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近代小說에 나타난 女學生 연구 嚴美玉 371-1920~30년대 중반 敎育을 통한 女性主體 形成過程을 중심으로-

        엄미옥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4 No.3

        A Study on the Schoolgirls in Modern Novels Um, Mi-ok In this study, investigating the aspect of how schoolgirls are described in modern novels, I intend to clear what modernity is like in works along with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novels concerning schoolgirls as well as the side of women's getting formed as subject through education. Regarding modernity as dynamic concept, I make objects of study non-literature text and novels concerning schoolgirls from 1920s to middle 1930s when such dynamic reveals itself most and intend to investigate both the side of women's being disciplined and instructed through modern system, education and the side of liberation and self-regulating experience space where women defy it and reveal their desire. The rules around love affair/marriage and costume/appearance show that schoolgirls are not merely objects of enlightenment but beings exposed in the mechanism of moral judgement and sexual gaze. On the other hand, schoolgirls are found to build up their imaginary community through the readers' columns and secure their space of liberation and self-regulation through reading and free love. However, the punishment inflicted on their body as a result of schoolgirls' failure of free love shows their contradictory position concerning modernity in that, on the one hand, they personify modernity through love but on the other hand, their bodies are regarded as obstacles that weaken and contaminate modernity in connection with traditional ethics. But this divided subject is the active one breaking up the logic of modernization that forces standardization and self-organizing and enables readers to imagine more dynamic modernity. 본고는 1920~30년대 중반 여학생을 둘러싼 非文學的 텍스트와 소설 작품을 대상으로 여성이 敎育을 통해 主體로 형성되는 과정을 規律과 解放의 측면에서 살피고 작품에 나타난 近代性을 규명하고자 했다. 여학생을 規律하는 담론들은 주로 연애와 결혼, 외양에 집중되는데, 이는 여학생이 성적인 관심의 대상이었음을 보여준다. 한편 여학생들은 讀者 投稿欄을 통한 상상의 공동체를 構築하고 독서와 自由戀愛를 통해 解放과 自律의 공간을 확보한다. 그러나 自由戀愛의 실패로 肉體에 가해진 처벌은 그들이 한편으로는 사랑으로 近代性을 體現하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그들의 肉體가 전통적인 倫理와 연결되어 近代性을 약화시키는 장애물로 인식되는 近代性과 관련된 모순적인 위치를 드러낸다. 그러나 이러한 分裂된 主體는 同一性을 강요하는 近代化의 論理에 균열을 가하면서 스스로를 구성하는 능동적인 主體로서 보다 力動的인 近代를 상상하게 해주고 있다.

      • 형질전환동물세포주에서 벤조피렌의 변이유발성에 대한 천연물질의 항 돌연변이 효과

        엄미옥,한의식,손수정,김종원,류병규,변은경,강일현,강혁준,길광섭,오혜영 식품의약품안전청 1998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2 No.-

        인간에게 고퉁을 주고 있는 질병중 많은 부분이 돌연한이로 인한 특정 유전자의 손상과 손상된 윤전자의 발현과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져 왔다. 특히 암은 대표적인 유전자 돌연변이의 결과로 생기는 빌병으로서, 많은 암 유발 용힌중 화학물질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작용이 발암성과 관련하여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잇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부DNA를 자신의 genome내게 삽입시킨 형질전환동물로부터 제조된 세포주를 이용하여 유전자 돌연변이를 검출할 수 있는 최신 유전독성 연구기댄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시험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f3c f gene을 target으로 하는 Big Blue· Transgenic Mouse Embryonic Cell을 사용하였으며,시험법의 타당성 및 재현성여분를 확인하기 위하여 음성대조물질로는 1% DMSO, 양성대조물질로는 100rg/mf MNU(rnethrlnitrosourea)를 이웅하여 시험한 결과 mutant frequency(MF)는 각각 0.55±0.39Nle-', 4.26±1.51×10-'으로 나타나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시험법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B[alP (benzo(alpyrene)를 양성대조물질로 in oifro대사환성화계에서 시험한 결과, 처리농도 20, 40, 60rgjm1에 대하여 Mf값이 9.1츠겪.14×10-", 14.3츠깆.86×10-', 20.St3.78×10-"로서 농도의존성을 보였다. 또한 식품을 비롯한 각종 천연물에는 돌연변이원 물질의 활성을 억제 또는 경감시키는 작용이 많이 보고되고 있어 갈조류의 일종으로서 강력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료」ooi3 rfofonif☞ra(속칭 :곰피)를 사옹하여 꽉립된 시험법으로 항돌연변이 효과를 점색하고자 하였다. 양성대조물질로 사용한 MNU에 대하여 곰릭의 메탄을 추출물을 병용투여하여 항돌연변이 효자를 시험하였다. 100rg/mf MNU와 곰피 25.6, 51.2, 100.3#9/mf을 병용처리한 결과 MF가 각각 67, 79, 74% 감소하여, 형질전환동물세포주께서 공피 추출물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 다. 그러나 암 예방제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돌연변이된 염기 서열을 분석하여 변이의 종류와 특성을 확인하여 그 작용기전을 밝히는 추가연구가 수챙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ransgenic animal cell with a A shuttle vector containing a fac ftarget gene is useful as a short-term in oifro mutagenesis assay. The gene is recovered from the cells treated by exposiog mousegenomic DNA to in oifro packaging extracts and plating the rescued phage on agar plates containing S-brorno-4-chloro-3-indolyl fD-galactopyranoside (X-gal). Phage with mutations in the f3c f gene formblue plaques, whereas phage with a nonrnutated fac J form colorless plaques, so mutant is defected easily.In order to estabilish this new transgenic technology, we studied mutagenicity of the direct-ectingalkylating agent N-methyl-N-nitrosourea (MNU ) and indirect mutagen benzora]pyrene in the BigBlue" transgenic mouse emf)ryonic cell line. Treatment of the cells with MNY or benzo[alpyrene causedinduction of mutations over 1% DMSO negative control and we conformed the reproducibility of thetransgenic mutagenicity assay. Also, dose-dependent response has been ohserved in benzo[a]pfrene-treatment cells. Sdrfonia afofonif☞ra, an edible brown algae, haying a strong antioBidizing activity, wasevaluated its antimutagenic effect by performing this assay, the methanol extract of Sffonia sfofonifrrashowed rfuction of mutation frequencies in MNU-treated transgenic mouse cells.

      • KCI등재

        『자유부인』 에 나타난 의복의 정치학

        엄미옥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0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7 No.-

        This thesis is to define the process of forming of desire and gender identity of women after the war by examining the aspects of clothing appeared in 『Free madam』. For that purpose, the landscape of fashion industry in the 1950s and social and cultural discourses surrounding women's fashion and the role of clothing in the novel as a spatial element are investigated. Freedom of Oh Sunyoung in 『Free madam』is associated with her progress from home into a public area represented by 'Paris trading company' and change of her clothing such as velvet (birodeu) skirt and jacket and nylon skirt and jacket. And she dominates males by using beautiful Korean dancing dress and sexuality represented by the dancing dress as a mask. The dancing dress is a symbol of her challenge to the public opinion and expression of active sexuality, which is a threat to the traditional hierarchies of gender or patriarchal order. But conservative nationalism, trying to reestablish itself by restoring anti-communism and tradition in the course of postwar reconstruction and modernization, oppresses and controls women's clothing in the excuse of discipline against luxury and indulgence. The aspects of clothing appeared in 『Free madam』is a language which shows space of gender and a symbol that shows complexity of modernity.

      • 폐암의 유전적 감수성과 흡연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엄미옥,민수진,김종원,박미선,한의식,정해관,정원상,오혜영 식품의약품안전청 2000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4 No.-

        같은 발암물질에 노출되어도 어떤 사람은 암에 걸리지만 어떤 사람은 암에 걸리지 않는 차이를 많은 연구자들은 유전적인 영향에 의한 개개인의 발암물질의 대사과정에 차이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또한 홉연과 관련한 폐암의 발생에서 유전적 감수성을 결정하는 대표적 인자로 c밧ochrome pf50(CYPI 및 glutathione 1,-transferase(GST)와 같은 약물대사효소가 관련됨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년 연구에서는 한국인 폐암환자의 혈액으로부터 이들 유전자에 대한 다형성을 조사하여 폐암발생의 유전적 감수성을 밝히는 생계지표인자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폐암환자와 정상인웨 혈액을 대상으로 PCR-RfLP (Re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방법으로 폐앙과 관련있는 5가지 다형성 대사유전자 CYPIAI, CYPfEl, G57%1, GSTTI, mEN(microsomal epoxide hyolase)를 조사하였다. 외부발암물질에 래한 체내 보호기전의 주된 효소로 알려진 C·STMI 및 GSTTI에 있어서는 null type이 각각 폐암환f.1군은 32%f12/37)와 27%(10/37), 정상대조군은 13%(2/15)와 7%(1/15)로 조사되어, GSTMI 및 GS71 null type 유전자 다형은 폐암발생과 밀접한 관련성(ORs=2.02 및 3.03) 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CYPfEl frf J 절단형인 herozygous mutant도 폐암과의 유의적 관련성tORs=3.84)이 나타났다. CYPIAI의 경우 정상대조군과 환자군에 있어서 wild type은 각각 48%(10/21)와 22%(8/37)이었으며, heterozygous mutant(.nfsp f 절단형)는 각각 38%(8/21)와 54%(20/37)로 분석되었고, 반응성이 높은 epoxide의 중간대사체의 형성에 관여하는 mEH의 경우에는 fftfjj J 절단위치에서의 rosine homozygous(YY) wild type과 hist,idine/tyrosine heterozygous (HY) mutant가 주로 관찰되'겄으며, 발현율은 각각 정상대조군에서 35%(7/20)와 65%(13/20), 폐암환 자군에서 32%(12/37)와 54ff(20/37)로 나타났으며, 특이하게 환자군에서는 histidine homorygous(HH) mutant가 14%fs/37) 관찰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chromosomal instability를 검출할 수 있는 지표로서 혈구세포에서 느CE(Sister Chromatid Exchan깅e), CA(Chromosome Aberration) 및 CBMN(C린okinesis-blocked Micronucleus)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상대조군과 환자군에서 세포 당 SCE 발현빈도는 각각 5.S3f2.34, 6.22±2.00으로 비슷하였으며, CA 유발율은 정상대조군 2.39%±1.52, 폐앙환자군 3.01%±2.』긴, 그리고 MN 윤발율은 정상대조군 4.83%츠3.02와 폐암환자군 13.1%± 7.93으로 환자군에서 증가륵는 것을 관찰하였다. Lung cancer is the most common neoplasm in the world and cigarette smoke is believed to be responsible for 90% of lung cancer. Many investigators have reported anassociation between genetic polymorphism of cytochromes P-450(CYPs) or gtutathione5-transferase (GSTs) and susceptibility to lung cancer. In Korea however, few studies havebeen conducted, so we have elucidated the role of genetic polymorpssms of CYPIAI, CYPfEt,fSThfl, GSTTI, and mEN in development of lung cancer. We have anatyzed genotypes ofDNA from 37 patients and ::1 controls. The GSTMI null genotype was present in 32%(12/37)of the lung cancer patients compared to 10%(2/21) of the controls. Patients with the GSTTInull genotype was present in 27%(10/37) compared to 5%(1/21) of the controls. And there is a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GSTMI and/or GSTTI null genotype and the development oflung cancer. The distribution of the CYPfEl frf J variant alfele in patients(49%) was presenthigher than that In control(f%),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significant. 22%(8/37)and 32%(12/37) of the lung cancer patients and 48%(10/21) and 35%(7/20) of the controlscarried the CYPIAI and mErE wild type, respectively These 2 genes was not significant to thedevelopment of lung cancer. Despite the emphasis on elucidating the association betweeninheritance of susceptibility genes 3nd lung cancer, biomarker studies to link the functionalactivities of these polymorpl)ic genes are an)enable to predict the risk for Bung cancer.Therefore, we have investigated the chromosomal instability of individuals as chromosomeaberration, sister chromatid exchange, and cytokinesis-blocked mlcronuclei assay. We found thatthe formation of micronucle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compared to controls. Theseresult suggest that cytokinesi.j-blocked micronuclei can be used as biomarker for determiningthe risk of development of lung cancer

      • KCI등재

        상상된 공감, 소통의 시학 -『나마스테』에 나타난 법과 인권의 문제를 중심으로-

        엄미옥 대중서사학회 2010 대중서사연구 Vol.- No.24

        『나마스테』는 산업연수제와 고용허가제 그리고 이주노동자 남성과 한국인 여성과의 혼인 및 국적법에 관한 법의 문제를 사실주의적으로 다룬 작품이다. 본고는 『나마스테』에 재현된 이주노동자를 둘러싼 법의 서사와 문학적 서사와의 충돌 양상을 밝히고, 문학적 상상력이 법을 넘어서 제기하는 가능성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고용허가제 시행을 앞두고 시작된 불법체류 단속과 강제 추방에 놓여있던 이주노동자들의 잇따른 죽음과 인권유린의 상황은 국민국가 속에서 인권이란 특정국가의 시민에게만 귀속된 권리임을 보여준다. 한편 외국인 남성과 한국 여성의 결혼에 배타적인, 순혈주의에 입각한 가부장제의 젠더화된 국적법 또한 국민국가의 경계 긋기에 다름 아니다. 요컨대 모든 권리를 박탈당한 채, 벌거벗은 생명으로만 존재하는 이주노동자는 인간과 시민, 출생과 국적간의 연속성을 되묻는 장소로서 법질서를 세우는 근대주권의 허구성을 폭로한다. 『나마스테』는 이러한 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신우에 대한 동일시 효과를 통해 독자로 하여금 상상된 공감을 형성하도록 만든다. 불의에 대한 반감과 연대의 감정을 촉발하여 인권에 대한 감수성을 창출하는 것이다. 나아가 작가는 공감의 형성을 위해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카밀의 발화를 통해 네팔과 티베트의 신화, 종교에 관련된 용어를 포함한 다양한 네팔어를 들려줌으로써 언어자원의 위계를 무화시키고 대화의 장에 타자를 끌어들인다. 이러한 소통의 언어를 서술하는 『나마스테』의 문학적 상상력은 혈연주의와 민족주의에 기초한 법질서 속으로 들어가 법체계를 개선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봄·봄」의 OSMU와 스토리텔링 양상 연구

        엄미옥 우리말글학회 2018 우리말 글 Vol.79 No.-

        본고는 소설 「봄·봄」(1935)이 원형콘텐츠로서 영화 <봄봄>(1969년), TV문학관 <봄봄>(1983년), HDTV문학관 <봄, 봄봄>(2008년)으로 OSMU되면서 이루어지는 스토리텔링의 변화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원소스로서의 이야기와 매체와 장르를 달리하여 재매개되면서 전환된 이야기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주목하였다. 소설「봄·봄」에서 ‘나’와 장인의 갈등은 역순행적인 사건의 배열로 플롯화되는데, 이는 시간의 이동이 자유로운 소설 매체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봄·봄」은 서술자아가 전경화되어 수용자에게 인물의 억울한 내적독백을 직접 듣는 듯한 현장감을 느끼게 하고 바보스럽고 미숙한 신빙성 없는 서술자에 대해 거리를 두지만 한편으로 연민을 갖도록 만든다. 영화 <봄봄>은 봉필과 춘삼이의 갈등을 매개하는 서브플롯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부수적 인물의 역할을 부각시킨다. 특히 점순이를 둘러싼 춘삼이와 뭉태의 삼각관계 플롯은 통속적인 멜로드라마적 요소를 강화시킨다. 춘삼의 의식 속에서 이루어지는 환상적 장면의 삽입은 수용자로 하여금 앞으로 진행될 사건을 예상하게 만들고, 영화의 재미를 한 층 배가시킨다. HDTV문학관 <봄, 봄봄>은 영상기술의 변화와 시대적인 편차로 인해 소설 「봄봄」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 <봄, 봄봄>은 개방적이고 주체적인 여성인물의 성격화를 통해 여성의 능력과 권위가 신장된 사회와 시대상을 반영하여 TV 드라마의 당대성을 드러낸다. 플롯 차원에서 <봄, 봄봄>은 결말에 덕배가 통장을 병수에게 건네는 서프라이즈를 통해 수용자를 깜짝 놀라게 하면서 덕배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게 만든다. 한편 소설에서는 나와 장인의 갈등이 서술자아의 일방적인 고백적 서술로 스토리텔링되는 반면 영상매체인 영화와 드라마에서 갈등관계는 시각적, 직접적으로 표출된다. 덕배와 병수의 갈등은 얼굴 클로즈업으로 희화적으로 처리되거나 서로 다투는 행동이 미디엄 쇼트로 장면화된다. 이러한 편집은 수용자로 하여금 인물에 대해 친밀감을 갖게 만들면서 영화처럼 멜로드라마적 요소 이외에 희극적인 성격을 형성하는데 기여한다. <봄, 봄봄>은 HDTV 기술인 고화질과 와이드 화면으로 영화와 같은 영상을 연출하기도 한다. 제주도의 평화로운 초원의 전경 쇼트는 목가적이고 낭만적인 이야기 공간을 창출하고, 병수의 숙소와 낡은 벽장 등 사물적 요소가 미장센으로 처리되어 혜은이를 향한 병수의 마음을 시각적으로 은유한다. 요컨대 영화와 드라마는 소설 「봄봄」의 핵심사건을 차용하면서도 매체와 장르의 특성에 적합한 스토리텔링 전략으로 새로운 서술과 의미를 획득하고 있다. 이러한 스토리텔링 전략에는 시대와 장르적 변이에 따른 매체기법이나 기술, 수용자와의 상호작용, 사회·문화적 맥락 등이 작용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nging aspects of storytelling that the novel 「Bom·Bom」(1935) as one of archetype contents becomes OSMU to a film <BomBom>(1969), TV Drama Theater <BomBom>(1983), HDTV Drama Theater <Bom, BomBom>(2008). To this end, the study focused on the common grounds and differences between story as the One source and story that was remediated by media and genres. In the novel 「Bom·Bom」, the conflict between 'I' and father-in-law is plotted as a sequence of reversal events,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novel media with free movement of time. Due to fore-grounding of the narrating self, 「Bom·Bom」makes the audience feel the sense of presence that hears the inexorable inner monologue of the character, making distance to a silly, inexperienced and Unreliable narrator, but on the other hand, it brings sympathy. The film <BomBom> actively utilizes the subplot that mediates the conflict between Bongpil and Chunsam or emphasizes the role of ancillary characters. In particular, the triangular relation plot of Chunsam and Mungtae surrounding Jeomsoon strengthens the exoteric melodrama elements. Insertion of fantastic scenes in the consciousness of Chunsam makes the audience expect future events and redoubles fun of the movie. HDTV Drama Theater <Bom, BomBom> shows a lot of differences from the novel 「Bom·Bom」 because of the change of imaging technology and the deviation of the time. <Bom, BomBom> exhibits the contemporary nature of TV drama reflecting the society and the times in which the power and authority of women are expanded through characterization of open and subjective female characters. At the plot level, <Bom, BomBom> astonishes the audience through the surprise that Deokbae handed his passbook to Byungsoo at the end, making the audience reconsider perception of Deokbae. Meanwhile, in the novel, conflicts between me and father-in-law are narrated by one-sided confessions of the narrative self and on the other hand, conflicts in the film as visual media and drama are expressed visually and directly. The conflict between Deokbae and Byungsoo is treated as a close-up of their faces, or the act of mutual quarrel is shown as a scene by a medium shot. Such editing contributes to making the audience have intimacy with the person and to forming a comic character in addition to the melodramatic elements like a movie, With a high-definition and wide-screen HDTV technology, <Bom, BomBom> also produces movie-like images. The panoramic shot of the peaceful grassland of Jeju Island creates an idyllic and romantic storytelling space, and object elements and such as lodging and old closet are treated as mise-en-scene, which reveals visual metaphor of Byungsoo's mind to the Hyeeun. To sum up, while borrowing core events of novel <BomBom>, film and drama acquire new narratives and meanings through storytelling strategi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nd genres. Media technique and technology, interaction with audience, socio-cultural context, etc. depending on change in times and genre have an influence in this storytelling strategy.

      • KCI등재

        질병서사에 나타난 고통의 언어와 증언의 윤리 - 젊은 여성 질병서사를 중심으로

        엄미옥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9 No.-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reproduction patterns of a sick body and language of pain in young women's illness narratives and investigate the biomedical discourse and social and cultural context forming illness experiences as well as the aspect of ego being reconstructed, ultimately figuring out ethics of narratives as a testimony raised by illness narratives. In young women's illness narratives, the body in which pain is embodied loses the control ability, perceives time as a horizontal and spatial sense, feels shame, and stigmatizes itself. The narrator, however, monopolizes and accepts his or her illness in his or her own way and incorporates his or her illness experiences into his or her life through writing, thus creating a new ego. In this way, illness becomes a loss no longer and offers an opportunity to realize the vulnerability of human beings that are finite and doomed to perish. Young women's illness narratives testify that genderized medical knowledge and gender-discriminating stereotypes had women get mistaken about their illness or incapable of explaining it. Their illness narratives also wish that the world of illness will be recognized as a unique world and reveal their nature as resistant illness narratives to raise a question about a right to illness. The testimony of illness narratives establishes a bond of sympathy with readers, who in turn notice an ethical practice by functioning as a witness to the testimony. The testimony and ethics of narrative raised by the body of embodied pain will contribute to the reinforcement of narrative competence in medical ethics. 본고는 젊은 여성들의 질병 서사에서 아픈 몸과 고통의 언어가 재현되는 양상을 밝히고 이를 통해 자아가 재구성되는 측면뿐만 아니라, 질병경험을 형성하는 생의학 담론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궁극적으로 질병서사가 제기하는 증언으로서 서사의 윤리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젊은 여성들의 질병서사에서 고통이 체현된 몸은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한 채 시간을 수평적인 공간적 감각으로 인식하며, 수치심을 느끼고 스스로를 낙인찍는다. 그러나 서술자는 질병을 나름의 방식으로 전유하여 수용하고, 글쓰기를 통해 질병경험을 삶으로 통합시켜 새로운 자아를 창조한다. 이로써 질병이 더 이상 상실이 아니라, 유한함과 필멸이라는 인간존재의 취약성을 깨닫는 계기가 된다. 한편 젊은 여성들의 질병서사는 젠더화된 의학지식과 성차별적 고정관념이 여성들의 질병을 오인하거나 설명할 수 없게 만들었다는 사실을 증언한다. 그리고 질병세계가 고유하게 인정되길 바라며 질병권을 제기하는 저항적 질병서사로서의 성격을 드러낸다. 질병서사의 증언은 독자와 공감의 유대를 형성하고, 독자는 다시 증언에 대한 목격자로 기능함으로써 윤리적인 실천을 예고한다. 이러한 체현된 고통의 몸이 말하는 증언과 서사의 윤리는 의료윤리의 서사적 역량강화에도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탈북 여성이주 서사에 나타난 행위자성과 장소의 재구성 - 『찔레꽃』과 『큰돈과 콘돔』을 중심으로

        엄미옥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1

        biggest characteristic of the diaspora phenomenon in escape from North Korea, which began during Arduous March in the middle 1990s, is the feminization of such escape.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s around North Korea and China in the globalized flow of capital caused the mobility of women. This led to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exhibiting a gendered form of migration that simultaneously formed an autonomous subject of migration. Therefore, they reorganized their identity and became an agent to create of various scales through their transnational migration experiences from North Korea through China to South Korea. This study to examine the placeness and embodied by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ir mutual relations with various scales in spaces they traveled in JJillae-flower, Kundon, and Condom. In JJillae-flower, Chung-sim resists the national scale through her body and carries out her promise of self-maintenance to keep her instead of forming her identity passively as a suffering victim or object of policy benefits in the migration process. Furthermore, she exhibits her agency of negotiating with South Korea and escaping from her depressive subjects by engaging in an act of taking care of her parents in North Korea. In Kundon and Condom, Chang-suk is placed in a hierarchic position as an object of assimilation at the boundary of division and in the order of South Korean society, but she manages to realize her politics of various scales through her fluid agency according to the different places. Additionally, she creates a new placeness of establishing a multi-layered network including solidarity with the same community and transnational family. This agency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raises a need to reflect on the discourse of social integration based on one-sided assimilation in the society. 1990년대 중반 이후 고난의 행군시기에 시작된 탈북 디아스포라 현상의 가장 큰특징이 탈북의 여성화이다.전지구화된 자본의 이동 속에서 북한과 중국을 둘러싼 정치·경제적 상황은 여성의 이동성을 초래했고 탈북여성들은 젠더화된 이주형태를 보이지만 동시에 자율적인 이주 주체로 형성되는 결과를 가져왔다.즉 탈북여성은 북한-중국-남한으로의 초국적 이주경험을 통해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다양한 스케일에서 장소성을 창출하는 행위자가 되는 것이다. 본고는 『찔레꽃』과 『큰돈과 콘돔』을 대상으로 탈북 이주여성이 이동하는 공간에서다양한 스케일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어떠한 장소성과 행위자성을 구현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찔레꽃』에서 충심은 이주과정에서 고통받는 피해자 혹은 정책적 시혜의 대상으로수동적으로 정체성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자신의 몸을 통해 국가 스케일에 저항하고,“자기위신”을 지키는 자기유지의 약속을 이행한다.나아가 북한의 부모에 대한 돌봄행위를 통해 남한이라는 장소와 협상하고 우울증적 주체에서 벗어나는 행위자성을보여준다.『큰돈과 콘돔』에서 창숙은 분단의 경계와 남한사회의 질서 속에서 동화의대상으로 위계화된 위치에 놓이지만 장소에 따라 유동적인 행위자성을 통해 다양한스케일의 정치를 실현한다.또 같은 공동체와의 유대 및 초국가적인 가족 등 다층적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새로운 장소성을 창출한다.이러한 탈북여성의 행위자성은 우리사회의 일방적인 동화주의에 입각한 사회통합담론에 대한 성찰을 제기한다.

      • KCI등재후보

        국내 유통 종이팩 포장재 중 Isopropylthioxanthone(ITX) 분석

        엄미옥,윤혜정,최현철,전대훈,김형일,성준현,박나영,이은준,성덕화,이영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7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22 No.2

        (ITX) is used as a photoinitiator in UV-cured inks, triggering the radical poly-merization of the acrylic component of such inks and thus causing the liquid ink film to cure. Recently ITX wasdetected in carton packed food in Italy. In order to cope with risk issues of overseas and acquire monitoring data onITX, we have established the method using HPLC/FLD for ITX analysis after reviewing parameters of the analyticalmethods.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were 0.02 ppb and 0.1 ppb, and linearity andproducts packed in carton and ITX was not detected any fod. Therefore it is supposed that UV-cured ink containingITX as photoinitiator is not currently used in printing of carton pack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