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정신보건법 전면 개정에 따른 의료인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의 법적 고찰

        이세경 한국의료법학회 2017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5 No.2

        Mental Health Act was amended to Act on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the Support for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 With the change of the name of the Act, the former Act are improved for human rights related to the admission of a mentally ill person and the definition of a mentally ill person is changed from ‘a patient suffering from mental illness (including an organic mental disorder), personality disorder, alcohol and drug addictions, and other non-psychopathic mental disorders’ to ‘a person who suffers serious restraints in conducting daily activities independently due to delusion, hallucination, a disorder in thought or mood, or any other cause.’ This amendment influences powerfully the other medical laws, because a ground for disqualification of the medical practitioner are based on the subparagraph. So the provision in the following is added to the new Act. “Notwithstanding the amended provisions of subparagraph 1 of Article 3, subparagraph 1 of Article 3 of the former Mental Health Act shall apply to the provisions of Medical Service Act”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 former Act should be ended as soon as possible to realize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new Act and to protect the freedom of occupation and the right to health, Therefore, I will review the definition of a mentally ill person and consider the directions of improving subparagraph on a mentally ill person as a ground for disqualification of the medical practitioner in Medical Service Act. 이 논문은 정신보건법 전면개정과 관련하여, 의료법의 의료인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 조항의 문제점을 살피고, 합리적인 개정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데 주안점이 있다.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개정 법률)은 정신질환자의 인권 및 기본권 침해 요소 개선과 정신보건에서의 건강증진의 확대 시행을 골자로 하고 있으며, 특별히 정신질환자의 정의를 정신질환자 중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중대한 제약이 있는 사람’으로 한정하였다. 의료법의 관점에서 볼 때, 법의 목적과 관련하여 기존의 법 조항 중 가장 의미 있게 개정된 것이 제3조(정의) 1의 ‘정신질환자’의 정의 내용이다. 각종 보건의료법률이 결격사유가 되는 정신질환자의 범위를 이 조항에서 인용하고 있기 때문에, 정신질환자 정의 조항의 개정은 관련 법률 조항이 입법목적을 달성하는데 큰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이러한 개정이 가져올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정 법률은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 조항은 부칙을 통하여 해당 법률들이 개정되기 전까지는 종전의 정신보건법」제3조제1호에 따른다.’라고 규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과도기적 법률의 적용은 법적 안정성이나 개정 법률이 추구하는 입법목적을 고려할 때 가능한 빠른 시기에 종결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를 계기로 의료인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 조항을 헌법이 보호고자 하는 직업선택의 자유와 건강권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신질환과 관련된 의료인 결격사유 조항의 개정을 다음의 네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첫 번째, 개정 법률의 제3조 1의 정신질환자 조항을 의료인 결격사유의 근거조항으로 인용하거나, 두 번째, 개정 법률의 제3조 7의 ‘정신질환자 또는 정신건강상 문제가 있는 사람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규정을 적용하거나, 세 번째, 의료법 내에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에 관한 실체적 조항을 별도로 두거나, 네 번째, 의료법에서의 의료인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 조항을 삭제하고, 개정 법률에 동법 제3조 1의 정신질환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조항을 두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생활체육지도자의 자기성찰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직업전문성의 매개효과

        이세경,한진영,김소정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3 코칭능력개발지 Vol.25 No.5

        본 연구는 생활체육지도자의 자기성찰이 직무만족에 가는 경로에서 직업전문성의 매개 역할을 규명함으로서 생활체육지도자들의 직무만족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전국 생활체육지도자 240명(남자 95명, 여자 114명)을 대상으로 대면과 비대면(Google survey)을 활용하여 자기성찰, 직업전문성, 직무만족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Cronbach’ α 계수, 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 타당도 분석, Pearson’s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Process Macro 4.0을 활용하여 매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성찰은 직업전문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전문성은 직무만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성찰이 직무만족에 가는 경로에서 직업전문성을 완전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성찰이 선행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자기성찰이 직업전문성을 매개하여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ays to enhance job satisfaction of fitness instructors by identifying the mediating role of job expertise in the pathway of self-reflection to job satisfaction. As a research method, self-reflection, job expertise, and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to 240 fitness instructors nationwide (95 men and 114 women) using face-to-face and non-face-to-face(googl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Cronbach’ α coefficien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tensive validity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5,0 and AMOS 22.0 programs, and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rocess Macro 4.0.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elf-refle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job expertise. Second, job expertis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self-reflection was found to have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on job expertise on the path to job satisfaction.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elf-reflection has an influence as an antecedent variable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fitness instructors, and self-reflection had a positive effect in increasing job satisfaction through job expertis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