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다문화주의시대 소수자 정책의 차별적 포섭과 배제외국인 대상 정책을 중심으로 한 탐색적 접근

        원숙연 한국행정학회 2008 韓國行政學報 Vol.42 No.3

        외국인의 이주가 현실이 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다음의 질문에 주목하였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이 단선적인 의미의 다문화주의 또는 다문화정책으로 포괄되기에 충분히 동질적일까? 그들 정책 속에서 차별적 편입과 배제가 행해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러한 차별적 접근이 갖는 의미는 무엇이며, 향후 소수자 정책에 주는 함의는 무엇일까? 이상의 물음에 답을 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정책의 방향(포섭 vs 배제)과 집단정체성의 명확성(명확(고정)/불명확(유동))을 중심축으로 하여 동화(assimilation), 주변화(marginalization), 분리(segregation), 그리고 해체(dissoultion)로 구분되는 다문화정책의 탐색적 틀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초로 결혼이민자(여성/남성), 외국인노동자, 화교, 새터민에 대한 정책적 개입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외국인 집단이 갖는 속성과 도구적 효용 및 혈통에 대한 사회적 인식 등이 반영된 차별적 포섭과 배제를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순혈(純血)은 아니지만 준-한국인을 생산하는 여성결혼이민자와 그 자녀에 대한 정책적 편입이 가장 적극적인데 반해 완전히 다른 피를 가진 외국인노동자와 화교는 정책적 배제의 대상이다. 같은 민족임을 부인할 수 없으면서도 양가적(ambivalent)정체성을 갖는 새터민은 적극적인 포섭과 적극적 배제의 중간에 위치해 있다. 결혼을 매개로 하지만 남성결혼이민자는 여성결혼이민자와는 다른 양상을 띠고 있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함의와 향후 연구과제도 함께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지원이 일-가족 갈등 및 일-가족 촉진에 미치는 영향 : 남녀 간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원숙연,박지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9 여성학논집 Vol.26 No.2

        The rapi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families and the workforce have made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 and family increasingly important.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many organizations, especially in the Korean public sector, have implemented programs or policies to accommodate conflicting needs from work and family. However, it is doubtful if the various policy measures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fulfill the needs in reality, in terms of policy formalism. In order to identify the gaps between policy rhetoric and reality, social and informal supports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need to be given atten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s the substantial effects of informal social supports on the work-family interface, paying special attention to gender differences and marital status. The work-family interface consis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Additionally, social and informal supports for the work-family interface have three sources; that is, from supervisors, co-workers, and organizational climate. In particular,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civil serva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s and the work-family interface. The level of social supports for men was higher than women. Moreover, women reported a higher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Second, in every facet, married women experienced in the hardest conditions. They reported the highest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and a lower level of social supports. Third, organizational support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work-family conflict. Likewise, supports from co-worker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work-family facilitation(->enhancement). These findings have certain implications. First, different strategies should be applied. That is, in planning policy measures, gender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the differentiated conditions faced by married women need to be seriously taken into account. In additi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r climate can either advance or thwart the fectiveness of work-family programs. Family-friendly policy or programs should be directed towards changes in organizational culture or climate. 현실적으로 일-가족은 분리될 수 없는 상호의존적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노동시장의 구조와 관행은 이들이 분리 가능하다는 전제에 입각해 있다. 이러한 현실과 관행사이의 간극으로 인해 조직 구성원은 갈등 상황에 노출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조직의 일-가족 양립을 돕기 위한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이 일-가족 갈등(work-family conflict) 및 일-가족 촉진(work-family enhancement)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가족 양립을 위한 사회적 지원과 일-가족 갈등, 일-가족 촉진의 관계에 관한 기존의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동료지원, 상사지원, 조직지원으로 구성되는 사회적 지원이 갈등과 촉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남성과 여성 모두의 경험을 반영하는 성별차이에 특히 주목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25개 구청에 소속되어 있는 750명의 남녀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경험적 연구결과, 사회적 지원과 일-가족 갈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현격한 성별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사회적 지원을 구성하는 동료, 상사, 조직 등 모든 차원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 낮은 수준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일-가족 갈등은 남성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일-가족 양립을 위한 사회적 지원에 있어서 결혼이나 자녀유무가 갖는 의미가 성별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음도 확인하였다. 즉 남성은 혼인상태나 자녀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크지 않은데 반해 여성에게 있어서 결혼은 집단 간 차이를 발생시키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사회적 지원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가 일-가족 갈등과 촉진에 미치는 작용경로를 살펴본 결과, 일-가족 갈등에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은 조직지원임이 나타났다. 무엇보다 여성의 경우, 결혼유무가 일-가족 갈등에 중요한 영향요인이지만 남성에게는 그렇지 않았다. 일-가족 촉진의 경우, 남녀 모두 동료지원이 강한 영향을 미치는데 남성의 경우는 상사의 지원도 한정적이나마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가 여성인력의 효과적인 활용 및 양성평등에 갖는 의미를 젠더관점을 통해 논의하였다. 이를 기초로 향후 연구 방향도 함께 제시하였다.

      • “Flexibility Stigma”? 유연근무관련 정책의 현실과 맥락: 젠더관점의 적용

        원숙연 한국정책학회 2013 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4

        본 연구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유연근무제를 둘러싼 현실과 그 이면의 맥락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거와 같이 노동 및 근로양식에 있어서 시간(time)-장소(place)-유형(type)의 ‘획일성’이 갖는 가치가 퇴색되고 조직구성원의 다양한 선호와 상황이 반영되는 유연한 근무에 대한 필요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적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공사가 분명하게 구분되고, 일-가정 양립에 대한 수용의 범위가 상대적으로 좁은 우리사회에서, 유연근무제가 과연 어느 정도 수용가능하며, 그 실질적 효과성을 담보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정책의 형식주의와 젠더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유연근무제에 대한 개념적정의와 유형에 대한 논의를 시작으로, 유연근무제에 대한 논의가 촉발되었으며 그 필요성이 제기된 배경을 제시한다. 그 다음 그러한 배경적 맥락 하에서 도입된 유연근무제가 실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현황을 밝히고, 그러한 현황의 이면에 작동하는 부정적 맥락- ‘flexibility stigma’-을젠더관점을 적용하여 논의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젠더관점을 통해 본 멘토링의 기능과 장애요인: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

        원숙연 한국행정학회 2006 韓國行政學報 Vol.40 No.1

        Along with women'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labour market, mentoring, which is deemed as a useful tool for career development for women, has been paid considerable attention. Under the context, this study identifies the underlying structure and dynamics surrounding mentorng relationships in governmental organizations, through a gender perspective. Based on the survey with 630 public officials, this study seeks to find possible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In what ways are mentoring relationships for women in public organizations structured? Whether do mentoring relationships appropriately work for women's career development, as much as expected? What are obstacles that prevent female officials from mentoring relationships? Are th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barriers to mentoring relationships? What are their implications for gender equality as well as career development for female officials? Quantitative findings reveal somewhat contradictory reality. That is, while female officials highly need to build mentoring relationships in comparison with their male counterparts, they face with a series of obstacles to building mentoring relationships, in terms of accessibility cased by structural segregation, patriarch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actices, gender stereotypes, sexual gossips in cross-sex mentoring , and so on. Based on the findings, relevant and substantial alternatives to support mentoring for female officials have to be made. 공직에서 여성 점유율의 지속적인 증가와 함께 여성인력의 효과적인 활용의 중요성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맥락에서 본 연구는 조직 내 경력개발을 위해 유용한 멘토링의 기능과 장애요인을 둘러싼 구조와 작동원리를 젠더관점을 통해 이론적으로 논의하고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관내 25개 구청 공무원 630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을 구하였다. 공직사회에서 여성을 둘러싼 멘토링은 어떠한 방식으로 구조화되어 있을까? 멘토링은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능을 하고 있을까? 멘토링 관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여성이 당면한 어려움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이상의 결과가 공직사회에서 양성평등 및 여성인력의 효과적인 활용과 관련해 갖는 함의는 무엇인가? 연구결과, 성공적인 경력개발을 위한 멘토링의 필요성은 여성이 훨씬 높은데도 불구하고 멘토관계를 통한 경력개발 및 사회-심리적 지원은 남성에 비해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멘토관계의 제안, 멘토의 의지, 멘토관계에 대한 타인의 평가 및 확인되지 않은 성적오해에 이르기까지 멘토관계를 형성하는 전반적인 과정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어려움에 봉착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공직에서 멘토링을 둘러싼 젠더역학이 여성인력의 활용에 갖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