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orynebacterium glutamicum에서 hisI 유전자의 분자적 클로닝

        천재연,이명석 숙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0 자연과학논문집 Vol.- No.11

        Corynebacterium glutamicum의 DNA library를 이용하여 Escherichia coli histidine 영양요구균주에 complementation하는 방법으로 hisI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E. coli hisI mutant에 complementation하는 7.8 kb와 6.0 kb fragment를 포함하는 recombinant DNA를 pHI1와 pHI2로 명명하고 여러 가지 제한효소들로 제한효소지도를 작성하였다. pHI1와 pHI2의 overlap되는 4.Okb fragment 부위가 phosphoribosyl-AMP cyclohydrolase를 암호화하는 hisI 유전자를 포함함을 알 수 있었다. phosphoribosyl-AMP cyclohydrolase를 암호화하는 hisI 유전자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DNA조각을 subcloning하고 형질 전환하여 hisI 유전자의 최소단위는 PstI-HindIII 1.8kb를 포함하는 pHI12임을 확인하였다. Complementation cloning of the hisI gene in Corynebacterium glutamicum was done by transforming the genomic DNA library into the corresponding histidine auxotrophs of Escherichia coli. Recombinant plasmids containing 7.8 kb and 6.0 kb fragments were also able to complement the E. coli hisI mutant. The insert DNA fragments in the recombinant plasinids, named puIl and pHI2, were physically mapped with several restriction enzymes. By further subcloning the entire DNA fragment containing the function and by complementation analysis, we located the hisI gene of C. glutamicum on the 1.8kb PstI-HindIII pHI12 fragment.

      • Corynebacterium glutamicum hisD유전자의 염기서열 결정과 유사성 분석

        천재연,이명석 숙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2 자연과학논문집 Vol.- No.13

        Corynebacterium glutamicum의 DNA library를 이용하여 Escherichia coli histidine 영양요구 균주에 complementation하는 방법으로 hisD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E. coli argD mutant에 complementation하는 6.8 kb와 4.0 kb fragment를 포함하는 recombinant DNA를 pHD1와 pHD2로 명명하고 여러 가지 제한효소들로 제한효소지도를 작성하였다. pHD1와 pHD2의 overlap되는 4.0 kb fragment부위가 bifunctional enzyme인 histidinol dehydrogenase를 암호화하는 hisD 유전자를 포함함을 알 수 있었으며, 제한효소지도를 이용하여DNA 조각을 subcloning하고 형질 전환하여 hisD 유전자의 최소단위는 BamHI-KpnI 1.5 kb를 포함하는 pHD23임을 확인하였다. 염기서열 결정결과 pHD23은 1,299 bp의 ORF를 가지며 432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분자량 46 kDa의 polypeptide를 암호화암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유전자는 Gram-positive bacteria의 Mycobacterium tuberculosis의 hisD유전자와 61%로 높은 유사성을 보인다. Complementation cloning of the hisD gene in Corynebacterium glutamicum was done by transforming the genomic DNA library into the corresponding histidine auxotrophs of Escherichia coli. Recombinant plasmids containing 6.8 kb and 4.0 kb fragments were also able to complement the E. coli hisD mutant. The insert DNA fragments in the recombinant plasmids, named pHD1 and pHD2, were physically mapped with several restriction enzymes. By further subcloning the entire DNA fragment by their complementation analysis, we identified the hisD gene of C. glutamicum on the 1.5 kb BamHI-KpnI pHD23 fragment.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ORF of hisD was 1,299 bp and it contained 432 amino acid with a molecular weight of 46 kDa.

      • Corynebacterium glutamicum hisI 유전자의 염기서열 결정과 유사성 분석

        천재연,이명석 숙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2 자연과학논문집 Vol.- No.13

        Corynebacterium glutamicum의 DNA library를 이용하여 Escherichia coli histidine 영양요구 균주에 complementation하는 방법으로 hisI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E. coli hisI mutant에 complementation하는 7.8 kb와 6.0 kb fragment를 포함하는 recombinant DNA를 pHI1와 pHI2로 명명하고 여러 가지 제한효소들로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하였다. pHI1와 pHI2의 overlap되는 4.0 kb fragment 부위가 phosphoribosyl-AMP cyclohydrolase를 암호화하는 hisI 유전자를 포함함을 알 수 있었으며, 제한효소 지도를 이용하여 DNA 조각을 subcloning하고 형질 전환하여 hisI 유전자의 최소단위는 PstⅠ-HindⅢ 1.8 kb를 포함하는 pHI11임을 확인하였다. 염기서열 결정결과pHI1은 357 bp의 ORF를 가지며 11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분자량 13 kDa의 polypeptide 를 암호화암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유전자는 Gram-positive bacteria의 Mycobacterium tuberculosis의 hisI 유전자와 71%로 높은 유사성을 보인다. Complementation cloning of the hisI gene in Corynebacterium glutamicum was done by transforming the genomic DNA library into the corresponding histidine auxotrophs of Escherichia coli. Recombinant plasmids containing 7.8 kb and 6.0 kb fragments were able to complement the E. coli hisI mutant. The insert DNA fragments in the recombinant plasmids, named pHI1 and pHI2, were physically mapped with several restriction enzymes. By further subcloning of the entire DNA fragment and by their complementation analysis, we identified the hisI gene of C. glutamicum to the 1.8 kb PstⅠ-HindⅢ pHI12 fragment.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ORF of hisI was 357 bp and it contained 118 amino acid with a molecular weight of 13 kDa.

      • Corynebacterium glutamicum hisD 유전자의 분자적 클로닝

        천재연,이명석 숙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9 자연과학논문집 Vol.- No.10

        Corynebacterium glutamicum의 DNA library를 이용하여 Escherichia coli histidine 영양요구균주에 Complementation하는 방법으로 hisD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E. coli argD mutant에 complementation하는 6.8 kb와 4.0 kb fragment를 포함하는 recombinant DNA를 pHDl와 pHD2로 명명하고 여러 가지 제한효소들로 제한효소지도를 작성하였다. pHDl와 pHD2의 overlap되는 4.0 kb fragment 부위가 bifunctional enzyme 인 histidinol dehydrogenase를 암호화 하는 hisD 유전자를 포함함을 알 수 있었다. Histidinol dehydrogenase를 암호화 하는 hisD 유전자들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DNA 조각을 subcloning하고 형질 전환하여 hisD 유전자들의 최소단위는 BamHI-Kpnl 1.5kb를 포함하는 pHD23임을 확인하였다. Complementation cloning of the hisD gene in Corynebacterium glutamicum was done by transforming the genomic DNA library into the corresponding histidine auxotrophs of Escherichia coli Recombinant plasmids containing 6.8 kb and 4.0 kb fragments were also able to complement the E. coli hisD mutant. The insert DNA fragments in the recombinant plasmids, named pHD1 and pHD2, were physically mapped with several restriction enzymes. By further subcloning the entire DNA fragment containing the function and by complementation analysis, we located the hisD gene of C. glutamicum on the 1.5 kb BamHI-KpnI pHD23 fragment.

      • Corynebacterium glutamicum의 arginine 생합성 관련 유전자에 관한 연구

        천재연,이명석 숙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6 자연과학논문집 Vol.- No.7

        Corynebacterium glutamicum의 DNA library를 이용하여 Escherichia coli arginine 영양요구균주에 complementation하는 방법으로 argC, E, D, F, A유전자를 cloning하였다. E. coli argB mutant에 complementation하는 6.7 kb와 4.8 kb fragment를 포함하는 recombinant DNA가 E. coli argC, E, A, D와 F에 역시 complementation하였고, 유전자들이 cluster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RB1와 pRB2로 명명된 recombinant DNA를 여러 가지 제한효소들로 제한효소지도를 작성하였다. 각 유전자들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DNA조각을 subcloning하고 형질 전환하여 각 유전자의 순서는 argCEBDF로 결정하였다. 여기서 argE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고, 다른 균주와의 sequence homelogy조사에 의해 우리가 클로닝한 argE가 argJ유전자이며 ornithine acetyltransferase를 암호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미 보고된 ArgJ protein의 아미노산 서열과 homology를 조사한 결과 B.stearothermophilus와 B.substilus의 ArgJ protein과 각각 37%, 38%의 높은 homology를 보여 주었고, Neisseria gonorrhoeae와 Saccharomyces cerevisiae와는 각각 38%, 37%의 homology를 보였다.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C. glutamicum의 유전자 조작을 통해 arginine을 더 많이 생산하는데 있다. Complementation cloning of the argC,E, B, D, F, and G genes in Cornebacterium glutamicum was done by transforming the genomic DNA library into the corresponding arginine auxotrophs of Escherichia coli. Recombinant plasmids containing 6.7kb and 4.8kb fragments complementing the E.coli argB mutant were also able to complement the E. coli argC, E, A, D, and F mutants, indicating the clustered organization of the arginine biosynthetic genes within the cloned DNA fragments. The insert DNA fragments in the recombinant plasmids, named pRB1 and pRB2, were physically mapped with several restriction enzymes. By further subcloning the entire DNA fragment containing the functions and by complementation analysis, we located the arg genes in the order of ACEBDF on the restriction map. We also determined the DNA nucleotide acetyltransferas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argJ gene shows 37%, 38%, 38%, and 37% identity to that from Bacillus strearothermophilus, Bacillus substilus, Neisseria gonorrhoeae,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respectively.

      • KCI등재

        소수계 유역 인공습지에서 식생 밀도 차이에 따른 영양염류 제거효율

        고지연,강항원,이재생,김춘송,Sakadevan,K.,Bavor, H. J. 한국환경농학회 2003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2 No.4

        호주 시드니 인근 도·농 복합 소도시로부터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을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된 Plumpton park와 Woodcroft park 인공습지의 처리효율을 살펴본 결과, 수생식물의 밀도가 증가하고 식생이 안정된 Plumpton park 인공습지에서 T-P의 26.2%, T-N의 38.3%, 식생분포가 안정적이지 않은 Woodcroft park에서 14.0%와 20.2%가 각각 제거됨으로서 식물체 근권 미생물에 의한 T-P 및 T-N의 제거 효율이 상당히 큼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N와 T-P에 비하여 NH₄-N, NO₃-N, PO₄^(-3)의 제거율이 높았던 것은 무기태 형태의 영양염류가 식물 및 미생물에 더 쉽게 이용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인공습지에서 식물체와 근권 주위 미생물에 의한 염류제거는 인공습지가 설치한지 오래되었을 때도 효과적이었고, 또한 인공습지는 무기태 영양염류의 제거효율이 더욱 높았으므로 무기화학비료 등의 용탈이 일어나기 쉬운 농경지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질오염의 개선에 이용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도 효율적인 system으로 고려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2 constructed wetlands with different vegetation states (Plumpton park wetland and Woodcroft park wetland)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small watershed consisted of residential and agricultural area in suburban district of Sydney, Australia. The total nitrogen and phosphate removal efficiency of Plumpton park constructed wetland, composed of stable and dense vegetation, were 38.3% and 26.2% and Woodcroft park constructed wetland having still poor vegetation due to the short time to settle down transplanted plants after construction, showed relatively low removal efficiency of 20.2% and 14.0%. The removal efficiency of inorganic nutrients such as NH₄-N, NO₃-N, PO₄^(-3) were higher than total nitrogen and phosphate because plants and microorganisms in rhizosphere of constructed wetlands took up inorganic nutrients shortly. According to the type of wetland inflow, the nutrients removal efficiency of storm water flow was lower than base flow.

      •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이 발생한 저위험군 발열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구 항균제 요법의 임상적 유용성 및 안정성에 대한 연구

        김연숙,이혁,기현균,김춘관,김신우,김성민,백경란,김원석,윤성수,이홍기,강원기,박찬형,박근칠,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1

        목적 :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을 동반한 발열이 발생하는 암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항균제와 여러 가지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는 가운데, 합병증과 사망률의 발생가능성이 적은 저위험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초기 72시간동안 정주 항균제를 투여한 이후 경구 항균제로 전환하는 요법의 유용성과 안정성을 평가해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8년 2월부터 1999년 9월까지 본원에서 항암화학요법 중 호중구감소증과 발열이 발생한 환자들 가운데 기저 암질환이 고형암이거나 림프종이고, 입원당시 패혈증의 증후가 없으며 입원 72시간이내에 해열되고 백혈구수치가 증가 추세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72시간 동안 정주 항균제를 투여한 이후 경우 ciprofloxacin 750㎎을 하루 2회씩 투여하여 총 4일간 투여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열이 떨어지고 호중구감소증이 회복될 때까지 입원하도록 하였다. 결과 : 총 38명 환자의 40예가 등록이 되었고, 환자들의 기저암 질환은 고형함이 72.5%, 림프종이 27.5%였다. 입원당시 평균 호중구치수는 156/㎕였고, 호중구수치가 100/㎕미만인 경우는 65%였으며, 호중구감소증이 지속된 기간의 평균은 2.4일이었다. 40예 중 39예가 항균제의 변형이나 추가 없이 호중구감소증과 발열로부터 회복이 되어 97.5%의 성공율(95% 신뢰구간: 86.8-99.9%)을 보였다. 부작용으로 피부발진이 있었던 경우가 한 예 있었는데, 증상이 경하여 경구 항균제를 지속할 수 있었다. 심와부의 동통으로 복용을 지속할 수 없어서 대상에서 제외된 예가 또 한 예 있었다. 결론 : 항암요법 중 호중구감소증과 발열을 동반한 환자들 가운데 저위험군 환자들에서 항균제 72시간정주 이후 경구 항균제로의 전환요법은 효과적이고도 안전한 치료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 Oral antibiotic therapy following empirical intravenous antibiotics may be effective and safe for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with lowrisk for complications. Methods : We conducted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of oral antibiotic therapy in the patients with neutropenia and fever during chemotherapy for cancer. Underlying malignancies were solid tumor or lymphoma with short duration of neurtropenia and the patients had no evidence of clinically or microbiologically documented infections. Oral ciprofloxacin was given to the patients who lacked signs of sepsis on admission, had a rising tendency of neutrophil count (ANC >100 /㎕ ) at 72 hours, and were afebrile at 72 hours. All patients were hospitalized until neutropenia and fever resolved. Results : A total of 40 episodes of 38 patients were enrolled from February 1998 to September 1999. The mean neutrophil counts on admission were 156/㎕ and the mean duration of neutropenia was 2.4 days. The episodes which had neutrophil count below 100 /㎕ were 26 (65%). Treatment was successful in 39 of 40 episodes (97.5% : 95 % confidence interval, 86.8% to 99.9%). Adverse reactions of oral ciprofloxacin were skin rash and epigastric soreness in two cases, respectively. There were no deaths during the study. Conclusions : For low-risk febrile patients with neutropenia during cancer chemotherapy, switch therapy to oral ciprofloxacin at 72 hours following intravenous broad-spectrum antibiotics is effective and safe,

      • KCI등재

        보릿짚의 수분함량 및 수확시기가 소각시 대기오염물질 발생에 미치는 영향

        고지연,강항원,이재생,김춘송,박성태,김복진 한국환경농학회 2004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3 No.2

        영남지방 벼-보리 이모작답에서 가장 널리 시행되고 있는 보릿짚 처리방법인 소각이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소각시 발생하는 온난화가스, 대기오염가스 및 분진발생량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보릿짚 소각시 온난화가스 발생량은 CO₂376.8, CH₄ 1.56, N₂O 0.05 kg/10a 로서 CO₂의 발생량이 가장 많았으며, 대기 오염가스 중에는 유기물의 불완전 연소시 배출되는 CO발생량이 28.8 kg/10a로서 가장 많았다. 그 외 SO₂ H₂S, NH₃, NO등의 질소 및 황 함유 유해가스도 소량 발생되었고 발생된 PM 10 분진의 대부분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PM 10보다 큰 PM 2.5로 이루어져 있었다. 또한 수확시기가 빠르거나 수분함량이 높은 보릿짚일수록 온난화가스 및 대기오염 가스의 발생량이 증가하고 소각 연기내 PM 10 분진중 PM 2.5의 미세분진 비중이 높았다. 수확적기로 알려진 출수 40일 이후의 보릿짚은 출수 후 40일된 보릿짚 소각시 발생하는 대기오염가스 발생량과 큰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impacts of burning of barley straw produced from rice-barley double cropping paddy field on air quality by investigating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CO₂, CH₄ and N₂O), air pollution gases (CO, SO₂, H₂S, NH₃ and NO) and particulate matters (PM 10 and PM 2.5). When the barley straw at a rate of 4.5 t/ha was burned at open status, the emitted GHGs amounts were CO₂ 376.8 kg/10a, CH₄ 1.56 and N₂O 0.06. The amount of CO emission was the largest among air pollution gase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range of 45~55% of total C in barley straw was emitted as CO₂-C, followed by CO-C (6.4~5.9%) and CH₄-C (0.5~0.7%). As far as moisture content in barley straw is concerned, the higher moisture content that the barley straw contains, the larger amount of air pollution gases and the higher portion of PM 2.5 in PM 10 were emitted when it burned. In case of harvesting time of barley straw, emission amounts of greenhouse, air pollution gases and PM 2.5 portion in PM 10 had tendency to increase when earlier harvested barley straw was burned.

      • 다발성 간종괴의 형태로 나타난 특발성 과호산구 증후군 치험1예

        최승오,연규민,이승민,김순제,왕준호,박형석,이재동,진춘조,이창훈,신현준,김정은 건국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4 건국의과학학술지 Vol.14 No.-

        Hypereosinophilic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persistent blood eosinophilia of 1,500/ul or more in the absence of known causes and multiorgan dysfunction by eosinophil-related tissue damage. In Korea, some cases of hypereosinophilic syndrome with hepatic involvement have been described with prolonged benign clinical courses. Most of them were diffuse or multifocal lesions in imaging studies, and a few case presenting as a single mass has been described. Here we report a case of hypereosinophilic syndrome with hepatic involvement in a 65-year-old man who presented with multifocal mass lesions. By abdominal US and CT scan, multiple, ill-defined nodules were detected in throughout the liver. Liver biopsy revealed severe eosinophilic hepatitis, suggestive of hypereosinophilic syndrome. Hepatic mass lesions improved after steroid administration for several weeks.

      • Estradiol에 의한 흰쥐-자궁의 수축 기능과 Polyamine 대사의 변동에 관한 연구

        이명아,고재홍,이영재,신경호,전보권,천연숙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1995 고려대 의대 잡지 Vol.32 No.3

        The polyamines have been postulated to be essential in most processes associated with both hypertrophy and hyperplasia. The effects of estrogen on uterine contractility vary with animal species, and most reports have shown that in vitro contractility of rat uterus is decreased after estrogen treatment, but estrogen increases polyamine contents in castrated rat uteru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gulation of polyamine metabolism may be instrumental in the contractile response of castrated nonpregnant uterus of female SD rats to electrical field stimulation (40 V, 100 μsec : EFS). Estradiol (E2) increased uterine contents of putrescine (PT), spermidine (SPD), and spermine (SPM). These E2 effects were inhibited by tamoxifen or DFMO, but E2-incuced increase of uterine SPM content was enhanced by aminoguanidine. E2 decreased the amplitude of force developed in the rhythmic spontaneous contraction of rat uterus, but it exaggerated the increase of uterine contraction force in response to EFS. The E2-dependent exaggeration was inhibited by tamoxifen, DFMO, or indomethacin, but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aminoguanidine. The synergism between E2 and aminoguanidine on uterine contractility was little affected by indomethac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2-dependent increase of uterine contractility may be ascribed partly to increase of uterus polyam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