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동(자)’, 그 해석과 배치의 역사-1890년대에서 1920년대 초까지

        김현주 상허학회 2008 상허학보 Vol.22 No.-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follow the history of analysis and ar- rangement of ‘labour’ and ‘labourer’ in the early modern age in Korea. In late 1890’s Korean intellectuals accepted ‘勞動(Labour)’ that had been translated by Japanese in 1880’s. And ‘勞動者(Labourer)’ as a so- cioeconomic class appeared in 1920’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of the history of analysis and arrangement of ‘labour(er)’ and the system of conception of ‘Individuality-Society-State’. The principal texts are the textbooks of 『國民小學讀本』(1895), 『勞動夜學讀本』(1908) and the articles in 『學之光』(1914~1919), 『共濟』(1920), 『東亞日報』(1920). Through the study on this relationships, I intended to prove the specific politics in the modern system of conception of ‘Individuality-Society-State’. And this thesis has a meaning as the preliminary study on the socialistic labour discourses after that time. 이 글은 한국에 노동이라는 번역어가 수용된 1890년대 후반에서 ‘노동자’가 하나의 계급으로 대두한 1920년에 이르기까지 ‘노동(자)’에 대한 해석과 배치의 역사를 추적한 것이다. 이 글의 특징은 노동(자)의 해석과 배치를 개인-사회-국가라는 상호 연관적 개념체계와 관련하여 논의한다는 데 있다. ‘노동(자)’의 의미작용을 개인-사회-국가라는 개념체계와 관련시켜 관찰함으로써, 이 글은 사회체에 대한 근대적 담론체계가 작동한 방식을, 그리고 거기에 깃든 정치학을 드러내고자 했다. 또 이 글은 1920년대에 새로 등장한 사회주의적 노동(자) 담론에 대한 연구의 예비 작업으로서의 의미도 가진다. 주요 텍스트는 『국민소학독본』(1895), 『노동야학독본』(1908), 『학지광』(1914~1919) 및 공제(1920), 동아일보(1920)의 기사이다. 1920년에 <조선노동공제회>의 창립은 하나의 사회계급으로서 노동자의 등장을 표현한다. 또 이때부터 노동문제는 정의, 인도, 자유, 합리, 해방 등 지식인들의 정치적 이상을 표현하는 규범어휘들에 의거해 설명되고 비평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것이 노동(자)의 해석과 배치에 있어서 어떤 인식론적 단절을 드러낸다고 볼 수는 없다. 『국민소학독본』에서 『동아일보』에 이르기까지 노동(자)에 대한 지식인들의 담론은 반복성과 연속성을 띠면서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소학독본』에서는 (개인)-국가, 『노동야학독본』에서는 (개인)-사회-국가, 학지광에서는 개인-사회-(국가), 그리고 동아일보에서는 개인-사회-국가라는 개념체계 안에서 노동자라는 말의 의미를 해석하고 그들의 권리/의무를 규정한 것이 그것이다. 1920년에 이르러 ‘노동(자)’은 드디어 개인-사회-국가라는 부르주아 계몽주의 정치학의 개념체계 속에 안착한 것으로 보인다. 1920년대 초반 담론장에 등장한 사회주의적 지식인들의 지향과 거기에 실린 힘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서는, 노동(자)에 대한 사회주의적 담론 혹은 그 담론의 핵심적 개념체계가 부르주아 계몽주의의 개념체계와 어떻게 교류교섭하고 또 그것을 어떻게 수정변형하고 있는가를 면밀하게 살펴보아야 한다.

      • KCI등재후보

        인문교양교육과 독서토론

        김현주 한국교양교육학회 2011 교양교육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post is to grope the necess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university which corresponds with the knowledge-based society in 21st century and the direction to it. In the meantime, Korean universities have greatly confused the education objective and teaching method in terms of quantitative expansion, transformation to comprehensive university system with graduate school, diversification of social role of university, market orientation of university due to Super capitalism, and change of knowledge. Recent developing and enforcing variety of reading education programs as liberal arts education are the movement for Korean universities to recover the identity of university. Moreover, universities are trying to expand the knowledge of liberal art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ontrol the complex and multiplex dynamics between the human being and the world. But the reading education program conducted by Korean universities did not prepare the accurate education objective and teaching method and is concerned to be absolute the knowledge of western culture as a common knowledge. For the alternatives, relativizing the common knowledge and accepting Rorty’s irony to reading education in order to enhance one’s moral level and expand the creative thinking skill are required. These are the alternatives to compliment the problem of liberal art education. But these are also the basic method and spirit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and grope the way to coexist one another. 이 글은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부합하는 대학의 인문교양교육의 필요성과 그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 대학은 양적인 팽창, 전문대학원을 거느린 종합대학교 체제로의 변신, 대학의 사회적 역할의 다변화, 슈퍼 자본주의로 인한 대학의 시장 지향, 지식기반의 변화 등으로 교육 목표와 방법에 대단한 혼란을 초래하였다. 최근 국내․외 대학들이 인문교양교육으로서 다양한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시행하는 것은 대학의 정체성을 회복하려는 움직임이다. 또한 인간과 세계의 복합적이고 다중적인 역학 관계를 이해하고 그것을 조정할 수 있는 능력, 곧 교양 지(知)를 확장시키려는 노력이다. 그런데 국내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정밀한 교육 목표와 교수법을 예비하지 않은 채 의욕을 앞세운 측면이 있고, 서구의 지적 전통을 보편 지(知)로 절대화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보편 지(知)를 상대화시키는 한편 자신의 도덕적 수준을 스스로 고양시키고 창의적 사유 능력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로티의 아이러니를 독서교육에 수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인문교양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대안이기도 하지만,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고 서로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본 방법이자 정신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영양교육 프로그램 초등학생의 영양지식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현주,김미옥,배상열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7 實科敎育硏究 Vol.13 No.2

        This study was enforc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change on nutrition knowledge between before and after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y enforc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fourth grade's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 education group students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two times per week in Tuesday and Friday during a 4-weeks period. After all education period, total of 54 students completed questionaires examining nutrition knowledg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obesity and the living location and the methods coming school and going home. The obesity index was appeared as average -3.22 and especially girl student's height and weight were over average. So it indicated the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 the investigation of the change of nutrition knowledge by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e score was elevated as average 10.28 from average 24.43 in the pre-test to average 34.71 in the post-tes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