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센터 구성원의 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인식에 나타난 상호문화 실천에 대한 연구

        오정미,문희진,김영순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202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3 No.3

        본 연구는 상호문화 실천의 관점에서 가족센터 구성원의 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및 인식을 탐색하여 새롭게 정립한 상호문화 실천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나아가 다양한 상호문화 담론의 지향점을 제시하는 데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의 가족센 터에서 근무하는 기관운영자 8명과 가족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 경험이 있는 기관사용자 8명을 직접 만나 심층 면담을 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을 매개로 한 기관운영 자와 기관사용자의 경험과 인식을 상호문화 실천의 사례로 접근해서 그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기관사용자는 교육 프로그램에 학습자로서 참여해 다양한 문화 배경을 가 진 사람들과 소통과 성찰이라는 상호문화 실천을 경험하며 자문화와 타문화 상호문화 에 대한 이해가 확장되고 있었다. 먼저, 다른 국적의 기관사용자와의 만남에서 상호작 용을 통한 자문화 재인식, 타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 그리고 상호문화 관계 속에서의 교집합을 경험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을 통해 만난 기관운영자와는 상호문화 이해 부족 으로 인한 갈등, 사용자와 운영자 간 소통의 부재, 한국어 강사와의 소통 및 지원 경험 이라는 부정 및 긍정의 경험을 상호문화 실천의 결과로서 동시에 경험하고 있었다. 기관운영자도 가족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기관사용자와의 관계 속에서 자연스럽게 상호문화 실천이라는 사회적 행위를 하고 있었다. 실무자로서의 프로그램 운영은 곧 상호문화 실천이고, 이 가운데 긍정 및 비판적 경험을 하며 기관운영자는 다음과 같은 문화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가 이론과 체험을 융합한 체험융합형 상호문화교육이고, 두 번째가 교육 내용뿐 아니라 교육 방식에서도 결혼이주여성 주도 의 상호문화 교육이다. 본격적으로 다문화사회가 된 지 20년 이상이 된 현재에는 기관 사용자이면서 동시에 기관운영자이기도 한 이주민이 많고, 그들을 학습자뿐 아니라 교 수자로 인정하며 구성원의 역량 강화를 도모해야 한다. 이처럼 가족센터의 핵심 구성원인 기관사용자와 기관운영자 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매개로 한 상호문화 실천의 결과, 가족센터의 현재의 문제점과 나아가 지향할 프로그 램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가족센터의 운영을 위한 지침이 될 것이며, 무엇보다 상호문화 실천의 결과이다. 상호문화 실천은 공존사회 모색을 위한 실천적이 고 구체적인 사회적 행위이고, 가족센터에서 이루어지는 상호문화 실천이 우리 사회로 확장 및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family center members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s from the perspective of mutual culture practice, embodied the concept of mutual culture practice, and further suggested the direction of various mutual culture discourse. To achieve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administrators working at family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eight institutional users who had learning experiences in the educational programs of family centers. Furthermore, an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s was conducted based on prior research that defined mutual cultural practice as a societal behavior exploring a coexistent society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grounded in the recognition and respect for cultural diversity. Institutional users practice intercultural of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with people from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through the family center's educational program.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we practice mutual cultures that expand our understanding of self-culture and other cultures, and in them, we reveal seven meaningful contents that our society will seriously reflect on. Institutional operators also communicate with institutional users while operating the family center's education program, and naturally perform social actions of intercultural practice. Experience and reflection accumulated while operating an educational program are the process and result of Intercultural practice, and there are nine implications presented as an institutional operator in this study. The Intercultural cultural practice between institutional users and institutional operators, who are members of the family center, was confirmed through the operation and participation process of the educational program. Intercultural practice is a practical and specific social action to seek a coexistence society, and the intercultural practice that takes place in family centers should be expanded and developed into our socie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액체배지에서 눈꽃동충하초균(Paecilomyces tenuipes)의 계대증식에 따른 증식 특성

        오정미,이재경,구현나,우수동,Oh, Jeong-Mi,Lee, Jae-Kyung,Koo, Hyun-Na,Woo, Soo-D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2

        눈꽃동충하초균(Paecilomyces tenuipes)의 균사 및 포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계대증식에서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액체배지로써는 누에 유충분말이 함유된 SL배지와 일반적인 PD배지를 이용하였고, 고체배지로는 누에 번데기 분말을 넣은 현미배지상에서, 세대증식이 이루어진 각 균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액체 배지에서의 포자 생산량은 세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나, 현미배지에서의 포자 생성율은 세대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액체배지에서 계대증식이 고체배지에서의 포자생산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미배지에 대한 최적 포자 접종량은 각각 $1{\times}10^{10}$ conidia/ml, $1{\times}10^6$ conidia/ml, $1{\times}10^6$ conidia/ml의 농도로 접종하였을 경우 농도에 따른 생산량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서 $1{\times}10^6$ conidia/ml만으로도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aecilomyces tenuipes according to the passage in the two kind of liquid media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mycelium and conidium formation degrees. The potato dextrose broth medium and the silkworm larvae medium containing the silkworm powder were used as the liquid media, and the potato dextrose agar medium and the brown rice medium containing the powder of silkworm pupa were used as the solid media. The conidium formation degree in liquid media differed by the passages but that in solid media was not. This suggested that the passage in liquid media did not affect significantly the conidium formation in solid media. When the brown rice media were inoculated with the concentration of $1{\times}10^{10}$ conidia/ml, $1{\times}10^8$ conidia/ml and $1{\times}10^6$ conidia/ml, respectively, the conidium formation degrees were similar. This indicated that the optimal inoculation concentration of conidium to the brown rice media is $1{\times}10^6$ conidia/ml.

      • KCI등재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아시아 설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이해 : 베트남 설화를 중심으로

        오정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a way to develop and use Asian folktales written in the Korean language by immigrants living in the Republic of Korea as resources for intercultural education. For this, the meaning of intercultural education from a survey on 1493 folktales provided by 134 immigrants from 28 countries was analyzed, focusing on Vietnamese folktales. After the analysis of the Vietnamese folktales including the Philippines and the Mongolia, this study examined what folktales should be chosen and taught for effective intercultural education. As a result, those with value culture, nature culture, living culture, and history culture were selected. At the same time, this study proposed an educational plan on how the four categories could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education using folktales. 이 글은 한국에 거주하는 이주민이 한국어로 구술한 아시아 설화를 상호문화교육 자료로써 개발하고 교육적으로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이다. 28개국 134명의 이주민을 통해 수집한 1493편의 설화중에서 베트남 설화를중심으로 이주민 대상의 설화 조사가 가지는 상호문화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아시아 설화의 대표 상징으로써베트남 설화를 중점적으로 살핀 후, 상호문화교육을 위해 어떤 설화를 선정하고 교육할지 베트남과 함께 필리핀과몽골 설화를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치문화, 자연문화, 생활문화, 역사문화가 서사에 잘 형상화된 설화를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작품으로 선정하였고, 동시에 4개의 항목을 주요 교육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베트남 및 필리핀과 몽골설화를 통해 4개의 항목이 어떻게 상호문화교육적으로 접근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한국의 상호문화교육을위한 아시아 설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이주민을 위한 가족센터 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미래 방향: 학술지 연구(2013-2022년)를 바탕으로

        오정미,문희진,김영순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3 다문화와 평화 Vol.17 No.1

        Based on 10 years of research on family centers (formerl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is study reviewed educational programs offered at the centers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migrants. With changes in the level of learners and the social environment, Family Centers should modify the education they provide. In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educational program by regional centers and cases through research on family centers between 2013 and 2022.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few educational programs that reflect the local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enter, an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at the elementary and intermediate levels were dominant. This confirmed the state by educational cases that call for the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along with non-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The following is the direction for futur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trends. First, advanced level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he current programs at family centers are largely focused on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Given that it has been more than 10 years since Korea became a multicultural society, there are many migrants with advanced Korean language skills, and this necessitates modifications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offered at family centers. Second, inter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at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diversity and universality of nations and ethnic groups should be developed. There is a need for intercultural education that brings together residents and migrants, and a place for such exchanges should be provided as an educational programs at family centers. Lastly, educational programs that intently collect the opinions of migrants should be built. In the past, these programs were developed with the input of educators and experts, but today’s programs should actively reflect the voices of migrants as learners. By developing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at family centers, which serve as schools to migrants, by taking into account social changes and the views of learners, it becomes possible to look forward to a bright future not only for family centers, but also for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이 논문은 10년 동안 축적되어 온 가족센터(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이주민을 위한 교육기관으로서의 미래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학습자의 수준과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라 가족센터는 교육 변화를 도모해야 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2013년부터 2022년까지의 가족센터 연구를 통해 지역 센터별과 교육 사례별로 교육 프로그램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지역별 환경과 특성을 반영한 각 센터의 변별적 교육 프로그램이 거의 제공되지 않는 점, 그리고 초・중급 수준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비한국어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교육 프로그램의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교육 사례별 현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 프로그램 동향을 통해 제시한 미래의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급 수준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다. 현재 가족센터의 한국어교육은 초・중급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다문화사회가 된 지 10년이 넘은 현재에는 고급 수준의 한국어 능력을 갖춘 이주민이 많은 점을 고려해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국가나 민족이 가진 문화적 다양성과 보편성을 서로 이해하는 상호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다. 정주민과 이주민이 함께 하는 상호문화교육이 필요하고, 그 교류의 장을 가족센터에서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제공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주민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다. 과거에는 교육자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면, 이제 학습자인 이주민의 목소리가 적극적으로 교육 프로그램에 반영되어야 한다. 이주민에게는 학교와 같은 가족센터에서 사회 변화와 학습자의 의견을 수렴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할 때, 가족센터의 미래뿐 아니라 한국의 밝은 다문화사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Effectiveness of Once-weekly Compared with Thrice-weekly Subcutaneous Epoetin Alpha for the Treatment of Chemotherapy-induced Anemia

        오정미,이윤덕,김영주,김경임,신완균 한국임상약학회 2009 한국임상약학회지 Vol.19 No.2

        Purpose : 본 연구의 목적은 항암치료로 인한 빈혈환자의 치료에서 epoetin alpha (rHuEPO) 피하주사 시, 주일회 요법과 주삼회요법의 헤모글로빈(hemoglobin, Hb) 상승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Methods : 본 연구는 1999년 3월부터 2005년 3월까지 국립암센터에서 항암치료로 인한 빈혈로 epoetin alpha를 투여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환자는 rHuEPO 10,000 IU 주삼회투여군(n = 127)과 20,000 IU 주일회투여군(n = 81)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들은 필요에 따라 경구용 철분보조제를 섭취하였다. Epoetin alpha 치료 시작 후 최대 8주까지 2주 간격으로 Hb 수치변화를 분석하였다. Results : 치료 시작 시점의 rHuEPO 10,000 IU 주삼회투여군과 20,000 IU 주일회투여군의 평균 Hb수치는 유사하였다 (9.4 g/dL vs. 9.7 g/dL). Epoetin alpha 치료 후 8주까지 두 그룹간의 헤모글로빈 수치의 상승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57±1.39 g/dL vs. 1.68±1.35 g/dL, p=0.59). 또한 경구용 철분보조제 투여여부, cisplatin 포함 항암제 투여여부 및 성별에 따른 군의 분류에 있어서도 rHuEPO 10,000 IU 주삼회투여군과 20,000 IU 주일회투여군의 평균 Hb 상승수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onclusion : 한국인에서 항암치료로 인한 빈혈의 치료 시에 rHuEPO 20,000 IU 주일회투여 용법은 10,000 IU 주 삼회투여 용법과 유사한 Hb 상승효과를 가진다.

      • KCI등재

        이야기의 ‘기능’적 접근을 통한 온톨로지 활용방안 ─ 한국구비문학대계를 중심으로 ─

        오정미,정소영 국어문학회 2023 국어문학 Vol.84 No.-

        We currently have a variety of archives, but there is duplication of data between archives, and we are unable to connect archives that handle the same material. It is also disappointing that the built search engine is only capable of limited searches and cannot perform advanced search functions. The direction that digital archives should take is convenience for users and appropriate utilization of materials. To achieve this, information retrieval must be easy. With this purpose in mind, this study looks at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searching archive systems using 『An Outline of Korean Oral Literature』 as a database. 『An Outline of Korean Oral Literature』 can be described as a report on humanities materials published in a total of 82 volumes from 1979 to 1988, covering 60 regions across the country. Currently, systems that allow you to search for digital materials on the 『An Outline of Korean Oral Literature』 include the <Koreanology digital Archive> and the <Mobile Web>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SurpriseBird>. Based on these three search engines, this study substantially approaches the direction in which digital archives should be oriented in terms of narrative research and the technical parts that should be improved. In addition, we will propose a new research methodology that can utilize narrative materials using a word search program called <SurpriseBi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