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가족친화제도 디커플링 인식과 영향요인: 출산육아 및 근로시간제도를 중심으로

        성민정,원숙연 한국행정학회 2017 韓國行政學報 Vol.51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decoupling aspect of not employing the expanding ideals of family-friendly policies in the workplace. The study reviews through empirical investigation the decoupling patterns of and impact factors on childbirth/childcare and work-hour policies, which constitute the core of family-friendly practices. At first, the conceptual analytical model is structured based o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Next, the feasibility of the analytical model is empirically verified by surveying 860 employees of family-friendly-certified corporations (agenc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fter running t-tests, ANOVA, and regression models, describe a number of meaningful arguments. Firstly, the decoupling conditions of work-hour policies had a higher score than the decoupling conditions of childbirth/childcare policies. Additionally, the decoupling conditions of family-friendly policy categories showed differential results based on differen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econdly, the influencing factors showed different results against the decoupling conditions of family-friendly policy categories. The higher the market culture, the lower the hierarchy culture; the private sector more than the public sector; the older the organization, the higher the perceptions of childbirth/childcare decoupling conditions. Also, more supportive supervisor and colleagues, along with permanent employment rather than temporary employment, showed lower perception of childbirth/childcare decoupling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decoupling conditions in work-hour policies were perceived as higher in a lower adhocracy culture, a higher market culture, the private sector more than the public sector, smaller organization size, and older organization age. However, more supportive supervisor and colleagues, along with higher member age, showed lower perception of work-hour decoupling conditions.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further detail. 본 연구는 가족친화제도가 확산되고 있지만 도입된 제도를 실제 활용하지 못하는(않는) 디커플링 현상에 주목 하였다. 대표적인 가족친화제도인 출산육아제도 및 근로시간제도를 대상으로 디커플링 양상 및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관련이론을 바탕으로 도출한 개념적 분석모형의 타당성을 가족친화인증기업(관) 구성원 860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차이분석 및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화제도 중 근로시간제도 디커플링이 출산육아제도 디커플링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조직특 성에 따라 가족친화제도 유형별 디커플링이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친화제도 유형별 디커플링에 대한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출산육아제도 디커플링은 과업문화가 높을수록, 위계문화가 낮을수록, 공공 부문에 비해 민간부문이, 조직연령이 많을수록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상사의 지원이 높을수록, 동료의 지원이 높을수록, 비정규직에 비해 정규직이 낮게 인식하였다. 한편, 근로시간제도 디커플링은 혁신문화가 낮을수 록, 과업문화가 높을수록, 공공부문에 비해 민간부문이, 조직규모가 작을수록, 조직연령이 많을수록 높게 인식하였다. 이에 반해 상사의 지원이 높을수록, 동료의 지원이 높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낮게 인식하였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함의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아버지 대상 가족친화제도 디커플링 인식 및 영향요인: 배우자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중심으로

        성민정,원숙연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8 行政論叢 Vol.56 No.4

        This study focuses on the decoupling aspect of not employing the expanding ideals of family-friendly policies for fathers in the workplace. The study uses empirical investigation to review the decoupling patterns of and impact factors on paternity leave and parental leave, which constitute the core of family-friendly practices. First, the conceptual analytical model is structured based o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Next, the feasibility of the analytical model is empirically verified by surveying 475 male employees of family-friendly-certified corporations (agenc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pport a number of meaningful arguments. Firstly, the decoupling conditions of paternity leave had a higher score than the decoupling conditions of parental leave. Secondly, the influencing factors showed different results against the decoupling conditions of family-friendly policy categories. The more supportive the supervisor and higher member age showed a lower perception of paternity leave decoupling conditions. The private sector also showed more than the public sector, the older the organization, and with a labor union were all related to higher perceptions of paternity leave decoupling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decoupling conditions in parental leave were perceived as lower in a higher hierarchy culture, with a more supportive supervisor, a higher ratio of women, and with permanent employment rather than temporary employment. However, the private sector more than the public sector and the older the organization showed higher perceptions of parental leave decoupling conditions.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further detail. 본 연구는 아버지 대상 가족친화제도가 확산되고 있지만 도입된 제도를 실제 활용하지 못하는(않는) 디커플링 현상에 주목하였다. 남성이 사용가능한 가족친화제도인 배우자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대상으로 디커플링 양상 및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관련이론을 바탕으로 도출한 개념적 분석모형의 타당성을 가족친화인증기업(관)의 남성 근로자 457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화제도 중 배우자 출산휴가 디커플링이 육아휴직 디커플링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배우자 출산휴가 디커플링과 육아휴직 디커플링에 대한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배우자 출산휴가 디커플링은 상사의 지원이 높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낮게 인식하였다. 또한 공공조직에 비해 민간조직이, 조직연령이 높을수록, 노동조합이 있으면 높게 인식하였다. 한편, 육아휴직 디커플링은 위계문화가 높을수록, 상사의 지원이 높을수록, 여성비율이 높을수록, 비정규직에 비해 정규직이 낮게 인식하였다. 공공조직에 비해 민간조직이, 조직연령이 높을수록 높게 인식하였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함의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해군 간부의 직무스트레스, 수면의 질, 피로 및 건강관련 삶의 질

        성민정,이지연,이주희,박정옥 국군간호사관학교 군건강정책연구소 2023 군진간호연구 Vol.41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occupational stress, sleep quality, fatigue, and health-related quality,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and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and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by rank and working area through double-allocation sampling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31 to May 12, 2022. Among 154 collected data, complete data from 149 participan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Naval service members’ occupational stress, sleep quality, fatigu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lation to their work patterns, the current working areas, and level of occupational noises. In regression analysis,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component summary (PC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work patterns (t=-2.40, p=.018), occupational stress (t=-2.80, p=.006) and sleep quality (t= -3.54, p=.001).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mental component summary (PC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occupational stress (t=-2.39, p=.018) and fatigue (t= -3.25, p=.001).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active management of occupational stress, sleep quality, and fatigue as major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hile considering naval service members’ work patterns, working area, and exposure to noise. Furthermore, establishing policies for differentiated health manag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work characteristics of naval service members should be made at the national level.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preparing health management plan according to the work characteristics of the naval service members.

      • KCI등재후보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청력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00 g미만의 청력 검사 결과

        성민정,한영미,박경희,이일우,변신연 대한신생아학회 2011 Neonatal medicine Vol.18 No.2

        Purpose: An association betwee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VLBWI) and hearing loss has long been recognized.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for hearing loss benefits language and speech/cognitive development. We investigated the risk factors and clinical outcomes of hearing loss among VLBWI. Methods: We analyzed the results of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testing of VLBWI. These infants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between December 2008 and February 2011. A follow-up was conducted subsequently. Results: ABR evaluations were performed on 65 infants, and 31 showed abnormal results (47.7%). Among the 31 infants, 10 were classified with moderate/severe/profound hearing loss (15.4%). The infants with abnormal ABR had a higher incidence of low birth weight, prolonged ventilator care, cumulative dose of furosemide, and the lowest PaO_2 (P<0.05). Those with moderate/severe/profound hearing loss had a higher incidence of low Apgar scores at 5 minutes (odds ratio[OR],0.34; 95% confidence interval[CI],0.13-0.89), prolonged ventilator care (OR,1.06; 95% CI,1.01-1.12), and mild hearing loss compared to those without profound hearing loss. Follow-up evaluations on eight infants with ABR reveled improvements 5.6±3.9 months later. One infant, who had profound hearing loss in both ears, used a hearing aid. Conclusion: Factors influencing hearing loss at the first VLBWI hearing screening test included lower Apgar scores at 5 min and prolonged use of a ventilator. Most VLBWI with hearing losses were expected to recover after several months of follow-up. 목적: 양측 고도 난청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치료를 하였던 신생아나 미숙아인 경우 위험률이 증가한다. 이에 저자들은 1,500 g 미만으로 출생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난청을 유발할 수 있는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12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1,500 g 미만의 미숙아 65명을 대상으로 난청의 위험 인자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청력 검사는 교정 연령 37주 이상이 되었을 때 ABR로 시행하였으며, 처음 검사에서 정상 청력인 환아와 난청인 환아로 분류하였다. 결과: 65명의 환아 중에서 34명은 정상으로 나왔고, 31명은 난청을 보였다(47.7%). 난청을 보인 환아 중에서 일상 생활에 지장을 주는 중도 이상의 난청을 가진 환아는 10명(15.4%) 이었다. 이들의 위험인자를 비교해본 결과 비정상군에서 청력 검사를 시행했던 시기가 늦었고, 출생 체중이 적었으며, 기계 환기를 했던 기간이 길었고, 생후 1주일간 동맥혈 가스 분석 결과 최저 산소 분압이 낮았고, 이뇨제의 누적 용량이 의미 있게 많았다 (P<0.05). 이 위험 인자를 경도 난청과 중/고도 난청/농으로 나누고 출생 체중으로 보정한 다인자 분석을 하니 5분 Apgar 점수가 증가할 때마다 중/고도 난청/농의 가능성은 낮아지고 (OR=0.34, 95% CI: 0.13-0.89), 기계 환기의 기간이 길어질 때마다 중/고도 난청/농의 가능성은 증가하였다(OR=1.06, 95% CI: 1.01-1.12). 31명의 난청 환아 중에 추적 검사를 시행한 17명 중 16명이 호전을 보였고(94.1%), ABR로 재검을 한 8명 중 7명은 호전이 될 때까지 평균 5.6개월이 소요되었으며, 1명만이 양측 농으로 나와 보청기를 착용하였다. 결론: 1,500 g 미만의 미숙아에게 처음 시행한 청력 선별 검사에서 중도 이상의 난청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낮은 5분 Apgar점수와 장기간의 인공 호흡기 사용이었고, 대부분이 5-6개월 이내에 청력에 호전을 보여 수개월간은 추적 검사를 시행하면서 회복되기를 기다려도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Radiologic Findings of Primary Mucinous Cystadenocarcinoma of the Breast: A Report of Two Cases and a Literature Review

        성민정,고은영,한부경,조수연,조은윤,이세경,이정언 한국유방암학회 2016 Journal of breast cancer Vol.19 No.3

        Primary mucinous cystadenocarcinoma (MCA) of the breast is a rare but pathologically distinct breast tumor. There have been some case reports on primary MCA of the breast; however, they have all focused on pathologic findings. Here, we report the radiologic findings of two cases of MCA along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Breast MCA shows a circumscribed mass with some calcifications on mammography, an intracystic solid mass without increased vascularity or a vascular stalk on ultrasound, and a heterogeneously enhancing mass within a rim-enhancing cyst with intermediate signal intensity on T2-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se radiologic findings and the presence of mucin in the percutaneous biopsy specimen should suggest the possibility of MCA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 breast tumor.

      • KCI등재

        일부 지역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수면, 신체계측, 영양소섭취 상태와의 상관관계

        성민정,장경자,Sung, Min-Jung,Chang, Kyung-Ja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7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수면, 신체계측, 영양소섭취 상태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와 신체계측 및 체성분 검사,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들의 평균 수면 시간은 남학생 7.0시간, 여학생 7.1시간이었고, 수면 점수는 남학생 40.6${\pm}$5.7, 여학생 41.5${\pm}$5.3으로 수면 시간과 수면 점수에 있어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면과 생활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에서 남녀 모두에게 수면 시간은 생활 스트레스의 수준(스트레스 경험 빈도, 중요도, 총 스트레스 점수)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면의 질을 나타내는 수면 점수와 생활 스트레스 수준(스트레스 경험 빈도, 중요도, 총 스트레스 점수)을 살펴보았을 때, 남녀 모두에게 생활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 간에 매우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p<0.01) 수면의 양보다는 수면의 질이 생활 스트레스와 더 상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생활 스트레스 경험 빈도, 중요도, 총점과 신체계측 간에 상관성을 보았을 때 남학생은 생활 스트레스 경험 빈도, 중요도, 총점과 신체계측 및 체성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학생은 생활 스트레스 경험빈도, 총점이 신체발달 점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남학생의 경우 경제 문제와 신체계측과의 상관관계에서 체중(p<0.05), 허리둘레(p<0.05), 엉덩이둘레(p<0.05)와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학생은 이성 문제에 대한 스트레스와 BMI(p<0.05), 체지방률(P<0.01), 복부지방률(p<0.01), 비만도(p<0.05) 간에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친구 문제와 BMI(p<0.05), 비만도(p<0.05), 엉덩이둘레(p<0.05)간에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학업 문제에서 체지방률(p<0.05), 복부지방률(p<0.05)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영양소 섭취량과 생활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에서 몇몇 영양소와 생활스트레스 간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생활 스트레스 원인별로 그 양상이 달랐다 남학생은 대체로 동물성 식품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영양소인 칼슘, 철분 등과 생활 스트레스 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는 수면의 양보다는 수면의 질과 상관성이 있었으며 체성분, 영양소 섭취상태와도 상관성을 보였다. 생활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처하는데 올바른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확립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운동, 자신이 좋아하는 취미활동 하기, 상담제도 이용 등의 올바른 생활스트레스 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과 바람직한 식생활을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ress levels, sleep,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nutrient intakes their correlations of college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stress scores using a stress test, sleep scores using a sleep test, anthropometric measurement, body composition using Inbody 3.0 and nutrient intakes using 3-day recalls were measured in 353 subjects (183 males and 170 females). Mean total stress score of the male students was 68.2${\pm}$45.0 and that of the female students was 86.5${\pm}$48.7. Stress for study, future, economic and value-related factors were higher than other factors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were more stressed than male in friend, family, study, future and value-related factors. Mean sleeping time and sleep scores of the male students were 7.0 hrs and 40.6${\pm}$5.7, respectively and that of the female students were 7.1 hrs and 41.5${\pm}$5.3, respectively. Mean height, weight, percent body fat (PBF) and waist-hip ratio (WHR) of the male students were 174.8 cm, 73.3 kg, 19.0% and 0.84, respectively. Mean height, weight, PBF, and WHR of the female students were 161.7 cm, 55.3 kg, 28.7% and 0.81, respectively. Mean energy and protein intakes of the male students were 2026.3 kcal (77.9% EER) and 83.0 g (150.9% RI) and those of the female students were 1538.2 kcal (73.2% EER) and 60.7 g (134.9% RI), respectively. In male students, sleep duration, professor and future problem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p<0.05).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in correlations between sleep scores, life stress experience frequency and importance, the total score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p<0.01). Sleep scores (sleep quality) have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than sleep duration in life stress. In male students, correlations between economic problem and w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In female students, correlations between different gender problem and body mass index (p<0.05), PBF (p<0.01), WHR (p<0.01) and obesity degree (p<0.05)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hile correlation between study problem and PBF (p<0.05), WHR (p<0.05)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In male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life stress experience frequency and carbohydrate calcium, iron, vitamin A; correlation between importance and calcium, iron as well as correlation between total life stress scores and iron (p<0.05). In female students, correlation between life stress experience frequency and thiamin along with correlation between importance and thiami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p<0.05). College students need to practice good life habits for the purpose of correctly managing life stress.

      • KCI등재

        신성장산업의 조세지원제도가 기업투자에 미치는 영향

        성민정,김형국 한국세무회계학회 2022 세무회계연구 Vol.- No.72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신성장산업에 대한 조세지원제도가 기업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는 데에 있다. [연구방법]신성장산업의 표본은 한국표준산업분류(KSIC)의 세세분류를 기준으로 추출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종속변수인 기업투자는 두 가지 측정치를 사용하였고, 주요 독립변수인 조세헤택은 과거 3년간 평균 조세혜택을 자기자본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연구 분석은 기술통계량,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성장산업에 대한 조세지원제도는 기업의 투자와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6년 신성장산업에 대한 조세지원이 확대된 이후에는 그 이전에 비해 기업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유의한 값을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우리나라 신성장산업을 대상으로 조세혜택과 기업투자와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조세지원제도의 유효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 [가설 1]이 지지됨으로서 신성장산업에 대한 현행 조세정책이 기업의 투자 제고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2016년 이후 조세지원 확대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가설 2]가 기각됨으로서 조세지원제도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정책방향의 전환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