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ole of Calcium in Function of Isolated Perfused Rabbit Kidney

        이권행,전은의,홍경자,조규철,Lee, Kweon-Haeng,Chun, Eun-Eui,Hong, Kyoung-Ja,Cho, Kyu-Chul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1986 대한약리학잡지 Vol.22 No.2

        저자는 적출관류 토끼 신장기능에서 칼슘의 역할과 furosemide의 이뇨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hydralazine놔 verapamil을 주로 신혈관 저항의 감소로 이뇨작용을 나타냈다. furosemide를 hydralazine 또는 verapamil 병합투여시 뚜렷한 이뇨작용이 나타났으며 두군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quinidine은 신혈관 수축을 일으켰으나 이뇨작용이 나타났으며 furosemide의 이뇨작용을 항진시켰다. 칼슘제외된 관류액으로 관류시 칼슘은 신혈관 수축에도 불구하고 이뇨작용이 나타났으며 furosemide의 이뇨작용을 항진시켰다. quinidine은 칼슘이 제외된 상태에서 신장기능 및 furosemide의 이뇨작용에 영향을 미 치지 못하였으나 calcium 병합투여시 과도한 신혈관 수축으로 항 이뇨작용을 보였다. verapamil은 칼슘이 제외된 상태에서 약간의 이뇨작용을 보였지만 칼슘 및 furosemide의 이뇨작용을 변화시키지 못하였다. 이상의 성적은 적출관류 토끼 신장에서 칼슘, verapamil 및quinidine이 이뇨작용이 있으며 칼슘은 furosemide의 이뇨작용을 항진시킨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calcium in the function of an isolated perfused rabbit kidney and its effect on the diuretic action of furosemide. The administrations of hydralazine and verapamil produced remarkable diuretic actions mainly by decreasing renal resistance. The administration of furosemide in combination with hydralazine or verapamil produced remarkable diuretic action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administration of quinidine produced a diuretic action in spite of vasoconstriction and potentiated the diuretic action of furosemide. In the calcium-free perfusion medium, the administration of calcium produced a marked diuretic action in spite of vasoconstriction and potentiated significantly the diuretic action of furosemide. The administration of quinidine did not alter renal function and the diuretic action of furosemide, but the combined administration of quinidine and calcium showed antidiuretic effect due to excessive vasoconstriction in the calcium-free perfusion medium. Although the administration of verapamil produced a slight diuretic action in the calcium-free perfusion medium, verapamil did not alter the diuretic action of calcium as well as the diuretic actions of furosemide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calcium.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 that calcium, verapamil and quinidine produced diuretic actions and calcium potentiates the diuretic action of furosemide.

      • SCOPUSKCI등재

        Ganoderma lucidum IY 009조다당 분획들의 항암활성과 항보체활성간의 상호관계

        이권행,이준우,한만덕,정훈,김영일,오두환,Lee, Kweon-Haeng,Lee, June-Woo,Han, Man-Deuk,Jeong, Hoon,Kim, Young-Il,Oh, Doo-Whan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94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2 No.1

        Antitumor polysaccharides were known to activate complement system and to increase specific serum proteins in mouse, and researcher reported that antitumor activity of polyasccharides might be correlated with their biological properties such as activation of complement system and increase of specific protein $L_{A}$, $L_{B}$ and $L_{C}$ within the mouse serum. In case of several Ganoderma lucidum,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ir antitumor activities and their bioloical properties, but the antitumor activities against sarcoma 180 of the alkali extracted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s of the Ganoderma lucidum IY 009. AS, T, AI and M were correlated with their bioloical properties such as anticomplementary activity and intensity of mouse serum protein $L_{A}$, $L_{B}$ and $L_{C}$.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한국 전통간장 및 메주 제조공정에 관한 조사 연구

        이권행(Kweon-Haeng Lee),김남대(Nam-Dae Kim),유진영(Jin-Young Y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3

        간장제품의 색 및 맛에 대한 표준화와 제조공정의 표준화를 설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재래식 및 개량식 메주의 제조공정조사, 시판간장 제품의 성분분석 및 지역별ㆍ연령별 기호도 조사에 의한 간장제품의 성분표준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래식 메주의 제조공정은 100% 환대두를 수도수에서 24시간 수침한 뒤 탈수하여 2시간 상압 가열하고 50℃ 정도까지 냉각한 후 10~15mesh로 분쇄된 것을 원하는 형태와 크기로 성형하여 2일간 겉말림시킨 후 볏짚으로 엮어 천청에 매달거나 볏짚을 깔고 위에 쌓기를 반복하여 20~30일간 발효시켜 출곡한다. 개량식 메주의 제조공정은 전체 제품의 50~70%의 탈지대두를 석발 정선하여 110~120%로 살수하여 0.7~1.2㎏/㎠에서 15~30분 정도 가압 증자한 후 40℃ 정도로 냉각한 것과 30~50%의 소맥을 석발 정선하여 소맥볶음기에서 200~250℃로 가열시킨 모래와 혼합하여 3~4할로 분쇄하여 실온에 가깝도록 냉각한 것을 혼합한 것에 0.2~0.3%의 상업용 종곡인 Aspergillus sojae를 첨가 혼합하여 자동제국실에서 11시간 동안 26~27℃로 유지시킨 후 품온을 상승시켜 30~35℃에서 11시간 유지하면서 한두번 손질 후 포자생성 전에 품온을 25℃로 낮추고 성입 40~44시간 후에 출곡한다. 시판간장의 원료중 대두는 재래식 간장에서 환대두, 개량식 간장에서는 탈지대두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소맥은 대부분 개량식 간장에 사용되고 있었으나, 재래식 간장에는 전혀 사용되지 않고 있었다. 감미료로는 설탕, 이성화당, 포도당, 물엿, 감초추출물, 스테비아 등은 주로 개량식 간장에 사용되고 있었으나, 재래식 간장의 경우 거의 사용치 않고 있었다. 캬라멜의 경우 재래식 및 개량식 양조간장에는 사용되지 않고 있었으나, 대부분 혼합간장에서 사용되고 있었다. 합성보존료의 경우 재래식 간장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개량식 간장에 사용되고 있었다. 시판간장의 화학성분은 재래식 간장의 경우 염분 20.12~25.42%, 총 질소 0.67~0.91%, 순추출물 9.47~11.20%, 색도 2.34~4.01, pH 4.92~5.12로 나타났는데 비해 개량식 간장의 경우 염분, 총 질소, 순추출물, 색도 및 pH가 각각 15.20~17.19%, 1.25~1.40%, 18.17~21.47%, 5.41~21.12 및 4.51~4.66이었으며 알코올 함량이 2.97~3.12%로 나타났다. 개량식 혼합간장의 경우 그 함량은 각각 14.38~19.28%, 0.85~1.75%, 11.22~32.30%, 2.46~17.04 및 4.37~5.07로 나타났다. 시판 간장제품의 색, 향 및 맛에 대한 관능검사결과, 지역 및 연령에 관계없이 재래식 간장 보다는 개량식 간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하였을 때의 간장제품의 성분표준 함량은 염도 16.0%, 총 질소 1.40%, 순엑기스 19.97%, 색도 12.98, pH 4.61 및 알코올 2.96%이었다. Meju is a basis for manufacturing Kanjang. Meju was traditionally prepared at home by different types of process depending on the regional area.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and simplify the process of Meju-preparation for Kanjang of good quality. For these purposes, the process of Meju and Kanjang making as well as analysis of commercial Kanjang, were compared. Generally, traditional Meju was prepared by steeping and dehulling the whole soybean. After steeping for 24hr. soybean absorbed water up to 110~120% of its weight. The soaked soybeans were steamed for 2hr. and cooled to 50℃. Cooked soybeans were crushed down to the size of 10~15 mesh and molded. Molded soybeans were dried for 2 days in the air, hung up by rice straw and fermented for 20~30 days under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 On the other hand, commercial soybean koji was made of defatted soybean. Defatted soybeans were steeped in water and steamed for 15~30min at 0.7~12㎏/㎠. Steamed and defatted soybean was cooled to 40℃. Separately, wheat powder was roasted at 200~300℃ by wheat roaster. Mixture of steamed defatted soybean and roasted wheat powder(5/5 to 7/3) were inoculated with 0.1~0.2% Aspergillus sojae and incubated for 2 days at 30℃ with occasional stirring. 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traditional soy sauces contained the following composition: NaCl, 20.12~25.42%; total nitrogen, 0.64~0.91%; pure extract, 9.47~11.20%; color, 2.34~4.01; pH, 4.92~5.12. Commercial products contained: NaCl, 15.20~17.19%; total nitrogen, 1.25~1.40%; pure extract, 18.17~21.47%; color, 5.41~21.12; pH, 4.51~4.66 and ethanol, 2.97~3.12%. Organoleptic test on taste, color and flavor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soy sauce indicated that most of the consumers prefer commercial products to traditional products. Preferrable formulation of Kanjang based on organoleptic test of soy sauces was assumed as containing: NaCl, 16.0%; total nitrogen, 1.40%; pure extract, 19.97%; color, 12.98; pH, 4.61 and ethanol, 2.96.

      • 적출관류 토끼 신장기능에서 칼슘의 역할

        이권행(Kweon-Haeng Lee),전은의(Eun-Eui Chun),홍경자(Kyoung-Ja Hong),조규철(Kyu-Chul Cho) 대한약리학회 1986 대한약리학잡지 Vol.22 No.2

        저자는 적출관류 토끼 신장기능에서 칼슘의 역할과 furosemide의 이뇨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hydralazine놔 verapamil을 주로 신혈관 저항의 감소로 이뇨작용을 나타냈다. furosemide를 hydralazine 또는 verapamil 병합투여시 뚜렷한 이뇨작용이 나타났으며 두군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quinidine은 신혈관 수축을 일으켰으나 이뇨작용이 나타났으며 furosemide의 이뇨작용을 항진시켰다. 칼슘제외된 관류액으로 관류시 칼슘은 신혈관 수축에도 불구하고 이뇨작용이 나타났으며 furosemide의 이뇨작용을 항진시켰다. quinidine은 칼슘이 제외된 상태에서 신장기능 및 furosemide의 이뇨작용에 영향을 미 치지 못하였으나 calcium 병합투여시 과도한 신혈관 수축으로 항 이뇨작용을 보였다. verapamil은 칼슘이 제외된 상태에서 약간의 이뇨작용을 보였지만 칼슘 및 furosemide의 이뇨작용을 변화시키지 못하였다. 이상의 성적은 적출관류 토끼 신장에서 칼슘, verapamil 및quinidine이 이뇨작용이 있으며 칼슘은 furosemide의 이뇨작용을 항진시킨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calcium in the function of an isolated perfused rabbit kidney and its effect on the diuretic action of furosemide. The administrations of hydralazine and verapamil produced remarkable diuretic actions mainly by decreasing renal resistance. The administration of furosemide in combination with hydralazine or verapamil produced remarkable diuretic action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administration of quinidine produced a diuretic action in spite of vasoconstriction and potentiated the diuretic action of furosemide. In the calcium-free perfusion medium, the administration of calcium produced a marked diuretic action in spite of vasoconstriction and potentiated significantly the diuretic action of furosemide. The administration of quinidine did not alter renal function and the diuretic action of furosemide, but the combined administration of quinidine and calcium showed antidiuretic effect due to excessive vasoconstriction in the calcium-free perfusion medium. Although the administration of verapamil produced a slight diuretic action in the calcium-free perfusion medium, verapamil did not alter the diuretic action of calcium as well as the diuretic actions of furosemide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calcium.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 that calcium, verapamil and quinidine produced diuretic actions and calcium potentiates the diuretic action of furosemid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디젤분진이 폐포대식세포에서 nitric oxide의 생성과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의 발현 및 nitrotyrosilated-protein의 형성에 미치는 효과

        임영,최명옥,이권행,김경아,김길수,이명헌,리천주,이수진,최농훈,Lim Young,Choe Myung-Ok,Lee Kweon-Haeng,Kim Kyung-A,Kim Kil-Soo,Lee Myoung-Heon,Li Tian-Zhu,Lee Soo-Jin,Choe Nong-Hoon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DEP의 노출이 새로운 호흡기계 질환 유발의 가능성과 호흡기계의 염증성인자로 잘 알려진 lipopolysaccharide (LPS)의 역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고자 폐에서 염증성 반응 시 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Nitric Oxide (NO)의 형성과 NO의 생성에 관련된 효소인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NO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진 nitrotyrosilated-protein을 폐포 대식세포를 통해 분석하였다. 폐포대식세포에 DEP를 농도 별로 단독 처리하였을 때와 동일한 농도에서 배양시간을 달리하였을 때는 NO가 생성되지 않았으나 DEP와 함께 LPS를 처리하였을 때는 LPS를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유의성이 있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NO의 생성에 관련된 효소인 iNOS 및 NO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진 nitrotyrosilated-protein 발현의 정도를 면역화학염색과 Western analysis로 확인할 수 있었다. DEP는 폐포대식세포에서 직접적으로 NO생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NO를 생성하는 iNOS나 nitrotyrosilated-protein의 발현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세균성 염증인자의 한 종류인 LPS가 NO를 형성하는 데에는 통계학적인 상승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염증성질환의 환자에서 DEP의 흡입은 간접적으로 NO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쳐 질환을 악화시킬 것으로 판단한다.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demonstrated an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diesel exhaust particles (DEP) and adverse cardiopulmonary effects. Despite the epidemiological proof, the pathogenesis of DEP-related pulmonary diseases remain poorly understood. So, comprehensive in vivo and in vitro researches are required to know the effects of DEP on diverse lung diseases. Alveolar macrophages (AM) and airway epithelial cells are known as important cellular targets in DEP-induced lung diseases. Other studies have shown that nitric oxide (NO) is involved in particle matter induced lung injury.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whether DEP has an synergistic effects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O formation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with nitrotyrosilated-protein formation in cultured primary alveolar macrophages. The formation of NO was determined through the Griess reaction in the cultured medium and iNOS with nitrotyrosilated-proteins are analyz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Wester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DEP exposure does not induce NO formation by itself, however DEP showed significant synergistic effects on LPS-induced NO formation. So, our results suggest that DEP inhalation could aggravate inflammatory lung disease through NO formation.

      • In Vivo Measurement of Extracellular Monoamines and Their Metabolites in the Rat Posterior Hypothalamus Using Microdialysis Technique

        성기욱,김성윤,조영진,이권행,이상복,Sung, Ki-Wug,Kim, Seong-Yun,Cho, Young-Jin,Lee, Kweon-Haeng,Lee, Sang-Bok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1992 대한약리학잡지 Vol.28 No.1

        Catecholamines, serotonin and their metabolites were measured in the posterior hypothalamus of urethane-anesthetized normotensive Wistar Kyoto rats (WKY) and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using brain microdialysis which is a recently developed experimental method to measure the release of neurotransmitters and their metabolites at the localized brain area in vivo. Microdialysis probe was implanted stereotaxically to the rat posterior hypothalamus and perfused by Ringer's solution. Monoamines and their metabolites were quantified by reverse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In vitro recovery test of microdialysis showed that there exist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usion flow rate and the relative recovery of neurochemical compounds. The estimated extracellular concentration of dopamine was about 32 nM, of norepinephrine 50 nM, of epinephrine 50 nM, of serotonin 73 nM, of 3, 4-dihydroxyphenylacetic acid (DOPAC) 281 nM, of homovanillic acid (HVA) 181 nM, and of 5-hydroxyindoleacetic acid (5HIAA) 3767 nM in the hypothalamic perfusate of the normotensive r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basal level of monoamines between the SHR and the WKY. In contrast, the level of DOPAC, HVA and 5HIAA in SHR was higher than that in the WK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microdialysis technique should be an applicable tool for in vivo measurement of central neurochemical substances. 최근에 개발된 생체내 미세투석법을 이용하여 정상혈압 흰쥐(WKY)와 자연발생성 고혈압 흰쥐(SHR)의 후 시상하부에서 세포외액의 모노아민과 그 대사체들을 측정하였다. 뇌정위 고정장치에 의해서 미세투석관을 후 시상하부에 위치시킨후 링거액으로 관류하였다. 모노아민과 그 대사체들은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라피와 전기화학 검출기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미세투석관의 시험관내 회수율 검사 결과, 관류액의 유속과 신경화학물질의 상대적 회수율 사이에는 역비례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정상 혈압 흰쥐에서 후 사상하부의 관류액으로 부터 축정한 각종 신경화학물질의 세포외액 농도는 도파민 32nM, 노르에피네프린 50nM, 에피네프린 50nM, 세로토닌 73nM, 3.4-dihydroxyphenylacetic acid(DOPAC) 281 nM, homovanillic acid(HVA) 181 nM, 5-hydroxyindoleacetic acid(5HIAA) 3767nM이었다. 후 시상하부에서 측정된 신경전달물질의 기준치는 WHY와 SHR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DOPAC, HVA, 5HIAA의 기준치는 WKY에 비해서 SHR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추 신경화학물질들의 생체내 측정에 미세투석법을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