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일류 대학전공 건설 배경 하에 지방대학의 지역특색 법학전공 인재양성에 관한 연구

        박정민,채영호,박정민 한중법학회 2024 中國法硏究 Vol.54 No.-

        일류대학전공은 중국 교육부가 일류대학교육을 기초로 “쌍만계획”(双万计划) 건설을 실행하는 대학전공을 말한다. 중국 교육부의 “쌍만계획”(双万计 划)은 분류하여 발전하고, 특색 있는 발전을 장려하며 중국 지방대학의 전공건 설에 큰 발전기회를 가져다주었으며 중국 지방대학 전공건설의 지속가능한 발 전에 유리하다. 먼저, 본고는 중국 지방대학의 일류전공 건설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중국 지방대학 일류법학전공의 건설요소를 제시하고 중국 지방대학 의 법학전공 건설 발전을 제한하는 요소를 분석한다. 중국 지방대학 일류법학 전공 건설은 지역특색이 있는 법치 인재 양성에 강력한 버팀목을 제공한다. 중 국 지방대학의 법학전공은 특색 있는 인재 양성 방식을 선택하여야 한다. 지방 대학의 법학교육을 특색 있는 인재 양성으로 그 위치를 확정하는 것은 중국 경제사회 발전의 객관적인 수요이자 중국 법학교육사업 자체가 발전하는 필연 적인 요구이며 중국 법학교육이 질 향상에서 필연적인 선택이다. 이어 본고는 중국 지방대학 법학전공이 지역특색 있는 인재 양성을 실시하는 필요성에 대 한 고찰을 바탕으로 중국 지방대학 지역특색 법학전공 인재 양성의 본질속성 과 위치확정을 논술하고자 한다.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교과과정 체계를 갱신 하고 보완하며 실천교육을 강화하고 교원역량 건설을 강화하며 섭외법률 인재 양성의 새로운 방식을 모색하는데 착안하여 건설을 전개하면 중국 지방대학 지역특색 법학전공 인재의 양성 효능을 전면적으로 제고시킬 것이다. A first-class undergraduate major refers to an undergraduate major implemented by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under the “Double Ten Thousand Plan” based on first-class undergraduate education. The “Double Ten Thousand Plan” of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encourages classified and distinctive development, bringing significant development opportunities to the professional construction of local universities in China, which is conducive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construction in local universities in China. Firstly,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construction of first-class majors in local universities in China, this article proposes the elements for the construction of first-class majors in law in local universities in China, and analyzes the limiting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law majors in local universities in China. The construction of first-class legal majors in local universities in China provides strong support for the cultivation of local legal talents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Local Chinese universities should choose a distinctive talent training model for law majors. Positioning legal education in local universities as a distinctive talent cultivation model is an objective need for China’s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n inevitable requirement for the development of China’s legal education industry, and an inevitable choi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hina’s legal education. Furthermore,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regional characteristic talent cultivation in the law major of local universities in China, this article elaborates on the connotation and positioning of regional characteristic law talent cultivation in local universities in China. Starting from promoting educational reform, updating and improving the curriculum system, strengthening practical teaching, strengthening the construction of the teacher team, and exploring new models of foreign-related legal talent cultivation, the article carries out construction, We will comprehensively improve the training efficiency of legal professionals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in local universities in China.

      • KCI등재

        조선 전기 한양 출토 중국 청화백자의 소비상황 연구

        박정민 한국문화유산협회 2013 야외고고학 Vol.0 No.17

        조선은 국초에 수준 높은 자기문화를 보유했음에도 불구하고 재료 수급과 비용의 한계로 인하여 청화백자는 양산할 수 없었다. 15세기 후반에는 조선이 사옹원의 사기소를 통해 청화백자를 자체생산 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는 왕실을 비롯한 소수의 사용층을 위한 제품이었으며 그 양 또한 적었다. 조선 전반 한양도성의 상인(商人)들은 정치권력과 유착하여 성장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부를 소유한 일부 사대부와 중인계층을 중심으로 사치품의 수요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조선 전기 조선산 청화백자들은 재력만으로는 소유할 수 없었던 물품이었다. 그러한 한계 상황이 중국산 자기들의 수입으로 연결되었으며 현재 한양도성 안에서 출토되는 중국산 청화백자들이 그 결과물들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선 전기의 중국산 수입자기들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중국산 자기들을 수입했던 류큐국[琉球国] 등의 타국과 비교를 통해 당시 한양이 가지고 있던 소비성향을 확인하였다. 한양에서 출토된 중국산 자기들의 출토양상은 류큐[琉球] 및 일본 등 주변국과 비교해 볼 때, 현격한 차이를 드러낸다. 타국에 비해 조선은 중국산 청화백자만을 주로 수입하였는데 이는 조선이 가지고 있던 자기문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주변국들에서는 15세기에서 16세기 전반에 걸쳐 중국 용천요에서 제작된 청자들이 발견되는 예가 많다. 그러나 조선은 독자적으로 청자를 제작할 수 있었으므로 청자의 수입은 불필요했다. 자주요 등지에서 만들어진 백지흑화기법의 자기들 역시 조선 전기 한양도성민들에게는 크게 각광받지 못한 중국산 자기이다. 조선 전기 한양에 거주했던 중국산 자기의 수요층은 구하기 쉽지 않았던 국산 청화백자를 대신할 중국산 청화백자를 주로 수입하였다. 출토된 중국산 청화백자들의 기종은 주로 소량의 잔을 포함한 접시와 발 등의 반상기이다. 대부분 경덕진(景德鎭)을 비롯한 중국의 민요(民窯)에서 생산된 그릇들로 판단된다. 시문된 문양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그릇의 내외측면은 당초문과 절지문을 아우르는 화문(花紋)과 송죽매 등의 세한삼우문(歲寒三友紋), 사자 등의 서수문(瑞獸紋)과 기타 추상장식문 등의 순으로 주로 배치되었다. 그릇의 내저면 중앙에 배치되는 문양으로는 괴석문(怪石紋), 연지문(蓮池紋) 등과 함께 범어(梵語), 수복(壽福)자도 문양소재로 많이 사용되었다. 조선 전기에 수입된 중국산 자기들의 제작시기는 주로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에 해당하며 16세기 중반을 거치면서 수입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에서 다량으로 수입된 청화백자이지만 조선사회에서는 여전히 고가의 사치품이었다. 그 때문에 사용하다가 깨어진 청화백자들은 파편을 다시 접합하고 그 위에 시유를 다시해서 번조하는 방식으로 수리하였다. 중국산 청화백자의 수리는 당시 양질의 백자들을 제작하던 경기도 광주에 자리한 관요(官窯) 가마들에서 이루어졌던 것으로 추정해 보았다. It is well known that the Joseon Dynasty, from the beginning, had a ceramic culture of high quality. However, blue and white porcelain was not produced due to the absence of pigments such as cobalt. It is from the late 15th century that the royal kilns of the Joseon court began to manufacture blue and white porcelains, but such products were limited in number and intended for the use of the royal family and a few members of the nobility.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e merchants of the capital city Hanyang developed, maintaining close links with the political authority. In this process, demand for luxury items by the merchant and noble classes increased. However, at that time, blue and white porcelain was a luxury item that could not be obtained with money alone. Therefore, it is in such circumstances that Chinese blue and white porcelains came to be imported. The porcelain sherds discovered at many excavation sites in the Hanyang capital are an evidence of this phenomenon. The aim of the current research is to examine Joseon society's consumption of Ming trade-ceramics at this time, and to compare it with the nature of consumption observed for other areas, such as the Ryûkyû kingdom, which also imported Chinese ceramics. The members of Joseon society preferred blue and white porcelains to any other type of Chinese trade-ceramics. At other neighboring regions (such as the western parts of Japan and the Ryûkyû kingdom), on the other hand, it is Longquannyao celadon sherds that are frequently excavated. The reason that this is not the case for Korea is because Joseon was able to independently produce celadon and thus did not need to import it. A similar pattern can be observed for the Cizhouyao ceramics – Joseon consumers were only interested in obtaining blue and white porcelains and therefore were not interested in buying Cizhouyao ware. The sherds of imported Chinese blue and white porcelain mostly comprise tableware, such as bowls, cups and dishes, the majority of which came from the Jingdezhen kilns. The decorative patterns and designs mainly utilize foliage scrolls with lotus and auspicious flowers, designs of pine, bamboo and apricot blossoms, and patterns of auspicious animals, such as lions. In addition, lotus point designs and designs comprised of written characters, including Sanskrit, were also used. The amount of Chinese blue and white porcelain that was imported appears to have increased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Although a considerable amount of Chinese blue and white porcelain was imported, it was still highly expensive product. Therefore, if blue and white porcelain vessels were broken they were repaired and continued to be used. Repaired fragments and evidence of restoration have been found around the royal kiln sites of the Gwangju area.

      • KCI등재

        중국 대학 법학석사 교육과정사상정치 실천경로에 대한 연구

        박정민,강선희 한중법학회 2023 中國法硏究 Vol.52 No.-

        In terms of the research context and hotspots of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the Master of Law program in Chines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is topic will still be a major issue in the future for Chines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o improve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work and implement the fundamental task of cultivating morality and cultivating talents. Firstly, in recent years, domestic scholars in China have conducted multi-dimensional research on the connotation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n Chinese higher education curriculum. Although there are different definitions, they all believe that the essence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n Chinese higher education curriculum is a new educational concept. By integrating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throughout the entire teaching process, all courses highlight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Secondly, Chines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ctively explore the implementation path of curriculum ideologic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from the aspects of curriculum ideological and political management system and incentive mechanism, curriculum ideological and political teaching system, teachers’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ability, and the organic integration of curriculum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nto professional courses.They have constructed a three-dimensional integrated education model of “knowledge transmission, ability cultivation, and value shaping”; Finally, this study believes that school factors, teacher factors, textbook factors, and evaluation factors will profoundly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the legal master’s program in Chines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mong them, school factors provide effective guarantee measures for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the legal master’s program in Chines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eacher factors are the backbone of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the legal master’s program in Chines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textbook factor is an important carrier for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the legal master’s program in Chines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evaluation factor is a key link in promo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the legal master’s program in Chines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중국 대학교 법학석사 교육과정사상정치 건설의 연구 맥락과 이슈 측면에서볼 때, 이 주제는 여전히 앞으로 중국 대학에서 사상정치 교육을 개선하고 인재 양성의 근본 임무를 수행하는 주요 주제가 될 것이다. 우선 최근 몇 년 동안중국 국내 학자들은 중국 대학 교육과정사상정치 함의에 대한 다차원적인 연구를 수행해 왔는데, 서로 다른 정의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모두 중국 대학의교육과정사상정치 교육을 새로운 교육이념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시상정치교육을 전 과정에 관철시키는 것을 통하여 모든 과정이 사상정치교육의 뚜렷한 특색을 띠도록 하고 있다. 둘째로 중국 대학은 교육과정사상정치 관리 시스템 및인센티브 메커니즘, 교육과정사상정치 교육 시스템, 교사 교육과정사상정치 인재 육성 능력, 교육과정사상정치가 전공과정으로의 통합 등의 측면에서 교육과정사상정치 건설의 구현 경로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지식전달, 능력육성 및가치형성” 3위 1체의 입체적 교육 모델을 구성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학교요인, 교사요인, 교재요인 및 평가요인이 중국 대학 법학석사의 교육과정사상정치 건설에 대해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는데, 그 중 학교요인은 중국 대학 법학석사 교육과정사상정치 건설에 효과적인 보호 장치를 제공하고, 교사요인은 중국 대학 법학석사 교육과정사상정치 건설의 중추이며, 교재요인은 중국 대학 법학석사 교육과정사상정치 건설의 중요한 매개체로 되고, 평가요인은 중국 대학 법학석사 교육과정사상정치 건설이 실질적인 효과를 얻는데 중요한 추진작용을 하는 관건적 절차이다.

      • KCI등재

        고려 초기청자(初期靑瓷) 연구에 있어서 북한자료의 활용과 전망

        박정민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8 No.3

        This study was prepared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how North Korea's excavation result was specifically applied to South Korea's research of Goryeo's first step celadon making, and of forecasting the available aspect for a future research. A research in South Korea on Goryeo Celadon is now increasing an outcome over diverse sections. Especially, the newly discovered Celadon kiln sites and the excavated relics further broadened the width of a study about Goryeo Celadon. Given expanding a research scope into North Korean regions based on the progress in this study, it will be available for grasping more multi-dimensionally the spreading method and the consumption propensity in Celadon culture throughout the country. This process will lead to being available for expecting even the extension in awareness as well as for being spread the sphere of a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pottery. Like Goryeo Celadon, the common cultural heritage in our nation is an important resource that will fill up a difference in culture and recogni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at was made by the time close to about 70 years following the division. Therefore, we will need to proceed with magnifying research capability and scope through organically applying North Korean research materials to a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n ceramics, and with arranging even a research task that South and North Korea can perform together. The South and North Korea came to have a bigger difference even in a method of interpreting the same cultural heritage as much as the time in long division. A joint research in South and North Korea on Goryeo Celadon, which is our nation's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will lead to being available for being arranged the common percep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even in a minor way. This common awareness is gradually extended, thereby being expected to be likely utilized as the cornerstone in the unification.

      • 고로슬래그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정민,김태곤,임병호 慶北專門大學(영주경상전문대학) 2002 慶北專門大學 論文集 Vol.21 No.-

        본 연구는 자원의 활용과 콘크리트 제조시 시멘트 절감에 의한 경제적 측면이라는 2가지 관점에서 고로슬래그와 이와의 비교를 위해 플라이애쉬 등을 혼화재로서 사용하여 콘크리트 제조시 주재료인 시멘트 사용량을 콘크리트의 제성질에 영향을 주지않는 범위내에서 압축강도 200∼300kg/㎠의 콘크리트를 레미콘 플랜트에서 생산하여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자 한 것으로 일련의 연구를 통하여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쉬 치환 콘크리트의 굳지않은 상태 및 경화 상태에서의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 고로슬래그로 치환한 콘크리트의 경우 기존의 배합조건에서 S/A비를 약간 하향 조정하면 치환율 20% 정도에서 효과적인 재료적 특성을 발휘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plans on the stable supply of ready mixed concrete satisfying compressive strength of 200-300(kgf/㎠) in the range of not deteriorating fundamental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granulated grind furnace slag(ggbf) and fly-ash as admixture of concrete in the two points of recycling of resources and economical merits. A series of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fresh and hardened concrete replaced by ggbf and fly-ash. From th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concrete replaced by 20% of ggbf represent efficient material properties if ratio of Sand/Aggregate(S/A) is a bit controlled downward in existing mixing proportions.

      • KCI등재

        세종대 4군 개척의 담론 다시 생각하기

        박정민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비평 Vol.- No.139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validity of historiographic discourse concerning King Sejong’s military achievement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King Sejong, considered as one of the greatest kings in Korean history, succeeded in military operations to annex the areas that connect both Yalu River and Tuman River. His military success has often been described as establishment of “4 Gun” and “6 Jin.” I argue, however, that this characterization is inaccurate, considering the historical process by which “4 Gun” came into existence. In fact, one of the so-called “4 Gun”(Yoeyeon) was established in King Taejong’s reign, and additional five administrative units (Weiwon·Gaseung·Wuye·Muchang·Samsu) were established in King Sejong’s reign. Therefore, it is not entirely correct to call those newly established administrative units “4 Gun” (because there were more than four). In addition, they were not built in unoccupied areas, but rather were products of reorganizing administrative areas that neighbor them (such as Gapsan, Ganggyey, Yoeyeon). This article further explores why this historically inaccurate term, “4 Gun,” has been proposed and circulated, by tracing the use of the term in Korean historiography. I propose that historians have adopted this term in order to overcome the coloniast paradigm of Colonial Historical Studie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Chosun’s foreign policy, we need to rethink the validity of such terms as the establishment of 4 Gun, and to take a broad perspective by considering King Sejong’s military expansion in continuum with early Chosun’s aggressive expansionism. 세종은 우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성군(聖君)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4군과 6진의 개척을 통하여 압록강과 두만강으로 연결되는 영토를 확보한 사실은 대표 업적 가운데 하나로 손꼽힌다. 그런데 4군(자성·우예·여연·무창)으로 대표되는 압록강 중상류의 영토 확장 과정을 보면 실제 여연은 태종대에 설치되었고, 세종대에는 위원·자성·우예·무창·삼수가 설립되었다. 따라서 4군이라고 하기에 애매한 측면이 있고, 해당 지역들도 공한지에 설치한 것이 아니라 원래의 갑산, 강계, 여연 등지에서 분리하여 행정구역화 하는 방식이었다. 즉, 세종대 4군 개척이라는 용어는 잘못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토대로 세종대 4군 개척이라는 용어가 어떻게 정설로 확립되었는지를 사학사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는 식민사관과 여기에서 벗어나는 과정에서 정설화되었음을 논증하였다. 그리고 세종대 4군 설치라는 의미가 단순히 대한민국의 영토를 확정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세종대 4군 개척이라는 용어에 매몰되지 않고, 조선 초부터 세종대까지 공세적 팽창주의 정책을 추구했던 결과로 연속성 있게 바라보아야 한다.

      • KCI등재

        한양도성 내 조선 시대 유적의 시기별 중국 자기 출토 양상과 변화*

        박정민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3 No.4

        서울 시내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중국 자기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명나라 시기 경덕진(景德鎭) 민요(民窯)에서 제작된 청화백자로 주로발과 접시 같은 반상기들이다. 병자호란 이후에는 반청(反淸) 의식, 놋그릇 사용증가, 일본 자기 수입 등의 이유로 중국 자기의 수입이 줄어들었으나 19세기를 지나며 중국 자기 수입이 다시 증가했다. 조선 후기에는 청화백자와 함께 다채자기도 한양도성에 전래했다. 서울 시내에서 출토된 중국 자기는 조선 자기에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물건이었지만 일부 사대부와 부상(富商) 등 도성 사람들은 실제 일상에서 중국 자기를 적극 사용했음을 출토 유물의 분포 양상을 통해파악할 수 있다. Among the Chinese ceramics excavated from the ruins in the old town Seoul, the largest proportion is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produced by Jingdezhen(景德鎭) folk kiln(民窯) during the Ming Dynasty, mainly tableware such as bowls and plates. After the Manchu Invasion of Jos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Chinese porcelain imports decreased due to anti-Qing dynasty consciousness, increased use of brassware, and Japanese porcelain imports. However, as the 19th century passed, Chinese porcelain imports increased aga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blue and white porcelain and colored porcelain were introduced to the capital city Hanyang. Chinese porcelains excavated in the old town Seoul were a relatively expensive. However, some people in the metropolitan area, such as the aristocrat and the wealthy merchant, actively used Chinese porcelain in their daily lives. It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distribution pattern of excavated Chinese ceramics from the ruins in the old town Seoul.

      • KCI등재

        함경도 『觀察使先生案』의 명단 검토와 재임 실태

        박정민 전북사학회 2018 전북사학 Vol.0 No.52

        이 연구의 목적은 함경도 『觀察使先生案』의 명단을 검토하고, 재임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기존의 조선시대 관찰사 명단과 운영 실태에 대한 검토는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과 같은 남한 지역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반면 분단이라는 현실적 상황 때문에 북한 지역에 해당하는 함경도와 평안도, 황해도의 관찰사 명단과 재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여기에서는 함경도관찰사의 재임 기간을 중심으로 그 실태를 다루었다. 『선생안』에는 1497년(연산 4) 1월에 임명된 여자신부터 1841년(헌종 7) 12월에 임명된 조기영까지 241명이 기재되어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임명된 것으로 나오는 유빈과 유담년 등이 『선생안』에는 기재되지 않았는데, 이들은 임지인 함흥에 도임하지 않은 인물들이다. 즉, 『선생안』은 함경도관찰사에 임명되었더라도 실제로 咸營에 부임한 인물들만 기록된 것이다. 『선생안』에 기재된 재임 기간을 통해 임명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 『선생안』의 임명일을 관찬사료 등과 비교하면, 그 일치도가 상당히 높다. 여기에 개인 문집을 통해 任命, 辭朝, 到任日 역시 일치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점들은 『선생안』의 재임 기간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준다고 생각한다. 이를 토대로 평균 재임 기간을 산정하면 1.44년으로, 같은 기간 전라도와 경상도관찰사 보다 5개월가량 길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list of officials recorded in 'Gwanchalsaseonsangan (觀察使先生案)' and investigate their incumbency. Earlier examinations of lists of gwanchalsa officials and their management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mostly done in Southern Korean regions including Gyeonggido Province, Gangwondo Province, Chungcheongdo Province, Jeonlado Province, and Gyeongsangdo Province. Such investigations have not been undertaken in North Korean regions of Hamgyeongdo Province, Pyeongandon Province, and Hwanghaedo Province due to the practical barrier of a divided country. In this study, the focus was put on the length of office terms for gwanchalsa in Hamgyeongdo Province. In 'Seonsangan', a list of 241 gwanchalsa is recorded starting from Yeo Jashin appointed in January 1497 (fourth year of King Yeonsan's reign) to Cho Giyoung appointed in February 1841 (seventh year of King Heonjong's reign). Officials including Yu Bin and Yu Damnyeon who are recorded as being appointed as gwanchalsa in Joseonwangjosillok are not included in 'Seonsangan', as they did not go to Hamheung, which was their place of appointment. That is, 'Seonsangan' only recorded a list of gwanchalsa who were appointed in Hamgyeongdo and actually went to Hamyoung (a place of office for gwanchalsa). The state of incumbency can be understood by examining the length of office terms as recorded in 'Seonsangan.' Dates of appointment recorded in 'Seonsangan' are largely accordant with official historical records. Other personal documents were examined,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records of appointment, sajo (making appearance in front of the king before leaving for the place of appointment), and dates of arriving at place of appointment are also mostly correct. These strengthen credibility of the length of office terms recorded in 'Seonsangan.' Based on these, the average length of office terms for gwanchalsa in Hamgyeongdo Province was 1.44 year, about five months longer than gwanchalsa in Jeonlado Province and Gyeongsangdo Provi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