean research. ‘CHRISTIAN TEACHER’ and ‘PRELIMINARY TEACHER’ are related to school education which means the importance of bring up Christian teacher in schoo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is related the role of teacher, which is changed from traditional role as just giving information to leadership role in which teacher facilitates learning community. In USA research, ‘THEOLOGY’ and ‘BIBLE’ are appeared distinctively. This result shows the main role of Christian education teacher is to teach theology and Bible. In terms of centrality analysis, ‘REFLECTIVE JOURNAL’, and ‘FEEDBACK’ are appeared typically in Korean study. These keywords have very low value in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but have very high value in closeness centrality. This result means that these keywords have strong influence in spite of having low connections in net work system. In USA study, keywords shows higher value in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but lower value in closeness centrality comparing to Korean study. This result means keywords are appeared with concentration in USA study, but appeared with diversity in Korean study. In terms of sub group analysis, in Korean study, ‘TEACHER EDUCATION’ is studied with community paradigm as well as individual paradigm. ‘CHURCH SCHOOL TEACHER’ is studied with essential role of teacher rather than functional role. ‘RELIGIOUS SCHOOL’ is studied with bringing up religious school teacher. In USA study, ‘THEOLOGY’ is studied with theoretical elements as well as practical elements. ‘LEARNING’ is studied with educational content as well as the situation and need of learners.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기독교교육 교사 연구 분야에서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하여 키워드 빈도수, 연결정도 중심성, 매개 중심성, 근접 중심성, 그리고 하위집단의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아울러 연구결과로 나타나는 각 나라만의 특징과 두 나라 간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비교분석하여 한국과 미국의 기독교교육 교사연구의 동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키워드 빈도분석에서 한국의 연구에서는 ‘교사교육,’ ‘교회학교교사,’ ‘기독교교사,’ ‘예비교사’등이 그 빈도수가 높고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교회학교교사를 제외한 교사교육, 기독교교사, 예비교사는 교육의 장이 학교라는 점과 이 키워드들이 종교교사양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사실은 한국 기독교교육 교사연구의 특이점이었다. 미국연구에서는 ‘신학,’ ‘성서’등이 특징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이것은 미국에서 기독교교육 교사의 역할이 기초적 교리를 중심으로 하는 신학과 그와 관련된 교육사상을 가르치는 것과 성서를 가르치는 일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심성 비교분석에서 한국연구의 특징적인 것은 ‘반성적 일기,’ ‘피드백’과 같은 종교교사양성과 관련된 키워드들이 연결정도 중심성이나 매개 중심성에서는 그 값이 평균치 이하로 아주 낮았지만, 근접중심성의 경우 최대값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는 종교교사양성이라는 주제가 표면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못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해 준다. 미국의 연구는 한국의 연구에 비해 연결정도 중심성 값이 높지만, 매개 중심성에서 미국연구보다는 한국연구에서 지표가 높은데, 이것은 미국의 연구에서는 키워드의 집중화가 한국의 연구에서는 키워드의 다양화가 나타났음을 알게 하여 준다. 하위집단분석에서 한국연구의 특징적인 것은 교사교육의 연구동향이 개인적인 패러다임 (정체성, 영성 등)과 아울러 공동체적인 패러다임(공동체)이 균형적으로 어우러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는 것이다. ‘교회학교교사’의 경우에는 교회학교교사들의 기능적인 면보다 본질적인 교사됨을 강조하는 연구가 진행됨을 알 수 있었고, ‘기독교학교’의 그룹에서는 종교교사양성과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연구에서는 ‘신학’ 그룹에서 기독교 신학의 이론적 요소와 실천적 요소가 골고루 균형적으로 나타났었고, ‘학습’ 그룹에서는 성서교육과 관련된 연구들과 아울러 학습자의 필요와 상황등과 연관되어 나타났는데, 이것은 교육의 내용과 학습자의 상황과 필요가 균형잡힌 모습으로 연구된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한국기독교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실천적 교육 방법론 -토마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적용-

        이미아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6

        Education is a powerful tool of socialization process to perpetuate the values of an individual or a society. An ideology to maintain the social structure of gender inequality is established as social convention by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al activities. Today, Korean church should reform herself to realize gender equality, which is the important move not only for her renewal and revival but also the enhancement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in Korean society. To make it come true, educational practice for the seminary students is needed for their’s recognizing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ractical teaching method to the seminary curriculum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in the seminary students. In a concrete way, this study illustrates a lesson plan model to practice into a teaching-learning process with the purpose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through employing the teaching method of Thomas H. Groome’s shared Christian praxis. This study describes the following contents as the result of the study. Introduction brings out a question related to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in Korean church and presents main topics to be discussed for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Chapter II investigates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in Korean church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gender equality issue in Korean church, which helps to understand the women ministers’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ontext and the relation between gender equality and the renewal of the church. Chapter III conducts the literature review of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ideologies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paradigm shift for the establishment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Based on this investigation, it tries to build the educational philosophy to include the concepts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Based on the study of chapter II and chapter III, Chapter IV explicates the components and movement process of Thomas H. Groome’s shared christian praxis model as a practical teaching model and adds some consideration to apply to teaching-learning scene. Chapter V illustrates the example of an actual model employing shared Christian praxis model to practice in a particular educational field. Specifically, that example is presented as a lesson plan with the class topic titled as “a typical pattern of workload sharing in pastoral ministry between men and women” for one session of a course of women’s studies in a theological seminary’s curriculum. Conclusion summarizes the overall process of the study and proposes the practical use of this praxis model for the teaching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over the various educational ar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utilized as a practical educational method for the paradigm shift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and to contribute to the renewal of Korean church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gender equality recognition in Korean society. 한 개인이나 한 사회의 가치를 영속화하는 사회적 과정은 ‘교육’에 의해 이루어진다. 성차별적 사회구조를 유지하는 이데올로기 역시 공식적, 비공식적 교육과정을 통해 사회적 통념으로 자리잡은 것이다. 오늘날 한국 기독교회의 양성 불평등 문제의 개혁은 한국교회의 개혁을 위해, 나아가 한국 사회의 양성평등 가치의 발전에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신학교 차원에서부터 기독교 사역자로 교육받는 남녀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을 위한 교육적 실천이 필요하다. 본서의 목적은 한국기독교(개신교)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해 기독교 관련 고등 교육기관으로서의 신학교 차원의 커리큘럼에서 실천적 교육방법론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토마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모델을 적용하여 양성평등의 인식과 관련한 실천적 교수-학습 모델(레슨 플랜)을 구성하여 구체적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목적 실현을 위해 본서는 1장 서론에서 한국 기독교회의 사역자들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과 관련한 문제를 제기하고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해 다루게 될 주요 명제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 기독교회 내 젠더 문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하면서 한국 기독교회와 양성평등 인식 수립의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3장에서는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교육과정의 신학적, 철학적 이데올로기와 교육적 패러다임 전환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먼저 고찰하고,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교육방법론의 기초가 되는 교육 철학의 구성 요소를 다루었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연구를 기초로 한국기독교(개신교)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실천적인 교육적 방법론으로서 토마스 그룸의‘나눔의 프락시스’방법론의 구성 요소와 핵심 활동의 과정 및 교수-학습 활동에서 이를 적용하기 고려점에 대해 연구하였다. 5장에서는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 ‘나눔의 프락시스’모델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의 실제적인 진행 모델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신학교 차원의 한 학기의 여성학 강의 중‘교회 내 남녀 사역자의 업무 분담의 정형성’이라는 한 차시의 수업을 위한 레슨 플랜을 프락시스 모델의 전개과정을 적용하여 예시하였다. 6장 결론에서는 연구의 전체적인 과정을 요약하고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교육적 방법론의 활용 및 확장을 위한 제안을 진술하였다. 본 연구가 ‘양성평등 인식’의 가치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실용적인 교육 방법론으로써 활용되고, 한국 기독교회의 성숙과 개혁을 위해, 나아가 한국사회의 사회적 차원에서의 ‘양성평등’ 인식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 기독교적 학교교육의 현실과 방안

        임영택(Young-Taek Lim)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7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2

        본 논문의 목적은 공식교육 현장인 교회교육과 학교교육의 융합적 노력으로 기독교적 학교교육의 현실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동안 중요시 여긴 교회교육 현장은 어린이, 청소년들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오늘의 교회교육현장은 신앙공동체로 변모하는 노력과 함께 학교교육 현장과의 연계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최근 종교교육과정이 ‘종교학’ 교과과정으로 재개편되어 기독교적 학교 안에서 신앙교육을 실천하는데 큰 제한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기독교적 학교는 새로운 패러다임과 영성적 실천이 요구된다.그 방안으로 첫째, ‘기독교학교의 패러다임’에서 ‘기독교적 학교’ 패러다임으로의 의식적 변화이다. 둘째, 기독교가치관을 가지고 미래의 시민양성을 배출하기 위해 기독교적 학교의 분위기를 살려야 한다. 셋째, 기독교교육 과정의 영성적 실천으로 기독교적 도덕교육과 창의적 활동으로 기독교적 가치관을 경험하게 하는 일이다. 넷째, 기독교적 교사의 정체감과 소명감을 회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교육을 비판하고 공동체 영성의 가능성을 실천하는 교목실의 운영이다. 기독교적 학교는 미래의 기독교적 민주시민을 배출하기 위해서 보다 더 신앙적이며 기독교적 가치관을 경험하는 교육의 영성과 그에 대한 실천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joint efforts in the context of church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reality of Christian schools and propose a practical methods for spiritual educational practice. Currently, religious Christian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reorganized into ‘religious studies’ courses by the educational policy of government. There is a great limitation to the activities of Christian education and a crisis of establishment philosophy in the Korean Christian school. Five main points are outlined when developing the spiritual educational practice for the new paradigm of Christian school. First, the awareness of change from mission school paradigm to Christian school paradigm. Second, creating a hospitable atmosphere in the Christian school in order to train the democratic citizens with Christian values and world view. Third, Christian moral education and creative curriculum provide spiritual training, which leads to significant experience in Christian value system. Fourth, the efforts to recover a teacher’s identity and their purpose. Fifth, methods of criticism of the school system used by the chaplain office to restore spiritual community. Christian schools aim to provide religious curriculum and educational activities where Christian values are experienced in order to cultivate Christian democratic citizens.

      • KCI등재

        기독교교육 분야에서 통일교육연구의 동향분석

        성백,박형서,공기인,안창진,서유림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7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ndency of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field of Christian perspective,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is study is based on papers about unification education in Christian perspective which were published after 2000. To do so, this paper suggests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unification from Christian perspectives, based on analysis of various unification education inquiries, methods of research, researchers, and learned journals. The first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research has accomplished actively during the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government. It shows an active mood of society on discussion of unification. Secondly, studies especially tend to focus on a field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ology because Christian education is a part of the theology. However, those studies should be done in a broad spectrum of fields. Third, in research methodology, papers were concentrated too much in documentary research. Further study in this field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the quality of research but also the amount of research. Forth,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which is an academi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published mostly among journals; however,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published only 5 journals. More research on unification education field should be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order to relieve the burden of unification, many researches in different area should be achieved.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교육 분야에서 통일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2000년 이후 기독교교육 분야에서의 통일교육 논문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독교교육 분야에서 통일교육 연구들을 시기별로 분석하고, 연구논문에 사용된 연구방법, 주된 연구자, 연구논문들이 게재된 학술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기독교교육 분야에서의 통일교육 연구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별로 최근 정권인 이명박, 박근혜 대통령 시절에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있다. 이것은 최근의 통일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사회적 분위기와 관련이 있다고 보여진다. 둘째, 학위논문과 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지의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통일교육신학에 연구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기독교교육이 신학의 한 분과로 있기 때문으로 보이는데, 좀더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본다. 셋째, 연구방법론에서 문헌연구에 편중된 현상을 발견하였는데,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질적인 연구를 비롯하여, 양적인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연구저널에서 기독교교육학회의 학술지인 기독교교육논총이 가장 많은 논문을 게재하였지만, 기독교교육정보학회 학술지인 기독교교육정보는 5편에 불과하였기 때문에, 기독교교육정보학회에서 통일교육 영역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과정으로서의 통일을 볼 때, 다양한 영역에서 많은 연구들이 계속 이루어져야 앞으로 다가올 통일의 짐을 덜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의 공교육에서 기독교 학교의 과제와 방향: 아우구스티누스의 ‘교양교육론’을 중심으로

        이응모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9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olve the problems of Christian schools in Korea’public education by liberal education of Augustine. Christian schools in Korea have bee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chools. Because Korea’s Christian schools have depended on government in their operating costs. Although they have been established as private schools by an individual or private organization, they have been the duties of pubic school. The fact means that Christian schools can not teach their students as only their educational purpose based in Christian spirit. And in spite of private schools Christian schools have been forced by government to be faith-neutral institutions and to do the role of social integral. In the situation of Korea, Christian school should do the role of public school and also the role of their unique role. In other word, they should do their dual roles. Augustine’s theory of liberal arts will be as an our useful alternative solution when we try to solve the problems of christian educations that have been the characters and factors of public educational. 본 논문의 목적은 아우구스티누스의 교양교육을 통해 한국의 공교육 속에서 기독교 학교가 지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한국의 기독교 학교의 특징 중 하나는 공립학교의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한국의 기독교 학교는 개인 또는 사적 단체에 의해 설립되었지만 운영비와 관련해서는 상당 부분 국가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기독교 학교가 건학 이념에 비추어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교육을 실시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기독교 학교는 국가로부터 종교의 중립적 자세와 사회 통합의 역할을 강요받고 있다. 기독교 학교들은 사립학교로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고유한 건학 이념을 실현해야 하는 역할과 함께 공립학교에 부과하는 다양한 의무와 역할들을 동시에 감당해야 한다. 다시 말해, 기독교 학교는 사립학교와 공립학교라는 이중적 특성으로 인해 공립학교로서 그리고 사립학교로서의 이중적 책무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교양교육론은 공교육적 기독교 학교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그의 교양교육론은 이성을 통한 하나님의 발견과 세계 질서 추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하나님에 대한 앎에 있어 신앙과 더불어 이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세계 질서에 따른 조화로운 삶의 자세를 추구하였다.

      • KCI등재

        초기 한국 개신교 성인 신자들의 신앙교육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고찰

        박정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9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2

        This study seeks solutions to the decrease in members of Korean Protestantism. The author intends to critically examine the faith of adult believers in Korean churches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That is, the study accesses the restoration of faith of Korean adult believers through the historical review of early churches in Korea. The study collects the documents of early missionaries of the church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history of education. The author examines the maturity of the faith and the effect that education has had on adult believers of the church. The author also considers the biblical and evangelical faith of adult believers in the church. The early church in Korea propagated education for the continued maturity of faith. The author believes the early church had created adult members that strongly adhered to Christian doctrine and Scripture through the various educations. This historical study suggests biblical and evangelical faith education lays the foundation for the church and the mature faith of adult believers. The author found the two areas of faith education are sound and systematic doctrines in Bible studies. The author believes the present church’s depression should be regarded as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 church. For the sound doctrine of its believers, the study of all 66 books of the Bible can establish the identity and maturity of the Christian faith. 본 논문은 한국 개신교 신자들의 감소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기독교 교육의 역사적 관점에서 한국교회 성인 성도들의 신앙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접근한다. 한국 초대교회에 대한 역사적 고찰은 한국교회 장년 성도들의 신앙회복과 함께 한국 개신교의 근본적 회복을 이끌어내는데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전제한다. 논문은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한국교회의 초창기 선교사들의 문서들과 한국 기독교사에서 신앙교육 부분과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 정리하였다. 그 중에서도 한국 초대교회 성인들에게 행해진 교육을 통한 신앙의 성숙과 그 효과를 고찰함으로써 오늘날 한국교회 장년 성도들의 성경적이고 복음적인 신앙회복의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과정에서 필자는 한국교회의 초창기 시절 선교사들은 성인 신자들의 신앙교육에 심혈을 기울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한국 초대교회는 성도들의 중생과 함께 지속적 신앙성숙을 위한 신앙교육에 열심이었으며, 기독교 교리와 성경위에 기초한 건전한 성도들로 양성되었다. 본 논문을 통한 연구 성과는 초창기 교회교육을 통해 한국교회가 어떻게 발전하게 되었으며 그 원동력이 무엇인지도 알 수 있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역사적 탐구는 시대를 초월하여 참된 교회의 성장과 성도들의 신앙성숙은 성경적이고 복음적인 신앙교육에 있음을 시사한다. 초기 한국교회에서 신앙교육의 양대산맥은 건전하고 체계적인 교리와 성경공부였다. 그러므로 오늘날 한국교회의 침체기는 교회의 내실을 다지는 시기로 보아야 할 것이다. 저자는 한국교회가 장년 성도들 개개인의 기독교 정체성 확립과 신앙성숙을 위해 건전한 교리를 체계적으로 가르치고, 성경 66권을 힘 있게 가르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기독교 경제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박화경(Hwa-Kyung Park)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2 기독교교육정보 Vol.35 No.-

        본 논문은 세계화 시대에 급변하고 있는 경제질서에 대응할 수 있는 기독교 경제교육의 필요성을 논하고 기독교 경제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세계화로 인한 범지구적인 경쟁으로 인해 오늘날 세계에는 수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빈부격차가 심해지고,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없는 사람들이 증가되며, 생태계가 파괴될 뿐만 아니라 가치관의 왜곡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살인적인 경쟁으로 인하여 공동체의식은 깨뜨리고 개인주의적이고 성공지상주의 가치관이 나타났으며, 배금주의 가치관이 날로 강화되고 있고, 신앙은 사적인 영역으로 물러나게 되었다. 이런 가치관이 반기독교적인 가치관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교회에서는 기독교 경제교육을 실시되지 않고 있음을 예장(통합)교단의 교재를 통해 분석하였다. 기독교 경제교육이 실시되지않기 때문에 기독교인들도 반기독교적인 경제 가치관에 지배당하고 있음을 논하면서 기독교 경제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다음으로는 교회가 기독교 경제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 하나님의 뜻에 상응하는 경제가 무엇인지 알아야 하기 때문에 성서와 에큐메니칼 문서에 기초하여 “하나님의 경제”가 무엇인지 정의하였다. 하나님의 경제란 인간다운 삶을 파괴하는 가난을 몰아내는 경제이며, 인간의 본뉴적 가치와 자유에 근거한 경제요, 공동체성을 추구하는 경제이며, 지구공동체의 생명을 살리는 경제임을 논증하였다. 그리고 난 뒤에 하나님의 경제의 시각에서 오늘날 지배적 경제질서인 신자유주의 경제를 평가하고 문제점들을 지적하였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오늘날 제시되고 있는 다양한 경제대안들을 제시하였다. 위의 연구에 기초하여 하나님의 경제를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넬슨(C. E. Nelson)의 이론과 필자의 기독교 경제 연구그룹에서 얻어진 경험에 기초하여 제시하였다. 하나님의 경제를 공부하는 성인공부그룹의 필요성을 논하고 난 뒤에 하나님의 경제교육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교육내용을 모색하고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Christian Economic Education in order to face and adjust new and alien economic order in such global period of time. Firstly, there are a lot of problems arising because of universal competition by means of globalization in the present world. It is easily seen that the gulf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s bigger and bigger, people are losing the humanly quality of life, the ecosystem of the natural world is being ruined and the world of value is twisting. The awareness of community is weakening and individualizing. Such values as success for success’ sake and mommonism and fetishim are dominating in our society and human’s mind. Faith and Religion are also impropriating and personalizing. However, even though they are anti-christian and remarkably a trend in our time-spirit, our church is not interested in such problems and not considering Christian economic education to overcome them, analyzing our church(PCK) school texts. I insist that it is very necessary for our church to overcome the value of anti-christian economics and to educate the value of Christian economics and its life. Secondly, my study is to show both what God’s economics means on the basis of the Bible and Ecumenical documents and what church does for Christian economic education. It is insisted that God’s economics is that of reducing the poverty ruining humanly life, that of pursuing communal life and that of keeping all kinds of life of global community. Lastly, I judge the views of neo-liberalism’s economics dominating all of us and its problems from the point of God’s economics’s view and suggest some alternatives to overcome them. In conclusion I suggest the desirable ways of Christian education for God’s economics on the basis of C. E. Nelson and Christian economic study group to which I belong. I propose the educational contents to meet God’s economics, after insisting to build the study group for it.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기독교교육 연구동향 분석

        손정위(Jeong We Son)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7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4

        이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교육과 관련된 전문 학술지인(KCI등재지)『기독교교육논총』과『기독교교육정보』를 분석대상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행해서 키워드들의 빈도,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성, 하위그룹구조 등을 조사하고, 그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여 기독교교육의 연구동향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이다. 빈도분석에서는 두 학술지 모두 기독교교육의 전통적인 키워드들인 기독교교육, 교회교육, 영성교육, 신앙공동체, 교육과정, 교수학습, 아동교육, 청소년교육, 성인교육, 종교교육 등이 10회 이상 나타났다. 1회만 나타나는 키워드가 『기독교교육논총』에서 50%, 『기독교교육정보』에서 69%로 나타나서 기독교교육분야의 새로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을 알 수 있다. 기독교교육학의 하위영역과 연결해서 분석하면, 기독교교육 기초분야보다는 주로 기독교교육 실천 영역의 키워드들이 많은 빈도수를 나타냈는데, 발달단계별 영역인 아동교육, 청소년교육, 성인교육등이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고, 장별 영역으로 교회교육, 신앙공동체등이 나타났고, 기능별영역으로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등이 나타났다. 빈도수 4회 이상 키워드를 살펴보면 두 학술지 모두 최근 시대적 요구와 정신을 반영한 키워드가 많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인성교육, 포스트모더니즘 등이 두 학술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특징적인 매개중심성을 나타낸 키워드들은 『기독교교육논총』에서 교수학습과 포스트모더니즘, 『기독교교육정보』에서 교회학교교사, 기독교인, 포스트모더니즘 등으로 볼 수 있는데, 이들은 빈도수나 연결중심성의 순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개중심성 순위가 높게 나왔다. 하위그룹분석을 통해서 “기독교교육”은 『기독교교육논총』에서는 기독교학교, 대안교육, 인성교육 등과 연결되어 대안교육분야와 관련되어서 연구된 경향이 나타났고, 『기독교교육정보』에서는 성경교육, 한국교회 등과 연결이 되어 교회교육분야와 관련된 연구의 경향을 보였다. “영성교육”의 경우에도 『기독교교육논총』에서는 통전적교육, 포스트모더니즘 등과 연계되어서 시대적 흐름과 연결된 연구가 진행되었고, 『기독교교육정보』에서는 가족, 사회, 심리분석 등과 연관이 되어 있어서 실천의 장과 관련되어서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의 경우에는 『기독교교육논총』에서는 다문화교육, 평화교육 등이 나타나서 시대적인 요구와 연관이 되어있고, 『기독교교육정보』에서는 교육목회, 교회, 예배 등과 연관이 되어서 교회교육과 관련되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의 경우에는 『기독교교육논총』에서는 멀티미디어, 기독교대학 등이 나타났고, 『기독교교육정보』에서는 정보사회, 포스트모더니즘 등이 나타나서 두 학술지 모두 시대적인 필요와 요구와 관련되어서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 Christian education research trends through language net work analysis. The targets of this study are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and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In terms of key word frequency, Christian Education, Church Education, Spirituality Education, Faith Community,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Child Education, Youth Education, Adult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appeal more than 10 times. The key words related in practical research appear more than the key words related in foundational or theoretical research. The key words which show more than 4 time frequency are related comtemporary issues like Post Modernism and Character Education. In terms of betweenness centrality, the key words like Teaching and Learning and Post Modernism in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and Church School Teacher, Christian, Post Modernism in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show high ranking. “Christian Education”is researched relating with Christian School, Alternativ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in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as well as relating with Bible Education and Korean Church in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Spirituality Education”is studied relating with Wholistic Education and Post Modernism in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as well as relating with Family, Society and Social Analysis in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Curriculum” is explored relating with Multi Cultural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in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as well as relating with Education Ministry, Church and Worship in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Teaching and Learning” is researched relating with Multi Media and Christian University in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as well as relating with Information Society and Post Modernism in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기독교사 인식

        이은실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8

        본 연구는 기독교 대안교육의 기독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세계시민교육역량을 높이기 위해 어떤 교사 교육의 요구가 있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155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세계시민교육 실행 경험과 교사 교육 참여 의지, 교사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과를 보면 기독교사들은 세계시민교육이 기독교 대안학교에 필요하며 세계시민교육은 학생들의 세계시민성을 키우는 데 효과가 있고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세계시민교육의 내용 면에서는 기독교인의 정체성, 가치와 성품, 세계의 이슈를 기독교적 관점으로 조망하는 것의 중요도를 높게 제시했다. 기독교사가 기대하는 기독교 세계시민교육은 기독교세계시민의 정체성 및 가치관 확립에서 시작하여 지역과 사회, 세계의 이슈를 기독교적 관점으로 인식하고 실천과 참여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기독교 세계시민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가장 시급한 것으로 제시된 교사 연수의 내용과 방법, 학교 리더의 세계시민교육에의 관심과 참여를 다루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hristian educators in Christian alternative education percei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demands for teacher training in order to enhance thei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To achieve this goal, data was collected from 155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The data encompass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ir experiences in implementing it,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eacher training, and the objectives, content, and methods of teacher training. The results reveal that Christian educators recognize the necess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ey percei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effective in fostering students' global citizenship and consider it helpful. In terms of the cont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re was a strong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viewing Christian identity, values, character, and global issues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The desired form of Christia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anticipated by Christian educators, starts with establishing the identity and values of Christian global citizens. This foundation extends to perceiving and engaging with local, societal, and global issues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leading to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participation. The conclusion addresses the urgent need for teacher training content and methodologies to activate Christia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 environments. Additionally, i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chool leader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promo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임영택의 기독교교육 접근방법에 관한 고찰

        양승준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8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7

        Methods to approach Christian education are various both in theology and social science. In particular, educational areas in social science, such as educational psychology, educational engineering,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enrich Christian education. Young Taek Lim asserts that a cultural approach to Christian education, along with theology and social science, is indispensible in the diversification of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His educational purpose is to cultivate democratic citizens and thus he maintains that the cultural approach to Christian education helps people have a balance between being disciples of Christ and citizens in democratic society. It is because the meaning of being a Christian democratic citizen and its religious training is able to be formed on the basis of cultural foundation in its contemporary period. Young Taek Lim stresses the effect of confucianism, colonialism, and millitary culture on Korean Christian education through the cultural analysis. Confucianism has ruled education and its system through tradition and authority. colonialism, along with military culture, has advocated bureaucratic economic policy and forced people in order to accomplish growth and duty-centered society. As a result of that, Korean educational culture has dehumanized people with achievement-centered education while causing the distorted educational purpose, which is focused on college admission. in addition to this, Korean Christian education has failed to develop positive structure for proclamation of the gospel, contents to deliver for religious knowledge, and historical and critical awareness. Therefore, this article looks for alternative for Christian education through cultural approach and analysis. Also, it suggests critical culturalization with educational awareness, religious education in faith community, and practice of John Wesley's sanctification in the Christian educational field. This thesis intends to analyze Korean confucianism, colonization, and military cultures with the critical culturalization suggested by Young Taek Lim in Chapter II. Based on culturual factors, it deals with critical cultural education (chapter III), educational models in faith community (IV), educational awareness Theology of 단(斷) and sanctification (V), and a new structure for Christian educational methods of Young Taek Lim (VI). 기독교교육의 접근방법은 신학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사회과학 분야 가운데 교육학의 영역인 교육심리학, 교육공학, 교육행정학 등은 기독교교육을 더욱 풍요롭게 한다. 임영택은 사회적 현상과 문화가 다양해진 가운데 기독교교육이 신학 및 사회과학과 더불어 문화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그의 교육목적은 기독교적 민주시민을 형성하는 것이기에, 기독자가 되는 제자화와 민주시민이 되는 시민화가 균형 있게 갖춰지려면 기독교교육에 대해 문화적 접근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왜냐하면 기독교적 민주시민이 되는 의미와 신앙적 훈련은 그 시대 문화적인 토대 위에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임영택은 한국의 기독교교육에 대한 문화적 분석을 통해 유교문화, 식민지문화 그리고 군사문화의 토대에서의 영향을 피력한다. 유교문화는 전통과 권위로 교육과 제도를 지배하였으며, 식민지문화는 군사문화와 맞물려 관료적인 경제 정책을 내세워 성장과 과업중심의 사회를 이루기 위해 사람들을 강요하고 억압해왔다고 지적한다. 그 결과 한국의 교육문화는 업적중심의 교육으로 인간을 비인간화시키고, 은행식 교육과 입시위주의 교육 형태를 야기했다고 주장한다. 여기에 한국 기독교교육은 교회를 확장 시키는 양적인 구조, 종교지식을 전달하는 내용중심의 구조 그리고 역사와 비판의식을 개발하지 못하는 침묵문화의 구조에 동조할 뿐만 아니라 더욱 강화시켰다고 역설한다. 이러한 문화적 접근과 분석을 통해 임영택은 기독교교육의 대안적 방법을 모색하면서, 첫째, 비판적 문화화와 의식화 교육, 둘째, 신앙공동체 교육, 셋째, 존 웨슬리의 성화 신학과 기독교 단(斷) 신학이 기독교교육현장에 실천되어야 함을 다수의 논문과 저서들을 통해 제안한다. 본 논문은 임영택의 비판적 문화화를 토대로 한국의 유교문화, 식민지 문화, 군사문화의 요인들을 Ⅱ장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뒤틀린 문화적 요인들의 대안으로 비판적 문화교육학과 의식화 교육(Ⅲ장), 신앙공동체 교육 모형(Ⅳ장), 존 웨슬리의 성화와 한국민중신학의 단(斷)에 대해(Ⅴ장) 설명하고, Ⅵ장은 결론으로 임영택의 기독교교육방법론의 새로운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