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타자화와 김효경의 도교 연구

        김지현 ( Kim Ji Hyun ) 종교문화비평학회 2024 종교문화비평 Vol.45 No.45

        김효경(金孝敬, 1904~?)은 1926년 일본 불교단체를 통해 도쿄로 유학하여 다이쇼대학(大正大學)에서 불교학과 종교학을 전공했고, 조선의 무속 연구를 대표적 업적으로 하는 식민지 시기의 종교·민속 연구자이다. 최근 그는 ‘조선에서 배출한 최초의 종교인류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평가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는 작업으로서, 1940년 도쿄에서 출판된 《지나정신과 그 민족성(支那精神とその民族性)》의 신선사상과 도교 연구에 주목한다. 이 글은 다음의 두가지 과제를 가진다. 첫째, 김효경의 도교 관련 저술이 기대고 있는 1920년대 일본의 도교 연구 성과들을 비교 검토하여 김효경 연구의 성격과 한계를 평가하는것, 둘째, 김효경의 지나 민족성 및 도교 연구를 통해 중국과 조선에 대한 이중의 타자화가 진행되었다는 점을 밝히는 것이다. 김효경은 1920년대 일본의 중국민속학 연구가들의 신선사상 및 도교 연구를 원용하여 자신의 주장을 도식화하는 데 주력한다. 그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변함없는 ‘지나 민족’의 존재를 상정하고, 지나 민족의 공통된 정신성으로 신선에 대한 동경과 현실도피로부터 발달한 도교가 있다고 단언한다. 그의 논지에 따르면, 중국의 천명관은 끊임없는 혁명을 일으켜 지나민중을 전란에 시달리게 했고, 신선사상과 도교는 복·록·수를 누리고자 하는 욕망과 반비례하여 향락주의와 현실도피로 발달한 것이다. 중국에 만연한 비약, 아편, 방중, 식도락 추구의 문화는 모두 향락적 신선경을 지향하는 것으로서, 김효경의 지나 민족의 신선동경론은 결국 아편 중독의 필연성을 설명하는 논거가 된다. 그의 이러한 저술은 중일 전쟁 발발 이후 전시 상황에서 중국과 그 민족성의 핵을 도교로 정의하고, 도교와 지나라는 타자로부터 배타적 독립성을 유지한 일본 민족의 위대함을 확증하는 작업이었으며, 이러한 작업 속에서 김효경은 한결같이 ‘위대한 일본 민족’을 ‘우리(吾人)’로 동일시하는 제국일본의 신민(臣民)의 입장에 있었다. 사회 현상의 이면에 민족 고유의 종교적 심성이 자리한다는 김효경의 종교민족학적 관점은 종교 및 민속 연구에 있어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김효경의 연구를 근대 한국 학문이나 한국의 근대국가-국민론과 결부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의 글은 제국일본이 완성한 ‘동양학’의 입장에서 중국과 조선을 객체화하고 타자화하는 것이었고, 특히 일본의 대외 종교문화정책의 흐름에 영합한 것이었다. 김효경의 글들은 제국일본의 대내외 종교정책 및 활동을 주요 기사로 다룬 《중외일보》의 기고문과 해외신사사관양성소의 강연록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독자는 일본제국의 내지인으로 상정되었으며 동시에 일본의 종교정책과 관련하여 개교활동이 전개되던 지역의 외지인들을 포함했다. 결론적으로 김효경의 지나민족과 정신성에 대한 논구는 민족과 민족성을 단일하고 항상된 것으로 파악하는 본질론의 한계를 노정하며, 중국을 타자화하고 일본의 위대한 민족성을 부각시키는 전시 프로파간다적 성격을 가진 것으로 학술적 탐구의 문을 닫아버리는 한계를 가진 것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Kim Hyo-kyung 金孝敬(1904~?) was a scholar of religion and folklore in the Empire of Japan, whose most notable work was the study of Korean shamanism. He studied in Japan since 1926 when he came to Tokyo via the Japanese Buddhist organization and majored in Buddhist studies and religious studies at Taisho University. Recently, he has an assessment of ‘the first religious anthropologist from Joseon.’ This paper is a critical reexamination of such evaluation, focusing on his study of Daoism and the Chinese pursuit of immortality in the Chinese Spirit and Its Nationhood (shina-seishin to sono minzoku-sei 支那精神とその民族性), published in Tokyo in 1940. This article has two goals: first, to investigate early 1920s Japanese studies of Daoism and Chinese folklore, which his writings rely on,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 of his work; second, to reveal that Kim's studies on Daoism and Chinese nationhood aimed at double-otherization of China and Joseon. Kim relies heavily on research and reports on Daoism of Japanese folklorists and journalists in the 1920s. Assuming the existence of a ‘Chinese nation’ remains unchanged across time and space, he postulated Daoism as a consistent spirit to Chinese nation-people, which developed as a hedonism and an escape from reality. According to his argument, Chinese thought of the Heavenly Mandate caused endless revolutions and subjected the Chinese people to warfare; Daoism developed as an escape from the painful reality and indulgence in pleasure, inversely proportion to the desire to enjoy happiness, high social status and longevity. The pursuit of elixir, opium, revelry, and gastronomy prevalent in China are all oriented toward hedonistic immortality, and Kim's theory on Chinese nationhood and Daoism provides a solid tie for the inevitability of opium addiction. Kim’s articles eventually affirmed the greatness of the Japanese nation, particularly in wartime during the Second Sino-Japanese War, by defining the core of the Chinese nation as Daoism and maintaining Japan’s exclusive independence from the otherness of Daoism and China. In so doing, Kim Hyo-kyung was in the position of a faithful servant to the Empire of Japan who consistently identified the “great Japanese people” as “us.” Kim’s perspective that behind phenomena lies the religious mind of nation-people might be a significant starting point for the study of religions and folklore. However, linking Kim’s work to the first step of modern ‘Korean’ study or modern Korean nation-building is inappropriate. He objectified and otherized China and Joseon from the perspective of ‘Oriental Studies’ invented by the Empire of Japan, and in particular, his articles were in line with Japan’s policies on religions and culture. His writings correspond to the articles in a religious newspaper, the Internal and External Daily News (Chugai nippo), which featured 中外日報 news on the domestic and overseas policies on religious activities of Japan, and lecture notes at the priest t raining centre for the overseas Shinto- shrines, where his reader was supposed to be insiders of the Empire of Japan, and at the same time included outsiders in the regions where the Japanese religious and cultural policies were implemented. In conclusion, Kim’s thesis on the Chinese nation and its spirituality exposes its limit of essentialism, which homogenized a constant and unitary nation and nationhood. It has the character of wartime propaganda, which otherized China and emphasized the greatness of the Japanese nation, shutting the door to further scholarly inquiry.

      • KCI등재

        솔나방(Dendrolimus spectabilis) 난소의 미세구조 II. 난황막 및 난각형성과정

        김지현,김정상,김우갑,Kim, Ji-Hyun,Kim, Jeong-Sang,Kim, Woo-Kap 한국현미경학회 1994 Applied microscopy Vol.24 No.4

        The developing ovarian oocyte of Dendrolimus spectabilis has been studied by using electron microscopical techniques. After yolk formation the vitelline membrane was laid down in the intercellular space between the follicle cell and the oocyte. But before the vitelline membrane formation the granules with high electron density that the vitelline membrane precusor are observed in the follicle cell. At the late vitellogenesis stage these granules were transported into the intercellular space between the follicle cells and the oocyte. These granules fuse to each other and larger bodies which eventually produce the vitelline membrane. The vitelline membrane was distinguished into the light inner and dark outer membrane. Next the chorion was laid down. It was apparent that the chorion was laid down in the intercellular space immediately adjacent to the vitelline membrane, and that it was formed by the follicle cells only.

      • 위암에서 혈청 렙틴 레벨과 조직 내 렙틴 발현과의 상관관계

        김지현,정헌,전경화,김성근,진형민,정지한,김욱,전해명,박조현,박승만,박우배,임근우,김승남,Kim, Ji-Hyun,Jung, Hun,Jun, Kyong-Hwa,Kim, Sung-Keun,Chin, Hyung-Min,Jung, Ji-Han,Kim, Wook,Jeon, Hae-Myung,Park, Cho-Hyun,Park, Seung-Man,Park, Woo-B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4

        목적: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렙틴은 식이 조절과 에너지 소비를 통해 체질량의 항상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세포증식을 조절하여 종양의 진행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위암에서 렙틴과 그 수용체가 높게 발현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조직내 발현과 혈장내 렙틴 레벨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 환자에서 혈청 렙틴 레벨을 측정하고 조직내 렙틴과 렙틴수용체의 발현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2005년 10월부터 2007년3월까지 위암으로 근치적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사람 중에서 파라핀 포매 보관상태가 양호한 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혈청 렙틴 레벨을 측정하였고 위암 조직내 렙틴과 렙틴 수용체의 발현상태는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확인하였으며 임상병리학적 특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체질량지수가 높은 환자의 혈청내 렙틴 레벨이 높았으며(P=0.01), 렙틴의 혈청 레벨은 Helicobacter pylon (H. pylori) 감염군에서 감소하였다(P=0.008). 위벽 침윤도와 병기가 증가할수록 렙틴 발현율이 높았으며(P=0.014), 렙틴 수용체의 발현은 장형 71.4%, 미만형 28.6%로 장형인 경우에 높았다(P=0.033) 결론: 위암에서 혈청 렙틴과 조직내 렙틴 발현은 상관관계가 없었고 렙틴의 조직내 발현은 병기와 연관이 있었으나 그 작용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adipocyte-derived cytokine leptin plays a major role in the control of stable body weight by suppressing food intake and increasing energy metabolism. Leptin regulates the cell proliferation of various epithelial cells and it may be involved in the promotion of cancer. Leptin and its receptor are highly expressed in gastric adenocarcinoma, but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rum leptin level and the tissue expression of leptin is uncertain. We evaluated the serum leptin level and the expressions of leptin and leptin receptor in gastric cancer, and we explore the possible mechanism and role of leptin in the carcinogenesis of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72 carcinomas that were curatively resected at our hospital from October 2005 to March 2007 were included in this study. By immunoassay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e evaluated the serum leptin level and the expressions of leptin and its receptor, and we analyzed their relationship together with the clinicopathological variables. Results: The serum leptin level was increased as the patient's BMI increased and it was decreased in H. pylori infected patients. The expression of leptin was increased as the TNM stage increased (P=0.014), and the expression of leptin receptor in the intestinal type gastric adenocarcinoma was higher than that in the diffuse type gastric adenocarcinoma (71.4% vs 28.6%, respectively, P=0.033).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leptin level and expression of leptin in gastric cancer patients. The expression of leptin was associated with the TNM stage, but its role in the pathogenesis of gastric cancer has to be elucidated.

      • KCI등재후보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진단한 선천성 신성 요붕증 1례

        김지현,이선주,김애숙,조성민,이동석,김두권,최성민,기창석,김종원,Kim Ji Hyun,Lee Sun Ju,Kim Ae Suk,Cho Sung Min,Lee Dong Seok,Kim Doo Kwun,Choi Sung Min,Ki Chang Seok,Kim Jong Won 대한소아신장학회 2005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9 No.2

        저자들은 불규칙한 발열은 주소로 내원한 5개월 된 어린 영아에서 유전자 검사를 통하여 선천성 신성 요붕증을 조기 확진하였으며 thiazide 치료에 반응을 보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Nephrogenic diabetes insipidus(NBI) is characterized by an inability to concentrate urine despite normal or elevated plasma concentrations of the antidiuretic hormone; arginine vasopressin(AVP). Polyuria with hyposthenuria, and polydipsia are the cardinal clinical manifestations of the disease. Ninety percent of congenital nephrogenic diabetes insipidus patients are males with the X-linked recessive form of the disease; the mutation is in the AVP receptor 2 gene(AVPR2), which is located in chromosomal region Xq28. We report a case of NDI who suffered from unexplained fever and failure to thrive, which has been recognized since about ,3 months after birth. His genomic DNA analysis identified a novel AVPR2 gene mutation as W200C.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5;9:269-274)

      • KCI등재

        의료기기 안전성 정보 모니터링에 대한 한병병원 및 병원 종사자의 인지도 조사연구

        김지현,남기창,김호준,남연교,김유진,조은혜,권범선,Kim, Ji Hyun,Nam, Ki Chang,Kim, Hojun,Nam, Yeon Gyo,Kim, You Jin,jo, Eun hye,Kwon, Bum Sun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21 의공학회지 Vol.42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gnizance of medical device safety information (MDSI) monitoring in the hospital and oriental hospital workers, and the different aspect of MDSI between oriental medical devices and medical devices. Methods: The survey was performed both in the oriental medicine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The survey had 16 items; 2 items basic questions, 5 items in the awareness of MDSI, 5 items in the education of MDSI, 4 items in the necessity of defining oriental medical devices and differences between general and oriental medical devices. A total of 120 hospital worker were participated; 60 oriental medicine hospital workers and 60 general hospital workers. They had worked in the oriental medicine or general hospital associated with 'Medical Device Safety Monitoring Center, Dongguk University Ilsan Hospital' in 2019 and 2020. Results: The cognizance of MDSI was high both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worker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riental medicine and general hospital workers. When we divided the hospital workers into the senior workers who had worked for over 3 years and junior workers for less than 3 years, the senior workers had higher awareness of MDSI than junior workers. However, the cognizance of education of MDSI was high which was not different between senior and junior workers. Both hospital workers thought that it was necessary to define oriental medicine device legally and the oriental medical device might have low risk and less side effect than medical device. Conclusion: The cognizance of MDSI was high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riental medicine and general hospital workers. Because the senior hospital workers had higher recognition of MDSI, we need to provide the continuous education program for junior hospital workers. Although oriental medical device are thought to be safer than medical device, we need to have a legal definition.

      • KCI등재

        The effect of periodontal flap surgery on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nd Tissue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TIMP-1) levels in gingival crevicular fluids of periodontitis patients

        김지현,고재승,김현만,김태일,설양조,이용무,구영,정종평,한수부,류인철,Kim, Jhee-Hyun,Ko, Jea-Seung,Kim, Hyun-Man,Kim, Tae-Il,Seol, Yang-Jo,Lee, Yong-Moo,Ku, Young,Chung, Chong-Pyoung,Han, Soo-Boo,Rhyu, In-Chul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2005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5 No.1

        중등도 이상의 치주염 환자에서 치은 열구액내의 MMPs 및 TIMP-1 과 치주염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치주 수술이 MMPs 및 TIMP-1의 정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총 14명의 치주낭 깊이 6mm 이상의 중등도 이상의 치주 질환 이환자에서 치아를 선정하여, 치주낭 심도, 치은 지수(gingival index)를 측정하고, 치은의 조직학적 염증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해당 치아의 치주낭 연조직을 절취하여 H-E염색을 하고, 치은 절편에서 염증세포 침윤의 정도 및 분포를 비교하였다. Perio-paper를 이용하여 치은열구액을 얻고, pyrogen-free water에서 추출하였다. 채취한 치은 열구액에서 ELISA-kit를 이용하여 MMP-1, 8, 9, 13과 TIMP-1을 측정하여 수술 전과, 수술 후, 그리고 건강한 조직인 대조군을 비교하였으며, 통계처리는 Wilcoxon 검정을 사용하였다. 또한 MMPs 혹은 TIMP-1이 치주낭 심도나 치은지수등의 임상적 지표와 가지는 연관성을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TIMP-1을 제외한 MMP-1, 8 ,9, 13 에서 수술 전보다 수술 후에 치은 열구액 내의 양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MMP-1(p=0.025), MMP-9(p=0.016) 와 MMP-13(p=0.009) 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 한편 MMP-9 (p=0.011) 나 MMP-13(p=0.026) 은 건강한 대조군과 수술 전 사이에도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 연조직의 조직학적 관찰을 통하여 치은지수의 임상적 신뢰도를 평가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치주 치료 전의 치주낭 심도와 치은지수와의 관계나, 수술 전과 수술 후의 치주낭 심도등의 변화도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치주낭 심도나 치은지수등의 임상적 지표는 MMPs나 TIMP의 정량과는 별다른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실험의 결과로 보아 MMP-1, MMP-9나 MMP-13을 치주 수술 전과 수술 후의 치주염의 심도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로 생각할 수 있으며, 특히 MMP-9와 MMP-13가 치주염과 가지는 연관성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통계모형을 이용하여 모의실험 결과 분석하기에 대한 보완연구

        Bongseong Kim,김지현 한국통계학회 2022 응용통계연구 Vol.35 No.4

        비모수적 추정량의 성능을 이론적으로 비교하기 힘들 때 흔히 모의실험을 실시한다. 다양한 실험조건에서 여러 추정량에 대해 얻어진 모의실험 결과를 회귀모형을 이용해 분석하면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한 비교를 할 수 있다는 것을 Kim과 Kim (2021)에서 보였다. 이 연구는 Kim과 Kim (2021)에 대한 후속연구이자 보완연구이다. 회귀모형의 오차항에 대한 분산공분산행렬에서 이분산성만 고려하고 공분산을 선행연구에서 무시했는데, 공분산을 고려하게 되면 분산공분산행렬은 블록대각행렬이 된다. 본 연구에서 블록대각행렬인 분산공분산행렬을 추정하여 분석에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하면 명목신뢰수준을 보장하면서 유의하게 성능 차이가 나는 추정량 짝을 더 잘 찾을 수 있다는 것도 보였다.

      • 국내 산림치유 산업의 부각과 임업인의 경제적 전망

        김지현,Kim, Ji-Hyeon 한국산림경영인협회 2014 山林經營 Vol.212 No.-

        기후변화 대응 및 녹색성장을 위한 산림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대 변화에 발맞추어 우리나라에도 산림치유에 관한 산업이 급부상하고 있다. 2007년부터 산림치유와 관련된 산림청 기획 연구과제가 수행됨에 따라 산림 치유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와 정책이 시작되었다. 산림의 다양한 환경요소를 활용해 현대인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산림치유(Forest healing)에 대한 국내외 연구사례와 언론보도 등으로 산림치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최근 10년 사이 그야말로 폭발적인 관심을 끌었다. 지방자치단체의 대부분이 직간접적으로 산림치유와 관련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도 관련 사업이 활성화되고 있는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특히 현 산림청장이 국립대학의 산림치유학과 교수였던 이력을 보더라도 산림치유에 대한 국가적인 기대도 크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최근 산림정과 녹색사업단이 공동 기획한 산림치유 전문지 'ECO HEALING (에코힐링)'의 창간 또한 이러한 사회적 관심과 요구에 부흥하는 일이라 하겠다. 그간 치산녹화에 주력해 우리 산림을 급부상시킨 산림경영인들이 이제는 시대적 요구에 걸맞은 혜안을 가지고 국가 시책과 사회적 요구에 앞서 나가 또 다른 산림 산업의 주역으로서 역할을 해야 할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산림치유 산업이 급부상하게 된 이유와 산림의 이로움을 재조명하는 과정을 통해 앞으로의 산림치유 산업의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작업치료중재과정모델의 적용: 감각통합기능장애 아동 사례

        김지현,Kim, Ji-Hyun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1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9 No.2

        목적 : 본 연구는 한 아동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작업치료중재서비스 안에서 이루어진 OTIPM의 적용 사례를 소개하고, 그 OTIPM에 기반한 임상적 추론과정과 재평가의 유익함과 시사점을 고찰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 대상 아동에 대한 작업치료중재서비스 안에서 OTIPM이 적용된 구체적 실행과정을 네 개의 주요부분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1) 클라이언트 중심의 수행문맥 확립; 2) 기초선 확립 및 원인해석(초기평가); 3) 중재 계획 및 실행; 4) 중재효과 확인(재평가). 수행 문맥은 보호자와의 면담을 통해 확립하였으며 초기평가 및 재평가에서 사용된 평가도구는 임상관찰 및 일본감각력평가(JSI-R), 덴버발달검사(DDST-2), 사회성숙도, 녹스학령전기놀이 척도(KPPS-R), 과제수행평가이다. 과제수행평가에서는 작업치료 실행 체계(Occupational Therapy Process Framework)에 의거한 수행기술 즉, 운동, 처리, 및 사회적 상호작용기술들을 평가하였으며, 표준화 된 수행기술검사인 운동처리기술검사(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와 사회기술평가(Evaluation of Social Participation)의 평가 체계를 사용하였다. 작업치료중재는 회복적모델의 감각통합치료활동과, 교육적모델의 보호자교육과, 습득적모델의 작업수행기술훈련이 계획되었으며, 일주일에 2회씩 총 4개월간 진행되었다. 결과 : 재평가 결과 사회연령과 사회성지수가 대상 아동의 연령에 맞게 향상되고, 전반적인 발달수준이 약 2년가량 향상되며, 전체적인 놀이수준 또한 13개월 향상되었다. 작업에 기반을 두어 설정되었던 중재 목표가 성취되었다. 아동의 보호자는 아동의 작업수행과 작업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을 서술적으로 보고하였다. 결론 : 본 사례에서 작업치료사는 OTIPM에 기반하여 포괄적인 수행문맥을 확립하고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에 기반한 중재를 제공할 수 있었다. 임상적 추론을 통해 수행의 어려움의 원인을 보다 명확히 파악하여 수행의 하위요소뿐만 아니라 수행 전반의 향상을 이끌어내는 치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OTIPM에서 정의한 '클라이언트 무리'의 개념을 적용하여 클라이언트의 만족도를 이끌어내는 중재도 계획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OTIPM이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수행의 성취도와 만족도 모두를 고려한 중재과정을 지향함으로써 '구체적인 작업참여의 포괄적인 향상'을 이끌어내는 데 유익한 작업치료중재과정모델임을 확인 할 수 있다. Objective :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benefits and implications of the clinical reasoning process and re-evaluation in the OTIPM by introducing a single case that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is provided based on the OTIPM. Methods : The case subject is a boy aged 5 years and 10 month who had diagnosed as attachment disorder and anxiety disorder from a pediatric psychiatrist before. The boy is referred to sensory integration therapy clinic and underwent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service twice a week for four month. Therapeutic activities for the intervention were consisted of sensory integration activities for restorative model, care-giver education for educational model, and performance skill training for acquisitional model. Measurements used in the initial evaluation are JSI-R, DDST-2, Social Maturity Test, KPPS-R, and observation-based performance task analysis. For the performance task analysis, performance skill item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Occupational Therapy Process Framework (OTPF), and those were assessed by the evaluation system of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 (AMPS) and Evaluation of Social Participation (ESI). Results : The detail process of implementing of the OTIPM in this study is reported by following four phases; 1) establish client-centered performance context; 2) establish baseline and interpret cause (initial evaluation); 3) intervention planning and implementing; and 4) recognize intervention outcome (reevaluation). Conclusion : In this case, occupational therapist could provide the client an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within comprehensive performance context based on the OTIPM. Therapist could clearly identify the cause of problematic performance skills and behaviors and so provide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client's occupational performance.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client's satisfaction of the intervention can be raised when the concept of 'who is the client' is expanded based on the OTIPM. From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OTIPM may be a model educible 'comprehensive' enhancement of 'specific' occupational engagement, as it considers both improvement of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