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불소투여에 따른 태내백서 치아의 생화학적 및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임도선 韓國電子顯微鏡學會 2000 Applied microscopy Vol.30 No.3

        임신중에 투여된 불소가 흰쥐태아의 법량질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어미흰쥐에게 불소를 음용 시킨 후, 생후 11일이 경과된 어린 흰쥐를 희생하였다. 이후, 하악절치를 발치한 후, 법랑단백질의 종류 및 양적 변화와 법랑질 표면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분비법랑질과 성숙법량질에서 추출한 법랑단백질을 전기 영동한 결과, 분비법랑질에서는 분자량 22-24kDa의 amelogenin이 확인되었는데, 대조군에서보다 불소투여 농도가 높아질수록 양이 감소하였다. 성숙법량질에서는 분자량이 68kDa의 enamelin이 확인되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불소투여 농도가 높을수록 양적인 증가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법량질 표면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평탄하고 매끄러운 표면인 반면에 불소투여군은 거친 표면과 균열이 심하게 나타났고, 불규칙한 소공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일부에서는 균열과 함께 주머니 같은 결절과 법랑질 형성부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태아발생과정 중 투여된 불소가 법랑질형성에 관여하는 법랑모세포에 영향을 줌으로써 단백질의 형성과 분비가 지연 또는 억제되며, 수분과 단백질 제거에 관여하는 법랑모세포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형성과 분비는 법랑질 형성부전 등의 법량질형성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마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resent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luoride toxicity on the morphology as well as inorganic chemical constituents of rat teeth. Rats were administered sodium fluoride at dose of 0ppm, 100ppm, 200ppm and 300ppm at the beginning of pregnancy. Animals were perfused intravascularly with glutaraldehyde and the incisors were removed. Changes in the protein composition of the secretory and maturation enamel were investigated using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 PAGE). And the enamel surface of incisors was examined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Changes of protein quantities were found significantly in high levels fluoride administration for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The SDS PAGE analysis demonstrated as follows. In control group, secretory phase enamel protein, amelogenins, was detected more quantities than experimental group. The enamelin, presence in maturation phase enamel, showed more quantities than control enamel with an increasing fluoride concentration in the drinking water. Also, the scanning electron micrographic data showed hypoplastic, tough, uneven, pitted and cracked enamel surfaces covered with granular deposits as a result of excessive intake of fluoride.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high dose of fluoride administration leads to severe structural alterations on the enamel surface and these structural changes could be through defective mineralization.

      • KCI등재

        흰쥐 침샘의 Nitric Oxide Synthase에 관한 면역전자현미경적 연구

        이영환,고정식,박대균,박경호 韓國電子顯微鏡學會 2008 Applied microscopy Vol.38 No.3

        산화질소는 생물체내에서 생리적이나 병리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특히 침샘조직에서 침분비작용과 샘혈류 조절에 중요한 인자의 하나로 관여함이 알려져 있다. 산화질소합성효소 (nitric oxide synthase, NOS)는 동위효소로서 내피산화질소합성효소 (endothelial NOS, eNOS), 신경산화질소합성 효소 (neuronal NOS, nNOS)와 유도산화질소합성효소 (inducible NOS, iNOS)가 있으며, 세포내에서 내인성산화질소를 합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산화질소합성효소의 세포내 분포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는 매우 드물며, 흰쥐 침샘에서의 산화질소생산효소(NOS)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는 없었다. 흰쥐 침샘에서 NOS의 세포내 분포를 규명하기 위하여 면역전자현미경방법을 이용한 금입자표지법을 시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eNOS에 양성 면역반응을 보이는 구조는 침샘의 분비세포 중장액세포에 있는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이었으며, 점액분비세포의 점액분비과립에서는 비교적 약한 면역반응성이 관찰되었다. 즉 턱밑샘과 혀밑샘을 구성하고 있는 두 종류의 분비세포 중장액세포의 분비과립에 금입자가 비교적 많이 표지되었으며, 점액세포의 분비과립에서는 적은 수의 금입자가 관찰되었고, 침샘의 소엽속관(intralobular duct)의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에서도 금입자가 표지된 것이 관찰되었다. 귀밑샘에서도 장액세포의 분비과립과 소엽속관의 분비과립에 금입자가 표지되었다. nNOS의 양성 면역반응은 턱밑샘에서 점액세포의 분비과립에서만 약간의 금입자가 관찰되었으며, 턱밑샘, 혀밑샘 및 귀밑샘의 분비세포와 분비관세포에서는 iNOS에 대한 양성 면역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흰쥐 침샘에서 산화질소합성효소 중 eNOS는 침샘분비세포의 분비과립에 존재하며, 특히 전자밀도가 높은 장액성분비과립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분비관 중에서 소엽속관에도 분포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다른 동위효소인 nNOS와 iNOS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산화질소합성효소가 흰쥐 침샘분비세포의 분비과립과 소엽속관의 분비과립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침샘에서 산화질소가 침의 생산과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Endogenous nitric oxide (NO) has been known to regulate many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rocesses, especially the glandular secretion and blood flow. However, nitric oxide synthase (NOS) responsible for NO synthesis has not been well studied ultrastructurally in rat salivary gland.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soforms (endothelial, neuronal, and inducible NOS). Immunoelectron microscopic study, using monoclonal mouse anti-endothelial NOS, anti-neuronal NOS, and anti-inducible NOS, was performed in the salivary gland of rat. Endothelial NOS (eNOS)-positive immunoreactivities were most prominent in the secretory granules of serous cells of the salivary gland of the rat. Immunoreactivities were well concentrated on serous secretory granules in the serous cells. However, weak eNOS-positive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in the mucous secretory granules of the mucous cells. Positive endothelial NOS (eNOS) immunoreactivities were most prominent in the secretory granules of intralobular ducts. Ductal secretory granules and acinar serous secretory granules have a similar pattern of labeling as eNOS suggestings. Neural NOS (nNOS)-positive immunoreactivity was not detected in duct systems or in acinar cells. Inducible NOS (iNOS)-positive immunoreactivity was not seen in acinar and ductal cells. These results reveal the presence of eNOS in the salivary gland of the rat, which may be related with regulation of the glandular secretion and blood flow through the gland.

      • KCI등재

        연 X-선 현미경을 이용한 금 나노입자 세포영상

        권영만,김한경,김경우,김선희,윤홍화,천권수,강성훈,박성훈,정선관,윤권하 韓國電子顯微鏡學會 2008 Applied microscopy Vol.38 No.3

        연 x-선 현미경은 ‘물의 창’ 영역(2.3~4.4 nm)의 파장을 이용하여, 수십 nm의 분해능으로 세포를 파괴하지 않고 살아있는 상태에서 세포의 내부구조를 관찰할 수 있어 가시광선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단점을 보완하는 특징을 갖는 세포 생물학 연구에 적합한 현미경이다. 그러나 기존 연 x-선 현미경은 광원으로 방사선 가속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88 nm의 연 x-선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소형 연 x-선 현미경을 이용하여, 내포작용에 의해 금 나노입자를 포획한 HT1080과 MDA-MB 231 세포의 영상을 약 60 nm 분해능으로 획득하였다. 금 나노입자의 세포에 대한 독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캡핑하였고, 2.88 nm 파장의 연 x-선에 대하여 충분한 조영효과로 인하여 세포영상에서 뚜렷한 대조도를 나타내었다. 내포작용에 의해 액포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크기의 금 나노입자 군집을 확인하였으며, 세포내부의 액포의 분포상태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분해능을 가진 소형 연 x-선 현미경을 이용하여 금 나노입자를 세포내의 미세기관이나 특정 단백질에 표지하면 연 x-선에 대한 조영효과의 증가에 의하여 더욱 유용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 compact soft x-ray microscope operated in the ‘water window’ wavelength region (2.3~4.4 nm) was used for observing cells with nano-scale spatial resolution. To obtain cellular imaging captured with colloidal gold nanoparticles using a compact soft x-ray microscope. The colloidal gold nanoparticles showed higher contrast and lower transmission more than 7 times than that of cellular protein on the soft x-ray wavelength region. The structure and thickness of the cell membrane of the Coscinodiscus oculoides (diatome) and red blood cells were seen clearly. The gold nanoparticles within the HT1080 and MDA-MB 231 cells were seen clearly on the soft x-ray microscopy. The gold nanoparticles were aggregated within vesicles by endocytosis.

      • KCI등재SCOPUS

        혈뇨의 감별진단을 위한 이형적혈구의 형태학적 연구

        윤철종,박정오,문희주,윤기은 韓國電子顯微鏡學會 1999 Applied microscopy Vol.29 No.3

        전체 성인의 약 4%에서 정도 차이는 있지만 혈뇨가 있다고 볼 때 그 원인을 구명하는 일이 중요하다. 그 원인이 사구체성 신염인지 기타 그 외의 비사구체성 원인에 따른 질환인지를 쉽게 감별하는 일이 중요하다. 본 연구자들은 혈뇨를 동반한 소아과 환자중에서 신 생검 조직검사까지 한 5명의 환자에서 혈뇨를 표본 제작하여 먼저 위상차현미경적 표본제작법을 통하여 적혈구를 감별하였고 방법을 달리하여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요침사를 관찰하여 형태학적 고찰을 통하여 이형적혈구를 보다 명확한 3차원구조를 관찰할 수 있었다. 침생검을 통해 얻은 조직학적 소견으로는 사구체의 기저막을 통과한 혈구들의 요로를 통하여 배출과정을 광학현미경 및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육안적 혈뇨의 색은 유출되는 적혈구의 양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용혈된 정도가 심한 경우에 콜라색 혈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에서 본 연구자들은 사구체성 질환을 동반한 유극적혈구 및 환형 적혈구 등과 같은 변형된 적혈구를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명확한 관찰을 함으로 사구체성 질환으로 인한 혈뇨의 감별에 주사형 전자현미경이 가장 유용한 검사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Examination of the morphology of red blood cells in the urine has been shown to be a promising adjunct in determining whether hematuria represents glomerular or nonglomerular bleeding. This is due to distortion of RBCs as they pass across the basement membrane of the glomerular capillaries. It is concluded that is method can greatly help the clinician in distinguishing between glomerular and non glomerular bleeding in patients with hematuria and channeling such patients toward the most appropriate investigations. We have experimented dysmorphic red blood cells that 5 patients of the hematuria are distorted with irregular outlines and often have small blebs extruding from the red cell membrane. Tried urinary sediments were seen with phase contrast microscope and confirm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re are seen acanthocytes, anulocytes, ghost cells and sphero-echinocytes in dysmorphic erythrocytes. Clinical diagnosis was referred from the result of the biopsy-proven.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of the hematuria are good diagnostic tool that disclose in distorted red blood cells from patients with glomerular disorders.

      • KCI등재

        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 추출물이 UVB로 조사된 생쥐 피부에 미치는 영향

        송선영 韓國電子顯微鏡學會 2008 Applied microscopy Vol.38 No.3

        본 연구는 UVB 조사로 인해 손상된 피부에 있어서 자초추출물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생후 6주령된 제모한 C57BL/6 마우스를 대상으로 대조군, UVB 조사군 (UVB군), UVB 조사 후 자초추출물처치군(UVB+Le군)으로 구분하여 24시간, 48시간, 72시간, 120시간, 168시간의 시간대별로 관찰하였다. 경표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한 결과, UVB+Le군이 UVB군 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TEWL이 감소하였다. 특히 168시간군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멜라닌 양 측정 결과, UVB+Le군이 UVB군 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게 나타났다(p>0.05). 홍반 지수 측정 결과, UVB+Le group 24시간, 48시간, 72시간군에서 UVB group 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결과, UVB group 24시간군에서는 UVB group보다 팽윤현상이 완화되었다. 48시간군에서는 가피형성, 72시간군에서는 규칙적인 판상구조, 120시간군에서 새로운 각질세포 생성, 168시간군에서는 얇은 섬유망으로 덮혀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투과전자현미경적 관찰 결과, UVB+Le group은 층판소체의 증가와 층판소체의 재형성이 UVB group 보다 모든 군에서 촉진되었다. 특히 168시간군에서는 지질이중막의 구조가 거의 회복되어졌다. 이상의 모든 실험결과를 통해 자초추출물이 UVB 조사로 손상된 생쥐 피부를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in the UVB-irradiated mouse skin. The C57BL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rol group, the UVB irradiated group (UVB group), and the group treated with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after UVB irradiation (UVB+Le group). 10 mouses were collected and sacrificed at 24 hrs, 48 hrs, 72 hrs, 120 hrs, and 168 hrs, respectively. In the result, the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was decreased the UVB+Le group than UVB groups by time. At the 168 hrs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In the result, the melanin value was decreased in the UVB+Le group than UVB group, but meaningless (p>0.05). In the result of erythema index, the UVB+Le group was meaningfully lower at 24 hrs, 48 hrs, and 72 hrs group than UVB group (p<0.05). In the result of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bservation, the UVB+Le group was allevited swelling than UVB group at the 24 hrs, formation of the scab at the 48 hrs, regular plate shap at the 72 hrs, new keratin observated at the 120 hrs partially, and fine fiber covered epidermis surface at the 168 hrs. In the result of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bservation, the UVB+Le group was facilitation of increased lamellar bodies and reformation lamellar bodies than UVB group at the all groups. Almost all the structures were recovered at the 168 hrs group. In conclusion, Lithospermum erythema extracts may recovery on the UVB-irradiated mouse skin.

      • KCI등재

        인종 모발의 형태학적 차이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이귀영,장병수 韓國電子顯微鏡學會 2008 Applied microscopy Vol.38 No.3

        We investigated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of the ethnic hair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ampled from African, Asian and Caucasian women. Transverse section of African hair had a highly elliptical type whereas those of Asian and Caucasian hairs had circular and elliptical types, respectively. The diameter of African hair showed wide variations from 90 to 115 μm. The diameter of Asian hair was 100 μm and Caucasian hair had a lesser diameter of 80 μm on average. African hair were much more damaged in cuticle layer compared with Asian or Caucasian hairs. In particular, endocuticle of cuticle cell had a lot of holes in it, which resulted that it tends to be easily broken. Phaeomelanin in the cortex of Caucasian hair had a concentrically helical structure in it.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는 흑인종, 백인종, 황인종 여성의 모발을 채취하여 전자현미경으로 모발의 미세구조적 차이를 규명하였다. 흑인종 모발의 횡단면은 납작한 타원형의 형태를 하고 있었으며 황인종과 백인종 모발은 각각 원형과 타원형의 형태를하고 있었다. 흑인종 모발은 두께가 90~115 μm로 굵기가 일정하지 않았다. 황인종모발은 두께가 100 μm이었으며 백인종 모발은 두께가 80 μm로 측정되었다. 모발의 두께는 황인종 모발이 백인종 모발보다 크게 나타났다. 흑인종 모발은 황인종과 백인종 모발 보다 큐티클층이 많이 손상되어 있었다. 특히 큐티클세포의 내큐티클에는 많은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쉽게 부서지는 특성이 나타났다. 백인종 모발의 피질에 있는 페오멜라닌은 내부에 동심원상의 나선구조를 하고 있었다.

      • KCI등재

        전자 빔 조사 민감 물질의 전자회절분석을 위한 Imaging Plate 기술

        김영민,김양수,김진규,이정용,김윤중 韓國電子顯微鏡學會 2008 Applied microscopy Vol.38 No.3

        전자 빔 조사 민감 물질인 gibbsite (γ-Al(OH)₃)의 전자 빔 조사 상전이 연구에서 전자회절 자료의 기록에 대한 imaging plate 와 필름의 기록 특성을 실험적으로 비교하였다. Imaging plate는 극단적으로 낮은 전자 강도와 높은 전자 강도를 동시 기록하기에 충분한 선형 dynamic range를 갖기 때문에, 매우 낮은 전자조사 조건 (≤0.1 e-/μm²)에서 전자 회절 자료를 기록할 때 필름에 비해 회절 자료의 spatial frequency 범위가 두 배 이상 확장되었다. 심지어 이미 기록 포화된 투과 빔 주위의 신호 정보 레벨을 세분화하는 데에도 훨씬 우수한 분해 성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imaging plate가 극단적으로 낮은 전자강도 기록이 필요한 전자 빔 조사 민감 물질이나 cryo-biological 시편들의 구조 연구 관점에서 가장 적절한 기록 매체임을 나타낸다. An experimental comparison of the detection properties between imaging plate and film for recording the electron diffraction pattern was carried out on a radiation-sensitive material, an aluminum trihydroxide (gibbsite, γ-Al(OH)₃), through the electron beam irradiation. Because the imaging plate has a wide dynamic range sufficient for recording extremely low- and high-electron intensities, the range of spatial frequency for the diffraction pattern acquired by the imaging plate was extended to two times larger than the range by the film, especially at a low electron dose condition (≤0.1 e-/μm²). It is also demonstrated that the imaging plate showed better resolving power for discriminating fine intensity levels even in saturated transmitted beam. Hence, in the respect of investigating the structures of radiation-sensitive materials and cryobiological specimens, our experimental demonstrations suggest that the imaging plate technique may be a good choice for those studies, which have to use an extremely low electron intensity for recording.

      • KCI등재

        출생 전 스트레스와 감금 스트레스가 흰쥐 편도복합체 별아교세포에 미치는 영향 : I. 별아교세포의 세포체에 미치는 영향

        이지용,최병영,김동희,정원석,조병필,양영철 韓國電子顯微鏡學會 2008 Applied microscopy Vol.38 No.3

        신경계통의 가소성은 신경세포의 변화에 의해 이루어질 뿐 아니라 신경아교세포의 변화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신경아교세포 중 별아교세포는 신경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므로 정상적인 뇌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뇌에서 편도복합체는 위험 혹은 유해한 일련의 감각정보를 받아들이는 구역으로 받아들인 일련의 이와 같은 정보를 통합하고 변환시켜 공포라는 감정을 만들어낸다. 이런 과정은 편도복합체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의 균형변화에 의해 이루어지며, 신경전달물질의 조절에 별아교세포가 관여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출생 전 스트레스와 성장 후에 받은 스트레스가 편도복합체 별아교세포의 세포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흰쥐를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대조군 (CON), 성장 후 스트레스를 받은 군(CONR), 출생 전 스트레스를 받은 군(PNS), 출생 전 스트레스와 성장 후 스트레스를 모두 받은 군 (PNSR)으로 구분하였다. 별아교세포는 GFAP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확인하였으며, methylene blue/azure II로 대조 염색하였다. Neurolucid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측한 별아교세포의 세포체는 일부 편도복합체 신경핵에서 출생 전 스트레스를 받은 PNS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면적이 증가하였으며, 이런 경향은 출생전 스트레스를 받고 다시 성장 후 스트레스를 받은 PNSR군에서 더욱 증가하였다. 따라서 흰쥐의 편도복합체에 분포하는 별아교세포는 스트레스에 영향을 받아 비대해지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생 전 스트레스가 성장 후에도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사료된다. The plasticity of nervous system is generated not only due to changes in neurons but also due to changes in neuroglial cells. Astrocyte is important for maintaining the normal brain function and controlling the neuronal functions. The amygdala receives an array of important sensory information of danger signals. This information is further transduced and integrated to produce the highly adaptive emotion, fear. In this study, morphometric changes in the cell bodies of astrocytes in the amygdala, induced by prenatal stress and restraint stress were examined. For this purpose, ra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control group (CON), only restraint-stressed (starting on P90 for 3 days) group (CONR), prenatally-stressed group (PNS), and prenatally and restraint (on P90 for 3 days) stressed group (PNSR). Astrocytes were verified with anti-GFAP immunohistochemistry, counter stained with methylene blue/azure II and were examined using the Neurolucida. Results showed that astrocytes in the amygdala of PNS rats had significantly larger cell bodies than did CON rats and this was enhanced further by restraint stress. Thus this data showed that hypertrophy of the astrocytic cell bodies of amygdala complex is induced by prenatal and restraint stress.

      • KCI등재

        시간경과에 따른 안정화 이산화염소(Stabilized ClO₂)의 콩팥조직 부패억제에 대한 현미경적 연구

        황규성,최기주,백두진,임도선 韓國電子顯微鏡學會 2008 Applied microscopy Vol.38 No.3

        소취 및 소독제로서 사용되어온 안정화 이산화염소(S-ClO₂)의 조직에 대한 부패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8주령 SD계 흰쥐 콩팥(kidney)을 사용하였고, 안정화 이산화염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안정화 이산화염소의 분말과 수용액을 처리한 실험군으로 구분하여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 부패양상은 시간경과에 따라 토리, 보우만주머니 및 세뇨관을 구성하는 세포의 핵과 세포사이 경계가 불분명해지며, 세뇨관의 경우 신장되었다가 결국에 수축되었다. 대조군의 1일군부터 괴사(necrosis)가 시작되어 3일군 이후는 전체적인 조직 괴사로 형태를 구별하기 어려웠다. 실험군에서 3일군의 경우, 조직의 전반적 형태와 괴사정도가 대조군의 1일군과 유사하였다.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시간경과에 따라 세포소 기관 및 미토콘드리아의 부분적 붕괴로 시작되어 결과적으로 모든 세포내소기관이 붕괴되었다. 대조군의 1일군에서 세포소기관의 부분적 붕괴가 관찰되었으며, 실험군의 3일군에서 세포소기관 및 미토콘드리아의 부분적 붕괴 현상이 관찰되었다. 대조군의 3일군 이후에서는 세포소기관을 구별할 수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37˚C, 습도 80±5%에서 안정화 이산화염소(S-ClO₂)가 부패와 변성을 억제하는 부패억제제로서 효과가 있고, 억제 정도는 실험군의 3일군이 대조군의 1일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 최소 2일 정도의 부패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stabilized ClO₂ gas has been used for many years by the food industry as a strong oxidizing and sanitizing agent that has broad and high biocidal effectiveness. Therefore, “stabilized ClO₂” gas may be used in fields of disinfectant and sterilization.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decomposition-inhibition effect of stabilized ClO₂ gas with passage of tim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composition-inhibition effect of stabilized ClO₂ gas and the morphological change of kidney by measuring of the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 Sprague-Dawley (SD) rats weighting from 230 gm to 250 gm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Under ether anesthesia, the right kidney of rat was obtained. Put each sample in 37˚C and humidity 80±5% incubator, we obtained each sample after 0 day, 1 day, 2 days, 3 days, 4 days and 5 days. We proceeded the observation of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reveal that stabilized ClO₂ gas is an effective decomposition inhibitor until 2 days that was conducted at 37˚C and humidity 80±5% conditions.

      • KCI등재

        Vitamin C Enhances the Effect of Etoposide to Inhibit Human Prostate Cancer Growth in vitro

        Lee, Myeong-Seon 韓國電子顯微鏡學會 2008 Applied microscopy Vol.38 No.3

        Etoposide (Eto) is chemotherapeutic compounds that is currently used in the treatment of metastatic prostate cancer but new therapeutic agents are needed for the treatment of androgen-independent prostate cancer.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vitamin C (VC), the antioxidant, plays a role in regulating the growth of prostate cancer cell lines and whether VC has synergistic effect to tumor cell killing by chemotherapeutic drugs. Androgendependent LNCaP and androgen-independent DU-145 prostate cancer cell lines were used in this study. Both cells presented increase of dose- and time-dependent cytotoxicity in Eto-treated cultures. The combined treatment with Eto and VC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ercentage of apoptotic cells compared to Eto-treated cells (p<0.05). The present findings demonstrated that VC inhibited the growth of prostate cancer cell lines by Eto-mediated cytotoxicity and induced apopto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emotherapeutic effect of Eto on prostate cancer can be enhanced by VC. 전립선암은 남성 사망의 주된 원인이 되는 치명적인 질병으로 남성호르몬 의존형과 비의존형이 있다. Etoposide (Eto)는 현재 전립선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고 있으나 남성호르몬 비의존형에는 치료 성공률이 낮아서, 보다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왔다. 본 연구는 항산화제인 vitamin C (VC)가 전립선 암세포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남성호르몬 의존형-전립선암세포인 LNCaP와 비의존형 암세포인 DU-145에 비교적 낮은 농도의 Eto와 VC를 복합처리한 결과, Eto만을 투여한 것과 비교하여 암세포의 성장이 현저하게 억제되었고, apoptosis의 발생률 역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이러한 결과는 VC가 전립선암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는 Eto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강력히 시사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