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경 적응적 문턱치 맵(Threshold Map)을 이용한 클러터 제거 기법

        김지은,양유경,이부환,김연수,Kim, Jieun,Yang, Yu Kyung,Lee, Boo Hwan,Kim, Yeon Soo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4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7 No.2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bust clutter pre-thresholding method using background adaptive Threshold Map for the clutter rejection in the complex coastal environment. The proposed algorithm is composed of the use of Threshold Map's and method of its calculation. Additionally we also suggest an automatic decision method of Thresold Map's update. Experimental results on some sets of real infrared image sequence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remove clutters effectively without any loss of detection rate for the aim target and reduce processing time dramatically.

      • KCI등재

        고지도 기반 환경변화연구 및 지형분석을 통한 명사십리 해안의 제4기 연안지대 이상기후 퇴적기록 적지선정

        김지은,유재형,양동윤,Kim, Jieun,Yu, Jaehyung,Yang, Dongyoo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4 자원환경지질 Vol.47 No.6

        본 연구에서는 서해 명사십리 일대의 제 4기 극한재해 퇴적기록 보존지역을 선정하기 위해, 1918년 일제 강점기 지형도, 2000년 수치지형도, 1976년 항공사진 및 2012년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작성한 수치표고모델과 지표이용도를 순차 비교 분석하여 연구지역의 퇴적환경 및 지표환경 변화를 고찰하였다. 연구지역의 지형적 특징은 지난 100여 년간 큰 변화가 없었으나 연구지역의 북부와 남부에는 고도의 변화폭이 상대적으로 큰 구릉지가 위치하고 해안에 평행하게 사구가 발달하며 연구지역 남부 사구의 후면으로 내륙에 평탄한 저지대가 위치한다. 연구지역 유수 및 퇴적물의 이동 방향을 분석한 결과 사구에서 내륙으로 이동하는 흐름과 내륙의 높은 지대에서 해안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연구 지역 중부를 가로지르는 하천을 향하여 이동하며 중남부 용정리와 남부 자룡리의 평탄한 저지대에 각각 $0.2km^2$의 넓이를 가지는 저수지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구지역 해수면 변화기록을 보존하는 지역을 찾기 위하여 해수면을 상승시킨 결과 해수면이 3 m 상승했을 때 침수되는 지역은 1918년 $3.4km^2$, 2000년 $3.64km^2$으로 저수지역이 형성되는 위치와 중첩되며 남부의 평탄한 저지대가 해수범람 퇴적층의 형성이나 퇴적물의 집적에 용이한 환경임을 지시한다. 100여 년간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지표 환경 변화가 제한적이었던 지역은 약 $3.51km^2$의 면적으로 연구지역 중부에서 남부에 분포하며 1918년에는 점토 퇴적지, 논으로 활용되었고 2012년에 이르러서는 모두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연구지역의 퇴적환경과 지표이용변화를 중첩 분석한 결과, 제4기 퇴적기록을 보존하고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연구지역 중부에 약 $0.15km^2$, 남부에 $0.09km^2$의 면적으로 존재하며 이 지역을 중심으로 과거 이상기후 퇴적기록을 연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selected optimal sites in Myeongsasimni located in west coast of Korea for stratigraphic research containing extreme climate event during quaternary period by spatio-temporal analyses of changes in sedimentary environment and land use employing 1918 topographic map, 2000 digital terrain map, 1976 and 2012 air photographies. The study area shows no significant changes in top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hilly areas with relatively large variations in elevation are distributed over north and south part of the study area, and sand dues are developed along the coast line. Moreover, flat low lying areas are located at the back side of the sand dues. The movement of surface run off and sediment loads shows two major trends of inland direction flow from back sides of sand dunes and outland direction flow from high terrains inland, and the two flows merge into the stream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tudy area. Two sink with individual area of $0.2km^2$ are observed in Yongjeong-ri and Jaryong-ri which are located in south central part and south part of the study area, respectively. In addition, sea level change simulation reveals that $3.4km^2$ and $3.64km^2$ are inundated with 3 m of sea level rise in 1918 and 2000, respectively, and it would contribute to chase sea level change records preserved in stratigraphy. The inundated areas overlaps well with sink areas where it indicates the low lying areas located in south cental and south part of the study area are identical for sediment accumulation. The areas with minimal human impact on sediment records over last 100 years are $3.51km^2$ distributed over central and south part of the study area with the land use changes of mud and rice field in 1918 to rice field in 2012. The candidate sites of $0.15km^2$ in central part and $0.09km^2$ in south part are identified for preferable locations of geologic record of extreme climate events during quaternary period based on the overlay analysis of optimal sedimentary environment and land use changes.

      • 위생·안전관리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교육 사례 - 은평구 어린이급식소 중심으로 -

        김지은,김혜리,강순진,정별이,황해리,최예진,황하얀,강지원,주은서,황혜영,변진영,최지은,박유진,박지현,한지훈,남대우,홍완수,Kim, Jieun,Kim, Hyeri,Kang, Soonjin,Jung, ByeolYi,Hwang, Hailee,Choi, Yejin,Hwang, Hayan,Kang, Jiwon,Ju, Eunseo,Hwang, Hyeyeong,Byun 한국급식외식위생학회 2021 급식외식위생학회지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and offline blended education for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foodservice operations in Eunpyeong-gu. For the teachers of the children's foodservice operations, two online sessions and one offline session were conducted with different educational themes each time.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the online program 'Mission Possible' scored 4.8 points and the collective education of teachers and staff scored 4.6 points, indicating that the training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person in charge were high. In other field opinions, it was found that online and offline educ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was very helpful in the overall management of the children's foodservice operations. With fewer face-to-face opportunities, there were difficulties in on-site support and management. To supplement this, various programs were applied to help children's foodservice operations provide healthy and safe meals and snacks.

      • KCI등재

        서양 고지도에 나타난 제주의 지명과 형태

        김지은(Jieun Kim),양보경(Bokyung Ya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0 문화 역사 지리 Vol.22 No.2

        제주도는 서양에서 제작된 고지도에 한국이 표현되기 시작하는 16세기 중반부터 함께 등장한다. 서양에서 바라본 제주의 명칭은 ‘Ladrones’ ‘Fungma’ ‘Quelpaert’의 순으로 변천되며, 풍마와 켈파트의 병기형, 둘을 서로 다른 섬으로 인식한 병존형 등 다양하다. 19세기가 되면 혼란이 사라지고 켈파트로 정착된다. 제주의 위치도 서남쪽 혹은 동남쪽, 중앙부에 표시되기도 하고, 한반도와 멀리 떨어져 그려지기도 한다. 서양 고지도에 표현된 제주의 위치와 형태는 16세기 후반에는 매우 부정확했다(A-1형). 17세기에는 제주에 대한 인식이 보다 명확해졌으나 여전히 위치 및 형태는 부정확한 유형이다(A-2). 18세기에는 풍마와 켈파트라는 두 지명의 혼용에 따라 제주도의 위치와 형태도 지리적 혼동을 보였다. 풍마 섬만 위치하는 형(A-4), 풍마와 켈파트가 함께 표현되면서 주변에 불명확한 여러 섬들이 함께 그려진 형(B-2-1), 풍마와 켈파트만 표현된 형(B-2-2)의 순으로 점차 정확한 모습으로 정착되어 간다. 특히 1787년 라페루즈의 탐사를 시작으로 19세기에 영국의 맥스웰(M. Maxwell)과 홀(B. Hall), 벨처(E. Belcher) 등이 제주에 대해 본격적인 탐사를 실시하면서, 19세기 서양 고지도에 제주의 위치와 형태는 현대 지도에 가깝게 정확한 형태(C형)로 대부분 표현된다. Jeju is an island located in the south-west of the mainland of South Korea. Jeju island began to describe in the European old maps made from the mid-16th century when Korea first appeared in them as well. Place name of Jeju changed into 'Ladrones' 'Fungma'and 'Quelpaert'in order by the West, Also, names of three counties like 'kitchew' 'Te-tching' and 'Chany' appeared. The Locations and forms of Jeju Island in the western old maps were very inaccurate in the late 16th century(A-1 type). By the 17th century, cognition of Jeju became more definite, however, its locations and forms were still inaccurately recognized(A-2 type). In the 18th century, the locations and forms of Jeju were geographically confused by mixed use of two place names, Fungma and Quelpaert. It was gradually established accurately in order of A-4 type which only Fungma island was located, B-2-1 type that Fungma and Quelpaert were expressed together with indefinite several islands around and B-2-2 type that only Fungma and Quelpaert were simply expressed without islands. Especially, beginning with an expedition of La P럕ouse in 1787, since M. Maxwell, B. Hall and E. Belcher in the 19th century, most of locations and forms of Jeju in the western old maps were C types similar to modern maps.

      • 개화기 한국장로교의 학교교육과 민족운동의 상관성 연구

        김지은(Jieun Kim),박용규(Yong Kyu Park) 신학지남사 2020 신학지남 Vol.87 No.3

        한국 근대교육의 시작은 기독교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특히 장로교회가 한국근대화에 끼친 공헌은 우리 역사의 한 획을 긋게 할 정도로 지대했다. 특히 민족운동에 끼친 영향은 특별했다. 선교사들이 세웠던, 우리 애국지사들이 세웠던 그 주체가 누구이든 상관없이 기독교 학교 교육은 그 당시에 직면한 시대, 국가, 사회의 현실을 외면한 채 신앙과 교육만 전개할 수도 없고 그렇게 하지도 않았다. 장로교 선교부와 한국장로교회가 설립한 기독교 학교의 교육목적은 신앙을 가진 인격자를 양성하여 민족을 위해 봉사하는 지도자를 배출하는 데 있었다. 그것은 그 당시 세워진 많은 학교의 교육이념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성경을 필수로 한 국어, 역사, 지리, 음악, 체조 등의 교과 교육은 당시 한국의 역사적 상황 속에서 학생들에게 신앙과 민족정신을 고취시켰다. 본고에서는 기독교 학교와 민족운동의 상관성을 기독교 학교 교육의 모범사례라고 할 수 있는 선교사들에 의해 세워진 경신학교, 숭실학교, 신성학교, 오산학교, 대성학교, 그리고 정신여학교에 대한 고찰을 통해 살펴보려고 한다. 우리나라 민족운동이 기독교 학교를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민족과 국가의 위기 속에 한국인의 정신적 부활을 돕는 방법으로 자연스럽게 민족의식을 배양시켜주었다. 그러므로 기독교인들이 민족운동의 지도자로 앞장설 수 있었던 것은 이들 기독교 학교의 교육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특별히 한국장로교 학교들과 민족운동의 상관성은 너무도 분명하다. 기독교인은 민족지도자로 하나님 앞에서 신앙과 사회적 책임을 다함으로 하나님과 민족 앞에 그 사명을 다했다. Christianity led the modern education in Korea from its earliest period. The Presbyterian church’s contribution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 was so great as to leave an indelible mark on Korean history. To be more specific, the Presbyterian church contributed greatly to the nationalist movement. Regardless of identities of the founders, whether they were missionaries or Korean nationalists, Christian education at those schools could not, and did not, focus solely on the faith and education, while overlooking the time and circumstances of the nation and the society. Rather, the purpose of the Christian schools established by the Presbyterian board for missions to Korea and by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was to raise up the devout people of character, the leaders who were supposed to serve the nation. This point becomes evident when we investigate the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of a number of schools founded at that time. Classes such as the Korean language, history, geography,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and most importantly, a mandatory course on the Bible, inspired the faith and a spirit of nationalism in the student. This article proves the link between the Christian schools and the nationalist movement by investigating diverse schools such as Gyeongshin, Soongsil, Shinsung, Osan, Daesung, and Chungshin Girls’ school, all of which could be considered as a paragon of Christian school education. The Korean nationalist movement revoled around the schools, which inspired national identity in Koreans in a way that resuscitated their mentality for the nation in crisis. It is no exaggeration to suggest that it was no other than Christian school education that led Christians to spearhead the nationalist movement. The link between the Korean Presbyterian schools and the nationalist movement was especially evident. Korean Christians carried out their mission by fulfilling their social as well as religious responsibilities and thereby they became the leaders of the nation.

      • KCI등재

        자연재해 위험이 농지가격에 미치는 영향 : 풍수해를 중심으로

        김지은(Jieun Kim),안동환(Donghwan An) 한국농업경제학회 2020 農業經濟硏究 Vol.61 No.3

        While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extreme weather events due to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gradually increase, various industrial groups are exposed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the agricultural sector is very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s, as it causes damage to crops and farmland directly when an extreme event occur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the effect of the occurrence of storm and flood on farmland prices in Korea. The materials mainly used in this study are official land value, inundation trace map, and the properties of individual parcels and regions. In addition, Hausman-Taylor estimation method was used considering the endogeneity of the rice yield variable. It is shown that the number of disaster risk zones, inundation in the previous year, cumulative frequency, and the average inundation depth in the last three years have a negative effect on farmland prices. The results imply that the occurrence of natural disasters which can affect both net income from farmland and the value when converted to other uses in the future actually lead to price reduction. The flooding affects not only the production of crops, but also requires the repair cost for damaged farmland. This risk cost can be seen as a result of price internalization.

      • KCI등재

        요제프 바이어의 발레 「한국의 신부(新婦)」 (Die Braut von Korea) 작품 및 공연 사료 고찰 : 공연 중단 원인을 중심으로

        김지은 ( Kim Jieun ) 무용역사기록학회 2021 무용역사기록학 Vol.63 No.-

        요제프 바이어의 음악과 하인리히 레겔의 대본으로 구성된 발레 「한국의 신부」는 1897년 5월 22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의 K. k. 궁정오페라극장에서 초연되었다. 이 발레는 4막 9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청일전쟁(1894/95)을 배경으로 그려진 한국의 왕자와 그의 신부 다이샤의 허구적인 사랑이야기이다. 「한국의 신부」는 비엔나에서 총 38회, 1899년에는 함부르크 시립극장에서 14회 성황리에 공연되었으나, 1901년 이후 비엔나 발레공연 일정에서 돌연 사라졌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새로 출판된 악보와 당시 신문과 잡지의 기사들을 사용하여 「한국의 신부」를 분석하고, 비엔나 궁정오페라극장의 레퍼토리에서 갑자기 사라진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먼저 1900년경 공연 제반 사료들을 검토하여 작품의 제작 배경 및 인기와 위상을 고찰한다. 다음으로 작품의 구성과 특징을 분석한다. 끝으로 1901년 작품이 철수된 이유를 살펴본다. “Die Braut von Korea” (The Bride of Korea), a ballet composed by Josef Bayer and written by Heinrich Regel, premiered in the K. k. Hof-Operntheater (Imperial Royal Court Theatre) in Vienna, Austria on May 22, 1897. The ballet consists of four acts and nine scenes depicting a fictional love story between the Prince of Korea and his bride Daisha, against the backdrop of the Sino-Japanese War (1894 95). This ballet was performed 38 times in Vienna and 14 times in the Hamburgische Staatsoper (Hamburg State Opera) in 1899, but it disappeared suddenly from the ballet performance schedule in Vienna after 1901. This study aims to analyze “Die Braut von Korea” based on recently published sheet music as well as articles of newspapers and magazines of the time, and explore why it was abruptly removed from the repertoire of the Imperial Royal Court Theatre in Vienna. First, we review the context in which the piece was produced as well as its popularity and status through the examination of historical records regarding the piece. Then, we discuss its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and finally, explore the reasons for its sudden disappearance from the ballet repertoire in 1901.

      • KCI등재

        율곡 도덕 감정론의 지각 기제 - 율곡의 ‘성의(誠意)’를 중심으로

        김지은 ( Kim Jieu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7 율곡학연구 Vol.35 No.-

        본 논문은 ‘성의(誠意)’가 중추가 되는 심(心)의 지각 기제(과정)를 중심으로 율곡 이이(栗谷 李珥, 1536-1584)의 도덕 감정론을 고찰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율곡이 심의 지각을 성발위정(性發爲情)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 표명하면서 도덕 감정[四端]을 올바른 지각의 산물인 중절(中節)한 감정으로 규정했음을 밝힐 것이다. 그리고 중절한 감정인 사단(四端)의 실현을 위해 율곡이 중시했던 ‘성의’가 정리(正理)에 의거한 반성적 사려활동임을 확인하고, ‘성의’가 중심이 되는 심의 지각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율곡이 일상의 심리적 갈등[人心] 속에서 어떻게 중절한 선(善)을 향해 의식을 능동적으로 계도해[道心] 나가고자 했는지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성의’에 내재한 수양론적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율곡의 ‘성의’가 이성적 차원의 표면적인 의식 변화의 의미를 넘어 지(知)·행(行)과 미발(未發)·이발(已發)의 영역이 모두 상호의존적으로 개입되어 궁극에는 본질적인 기질변화를 이루어내는 것임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The primary goal of the present thesis is to consider the theory of moral emotions of Yulgok Yi I (栗谷 李珥, 1536-1584) by focusing on the mechanism of the perception of “the mind-heart” (心), in which “song ui” (誠意) is a pivotal element. To this end, this study will reveal that Yulgok stipulated moral emotions (四端) as appropriate emotions of correct perception while proactively expressing the perception of mind-heart as the key intermediary of “Human Nature turns into Emotion” (性發爲情). This study will also explore how Yulgok actively guided consciousness towards the appropriate goodness by analyzing the mechanism of perception to which “song ui” is central as a reflective pondering activity that Yulgok emphasized for the realization of the appropriate emotion. Lastly, by exploring the meaning of self-cultivation intrinsic to “song ui”, this thesis intends to establish that Yulgok’s ‘song ui’ surpasses the meaning of a superficial change of awareness on a rational level, and is an activity in which the domains of “knowing” (知) · “acting” (行) and “the unaroused state” (未發) · “the aroused state” (已發) become interdependently involved to ultimately achieve a fundamental change of the psychophysical componen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조직지위(Organizational Status) 이론의 발전과 전망

        김지은(Jieun Kim),김영규(Young-Kyu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17 인사조직연구 Vol.25 No.3

        Podolny(1993)가 사회적 지위의 개념을 조직 수준에서 이론화한 이후, 조직지위 이론은 조직이론 및 경영전략 분야에서 그 영향력을 확대해 왔다. 조직지위의 이론적 함의를 평가하기 위한 리뷰들이 2010년 이후 발표되면서 이론의 체계화에 도움을 주었는데, 본 논문은 조직지위 이론의 주요 연구들을 시대에 따라 검토하여 이론의 발전과정을 조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기존 리뷰와 차별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이론사적 연구를 통해 향후 미래 연구 발전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더 잘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시대별 주요연구를 고찰한 결과, 첫째, 조직지위 이론의 태동기인 1990년대 에는 주로 Podolny와 동료학자들을 중심으로 조직지위의 긍정적 효과와 조직지위가 조직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주로 연구되었던 반면, 조직지위 이론의 성장기로 볼 수 있는 2000년대에는 다양한 소속과 학파의 연구자로 저변이 확대되면서 조직지위의 변화, 의사결정 및 행위의 제약으로서 조직지위의 역할 등으로 연구주제가 다양화되었고, 다른 사회적 평가 메커니즘과 명확하게 구분하려는 시도 등으로 이론적 정교화가 이루어졌다. 조직지위 이론의 성숙기로 볼 수 있는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조직지위는 조직정체성 및 범주 이론과 통합적으로 고찰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기존 사회학 및 사회심리학에서 발전된 사회적 지위이론이 조직 수준에서 적용되면서 개인 수준과 조직 수준의 이론의 통합에 대한 요구가 자연스럽게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 시기부터 국내에도 조직지위 관련 연구가 활발해지게 되었으나, 우리나라 현실과 상황에 조직지위 이론이 적용된 연구는 아주 최근에서야 나타나고 있음도 발견되었다. 따라서 향후 조직지위 이론에 대한 보다 체계적 연구에 더해 한국형 경영학 발전에 조직지위 이론이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Since Podolny (1993), who applied the concept of social status to the organiza-tional context, the concept and theory of organizational status have been widely accepted in the field of organization theory and strategic management. As theory has become more elaborated, the needs for evaluating theory development and finding theoretical gaps have increased. As a response, leading scholars have tried to help future scholars by reviewing prior literature on organizational status and related topics and making suggestions about future directions. This paper, in line with these attempts yet differentiated in the review approach, examines theory development by period. By undertaking this historical study, this paper is expected to offer better insights about future theory development. In the 1990s, when organizational status had been introduced in organization theory, theoretical emphasis was put on status as an asset and on the reproducing mechanism of status hierarchies. In the 2000s, as more and various scholars started to employ the concept, various topics have been explored, such as the negative impact of status, status dynamics, and status as a constraint on decisions and behaviors. In the 2010s, more eclectic studies considering both organizational status and identity have been published, along with theoret-ical attempts to integrate organizational status theory and individual-level status theory. In this period, Korean theorists also more actively examined organizational status; however, only recently have Korean scholars employed status concepts to explain business phenomena in Korea. Thus, the need for considering the possible contribution of organizational status theory to K-Management theory development, in addition to the need for future theoretical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status, has been rai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