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재래 조의 출수생태형 분류

        이재생,오병근,송석보,강종래,서명철,고지연,우관식,남민희,허온숙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04

        국내에서 재배되는 재래조는 품종수가 많고 다양한 출수생태를 보이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체계화된 출수생태 에 기반한 연구가 미흡하여 지역별 재배시기 및 다양한 작부체계에 적용될 수 있는 품종선정이 어려운 실정이 다. 따라서 재래조의 출수생태형을 구분하고자 국내에 재배되고 있는 40품종을 하계 포장에서 5월 15일에 조기 파종하고 7월 15일 만기파종 재배하여 감광성 정도를 분석하였고, 기본영양생장기간과 온도의 반응을 구명하 기 위하여 동계 온실을 이용 12시간 이하의 단일조건에서 온도를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국내 재래조의 조식 및 만기재배시 출수 일수는 각각 조생종 63, 44일, 중생종 76, 44,일, 만생종이 89, 48일로서 조기재배에서 조만성 품종들 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나 만기의 경우는 차이가 없거나 미미하였 고, 출수조만성과 감광성 정도와의 관계는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재래조의 기본영양생장기간과 출수조만 성과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만기재배에서 조기재배에 비해 간장단축율이 30% 이상 크게 나타 난 품종은 제주메조 등 4품종 이었으며, 그루조 등 8품종은 오히려 증대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국내 재래조 품종의 출수생태형을 감광성, 감온성 및 기본영양생장기간을 기반으로 하여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 분류 하였다. 조생종들의 조식재배 출수일수는 65일 미만으로 단기성이고, 감광성이 둔감하여 단작, 2모작 및 시설 재배지 전․후작에도 적용가능하고, 중생종들의 출수일수는 65~80일 사이로 감광성이 중정도로서 단작 및 이모작용, 만생종들의 출수일수는 80일 이상으로 감광성이 민감하여 단작 중심이고 남부 맥후작 지역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적지적작 품종선정에 의한 잡곡 안정생산 및 지역특성화사업 정책지원에 적용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후보

        중만생 다수성 청차조 ‘삼다찰’

        이재생,고지연,우관식,송석보,정태욱,윤영호,서명철,오병근,이명철 한국육종학회 2014 한국육종학회지 Vol.46 No.4

        ‘삼다찰’은 제주도에서 수집된 재래조를 기본집단으로 하여 분리육종법을 통해 국립식량과학원 잡곡과에서 2011년 육성된 신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출수기는 표준품종인 황금조보다 보통기 재배에서는 20일 정도 늦은 중만생종으로 성숙일수는 60일 정도이며 감광성이 민감하고 기본영양생장기간은 길다. 간장은 128 cm 정도로 황금조에 비해 약간 크고, 경의 마디수는 14개로 많은 편이며 강도가 강하고 기부절간이 짧아 도복에 강한 특성을 나타낸다. 이삭은 원통형이며 낟알의 착립밀도가 조밀하고 이삭길이는 28 cm로 길다. 낟알은 청회색이며, 배유의 아밀로스 함량이 7.3%로 차조에 해당하며, 날알의 무기성분 중 칼슘 7.5mg/100g, 마그네슘 45.6 mg/100g 으로 비교적 함량이 높으며 항산화성분중 폴리페놀 함량도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수량은 지역적응시험 보통기재배 평균 2.24 MT/ha로서 표준 품종 보다 8% 정도 증수되는 다수성이고, 기본영양생장 기간이 길기 때문에 중·남부 평야지역에 적응성이 높으며, 단간·내도복 직립 초형으로 기계화 재배에 유리한 우수한 품종이다. ‘Samdachal’ is a foxtail millet variety developed and registered by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ICS, RDA in 2011. This variety was developed through pure line breeding method from Jeju landrace. ‘Samdachal’ is a medium maturing variety having 133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Milyang of Korea. The culm length is about 128 cm which is longer culm length than standard variety ‘Hwanggeumejo’. However it is adapted to mechanized cultivation because it is tolerant to lodging in field. The panicle shape is a cylinder type and the length is 28cm. Regarding to the grain, color and endosperm characteristics are grey and glutinous. The Calcium, Magnesium and polyphenol contents in grain are showed higher than standard variety ‘Hwanggeumejo’. The milled yield performance of this variety is about 2.24 MT/ha in local adaptability test from 2010 to 2011. ‘Samdamchal’ would be adaptable to plain area of Korea.

      • KCI등재

        완전미도정수율 향상을 위한 조(Setaria italica Beauvois) 도정방법 및 수확시기

        이재생,고지연,송석보,우관식,김정인,김현영,정태욱,곽도연,오인석,김기영 한국작물학회 2012 한국작물학회지 Vol.57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조 품종의 도정수율 증진을 위한 도정방법 및 적정 수확시기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현횟수와 도정시간에 따라 제현율과 완전미도정수율의 차이가 인정되었고, 이들의 상호작용에 있어서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조의 완전미도정수율은 제현횟수를 2회, 도정시간을 1분 30초로 하였을 때 높았다. 출수 후 수확일수에 따른 현곡천립중, 제현율, 현곡의 경도, 도정율과 완전미도정수율의 차이가 인정되었고, 이들 요인간 상호작용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상관이 인정되었다. 등숙율과 완전미도정수율 향상을 위해 조생종인 황금조는 출수 후 45일(적산온도 1,148℃ ), 중생종인 삼다메와 경관1호는 출수 후 50일(적산온도 1,150℃ ), 만생종인 삼다찰은 출수 후 55일(적산온도 1,168℃ )에 수확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proper milling condition and harvesting time for improving the milling recovery of head foxtail millet grain. Brown foxtail millet recovery and the percentage of head foxtail millet recover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hulling and milling time. Also, the interaction of these factors had influence on brown foxtail millet recovery and the percentage of head foxtail millet recovery. To improve the percentage of head foxtail millet recovery, it was effective to hull grain twice and mill for 1.30 minute. 1000-grain weight of brown foxtail millet, brown foxtail millet recovery, hardness of brown foxtail millet, milling recovery, and the percentage of milling recovery of head foxtail millet grai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arvesting day after heading. For improving the ratio of ripened grain and the percentage of recovery of head foxtail millet, it is recommended to harvest 45 days (accumulated temperature : 1,148~circC ) after heading (DAH) in early maturing Hwangkeumjo, 50 DAH (accumulated temperature : 1,150~circC ) in mid-late maturing Samdamae and Kyeongkwan1, and 55 DAH (accumulated temperature : 1,168~circC ) in late maturing Samdachal.

      • KCI등재

        중생 황차조 신품종 ‘경관2호’

        이재생,송석보,고지연,우관식,남민희,박창영,박성태,김정인,서명철,곽도연,정태욱,오인석,오병근,김기영 한국육종학회 2012 한국육종학회지 Vol.44 No.4

        ‘경관2호’는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에서 2008년 하계에 진주 재래조를 수집하여 2008/2009년 동계온실에서 두 번 집단을 양성하여 순계분리한 도복에 강하며 찰성의 특성을 지닌 혼반 및 경관용 품종으로 2009년에 육성되었다. ‘경관2호’의 잎은 녹색이나, 생육후기에는 자색으로 변하며, 분얼경은 직립으로 도복에 강하고 안토시안 색소 발현이 있다. 이삭의 형태는 원추형이며 이삭의 착립밀도는 ‘황금조’와 비슷하며 탈립이 잘되는 편이다. 낟알은 황색이며 찰성이 있다. ‘경관2호’의 생육일수는 보통기 표준재배에서 127일로 ‘황금조’보다 25일 늦고, 성숙일수는 11일 정도 길다. 간장은 보통기 표준재배에서 128 cm로 ‘황금조’에 비해 23 cm 정도 크나 포장 도복에 강하다. 현곡천립중은 2.1 g으로 ‘황금조’에 비해 가벼운 편이다. 포장에서의 조도열병과 세균성줄무늬병 및 벼줄무늬잎마름병 발생이 없었으나 조명나방 및 노린재류에는 약하다. 수량은 보통기 표준재배에서 2.00 MT/ha로 ‘황금조’에 비해 5% 정도 적다. ‘Keongkwan2’ is a new foxtail millet variety developed from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ICS, RDA, during the period from 2008 to 2009. This variety was developed through pure line selection method from Jinju landlace. It has a good elect type and resistance to lodging with strong culm. It is a conical in panicle shape. This variety has about 127 days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Miryang of Korea. It is about 128 cm in culm length and tolerant to lodging in field. In reaction to biotic stresses in field, it shows resistance to blast, bacterial leaf stripe and rice stripe virus, but susceptibility to insect pests. The ‘Keongkwan2’ exhibits yellowish glutinous endosperm. The milled yield performance of this variety is about 2.00 MT/ha in local adaptability test in 2009. The ‘Keongkwan2’ would be adaptable to southern plain area of Korea after barley cultivation.

      • KCI등재

        다단 맥류 스위칭을 이용한 교류-직류 변환의 성능분석

        이재생,Lee, Jae-Seang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0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3 No.4

        In this paper, I have proposed that the 1st and 2nd AC-DC transformation methods using multi-level pulsating currents and selection switches. Through making the rectified voltage of the proposed AC-DC translation which is similar to reference voltage by selecting from multi-level pulsating currents, the proposed translation has dramatically reduced the ripple voltage. I hav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 DC voltage, the ripple voltage and the peak to peak voltage of the proposed metho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2nd method has the better performance than the 1st method in the point of average DC voltage drop and peak to peak voltage increase.

      • KCI등재후보

        중생, 내도복 다수성 메조 ‘삼다메’

        이재생,고지연,김기영,송석보,우관식,김정인,곽도연,정태욱,서명철,오인석 한국육종학회 2013 한국육종학회지 Vol.45 No.4

        ‘삼다메’는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에서 2010년도에 육성한 중생종이며 메성으로 혼반에 적합한 품종이다. ‘삼다 메’의 잎은 녹색이나, 생육후기에는 황록색을 띤다. 분얼경은 직립으로 도복에 강하다. 이삭의 형태는 원추형으로 이삭의 착립밀도가 조밀하고 탈립이 안되며 낟알은 황색으로 메성이 다. ‘삼다메’는 밀양, 원주, 신안의 보통기 표준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0일로 ‘황금조’보다 12일 늦은 중생종이다. 생 육일수는 보통기 재배에서 101일로 ‘황금조’에 비하여 약13 일 길고, 성숙일수는 6일 정도 길다. 간장은 보통기 보비재배 에서 130 cm로 ‘황금조’에 비해 18 cm 정도 크고 현곡천립 중은 ‘황금조’와 같다. 포장에서의 조도열병, 세균성줄무늬병 은 ‘황금조’에 비해 강한 편이나 속깜부기병은 다소 높게 발 생하였다. 조명나방 및 노린재류의 해충에는 ‘황금조’와 같이 약한 반응을 보였다. ‘황금조’에 비하여 Ca 및 항산화활성이 높은 기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수량은 2.42 MT/ha로 ‘황금 조’에 비해 25% 증수하였다. ‘Samdamae’ is a foxtail millet variety developed and registered by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ICS, RDA in 2010. This variety was developed through the pure line breeding method from ‘Namjaeju’ landrace. Leaf color is changed from green to yellowish green at late growth stage. This variety has about 101 days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Milyang of Korea. It is about 130 cm in culm length and tolerant to lodging in field. In reaction to biotic stresses in field, it shows resistance to blast, and stripe disease, but susceptibility to insect pests. The ‘Samdamae’ exhibits non-glutinous endosperm. The milled yield performance of this variety is about 2.42 MT/ha in local adaptability test from 2009 to 2010. The ‘Samdamae’ would be adaptable to plain area of Korea.

      • KCI등재

        재배지역이 기장(Panicum miliaceum L.)의 항산화성분 및 활성에 미치는 영향

        이재생,송석보,고지연,강종래,오병근,서명철,곽도연,남민희,우관식 한국작물학회 2011 한국작물학회지 Vol.56 No.4

        재배지역에 따른 기장 품종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내륙평야지인 경남 밀양과 산간지인 강원 원주, 해안지인 전남 신안에서 5품종의 기장을 재배하여 수확된 시료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성분 함량 분석 및 항산화활성을 검정하였다. 재배지역에 따른 기장 종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신안에서 재배한 붉은기장과 벼룩기장이 각각 2.54 및 2.65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원주에서 재배한 붉은기장과 벼룩기장이 각각 2.66 및 2.59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총 탄닌함량은 신안에서 재배한 벼룩기장과 노란찰기장이 각각 1.87및 1.42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재배환경에 따른 조의 조곡 메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신안에서 재배한 붉은기장과 벼룩기장이 각각 8.54 및 8.53 mg TE/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ABTS radical 소거활성 또한 신안에서 재배한 붉은기장과 벼룩기장이 각각 19.48 및 19.29 mg TE/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항산화성분의 함량과 항산화활성은 재배지역과 품종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so millet cultivated in different areas were determined. The cultivated areas were Milyang (plain area of interior), Wonju (mountainous territory) and Sinan (coastal area), and cultivated varieties were Hwanggeumgijang (HGG), Byeoruk-gijang (BRG), Norangchal-gijang (NRG), Bulgeun-gijang (BGG), Whin-gijang (WG).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methanolic extracts were 2.54 and 2.65 mg/g in BGG and BRG produced in Sinan, respectively. The highest total flavonoid content were 2.66 and 2.59 mg/g in BGG and BRG produced in Sinan, respectively. The highest total tannin contents were 1.87 and 1.42 mg/g in BRG and NRG produced in Sinan. The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value of BGG (8.54 mg TE/g) and BRG (8.53 mg TE/g) produced in Sinan. The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value of BGG and BRG of 19.48 and 19.29 mg TE/g in the grains produced in Sinan, respectively. Generally, there was difference in antioxidant compound contents on the methanolic extracts of proso millet between the cultivated areas and varie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