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급성 거미막하 출혈의 진단: FLAIR MR영상과 조영전 CT와의 비교

        최원진,최대섭,김정혜,김순,이현경,오연희,김승현,이성우,김욱년,이규춘,Choi, Won-Jin,Choi, Dae-Seob,Kim, Joung-Hae,Kim, Soon,Lee, Hyeon-Kyeong,Oh, Yoen-Hee,Kim, Seung-Hyeon,Lee, Sung-Woo,Kim, Wook-Nyeon,Lee, Kyu-Chun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1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5 No.2

        목적 : 급성 거미막하 출혈의 진단에 있어 CT와 비교하여 fluid-attenuated inversion-recovery (FLAIR) MR영상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증상 발생 3일 이내에 비조영 CT와 FLAIR MR영상을 모두 얻었던 28명의 급성 지주막하 출혈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거미막하 공간을 피질구, 실비우스열구, 기저조, 후두와의 4부위로 나누어 각 부위 별로 CT와 FLAIR영상에서 출혈이 보이는 정도를 0(출혈 없음), 1(출혈 의심), 2(뚜렷한 출혈)의 점수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이들 28명 환자와 대조군 35명의 FLAIR영상을 비교하여 거미막하 공간의 고신호 강도를 기준으로 출혈의 유무를 판정할 경우, FLAIR영상의 민감도, 특이도 및 진단적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 FLAIR영상에서 급성 거미막하 출혈은 모든 환자에서 뇌척수액이나 뇌 실질보다 고신호 강도를 보여 100%의 발견율을 보였다. CT와 비교하여 피질구($1.11{\pm}0.80$ vs $0.70{\pm}0.83$: p(0.05)와 후두와($1.41{\pm}0.74$ vs $0.78{\pm}0.80$: p(0.05)에서 FLAIR영상이 CT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수하였다 FLAIR영상에서 거미막하 공간의 고신호 강도를 기준으로 거미막하 출혈 유무를 평가한 결과에서 100%의 민감도, 특이도 및 진단적 정확도를 보였다. 결론 급성 거미막하 출혈의 진단에 FLAIR MR영상은 매우 유용하며, 특히 출혈의 양이 소량인 경우와 후두와의 출혈을 진단하는데 CT보다 우수하다. Purpose : Our aim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FLAIR) MR imaging for detection of acute subarachnoid hemorrhage (SAH) compared with unenhanced CT. Materials and methods ; We compared FLAIR MR images with unenhanced CT scans in 28 patients with acute SAH. Findings of SAH on CT and MR images were graded as 0 (absence), 1 (suspicious), 2 (definite) in the cerebral sulci, sylvian fissure, basal cistern, and cisterns of the posterior fossa. We also compared FLAIR MR images of 28 patients with those of 35 normal subjects, and then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diagnostic accuracy of FLAIR MR image for detection of acute SAH were calculated. Results : FLAIR MR image was superior to CT in detecting SAH in the posterior fossa ($1.41{\pm}0.74{\;}vs{\;}0.78{\pm}0.80$; p<0.05) and cortical sulci ($1.11{\pm}0.80{\;}vs{\;}0.70{\pm}0.83$;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LAIR MR image and CT in detecting SAH in the basal cistern and sylvian fissure.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diagnostic accuracy of FLAIR MR image for detection of SAH were 100% in all. Conclusion : FLAIR MR image is useful in detecting acute SAH, especially in patients with small amount of SAH or SAH in the posterior fossa.

      • GPS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철도신호설비 기능향상

        최규형(Kyu-Hyoung Choi),최대섭(Dae-Seob Choi)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4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4 No.5월

        This paper gives a basic data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railroad signalling equipment by adopting GPS and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se approach enable the moving block control of train, which can optimize train operation by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rains and maximize the railroad capacity. These method of detecting train position and controling train movement can also improve the train route control at stations.

      • KCI등재

        관상동맥 조영영상에서의 혈관 폭 추출

        김성후,이주원,김주호,최대섭,이건기,Kim, Seong-Hu,Lee, Ju-Won,Kim, Joo-Ho,Choi, Dae-Seob,Lee, Gun-Ki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6 No.11

        관상동맥 중재술은 카테터를 통해 협착부위에 스텐트를 삽입하여 치료를 할 수 있는 대표적 검사방법이다. 중재술의 시행에 있어 어려운 점으로는 다양한 스텐트의 종류로 인해 스텐트의 선택에 어려움이 있다. 때문에 협착부위의 혈관 폭을 정확히 측정하여 시술자로 하여금 알맞은 크기의 스텐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지정한 지점에서 혈관의 중심선을 그린 후, 유클리드 거리 측정법을 이용하여 혈관의 폭을 측정하여 혈관의 폭을 픽셀기반의 프로파일로 나타내었다. 본 실험은 시술자로 하여금 알맞은 크기의 스텐트를 선택할 수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s a typical way of testing which could be performance to treat a stenosed region by inserting a stent using catheter. In this case, choosing the best stent amongst various kinds of stent for performing an intervention is the most difficult process. For the reason, a width of the blood vessel which is stenosed must be correctly measured to help an operator choose right size of stent. So based on pixel, a width of the blood vessel measured by using the way of Euclidean distance after designing a center-line of vessel from a certain point assigned by operator is shown as a profile in this study. This study would be used as a goof reference for operators when choosing right size of stent.

      • SCOPUSKCI등재

        간경변환자에서 복부외상후 일시적으로 관찰된 99mTc - MDP Bone Scan의 비장 섭취

        김정한(Jung Han Kim),김재명(Jae Myung Kim),원종현(Jong Hyeon Won),추길연(Gil Yeon Choo),박석오(Seok Oh Park),성상규(Sang Kyu Sung),최대섭(Dae Seob Choi),김진승(Chin Seung Kim) 대한핵의학회 1993 핵의학 분자영상 Vol.27 No.2

        We report a case of 33-year-old man with a transient splenic uptake who had traumatic rnultiple rib fractures and hemoperitoneum combined with underlying liver cirrhosis, liver cirrhosis with liver bed laceration and splenomegaly without any other demonstrable splenic lesion due to traffic accident was found by abdominal ultrasound and surgery. Incidentally, 99mTc-MDP Bone scan showed whole prominent splenic uptake, spleen was also visible on 99mTc Tin coIloid liver scan. We suggest the splenic uptake of the radionuclide temporary splenic infarct to the transient total splenic infarction or unknown traumatic effect.

      • 現代 繪畵의 平面的 還元

        崔大燮 群山大學校 1982 論文集 Vol.4 No.-

        The starting point of this treatise enters on the plane surface of painting with from Renaissance, impressionism and Contemporary Arts. Perhaps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practical aesthetic attitudes today has been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on the work of art as a thing its own right, an artifact: with standards and functions of its own, and not an instrument made to further purposes which could equally be promoted otherwise than by art objects. This is what is meant by claiming that art is autonomous: it is not assessed by external standards applicable elsewhere, but by standards of its own. The attitude which has predominated since Impressionism was summed up in a now famous statement by Maurice Denis (1870∼1943) : "One must remember that a picturebefore being a warhorse, a nude woman or some anecdote - is essentially a plane surface covered by colors assembled in a certain order".

      • KCI등재후보

        일개 자동차 부품공장 근로자에서 초음파로 측정한 수근관 형태와 수근관증후군 위험도

        김덕수,정해관,임현술,권용욱,이종민,조대현,최대섭 大韓産業醫學會 2002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4 No.3

        목적 : 일개 사업장의 생산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손목 계측치 및 초음파를 이용한 수근관 계측치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수근관증후군 발생에 관여하는 개인의 감수성 및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생산직 근로자들의 수근관증후군 예방에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 경주시에 위치한 자동차 방음재를 생산하는 사업장에 생산직 근로자 남자 24명, 여자 11명 등 총 35명을 대상으로 2000녀 4월과 2000년 10월 반드시 각 설문조사, 이학적검사, 전기진단검사를 실시하였으며, 2000년 10월에는 초음파를 이용한 수근관계측도 실시하였다. 결과 : 수근관증후군의 신체계측 요인에 따른 분석에서는 수근관 전치/폭 비가 0.17 미만인 군에 비하여 0.17 이상인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총 수근관 면적(두께×폭)은 300 ㎟이상인 군에 비하여 300㎟ 미만인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성별을 통제변수로 처리한 신체 계측치간 상간 분석에서는 수근관폭은 전기진단 검사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수근관 두께는 전기진단 검사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수근관 두께/폭 비는 전기진단 검사와 양이 상관성을 보였으며, 수근관비 전치/두께 비는 전기진단 검사 결과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하부 수근관 면적[폭×(두께-전치)]은 전기진단 검사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상부 수근관 면적(폭×전치)은 전기진단 검사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수근관 전치의 상대적 비가 클수록 수근관증후군의 회복이 유의하게 좋았다. 결론 : 수근관증후군은 수근관 폭이 좁을수록, 수근관 두께가 두꺼울수록, 수근관 전치가 작을수록 수근관증후군 위험도가 증가한다. 저자들은 초음파를 이용한 수근관 형태의 측정은 수근관증후군의 발생의 내적 요인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면 수근관증후군 발생 및 회복의 개별적 위험요인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individual susceptibility to carpal tunnel syndrome (CTS) by ultrasonographic measurement of the carpal tunnel configuration in workers doing repetitive work. Methods: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24 male and 11 female workers in a soundproof material manufacturing company in Gyeongju. We conduct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a physical examination and an electrodiagnostic study (EDS) in April 2000. After the examination, jobs were rearranged for workers with CTS. A follow up physical examination. EDS, and measurement of the carpal tunnel by ultrasonography was done six monsths later. Results: Of those studied. prevalence or CTS was 63.6/100 persons among women and 29.2/100 persons among men. Mean depth and width of wrist was shorter in those with CTS compareal to the controls (p<0.05). The risk of CTS was higher in workers whose carpal tunnel ratio (displacement/width) was 0.17 or higher (OR 7.13, 95% confidence interval 1.18-43.1), and in workers whose carpal tunnel area was less than 300 ㎟ (OR 8.00, 95% confidence interval 1.18-68.5). Carpal tunnel depth and depth/width ratio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tor latency of the median nerve and median-ulnar sensory latency difference (p<0.05). whereas the carpal tunnel width. displacement/depth ratio, and area (width×displacem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edian nerve latencies after adjusting for gender. Workers who showed an improvement in the clinical stage of CTS after job rearrangement had a significantly lower carpal tunnel displacement/width ratio and displacement/depth ratio. They also had smaller upper carpal tunnel area (width×displacement) and larger upper carpal tunner\l area [(depth-displacement)×width] than the controls (p<0.05). Conclusions:Ultrasonographic measurement of the carpal tunnel is a good predictor of susceptibility and prognosis of CTS in workers doing repetivive work.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복합유기용제 장기 노출자들의 골수충실도 평가를 위한 자기공명영상의 계량적 활용

        정해관,최대섭,박건욱,윤환중,김정란,하경임,양승오,김양호 大韓産業醫學會 2002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4 No.2

        목 적 : 자기공명영상은 골수의 지방세포와 조혈세포간의 분퐁 차이를 신호강도 차이로 구분할 수 있어 골수 충성도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 저자들은 유기용제에 장기간 노출된 조선업체 도장공 및 대조군을 대상으로 비참습적인 방법으로 골수 충실도를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기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녀 8월부터 2000년 1월까지 조선소 도장공 중 1개 대학병원에서 유기용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골수검사 결과 저세포성 골수로 진단 받은 환자 6명(남자 5명, 여자 1명; 평균연령 환자군 46.5세)을 대상으로 말초혈액이 혈액학적 검사, 골수검사 및 요추부 자기공명영상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동일 병원에서 요추부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한 환자 132명(남 67명, 여자 65명, 연령 평균 42.5세, 범위 30-59세)을 선정하였다. 요추부 자기공명영상은 T1 및 T2 강조영상의 시상 단면에서 제 12 흉추부터 제 1 천추사이의 추체에서 각반드시 신호강도를 기록하였다. 기준 부위로는 동일 단면의 척추주위근 및 지방조직의 산호강도를 이용하여 각 부위에서 측정한 신호강도를 나누어 골수 신호강도지표를 구하였다. 결 과 : 환자군의 골수 충실도는 20.33-33.6 %이었고 혈액검사상 백혈구수는 2,100-7,600/㎣이었다. 환자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각 지표는 제 12흉추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가 제 4 요추 이후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환자군과 대조군간의 골수 신호강도지표를 비교하였을 때 T1 강조영상에서 척추주위근을 기준으로 한 골수 신호강도지표가 환자군과 대조군간의 차이를 가장 잘 반영하였으며 환자군이 모든 추체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p<0.01). 대조군의 골수 신호강도지표는 T1 강조영상이 척추주위근을 기준으로 측정하였을 때 여성에서 연령 증가에 따라 모든 측정점에서 골수 신호강도지표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30대와 50대간의 차이는 유의하였다. (p<0.05, p<0.01). 성별에 따른 골수 신호강도지표는 근육을 기준으로 한 골수 신호강도지표에서는 보이지 않았으나 비장을 기준으로 한 골수 신호강도지표는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다변량 선형회귀분석에서 연령 및 성별을 보정하였을 때 T1 강조영상의 근육을 기준으로 한 골수 신호강도지표는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제 1 천추에서 0.364 더 높았다. 제 1 천추의 T1 근육을 기준으로 한 골수 신호강도지표의 연령 성별 평균+1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6명 중 5명이 그 이상이 분포를 보여 두 군간의 차이가 가장 뚜렷하였다. 결 론 : 저자들은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골수 충실도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였고 정상 참고치를 제시하였다. 골수 신호강도지표는 지방조직 함량, 골밀도함께 칼슘 등의 영향을 동시에 반영하지만 이러한 영향을 적절히 보정할 경우 고위험집단에서 골수 충실도를 평가하는데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보다 좋은 지표의 개발을 위하여 충분한 표본수를 가진 저세포성 골수 환자집단을 대상으로 후속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 To develop a quantitative and noninvasive method of bone marrow cellularity evaluation in solvent exposed painters. Methods : Six painters (mean 46.5 years, 5 males and one female with hypocellular marrow, and 132 controls were examined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 full examination of the peripheral blood and a bone marrow biopsy was done on each patient. Signal intensities were measured at the vertebral bodies from T12 to S1 on both the T1 and the T2-weighted image (T1WI and T2WI). Signal indices were calculated by dividing the signal indeces of the vertebral bodies by that of the paraspinal muscle and the subcutaneous fat in the same view. Results : The Bone marrow cellularities of the cases painters were between 20.3 % and 33.6 %. Signal indices based on the muscle at T1WI were greater in the cases of the painters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s (p<0.05, p<0.01). Signal indices based on the muscle at T1W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lder women compared with men (p<0.05). After adjusting for age and gender, the signal index of cases at S1 based on muscle of T1WI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s by 0.364. Five of the six cases had a muscle signal index at S1 of T1WI higher than the mean + 1 standard deviation for the same age group and gender. Conclusions : MR signal indices are influenced by constitutional factors such as fat content. bone density, and the presence of other pathology. However, after adequate adjustment, it can be used as a useful indicator of bone marrow cellularity in a high-risk population.

      • KCI등재후보

        채용시 건강진단에서 요ㆍ천추부 단순 방사선 검사의 평가

        임현술,김수군,김덕수,이현경,최대섭 대한산업의학회 2000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2 No.2

        Objectives : A study was conducted for investigating the status of simple X-rays on lumbo-sacral regions at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and analysing the effectiveness of simple X-rays on lumbo-sacral regions. Methods : The study data were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data in a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3, 1993 through October of 1997. And, 97 newly employed workers who claimed no low back pawn at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of a certain company were follow-up survey about low back pain and related factors in April, 1995 and October of 1997.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a medical examination with a rehabilitation specialist. Results : 1. Taking the simple X-rays on lumbo-sacral regions was 1,591 workers (10.5%) among 15,166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from Jan 3, 1993 through October of 1997. And yearly application rates of these X-ray tests have been significantly statistical increasing (p〈0.01). 2. The abnormal findings of simple X-rays on lumbo-sacral regions at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were 40 workers.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ly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normal and abnormal group for the complaint rate of low back pain. 3. The number of case with symptoms of low back pain at the follow-up survey were 46, so The incidence density was 37.1 persons/ 100 person-years. And the incidence density was not significantly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normal and abnormal group of simple X-rays on lumbo-sacral regions. 4. Through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significantly associated factors with low back Pain were found to be tenure(OR=0.36, 95%CI : 0.17-0.79), lifting of heavy materials (OR=5.86, 95%CI : 1.58-21.74) . Conclusion : The simple X-rays on lumbo-sacral regions at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is required further research for utilizing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according to above resul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