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사’ 연구동향 분석: 한국과 미국의 기독교교육 비교연구

        손정위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8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EACHER’ research trends among Christian Education study in Korean and USA through language net work analysis(keyword network analysis). In terms of keyword frequency, ‘TEACHER EDUCATION’, ‘CHURCH SCHOOL TEACHER, ‘CHRISTIAN TEACHER’ and ‘PRELIMINARY TEACHER’ are appeared distinctively in Korean research. ‘CHRISTIAN TEACHER’ and ‘PRELIMINARY TEACHER’ are related to school education which means the importance of bring up Christian teacher in schoo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is related the role of teacher, which is changed from traditional role as just giving information to leadership role in which teacher facilitates learning community. In USA research, ‘THEOLOGY’ and ‘BIBLE’ are appeared distinctively. This result shows the main role of Christian education teacher is to teach theology and Bible. In terms of centrality analysis, ‘REFLECTIVE JOURNAL’, and ‘FEEDBACK’ are appeared typically in Korean study. These keywords have very low value in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but have very high value in closeness centrality. This result means that these keywords have strong influence in spite of having low connections in net work system. In USA study, keywords shows higher value in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but lower value in closeness centrality comparing to Korean study. This result means keywords are appeared with concentration in USA study, but appeared with diversity in Korean study. In terms of sub group analysis, in Korean study, ‘TEACHER EDUCATION’ is studied with community paradigm as well as individual paradigm. ‘CHURCH SCHOOL TEACHER’ is studied with essential role of teacher rather than functional role. ‘RELIGIOUS SCHOOL’ is studied with bringing up religious school teacher. In USA study, ‘THEOLOGY’ is studied with theoretical elements as well as practical elements. ‘LEARNING’ is studied with educational content as well as the situation and need of learners.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기독교교육 교사 연구 분야에서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하여 키워드 빈도수, 연결정도 중심성, 매개 중심성, 근접 중심성, 그리고 하위집단의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아울러 연구결과로 나타나는 각 나라만의 특징과 두 나라 간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비교분석하여 한국과 미국의 기독교교육 교사연구의 동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키워드 빈도분석에서 한국의 연구에서는 ‘교사교육,’ ‘교회학교교사,’ ‘기독교교사,’ ‘예비교사’등이 그 빈도수가 높고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교회학교교사를 제외한 교사교육, 기독교교사, 예비교사는 교육의 장이 학교라는 점과 이 키워드들이 종교교사양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사실은 한국 기독교교육 교사연구의 특이점이었다. 미국연구에서는 ‘신학,’ ‘성서’등이 특징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이것은 미국에서 기독교교육 교사의 역할이 기초적 교리를 중심으로 하는 신학과 그와 관련된 교육사상을 가르치는 것과 성서를 가르치는 일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심성 비교분석에서 한국연구의 특징적인 것은 ‘반성적 일기,’ ‘피드백’과 같은 종교교사양성과 관련된 키워드들이 연결정도 중심성이나 매개 중심성에서는 그 값이 평균치 이하로 아주 낮았지만, 근접중심성의 경우 최대값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는 종교교사양성이라는 주제가 표면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못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해 준다. 미국의 연구는 한국의 연구에 비해 연결정도 중심성 값이 높지만, 매개 중심성에서 미국연구보다는 한국연구에서 지표가 높은데, 이것은 미국의 연구에서는 키워드의 집중화가 한국의 연구에서는 키워드의 다양화가 나타났음을 알게 하여 준다. 하위집단분석에서 한국연구의 특징적인 것은 교사교육의 연구동향이 개인적인 패러다임 (정체성, 영성 등)과 아울러 공동체적인 패러다임(공동체)이 균형적으로 어우러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는 것이다. ‘교회학교교사’의 경우에는 교회학교교사들의 기능적인 면보다 본질적인 교사됨을 강조하는 연구가 진행됨을 알 수 있었고, ‘기독교학교’의 그룹에서는 종교교사양성과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연구에서는 ‘신학’ 그룹에서 기독교 신학의 이론적 요소와 실천적 요소가 골고루 균형적으로 나타났었고, ‘학습’ 그룹에서는 성서교육과 관련된 연구들과 아울러 학습자의 필요와 상황등과 연관되어 나타났는데, 이것은 교육의 내용과 학습자의 상황과 필요가 균형잡힌 모습으로 연구된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한국기독교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실천적 교육 방법론 -토마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적용-

        이미아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6

        Education is a powerful tool of socialization process to perpetuate the values of an individual or a society. An ideology to maintain the social structure of gender inequality is established as social convention by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al activities. Today, Korean church should reform herself to realize gender equality, which is the important move not only for her renewal and revival but also the enhancement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in Korean society. To make it come true, educational practice for the seminary students is needed for their’s recognizing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ractical teaching method to the seminary curriculum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in the seminary students. In a concrete way, this study illustrates a lesson plan model to practice into a teaching-learning process with the purpose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through employing the teaching method of Thomas H. Groome’s shared Christian praxis. This study describes the following contents as the result of the study. Introduction brings out a question related to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in Korean church and presents main topics to be discussed for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Chapter II investigates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in Korean church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gender equality issue in Korean church, which helps to understand the women ministers’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ontext and the relation between gender equality and the renewal of the church. Chapter III conducts the literature review of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ideologies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paradigm shift for the establishment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Based on this investigation, it tries to build the educational philosophy to include the concepts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Based on the study of chapter II and chapter III, Chapter IV explicates the components and movement process of Thomas H. Groome’s shared christian praxis model as a practical teaching model and adds some consideration to apply to teaching-learning scene. Chapter V illustrates the example of an actual model employing shared Christian praxis model to practice in a particular educational field. Specifically, that example is presented as a lesson plan with the class topic titled as “a typical pattern of workload sharing in pastoral ministry between men and women” for one session of a course of women’s studies in a theological seminary’s curriculum. Conclusion summarizes the overall process of the study and proposes the practical use of this praxis model for the teaching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over the various educational ar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utilized as a practical educational method for the paradigm shift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and to contribute to the renewal of Korean church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gender equality recognition in Korean society. 한 개인이나 한 사회의 가치를 영속화하는 사회적 과정은 ‘교육’에 의해 이루어진다. 성차별적 사회구조를 유지하는 이데올로기 역시 공식적, 비공식적 교육과정을 통해 사회적 통념으로 자리잡은 것이다. 오늘날 한국 기독교회의 양성 불평등 문제의 개혁은 한국교회의 개혁을 위해, 나아가 한국 사회의 양성평등 가치의 발전에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신학교 차원에서부터 기독교 사역자로 교육받는 남녀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을 위한 교육적 실천이 필요하다. 본서의 목적은 한국기독교(개신교)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해 기독교 관련 고등 교육기관으로서의 신학교 차원의 커리큘럼에서 실천적 교육방법론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토마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모델을 적용하여 양성평등의 인식과 관련한 실천적 교수-학습 모델(레슨 플랜)을 구성하여 구체적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목적 실현을 위해 본서는 1장 서론에서 한국 기독교회의 사역자들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과 관련한 문제를 제기하고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해 다루게 될 주요 명제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 기독교회 내 젠더 문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하면서 한국 기독교회와 양성평등 인식 수립의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3장에서는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교육과정의 신학적, 철학적 이데올로기와 교육적 패러다임 전환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먼저 고찰하고,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교육방법론의 기초가 되는 교육 철학의 구성 요소를 다루었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연구를 기초로 한국기독교(개신교)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실천적인 교육적 방법론으로서 토마스 그룸의‘나눔의 프락시스’방법론의 구성 요소와 핵심 활동의 과정 및 교수-학습 활동에서 이를 적용하기 고려점에 대해 연구하였다. 5장에서는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 ‘나눔의 프락시스’모델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의 실제적인 진행 모델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신학교 차원의 한 학기의 여성학 강의 중‘교회 내 남녀 사역자의 업무 분담의 정형성’이라는 한 차시의 수업을 위한 레슨 플랜을 프락시스 모델의 전개과정을 적용하여 예시하였다. 6장 결론에서는 연구의 전체적인 과정을 요약하고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교육적 방법론의 활용 및 확장을 위한 제안을 진술하였다. 본 연구가 ‘양성평등 인식’의 가치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실용적인 교육 방법론으로써 활용되고, 한국 기독교회의 성숙과 개혁을 위해, 나아가 한국사회의 사회적 차원에서의 ‘양성평등’ 인식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기독교 경제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박화경(Hwa-Kyung Park)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2 기독교교육정보 Vol.35 No.-

        본 논문은 세계화 시대에 급변하고 있는 경제질서에 대응할 수 있는 기독교 경제교육의 필요성을 논하고 기독교 경제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세계화로 인한 범지구적인 경쟁으로 인해 오늘날 세계에는 수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빈부격차가 심해지고,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없는 사람들이 증가되며, 생태계가 파괴될 뿐만 아니라 가치관의 왜곡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살인적인 경쟁으로 인하여 공동체의식은 깨뜨리고 개인주의적이고 성공지상주의 가치관이 나타났으며, 배금주의 가치관이 날로 강화되고 있고, 신앙은 사적인 영역으로 물러나게 되었다. 이런 가치관이 반기독교적인 가치관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교회에서는 기독교 경제교육을 실시되지 않고 있음을 예장(통합)교단의 교재를 통해 분석하였다. 기독교 경제교육이 실시되지않기 때문에 기독교인들도 반기독교적인 경제 가치관에 지배당하고 있음을 논하면서 기독교 경제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다음으로는 교회가 기독교 경제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 하나님의 뜻에 상응하는 경제가 무엇인지 알아야 하기 때문에 성서와 에큐메니칼 문서에 기초하여 “하나님의 경제”가 무엇인지 정의하였다. 하나님의 경제란 인간다운 삶을 파괴하는 가난을 몰아내는 경제이며, 인간의 본뉴적 가치와 자유에 근거한 경제요, 공동체성을 추구하는 경제이며, 지구공동체의 생명을 살리는 경제임을 논증하였다. 그리고 난 뒤에 하나님의 경제의 시각에서 오늘날 지배적 경제질서인 신자유주의 경제를 평가하고 문제점들을 지적하였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오늘날 제시되고 있는 다양한 경제대안들을 제시하였다. 위의 연구에 기초하여 하나님의 경제를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넬슨(C. E. Nelson)의 이론과 필자의 기독교 경제 연구그룹에서 얻어진 경험에 기초하여 제시하였다. 하나님의 경제를 공부하는 성인공부그룹의 필요성을 논하고 난 뒤에 하나님의 경제교육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교육내용을 모색하고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Christian Economic Education in order to face and adjust new and alien economic order in such global period of time. Firstly, there are a lot of problems arising because of universal competition by means of globalization in the present world. It is easily seen that the gulf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s bigger and bigger, people are losing the humanly quality of life, the ecosystem of the natural world is being ruined and the world of value is twisting. The awareness of community is weakening and individualizing. Such values as success for success’ sake and mommonism and fetishim are dominating in our society and human’s mind. Faith and Religion are also impropriating and personalizing. However, even though they are anti-christian and remarkably a trend in our time-spirit, our church is not interested in such problems and not considering Christian economic education to overcome them, analyzing our church(PCK) school texts. I insist that it is very necessary for our church to overcome the value of anti-christian economics and to educate the value of Christian economics and its life. Secondly, my study is to show both what God’s economics means on the basis of the Bible and Ecumenical documents and what church does for Christian economic education. It is insisted that God’s economics is that of reducing the poverty ruining humanly life, that of pursuing communal life and that of keeping all kinds of life of global community. Lastly, I judge the views of neo-liberalism’s economics dominating all of us and its problems from the point of God’s economics’s view and suggest some alternatives to overcome them. In conclusion I suggest the desirable ways of Christian education for God’s economics on the basis of C. E. Nelson and Christian economic study group to which I belong. I propose the educational contents to meet God’s economics, after insisting to build the study group for it.

      • KCI등재

        기독교 통일교육의 쟁점과 개선 방향성: 사례연구로 본 통일교육 주제의 통전적 균형을 중심으로

        전순영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2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2

        한국 기독교계의 통일교육은 통일선교 사역의 일환으로 교회와 선교단체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통일교육은 그 자체로 선교이며, 향후 통일한반도의 주축이 될 미래 세대를 양성하는 중요한 방법론이다. 그러나 한국 기독교계의 통일교육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현저히 부족한 상황이며, 진행되고 있는 통일교육도 신학, 이념, 교단 정체성 등에 따라 방향성과 접근방식의 혼선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기독교 통일담론이 형성되고 전달되는 대표적 공론장으로서의 연합 통일교육 프로그램인 ‘통일선교아카데미’‘통일코리아선교대회’‘기독청년통일아카데미’의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통일론, 통일선교론, 평화론의 대주제를 추출하였다. 통전적 균형의 관점에서 이 세 프로그램의 정치사회적 성향이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실증분석한 결과, ‘통일코리아선교대회’는 비교적 주제별 균형이 잡혀있었지만, ‘통일선교아카데미’와 ‘기독청년통일아카데미’는 각각 평화론과 통일선교론이 보강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와 선교단체들, 탈북민, 한인 디아스포라가 연합하여 오랜 기간 실시해 온 대표적 통일교육의 현장 사례를 통하여 한국 기독교인들에게 공유되고 있는 통일관을 살펴보고, 기독교 통일론, 통일선교론, 평화론의 통전적 균형 잡기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이에 따른 향후 기독교 통일교육의 방향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향후 한국 기독교계는 공론장에서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통일론과 통일선교론, 평화론의 영역에서 성경적 통일교육의 표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기독교 통일교육 전문가들과 현장 실무자들의 연합사역을 통하여 차세대 대상의 기독교 통일교육 컨텐츠 개발과 공유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기독교교육 분야에서 통일교육연구의 동향분석

        성백,박형서,공기인,안창진,서유림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7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ndency of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field of Christian perspective,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is study is based on papers about unification education in Christian perspective which were published after 2000. To do so, this paper suggests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unification from Christian perspectives, based on analysis of various unification education inquiries, methods of research, researchers, and learned journals. The first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research has accomplished actively during the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government. It shows an active mood of society on discussion of unification. Secondly, studies especially tend to focus on a field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ology because Christian education is a part of the theology. However, those studies should be done in a broad spectrum of fields. Third, in research methodology, papers were concentrated too much in documentary research. Further study in this field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the quality of research but also the amount of research. Forth,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which is an academi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published mostly among journals; however,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published only 5 journals. More research on unification education field should be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order to relieve the burden of unification, many researches in different area should be achieved.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교육 분야에서 통일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2000년 이후 기독교교육 분야에서의 통일교육 논문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독교교육 분야에서 통일교육 연구들을 시기별로 분석하고, 연구논문에 사용된 연구방법, 주된 연구자, 연구논문들이 게재된 학술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기독교교육 분야에서의 통일교육 연구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별로 최근 정권인 이명박, 박근혜 대통령 시절에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있다. 이것은 최근의 통일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사회적 분위기와 관련이 있다고 보여진다. 둘째, 학위논문과 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지의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통일교육신학에 연구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기독교교육이 신학의 한 분과로 있기 때문으로 보이는데, 좀더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본다. 셋째, 연구방법론에서 문헌연구에 편중된 현상을 발견하였는데,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질적인 연구를 비롯하여, 양적인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연구저널에서 기독교교육학회의 학술지인 기독교교육논총이 가장 많은 논문을 게재하였지만, 기독교교육정보학회 학술지인 기독교교육정보는 5편에 불과하였기 때문에, 기독교교육정보학회에서 통일교육 영역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과정으로서의 통일을 볼 때, 다양한 영역에서 많은 연구들이 계속 이루어져야 앞으로 다가올 통일의 짐을 덜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 본 애니 베어드의 삶과 사상

        정남용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4 기독교교육정보 Vol.- No.82

        본 연구는 미 북장로교 소속 교육선교사로 사역했던 윌리엄 베어드(William Martyne Baird)의 아내로, 1891년 내한하여 1916년 하늘의 부름을 받을 때까지 평양을 중심으로 사역했던 개척선교사 애니 베어드(Annie Laurie Adams Baird)를 기독교 교육적 관점에서 그의 생애와 사역, 교육사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애니 베어드는 26년 동안 한국선교의 현장 최일선에서 교사로, 교육행정가로, 강의교재 번역가로, 교재집필가로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기독교적 인재를 양성하고 나아가 후대를 위한 유의미한 업적을 다수 남긴 한국 기독교교육의 프런티어 였다. 그럼에도 그에 대한 기독교교육학적 접근과 연구, 평가는 매우 미진한 것이 현실이다.(기독교교육 분야에서 그녀에 대한 학위, 연구 논문이 단 한 편도 없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애니 베어드를 기독교교육의 안목에서 고찰하는 첫 시도로 이 연구를 수행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애니 베어드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 추이를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이어서 그가 기독교교육자로 형성되어 가는 과정과 기독교교육자로서 그가 선교 현장에서 펼쳤던 기독교교육 사역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일관성 있게 흐르는 그의 기독교교육 사상으로 세 가지 중심사상을 상정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기독교교육자 애니 베어드는 복음을 중심으로 변혁을 도모하는 복음 중심주의, 한국의 선교사로서 성육신적 자세와 태도로 토착지 한국과 토착어 한국어와 토착민 한국인을 끝까지 사랑한 토착 중심주의, 그리고 여성으로서 한국의 현실에서 가장 긴급하고 필요한 사역으로서 여성교육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서 여성을 일깨운 여성 중심주의로 정리해 보았다. 이 연구가 애니 베어드에 대한 연구와 창조적 계승의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about Annie Laurie Adams, the wife of William Martyne Baird, who served as an educational missionary for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and a pioneer missionary who came to Korea in 1891 and worked mainly in Pyongyang until receiving heaven's call in 191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Baird's life, ministry, and educational ideas from a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For 26 years, Annie Baird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forefront of Korean missions as a teacher, educational administrator, lecture material translator, and textbook writer, nurturing Christian talent and leaving behind many meaningful achievements for future generations. It was Frontier. Nevertheless, the reality is that the Christian pedagogical approach, research, and evaluation of her are very insufficient. (There is not a single degree or research paper about her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With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e author considers Annie Baird as an insight into Christian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as the first attempt to consider. To this end, we first summarized the trends in research on Annie Baird. Next, we looked at the process of his formation as a Christian educator and the Christian education work he carried out in the missionary field as a Christian educator. And in the process, I assumed three central ideas as his Christian education ideas that flow consistently. In conclusion, Christian educator Annie Baird believes in gospel-centrism, which seeks transformation centered on the gospel; indigenous-centrism, which loves the native land of Korea, the native language, and the native Koreans to the end with an incarnational attitude and attitude as a missionary to Korea; and the native-centrism of Korea as a woman. We recognized women's education as the most urgent and necessary ministry in reality, and organized it into a feminism that awakens women to this end. I hope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catalyst for research and creative succession of Annie Baird.

      • KCI등재

        하나님 나라를 향한 다음 세대의 기독교 신앙교육: 코메니우스의 교육 유산을 중심으로

        최진경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4 기독교교육정보 Vol.- No.82

        현재 한국 기독교의 큰 위기 중의 하나는 기독교 신앙에 대한 다음 세대의 무관심과 교회 이탈이라 할 수 있다. 다음 세대 신앙 교육에 전력을 다하지 않으면 앞으로 한국교회의 성장과 존립은 심각한 어려움에 봉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한국 기독교의 가장 시급한 과제는 무엇보다도 다음 세대 신앙교육이라고 보고, 다음 세대 신앙 형성을 위해 교육 변화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다음 세대에게 그들의 삶에 기독교 신앙이 의미 있게 다가가도록 기독교 교육의 방향과 과제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17세기 과도기에 다음 세대 교육을 위해 획기적인 교육 아이디어와 제안으로 교육학의 대가로 인정받고 인간 개선과 세계 개선을 시도했던 코메니우스(Johann Amos Comenius)의 기독교 교육 유산, 즉 ‘하나님 나라 비전’, ‘지성-덕성-신앙의 조화를 통한 전인교육’ 그리고 ‘믿음-사랑-소망을 통한 신앙 형성’을 한국 기독교의 다음 세대 교육 방향과 과제로 제안한다. One of the biggest crises facing Korean Christianity today is the next generation's indifference to the Christian faith and departure from the church. If we do not seek changes to shape the faith of the next generation, the growth and existence of the Korean church will face serious difficulties in the future. Accordingly,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the most urgent task for Korean Christianity today is the religious education of the next generation, and that educational changes are necessary to form the faith of the next generation. There is a need to reexamine the direction and tasks of Christian education so that the Christian faith can meaningfully approach the lives of the next generation. To this end, this paper proposes the Christian educational legacy of Johann Amos Comenius, who was recognized as a master of pedagogy with groundbreaking educational ideas and proposals for the education of the next generation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17th century and attempted to improve humanity and the world, namely, ‘vision of the kingdom of God,’ ‘holistic education through the harmony of intellect, virtue, and faith,’ and ‘faith formation through faith, love, and hope,’ as the educational direction and tasks of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Christianity.

      • KCI등재

        한국의 공교육에서 기독교 학교의 과제와 방향: 아우구스티누스의 ‘교양교육론’을 중심으로

        이응모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9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olve the problems of Christian schools in Korea’public education by liberal education of Augustine. Christian schools in Korea have bee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chools. Because Korea’s Christian schools have depended on government in their operating costs. Although they have been established as private schools by an individual or private organization, they have been the duties of pubic school. The fact means that Christian schools can not teach their students as only their educational purpose based in Christian spirit. And in spite of private schools Christian schools have been forced by government to be faith-neutral institutions and to do the role of social integral. In the situation of Korea, Christian school should do the role of public school and also the role of their unique role. In other word, they should do their dual roles. Augustine’s theory of liberal arts will be as an our useful alternative solution when we try to solve the problems of christian educations that have been the characters and factors of public educational. 본 논문의 목적은 아우구스티누스의 교양교육을 통해 한국의 공교육 속에서 기독교 학교가 지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한국의 기독교 학교의 특징 중 하나는 공립학교의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한국의 기독교 학교는 개인 또는 사적 단체에 의해 설립되었지만 운영비와 관련해서는 상당 부분 국가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기독교 학교가 건학 이념에 비추어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교육을 실시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기독교 학교는 국가로부터 종교의 중립적 자세와 사회 통합의 역할을 강요받고 있다. 기독교 학교들은 사립학교로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고유한 건학 이념을 실현해야 하는 역할과 함께 공립학교에 부과하는 다양한 의무와 역할들을 동시에 감당해야 한다. 다시 말해, 기독교 학교는 사립학교와 공립학교라는 이중적 특성으로 인해 공립학교로서 그리고 사립학교로서의 이중적 책무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교양교육론은 공교육적 기독교 학교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그의 교양교육론은 이성을 통한 하나님의 발견과 세계 질서 추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하나님에 대한 앎에 있어 신앙과 더불어 이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세계 질서에 따른 조화로운 삶의 자세를 추구하였다.

      • KCI등재

        한국사회 패러다임의 변화와 기독교교육 혁신: ‘상호종교교육’을 지향하며

        손원영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4 기독교교육정보 Vol.- No.81

        본 논문은 한국사회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성찰한 뒤, 그 토대 위에서 한국 기독교교육의 혁신방향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한국사회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과학기술, 정치경제, 그리고 종교문화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토대 위에서 새로운 기독교교육의 방향으로 기독교교육이 ‘상호종교교육’으로 새롭게 재 개념화 될 것과 더불어 기독교교육의 패러다임도 ‘상호비판적 대화교육’으로 전환될 것을 촉구하였다. 상호종교교육으로서의 기독교교육은 기독교 내의 여러 교파 간의 대화교육, 기독교와 이웃종교와의 대화교육, 그리고 구성신학적 대화교육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동안 기독교교육에서 영 교육과정으로 배제되었던 주제들을 이제 과감히 명시적 교육과정으로 적극 수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상호종교교육의 연구방법론은 비판적 상관관계방법이 제시되었다. 그것은 선텍스트, 텍스트, 컨텍스트라는 텍스트의 삼중성의 해석학적 순환을 강조하는 것으로서, 각 텍스트의 범위와 강조점도 상호 호혜적으로 평등하게 확대될 것을 제안하였다. 특히 성서교육은 기존의 기독교 신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을 넘어서 무신론자 및 이웃종교인을 대상으로 한 열린성서학습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flect on the paradigm shift in Korean society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innovation in Korean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that foundation. To this end, this article examines the paradigm shift in Korean society in terms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tics and economy, and religion and culture, and calls for a new paradigm shift in Christian education to “intra/interreligious education” and “mutual critical dialogue education” as a new direction for Christian education. Christian education as intra/interreligious education means dialogue education between different denominations within Christianity, dialogue education between Christianity and neighboring religions, and dialogical education of constructive theology, and it is proposed that topics that were previously excluded from Christian education as null curriculum should be boldly embraced as explicit curriculum. The research methodology for intra/interreligious education is the critical correlational method. It emphasizes the hermeneutical cycle of the threefold textuality of pre-text, text, and context, and suggests that the scope and emphasis of each text be expanded reciprocally and equally. In particular, it emphasizes the need for Bible education to go beyond the existing education of Christian believers to “open-Bible-learning” to atheists and people of neighboring religions.

      • KCI등재

        기독교 유아 홈스쿨링 가정의 실태 및 요구도 조사

        유희진(Hee Jin Yoo),정희영(Hee Young Jeong)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5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47

        본 연구는 기독교 유아 홈스쿨링 가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홈스쿨링 교육의 실태와 요구를 파악하여 홈스쿨링 교육의 활성화와 추후 기독교 유아 홈스쿨링 교육과정 개발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교육적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독교 유아 홈스쿨링을 하고 있는 5가정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질적 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기독교 유아 홈스쿨링 가정들은 종교적 신념에 따라 교육을 시작하지만 기독교교육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교육과정에 있어서 교육목표를 막연하게 설정하고 전인적 발달을 꾀하면서도 신앙과 학문을 기독교적으로 통합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는 한국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과 영적 성장을 이끌면서도 창의와 인성을 중시하는 교육을 원했다. 넷째, 홈스쿨링 교육 실행에 있어서 상당히 높은 만족과 긍정적 평가를 보였으며 개인 시간의 부재와 시간 활용에 대한 어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기독교교육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적 통합교육을 위한 안목을 키우기 위해 기독교세계관에 대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며, 한국형 기독교 유아 홈스쿨링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ing the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direction that can be used when developing Christian home schooling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The study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 and demands of the families practicing Christian Home-schooling for young children. We used a qualitative study to collect and analyze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five Christian home schooling famil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ristian home-schooling families are starting an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religious beliefs, but they turned out to have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Christian education. Second, it revealed that they set the educational goals vaguely and pursue holistic development, while they do not integrate faith and learning by Christian. Third, they wanted an education with an emphasi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as well as spiritual growth. Also they wanted the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Korea situation. Fourth, although they have issues with the lack of personal time and time management, they felt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and had a positive evaluation in education.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Korean-style Christian Home-schooling curriculum and Christian parents education is needed to raise awareness of Christian integration education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