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of Korean Learners Language Learning Style

        김경령 ( Kyung Ryung Kim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5 한국어와 문화 Vol.17 No.-

        본고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학습 양식의 양상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대학에서 다양한 전공을 이수하고 있는 47명의 외국인 학습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습 양식에 대한 조사를 하기 위해 높은 신뢰도와 인지도를 인정받은 다양한 테스트 도구를 사용하였다(Reid, 1987; Willing, 1988; Torrance, 1980). 테스트를 통해 발견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배울 때 언어문화권별로 매우 다양한 학습 양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흥미로운 점은 한국어에 능숙한 높은 단계의 학습자와 그렇지 않은 학습자를 구분하여 재분석을 한 결과 언어 능숙도에 따른 학습 양식 선호도가 변화한다는 점이다. 셋째, 특히 외국인 학습자의 읽기 실력에서 장독립형 학습자와 그렇지 않은 학습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전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학습 양식을 선호하고 활용하는 학습자일수록 언어 테스트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고 특정한 부분의 뇌반구 사용에 훨씬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교사 중심의 특정 교수법만을 활용하여 언어 교수를 하는 것이 아니라 이제는 학습자가 사용하는 학습 전략이나 학습 양식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이를 교육 현장에 반영해야 할 시기가 왔다. 한국어 교재에도 다양한 학습 양식과 전략 사용이 반영된 내용들을 포함시켜 언어 교수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learners` cognitive learning styles. Forty-seven foreig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studying under various maj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foreign learners` various language learning styles, participants took part in various tests by (Reid, 1987; Willing, 1988; Torrance, 1980). The findings are described below. First, foreign learners preferred various learning styles and these tendencies appear throughout the overall testing. Second, there exists differences in preferred learning styles between proficient and non-proficient learners. Third, there exists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learning styles and reading test scores. Other variables did not show meaningful correlations. The implication for this study is that Korean teachers should understand and clearly cognize learners` various learning styles. Learners` learning styles seem to change when language levels change.

      • 논문 : 국어학 ; 한국어능력시험 대화문에 나타난 거절 화행 분석

        최혜민 ( Hye Min Choi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3 한국어와 문화 Vol.14 No.-

        본고에서는 한국어 능력시험에 나타난 대화문 중에서 거절의 의사를 표시하는 대화문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토픽에 제시된 거절 대화문을 추출한 후, 거절을 이끌어내기 위해 제시된 상황, 거절 화행 전략, 대화자 간의 사회적 변인의 세 가지의 분석 기준을 통하여 대화문을 분석하였다. 대화문을 분석한 결과, 거절을 이끌어내는 유도 화행은 요청, 제공, 제안, 초대 상황으로 분석할 수 있었는데, 요청, 제안 상황은 매우 높은 빈도로 나타난 반면 제공, 초대 상황은 매우 낮은 빈도로 나타나 있어 거절 발화 장면이 요청과 제안 상황으로 치우쳐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고에서 거절 화행의 분석의 틀로 삼은 이해영(2003)에서 거절 화행 분석 기준으로 제시한 화행 전략 중 다수의 전략이 전혀사용되고 있지 않은 점을 보아 한국어 능력시험 대화문에서는 다양한 거절 전략이 제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문제를 풀기 위해 제시되는 대화문의 특성상 대화를 통해 대화자 간의 관계가 정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더 많아 정확한 사회적 변인을 분석할 수는 없었으나, 관계가 제시된 경우를 살펴볼 때 판매원과 손님 관계가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해 한국어 능력시험 거절 대화문에는 다양한 대화 상황과 대화자의 관계, 거절 전략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고 볼 수 있겠다. 한국어 능력시험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접하기 쉬운 자료 중의 하나로, 한국어 능력시험에 나타난 거절 대화문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한국어 거절 전략을 간접적으로 학습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양한 거절의 상황과 전략, 대화자의 관계가 제시되어야 하겠다고 본다. This study analyzed dialogues that express the intention to refuse among dialogues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After extracting dialogues that contain refusals in the TOPIK, the study analyzed dialogues based on three standards of refusal situations, strategies for the speech act of refusals, and social factors between speaker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acts that induce refusal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request, provision, suggestion, and invitation. While the situations of request and suggestion exhibited high frequencies, the situations of provision and invitation were at visibly low frequencies. In other words, the scenes that prompted refusals in the TOPIK were inclined toward situations of request and suggestion. Moreover, given that many of the strategies for the act of speech proposed by Hae-Yeong Lee(2003) were not used at all, this study confirmed that dialogues in the TOPIK did not suggest various refusal strategie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peakers, salesmen and customers accounted for the largest share of the dialogues. This analysis revealed that refusal-based dialogues in the TOPIK did not offer a variety of conversational situations, relationships between speakers, and refusal strategies. The TOPIK is one of the most accessible materials for Korean learners. Therefore, a number of Korean learners are likely to learn refusal strategies in Korean through dialogues exhibited in the TOPIK. Therefore, the TOPIK should be modified to suggest various refusal situations, strategies, and relationships between speakers.

      • 내러티브를 활용한 가치문화 교육용 읽기텍스트 구성 방안

        임다정 ( Lim Da-ju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0 한국어와 문화 Vol.27 No.-

        본 연구는 가치문화를 제시하는 데 효과적인 읽기텍스트의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교재 내 읽기텍스트는 학습자들에게 한국의 문화를 전달하는 일차적인 수업자료이다. 문화라는 것은 그 내용과 범위가 무척 방대하여 유형이 다양하게 나누어지는데, 그에 따라 교재 안에서의 문화 제시도 차별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는 문화 읽기텍스트 구성과 관련된 구체적인 논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학습자의 문화적응에 도움이 되는 한국 가치문화 교육을 위한 읽기텍스트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본격적인 읽기텍스트 개발에 앞서 한국어 교재 분석과 학습자 설문조사를 통해 기초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가치문화 내용이 통합적인 접근에 따라 단계적으로 체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만족도 높은 문화 교육을 위하여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는 내러티브를 활용한 읽기텍스트가 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의 읽기텍스트는 마달레나 드 카를로(Maddallena De Carlo)가 제시한 상호문화 읽기 텍스트의 특징을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관념적 문화와 행동문화를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문화 내용을 명시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설명 담화를 포함하였으며,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을 고려하여 외국인 화자를 주요 등장인물로 설정하였다. 읽기텍스트를 개발한 후에는 이것이 학습자들에게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가용 텍스트와 평가지를 제작하여 가치문화 이해도 평가를 실시하였고, 평가 후에는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가 구상한 내러티브를 활용한 가치문화 읽기텍스트는 중급 학습자들의 가치문화 이해와 문화 학습 동기 및 흥미 유발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문화 읽기텍스트가 목표 문화의 특성에 맞게 개발된다면 만족도 높은 문화 교육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내러티브를 활용한 읽기텍스트 구성 방식은 가치문화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호문화적 능력까지 신장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ective ways to construct texts in presenting Korean value. Texts in Korean textbooks, is the primary teaching material that presents Korean culture to learners. Culture is so vast in content and scope. Hence, it can divide into various types and cultural text in textbooks should differentiate. However, no specific discussions are taking place currently regarding the composition of cultural text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response, this study intends to form a text for the education of Korean value culture, which will help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nd cultural adaptation. Value culture mainly deals with in the advanced level because of superficial and philosophical content of it. However, this set-up learning step overlooks the educational needs and therefore requires downward adjustment of the learning step of value culture. Also, because value culture is individual and subjective, it is not desirable to organize contents with objectivity like existing texts. One way to solve these problems is to use narratives. Narrative consists of relatively simple linguistic elements, which can easily convey value culture, and can state cultural contents according to the voice of a particular person, there-by ensuring individuality and subjectivity of value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utilize narratives in text for value culture education. Before developing the text in earnest, basic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alysis of Korean textbooks and student surveys. Through this, it was argued that the contents of value culture need to be organized in stages according to an integrated approach, and that texts using narratives centered on stories should be formed for a highly satisfying cultural education. The text for value culture education of this study was organized by 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cultural text presented by Maddallena De Carlo for inter-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an explanation statement was included to present the ideological culture and behavioral culture in an integrated manner and expressly convey the cultural content, and considering the affective domain. To verify how cultural text using narrative affected on learners, the text and evaluation paper for evaluation produced to conduct an in-depth interview after the assessment. In conclusion, the text using narrative for value culture education envision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value culture of intermediate learners, and in inducing cultural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Mainly, these results show, if cultural text develo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it can form a highly satisfying cultural education. The method of composition of cultural text using narratives is very positive and it not only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value culture, but can also enhance inter-cultural capabilities.

      •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 부수 교육의 중요성 - 부수 ‘月(월)’을 중심으로 -

        임연 ( Lin Yan ),장서월 ( Zhang Shu Yue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2 한국어와 문화 Vol.32 No.-

        본고는 비한자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한자 부수 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를 하였으며 한국어 한자 교육 진행 시 학습 초기 단계에서부터 한자 부수 교육을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국어 분야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분야의 한자 및 한자어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지금까지 다수의 관련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학습해야 하는 한자 어휘 목록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교육 방법이나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먼저 한자 부수의 개념 및 특징을 정리하면서 부수의 조어력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주장하였다. 즉, 같은 부수에 속한 한자는 일반적으로 유사한 의미를 담고 있거나 비슷한 계열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고에서는 2017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4단계)에서 제시한 어휘 목록 중 본고의 주제와 관련 있는 부수 ‘月(월)’을 포함한 어휘들을 대상으로 Dongyanping(2019)의 부수 ‘月(월)’의 의미 기준을 참고하여 이들의 의미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로 1개의 부수 ‘月(월)’을 통해서 부수 ‘月(월)’과 결합된 한자들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 한자들로 구성된 138개 어휘의 뜻을 더욱 쉽게 유추 및 기억할 수 있다는 결론을 냈다. 이런 결론을 바탕으로 본고는 부수 특징에 따른 한자 및 한자어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the importance of educating the radical in Sino-Korean Words for non-Chinese character circle Korean learners and suggests that Sino-Korean Words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at the initial stage of learning Korean.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s prior studies on Sino-Korean Words and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s a result of examining related prior studies, it can be seen that a number of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ith the goal of presenting a list of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that Korean learners should learn, but studies on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are lacking. Therefore, in this paper,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radicals are summarized, and the fact that the coining power of radicals is very high. In other words, Sino-Korean Words belonging to the same radical generally have similar meanings or can be classified into similar series. Next, in this paper, among the vocabulary lists presented in the 2017 International Common Korean Standard Curriculum Application Study (Step 4), their meaning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referring to the meaning criteria of Dongyanping (2019) for vocabulary including incidental ‘月’ related to the subject of this paper.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proved that the meaning of the Sino-Korean Words combined with the Chinese character radicals ‘月’ can be understood through one incident radicals ‘月’, and furthermore, the meaning of 138 vocabulary words composed of these Sino-Korean Words can be more easily inferred and remembered.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is paper suggests the direction of Sino-Korean Words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adicals.

      • 논문 : 국어학 ; 한국어 "-었-"의 상적 의미와 일본인 학습자의 오류 양상 연구

        박성희 ( Sung Hee Park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3 한국어와 문화 Vol.14 No.-

        본 연구는 한국어 작문 시 ``-었-``이 요구되는 문장에서 일본인들이 보이는 오류의 원인을 한국어와 일본어, 두 언어의 상(相) 표현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이를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먼저 이를 위해 한국어 ``-었-``과 일본어 ``-ている``의 상(相,ASPECT)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1. 일본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완결상과 과거 진행상, 그리고 과거 반복상과 습관상완료상 표현인 ``-었-`` 대신 ``-어 있-`` 또는 ``-고 있-``로 사용하는 표현 오류를 보일것이며, 2. 이 오류 양상은 한국어 학습수준이 높을수록 더 빈번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두 가지 가설을 세우고 관련 표현이 있는 문장을 한국어로 해석하도록 했다. 조사 결과 한국어 학습시간과 표현의 오류는 상관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예상 오류를 범한 학습자가 다른 문장에서 또다시 같은 오류를 범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써 잘못된 ``-고 있다``와 ``-어 있다`` 표현이 일본인에게 쉽게 화석화될 수 있다는 것을 추론해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일본인 학습자들의 오류 원인과 그 양상을 증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기 때문에 이 오류를 바로잡기 위한 교육 방안은 마련하지 못했다. 앞으로 본고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방안 마련을 위한 논의를 진전시키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aspectual errors, especially focusing on ``-었-``, by Japanese who learn the Korean language. It attempts to explain the errors through a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었-`` and Japanese ``ている``. Korean ``-었-`` has much more aspectual markers than Japanese ``ている``. The hypotheses tested in this paper were as follows: in Korean writings 1. Japanese learners will use different aspectual markers, for example ``-고 있-`` or ``-어 있-``, instead of ``-었-`` 2. There will be correlation between aspectual errors and learning time they have spent. Japanese leaners were asked to translate 10 Japanese sentences into Korean to ascertain the hypothese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in Korean writing 1. Japanese learners use different aspectual markers, for example ``-고 있-`` or ``-어 있-``, instead of ``-었-``. 2. There was no correlation present between aspectual errors and learning time they spent.

      • 사잇소리 경음화에 대한 발음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

        이의 ( Li Yi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8 한국어와 문화 Vol.24 No.-

        한국어와 중국어는 서로 다른 언어 체계에 속하므로 여러 방면에서 차이를 드러낸다. 특히 한국어의 발음에 있어 표기와 실제 발음의 불일치 현상은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큰 장애가 된다. 아무리 자음과 모음을 정확하게 발음해도 음운 변동에 대하여 잘 모르면 한국인과 의사소통을 할 때 서로 못 알아듣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확한 발음을 하기 위하여 한국어 음운 변동 규칙에 대한 교육이 불가결하다고 본다. 하지만 한국어의 음운 변동 규칙은 복잡하기 때문에 한 번에 다 다룰 수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사잇소리로 인한 경음화 현상을 구체적인 연구 내용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실제 사잇소리 경음화 현상에 대한 인지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음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에 대한 내용으로 교육 현장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2장은 이론 배경 지식으로 사잇소리 경음화의 3가지 유형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3장은 오류 분석에 관한 내용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사잇소리 경음화 현상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는지, 어떤 오류를 범하는지,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이 무엇인지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태 조사를 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4장은 오류 분석의 결과를 근거로 학습용 어휘 등급을 재구성하고 효율적인 발음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잇소리 경음화 현상에 대한 교육 방법과 교육 원리를 제시하면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등급에 따라 각각 효율적인 발음 교육 지도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발음 교육 지도안의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검증하는 실험도 실시하였다. 사잇소리 현상은 한국인조차도 상당히 어려워하고 혼란을 느끼는 표기법과 발음 방법 중의 하나이다(이정민, 2012). 왜냐하면 사잇소리가 일어나는 단어라도 그 단어 표면에 'ㅅ'을 표시할 수도 있고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사잇소리로 후행 명사 첫 음절의 평음은 경음으로 변동하는 경우에는 표기법과 발음 방법의 차이로 발음 오류가 많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Because Korean and Chinese belong to different language systems, they show differences in various aspects: the inconsistency between notation and actual pronunciation in Korean is a big obstacle for Chinese learners. Even if you pronounce consonants and vowels correctly, you often do not understand each other with the understanding of phonological chang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omprehend the Korean phonological rules in order to pronounce correctly. However, the rules of phonological variation in Korean are complex and cannot be dealt with at once.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Chines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sai-sori gyeong-eumhua' and put forward a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is. In the second part, we analyzed the three types of the 'sai-sori gyeong-eumhua'. In chapter 3, we analyze errors to understand how Korean learners perceive the 'sai-sori gyeong-eumhua', what kind of errors are caused, and what causes the errors. Section 4 reconstructs the vocabulary for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rror analysis and suggests effective pronunciation training. When instructing the teaching method and teaching principle about the 'sai-sori gyeong-eumhua', we propose an effective teaching plan for pronunciation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of the Chinese learners. Finally,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eaching pronunciation instruction. Quietness is one of the notations and pronunciation methods that are very difficult and confusing even for Koreans (Lee, Jung-min, 2012). This is because even if a word with sai-sori gyeong-eumhua' occurs, it may not appear at the surface 'ㅅ' of the word. Especially, when the first syllable of the trailing noun varies with the pitch of the first syllable, there are many pronunciation error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tations and the pronunciation methods.

      • 한국어 간접 칭찬 화행 교육 연구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우상상 ( Xiangxiang Yu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6 한국어와 문화 Vol.19 No.-

        이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한·중 간접 칭찬 화행의 특징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공통점 및 차이점을 검토하며 학습자가 한국어 간접 칭찬을 정확하게 사용하여 적절한 의사소통을 위한 목적을 둔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목적 및 연구 내용을 밝히고, 연구의미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간접 칭찬 화행 교육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칭찬 화행에 대한 기본 개념, 주제 및 유형을 밝히고 간접 칭찬 화행과 관련된 의사소통, 화행 이론적 같은 이론적 배경 지식 및 선행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3장에서 토크쇼에 따른 한국어와 중국어 간접 칭찬 화행 비교를 통해 간접 칭찬 화행의 언어적과 문화적 차이점, 유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런 비교보다는 한국 원어민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유형이 무엇인지, 문화적 특성을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목적을 둔다. 그리고 예비조사과 본 조사를 거치고 수집한 자료의 분석 결과로써 한·중 원어민들이 실생활 속에 어떤 간접 칭찬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지, 사회적 변인에 따른 특성에 대한 비교를 통해 한·중 간접 칭찬 화행의 차이점을 찾아난 후에 4장에서는 간접 칭찬 화행에 대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 간접 칭찬 화행에 대한 학습 내용을 구축하기 위해 3장의 결과에 나타난 한·중 차이점에 따라 중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간접 칭찬 화행 내용을 마련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급 단계만 중점을 두고 학습자의 수준을 맞춰 칭찬 주제별로 간접 칭찬 목록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 연구에서는 모든 연구들을 정리함으로써 마무리를 하고자 한다. The indirect praise behavior is frequently used in Chinese and Korean daily life, although both China and South Korea belong to the eastern countries, the differences of some cultural factors make the language habits of the two countries have some differences. Obtained after a prior investigation of this thesis: Chinese people in daily life more when using direct praise. So on this piece of paper, through China and Korea TV program and comparison of daily use indirect praise words, fin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making Chinese students can use according to each other`s identity and other factors and accurate indirect praise, so as to promote the friendly relations between the two sides. In the first chapter of this thesis, I put forward the purpose and content of this paper, the meaning of writing, and "why the Chinese students to study? Why the study of indirect praise?" Reasons for writing. In the second chapter, we will sort out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the line of credit, which is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the indirect praise in this paper. And lists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knowledge about the indirect credit line, and to explore their results and find out the deficiency. In the third chapter,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Korean and Chinese talk shows and variety shows indirect praise to find out the manifestation of China and South Korea people often use indirect praise, and indirect praise words reflect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In contrast imaging of indirect praise, through a series of questionnaire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present investigation) result to find out praise scenarios are frequently used in daily conversations in China and South Korea, indirectly praised types, and each social factors frequently used indirect praise. Compa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na and South Korea`s indirect praise, based on differences . In the fourth chapte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in line with China`s students.In the fourth chapter, according to the third chapter of the comparison results produced in line with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indirectly praised the line of education content, content will be in accordance with the language level of students to develop. The fifth chapter will make a summary of the whole paper.In this paper, the study of Korean Chinese students as the object, through a series of questionnaire investigation, comparison, but due to the existing Korean textbooks is not on the South Korea indirectly praised, education content,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analyze the textbook problems, and lack of regret of the content of education, which is the lack of points. But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ongoing research, and continuous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will provide to the learners more appropriate information, help to learn Korean.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과 화행 연구 - 정의적 변인을 중심으로 -

        이바른 ( Bareun Lee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8 한국어와 문화 Vol.23 No.-

        지금까지의 한국어 교육에서 화행에 관한 연구는 언어권별 화행 전략 비교 및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여기에서 더 나아가 화행을 다각도로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고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이 사과의 상황에서 느끼는 사과의 의무감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과 화행과 외국어 습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의적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며, 화행 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사회언어학적 변인인 사회적 지위, 친소 관계, 부담의 정도, 공사 관계에 따라 다양한 사과의 상황을 구성한 담화 완성 테스트를 한국인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실시하고, 각 문항에 사과의 의무감을 표시하게 하여 두 집단의 사과 의무감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본고의 전략 분석 기준에 따라 사과 화행을 분석한 후 한국인들의 담화 완성 테스트의 응답을 기준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행을 점수화하였다. 이렇게 점수화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행과 AMTB 설문 결과를 피어슨(pearson)상관분석을 실시하여 화행과 정의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과 화행에서 통합적 동기와 도구적 동기 중 어떠한 동기가 화행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지 AMTB 결과를 통해 통합적 동기가 높은 학습자와 도구적 동기가 높은 학습자의 화행 평균 점수를 T-검정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Until now, the researches on the speech acts in the Korean education have been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the speech act strategies in the different language blocs and the education method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the speech ac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sense of duty for apology felt by Chinese Korean learners and Koreans in the apology contex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hinese Korean learners' apology speech acts and affective variables which play important role in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peech acts ability. Therefore, DCT(Discourse-Completion Test), which consisted of various apology situations with sociolinguistic variables of social status,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and degree of burden, was conducted to Koreans and Chinese Korean learners. And the difference of the sense of duty for apology felt by Korean and Chinese Korean learners was examined by marking the sense of duty for apology in each question. After analyzing the apology speech acts in accordance with the strategy analysis standard of this study, Chinese Korean learners' apology speech acts were scored based on Koreans' responses in DCT. The correlation was examined between speech acts and affective variables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in Chinese Korean learners' speech acts scores and AMTB(Attitude Motivation Test Battery) questionnaire results. T-test for speech acts mean scores of leaners with high integrated motivation or high instrumental motivat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either integrated motivation or instrumental motivation plays a positive role in the apology speech acts of Chinese Korean learners.

      • 소설 텍스트 중심으로 본 문학능력과 한국어교육

        우한용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0 한국어와 문화 Vol.7 No.-

        이 글은 소설 텍스트를 중심으로 문학능력의 속성을 규명하고, 그것이 한국어교육 혹은 한국문학교육에 어떤 효용을 드러낼 수 있는가 하는 점을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텍스트 자체를 분석하기보다는 텍스트를 수용하고 창조하는 인간적 여건에 대한 검토가 우선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중국의 경극 <대당귀비>를 하나의 텍스트라고 상정하고, 이 작품을 접하고, 감상하고, 이해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소설 텍스트를 읽는 방법을 다시 생각해 보았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트의 이해는 사전 지식(preunderstanding)을 가지고 출발한다. 둘째, 전개되는 이야기에 몰두한다. 셋째, 디테일이 아니라 전체의 얼개를 먼저 본다. 넷째, 이야기, 인물의 관계, 무대 연출 등을 재구성하면서 본다. 다섯째, 문화적으로 본다. 언어와 문학은 불가분의 관계이나 분과화된 학문이 이에 대한 인식을 갈라놓았다. 언어능력과 문학능력, 자국어능력과 외국어능력 등에 대해 몇 가지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국어능력과 외국어능력은 상호연관성이 매우 짙다. 둘째, 언어능력은 문법능력과 문화능력이 통합되어 실현된다. 셋째, 문학능력은 형상적인 언어능력 혹은 상상적인 언어능력이다. 넷째, 의사소통능력은 종합적 소통능력이다. 한국어교육에서도 소설을 교육할 때에는, 소설은 소설답게 다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일상에서 소설을 읽을 때, 어떠한 과정을 거치는가 살펴야 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 목적이 독서 방법을 결정한다. 둘째, 전체를 파악한 다음 부분을 고려한다. 셋째, 인물은 유형이 아니라 관계존재로 살아있다. 넷째, 구성의유형은 서사의 원형을 제공한다. 다섯째, 소설의 언어는 담론의 구체성을 실현한다. 외국어교육으로서 한국어교육에서 문학작품 강독을 소설로 한정하고, 강독의 방법을 학습자 스스로 작품을 읽고 교사가 그 과정과 결과를 확인 및 조정하는 역할을 히는 것이라고 할 때, 교육과정과 교재의 구성에는 다음과 같은 조처가 필요하다. 첫째, 강독의 중점을 설정하고 읽도록 하라. 둘째, 제재의 내용을 계열화하여 제공하라. 셋째, 교재를 구성하는 데에는 학습자의 자국어 문학능력, 문화체험과 연관된 작품 및 현대어로 서술된 작품, 학습자의 언어능력 수준을 향상할 수있는 작품, 비평적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는 작품을 고려하라.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의 내실화를 위한 평가와 되먹이기(feedback)에 대해 논의할 때에 고려할 수 있는 평가 목표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이야기할 수 있다. 작품의 분위기와 이야기의 개요, 인불과 인물의 관계를 파악했는지, 구성의 논리성과 서사적 원형을 이해했는지, 담론으로서 언어가 가지는 특성을 이해했는지, 비평으로서 글쓰기를 할 수 있는지, 이러한 평가목표에는 서술식 평가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강독과 평가의 선후와 방법은 필요에 따라 융통성 있게 조절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tudying properties of literary ability and reviewing the virtue of i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review human conditions of understanding and creating the text. In this paper, based on the study of encountering, appreciating and understanding the text <rae-tang-gwi-bi>, review the method of reading novel. First, understanding of text begins with preunderstanding. And readers are absorbed in the story of novel and watch structures before details. And readers restructure story, character, stage management, etc. And readers have cultural viewpoint. language and literature are indivisible relation. And there are also indivisible relation between the ability of one's own language and the ability of foreign language. Linguistic ability is materialized by ability of grammar and culture. Communicative competence is comprehensiv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also need research of the reading process of novel. First, the purpose of reading decides the method. Second, comprehend the whole before the part. Third, Character is materialized by relationship. Fourth, type of structure provides narrative archetyp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ere are some conditions for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 First, set up a focus of reading with comments. Second, systematize contents of materials. Third, consider texts that related with reader's ability of literature and cultural experience, written with a modern language, and can be used in critical writing. lastly, there are some evaluative goals. Readers are evaluated with conditions that they understand a mood, outlin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logicality of structure, narrative archetype, and write a review.

      • 한국어 발음 인지 및 산출과 발음 학습 전략 간의 상관관계 -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

        임주연 ( Ju-yeon Lim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9 한국어와 문화 Vol.25 No.-

        본고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음 인지 및 산출 능력, 발음 학습 전략 사용 양상을 알아보고, 발음 인지 능력과 발음 산출 능력, 발음 학습 전략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국적의 중급 한국어 학습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발음 인지 및 산출 능력, 발음 학습 전략 사용 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국어 발음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 연구와 한국어 교재의 발음 제시 부분을 참고하여 한국어 발음 능력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고 발음 인지 능력 평가지와 발음 산출 평가지를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발음 학습 전략 사용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서 발음 학습 전략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먼저 피험자의 발음 산출 능력과 인지 능력 간의 차이에서는 피험자의 발음 인지와 산출 능력 사이의 차이가 유의미하였으며 상관성은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서 인지와 산출만을 놓고 볼 때 상관성이 있다고 보기 어려웠으며, 한국어 학습자들은 발음의 인지보다 산출을 더 어려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학습자의 전략 사용 빈도의 경우 ‘동기’, ‘가설 형성’, ‘입력/연습’, ‘가설 검증’, ‘주목/피드백’ 순이었으며,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능력과 발음 학습 전략 사용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산출 능력 점수는 ‘주목/피드백’과 ‘가설 형성’, 인지 능력 점수는 ‘입력/연습’, 발음 평균 점수는 ‘입력/연습’, ‘가설 형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놓여 있었다. 또한 산출 능력 점수를 세분화 하여 정확성과 유창성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정확성의 세부 평가 기준인 이해 명료성은 입력/연습, 주목/피드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놓여 있었고, 유창성에서는 유창성과 그 세부 평가 기준인 발화 속도, 휴지, 말더듬&주저함이 가설 형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놓여 있었다. 본고는 학습자의 특성 중 발음 학습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도 정의적 요인, 학습 전략 등과 같은 학습자의 특성에 주목하고 있으므로 그 흐름에 따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의사소통 언어 교수에서도 학습자 특성에 주목하고 있는 만큼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다양한 학습자 특성에 대해 살펴보는 과정에서 이 연구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aimed at Korean intermediate learners, looks at the learners' ability to recognize and produce pronunciations and the aspects of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usage,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In order to examine Korean pronunciation ability, Korean pronunciation ability assessment items were selected by referring to existing researches and Korean textbooks, and a pronunciation recognition ability assessment and a pronunciation assessment were constructed and conducted. Also, a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to use the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irst looked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bility to produce pronunciation and recognition abilities of the subject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ere significant but showed no correlation. Next, we looked at the usage pattern of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ies. In the case of Korean learners' strategy use frequency, they were 'motivation', 'hypothesis formation', 'input/practice', 'hypothesis verification' and 'attention/feedback'.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nunciation ability and the use of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ies were looked at, and the results showed the production ability scor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Attention/Feedback’and‘Hypothesis Formation’, the recognition ability score to ‘the Input/Practice’, the pronunciation average score to the‘Input/Practice’and‘Hypothesis Formation’respectively. Moreover, as a result of dividing the production ability score into the accuracy and fluency, understanding accuracy, which is a detailed criterion of accur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put/Practice and the Attention/Feedback, and in the case of fluency, speaking speed, pause, stuttering & hesitation, which were the criteria of the detailed assessment criteria and the fluenc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Hypothesis Formation. Recently,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s on learners' characteristics such as definition factors and learning strategies, and it is a study based on the flow.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ocess of studying various learner characteristics i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as we are paying attention to learner characteristics based on recent communication language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