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조원정,이경자,Jo, Won-Jeong,Lee, Gyeong-Ja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989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전국의 보건진료원이 하는 업무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보건진료원 제도 정착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강원도 지역에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에 있는 보건진료원 전수로 하였고 이중 응답자수는 108명이었다. 연구도구는 문헌과 간호교육자들에 의해 작성 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피어슨 상관계수를 구하였고 유의성 검정을 위해서 t-test, ANOVA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인 보건진료원의 평균 연령이 31.5세이며 과반수의 보건진료원이 30세 미만 이었고 기혼자가 마혼자보다 약간 많았다. 보건진료원의 반수 이상이 현재 가족과 동거하고 있었고 학력은 3년제 간호전문대학 졸업자가, 경력은 3년 미만인 사람이 대부분이었으며 종교를 가진 사람이 대부분 이었으며 종교를 가진 사람이 안가진 사람보다 더 많았다. 또한 보건진료원의 근무지역 조건은 대부분이 을지에서 근무하고 있었고 대부분의 보건진료원이 신축된 보건진료소 시설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보건진료소 내의 숙소에서 거주하는 것으로 냐타났다. 2) 보건진료원이 담당하는 평균 주민수는 1,660.8명 이었으며 과반수 정도의 보건진료원이 $501\sim1,000$명이 이상적인 적정 담당 주민수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강원도 주민의 연평균 보건진료소 이용자수는 4,099.3명 이었고 이용 주민수가 5,000명 이상인 보건진료소도 11개소 12.9 %나 되었다. 3) 보건진료소 사업대상지역 내에 있는 보건 의료기관은 약방 및 약종상이 62.1 %로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고 보건지소도 16 %나 사업대상지역 내에 함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의 보건의료기관 이용은 보건진료소가 59.0 % 로 지역주민이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고 보건 진료원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의뢰기관은 뱅 의원이 66 %, 보건소가 36.4 %로 나타났다. 또한 보건진료소의 보건의료기관과의 협조관계는 보건소와는 과반수 정도가 잘 협조하고 있다고 응답 한 반면 보건지소와 잘 협조하고 있다고 응답한 율은 37.6 % 밖에 안되었다. 4) 보건진료원이 업무영역 수행 정도를 살펴 보면 5점 만점에 통상질환관리가 3.69점, 사업 운영 관리 및 지도는 3.45점,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은 3.28 점, 지역사회 조직 및 개발은 3.27 점, 보건정보체계 개발 및 수집은 3.17 점, 사업 계획 수립은 3.14 점, 지역사회 보건관리는 3.13 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보건진료원의 업무영역을 l 일 8 시간으로 하여 l 주 44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하면 통상질환관리 18.56시간, 지역사회 보건관리 5.67 시간,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5.52 시간, 사업 운영관리 및 지도 4.10시간, 지역사회 조직 및 개발 3.05 시간, 보건정보체계 개발 및 수집 2.94 시간, 사업계획 수립 2.89시간의 순으로 나타났다. 5) 보건진료원의 업무영역별 수행 소요시간의 상판판계를 살펴보면 지역사펴 조직 및 개발을 위 해 소요한 시간은 사엽계획 수립 소요시간 및 보건정 보체계 관리 소요시간과 순상관관계를, 사업 계획 수립 소요시간은 지역사회 보건관리,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관리 소요시간 및 보건정보체제 관리 소요시간과 순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통상질환관리 소요시간은 지역 사회 조직 및 개발, 사업계획 수립, 지역사회 보건관리와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관리, 사업운영 관리 및 지도,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육 개선 방안: 간호교육 인증평가 기준을 중심으로
전경자,진영란,김희걸,김춘미,송연이,김숙영,이한주,정인숙,서기순,최경원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16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7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the direction of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education focus on the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criteria. Methods: We collected data through e-mail survey to all of 202 Korean nursing baccalaureate education institute in April, 2016. The 93 professors teaching community health nursing was responded about their affiliated institute (response rate 46.0%). Results: The Korean nursing graduates in Feb. 2016 was practiced 3.01 credits, 131.6 hours in community health nursing course.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agency was public health center (98.9%), Public health center post (43.0%), Public health center branch (32.3%) in order. The possibility to achieve the course objectives up to national examination was recognised Public health center (3.4), Public health center post (3.3), Public health center branch and school (3.2) from 5 score likert scale. A lot of nursing education institute have difficulty in clinical placement in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agency that meet eligibility of preceptor and space gaining for only nursing students. Conclusion: The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criteria in 3rd cycle have to be considered real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situation and newly emerging community health nursing fields.
부산.경남지역 보건간호 인력분포와 보건사업 제공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황보선,배정하,김봉임,Hwang, Bo-Sun,Bae, Jung-Ha,Kim, Bong-Im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989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 No.1
기존의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1985년과 1986 년의 부산 경상남도 지역 보건소를 중심으로 본 보건간호사의 사업 활동에 대한 조사연구는 다음과 같았다. 1. 연도별 사업분야별 간호사 수 사업분야별 간호사 수는 1985년, 1986년 모두 부산지역은 가족계획 사업에, 경남지역은 진료실 사업에 활동하는 수가 가장 많았다. 2. 연도별 보건소당 인구수 부산지역의 보건소당 인구수는 1985년에 351,681명에서 1986년의 357,884명으로 dir간 증가하였고, 경남지역은 1985년에 130,247명, 1986년의 130,252명으로 비슷하였다. 3. 연도별 보건간호사당 인구수부산지역의 보건간호사당 인구수는 1985년의 30,008명에서 1986년에는 31,120명으로 증가하였으나, 경남지역은 오히려 1985년에 22,590에서 1986년에 16,747명으로 감소하였다. 4. 연도별 사업분야별 활동 상황 연도별 사업분야별 활동 상황에서 부산지역은 가족계획사업을, 경남지역은 영유아 보건사업을 가장 많이 하였다. 5. 연도별 사업분야별 간호사당 인구수 부산지역은 1986년 모자보건 사업 대상자 수가 353,665멍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남지역은 1985년에 모자보건 대상자가 46,220명으로 가장 많았다. 6. 연도별 사업분야별 간호사당 관리된 수 사업분야별 간호사당 관리된 수는 부산 경남지역 모두 모자보건 사업이 가장 많이 관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npower status of nurse in the Health Centers from 1985 year to 1986 year, Pusu and Kyung Nam area. As the results through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reached. 1. The number of nurses who worked in the Family Planning in Pusan was largest and the number of nurses in Kyung Nam who worked for Consultation Clinic was the largest both in 1985 and in 1986. 2. Population per Health Center by year; Population per Health Center in Pusan area increased from 351,681 persons 1985 year to 357,884 persons, 1986 year In Kyung Nam area population per Health Center increased from 130,247 persons, 1985 to 130,252 persons,1986 year. 3. Population per Public Health Nurses by year; Population per PHN in Pusan area increased from 30,058 persons, 1985 to 31,120 persons, 1986. But in Kyung Nam area population per PHN decreased from 22,500 persons, 1985 to 16,747 persons, 1986. 4. Activities of Public Health Nurses by clinic; The order of priority activities by PHNs was family Planning in Pusan area and M.C.H in Kyung Nam area. 5. The target population per Public Health Nurse; The target population of M.C.H was the most in Pusan, 1985. In Kyung Nam area the most target population was M.C.H., 1985 year. 6. Number of service per Public Health Nurse; In number of service per PHN, the hightest health nursing service activity in Pusan and was M.C.H in Kyung Nam area.
김희자,Kim, Hui-Ja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989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보건진료원의 업무를 분석하기 위하여 충북에서 활동하고 있는 보건진료원 136 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흥해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백분률, 평균값, 표준편차로 자료처리를 하였다. 조사기간은 1968 년 8월 1일부터 11월 20일까지 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건진료원의 일반적 특성과 업무에 관련 된 배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건진료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 분포는 30 - 34세가 30.1 %로 가장 많았고 결혼 상태는 기혼자가 61.8 % 였다. 종교는 기독교가 42.6% 로 많았고 학력은 3 년제 간호전문대학 과정졸업 자가 78.9 %로 많았다. 현 가족과 동거상태에서 배우자와 자녀가 함께 사는 경우가 76.5% 였고, 보건진료원의 경력은 1 년 마만이 41.2 %로 가장 많았다. 보건진료원의 업무에 관련된 배경을 살펴보면, 근무지역조건은 갑지가 65.3 % 였고, 현 거주지는 보건진료소내 숙소가 대다수 였다. 보건진료소는 신축된 건물이 대다수였고, 보건진료소 시설은 '그저 그렇다'고 대답한 수가 가장 많았다. 보건진료소 운영협의회 수당은 월 $5\sim7$만원인 경우가 85.6 % 였다. 2. 보건진료원의 보건의료제공 실태는 다음과 같다. 보건진료원이 현재 담당하는 주민수는 $501\sim1,000$ 명이 35.3 % 이고, 1,500 명 이상의 주민을 담당하는 경우도 32% 였다. 보건진료소를 이용한 주만은 연평균 1,956 명이고, 보건진료소 평균 이용건수는 1,812건이다. 보건진료원의 직업만족도는 만족한다가 40.6%로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3. 보건진료원과 보건의료 관련기관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지역주민의 보건의료자원 이용 정도는 보건소 진료소가 1 위로 가장 많았고, 약국, 약방, 의원, 보건지소의 순위로 나타났다. 보건의료 관련기관과의 협조가 잘 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도 있는데, 보건소(19.7 %), 보건지소( 20.2%) 민간보건 의료기관(22.4 %)이며, 그 이유를 알아서 협조가 잘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겠다. 원하는 감독체계는 보건소장(47.3 %), 보건간호 전문가(37.2 %)로 나타났으나 이는 현재있는 감독체제내에서 생각한 것이며 간호전문가에 의한 새로운 감독체제를 원하고 있었다. 많이 이용하는 의뢰 기관은 병원(52 %), 의원(24.4 %), 보건소(10.2 %) 순이었다. 4. 보건진료원의 업무 영역별 수행정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건진료원의 업무 영역을 7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수행평균 평점을 보면통상질환 관리가 3.70점, 사업운영 관리 및 지도가 3.44 점, 사업계획 수립이 3.19 점, 지역사회 조직 및 개발이 3.17 점,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이 3.14 점, 지역사회 보건관리가 3.09 점, 보건 정보체계 개발이 3.02 점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서 지역사회 보건관리가 3.09점으로 통상질환 관리 3.70 점 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일차보건의료 사업 정착의 과도기적인 현상으로 생각하며, 이 부분을 더 많이 수행해야 할 것으로 사려된다. 5. 보건진료원의 업무 영역별 수행 소요시간의 평균은 다음과 같다. 지역사회 조직 및 개발 3.48 시간, 사업계획 수립 3.55 시간, 지역사회보건 관리 6.74 시간,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5.55 시간, 통상잘환 관리 15.94시간, 사업운영 관리 및 지도 4.39시간, 보건정보체계 3.62 시간으로 나타났다. 보건진료원이 통상질환 관리와 더불어 예방활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적절한 행정적, 교육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 성인 남녀의 신체 표현형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 평가 : 지역사회기반 코호트 자료 분석
김지영,양영란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23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34 No.2
Purpose: Body size phenotypes can be regarded as an indicator of cardiovascular incidence risk facto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metabolically healthy adults according to body size phenotype using Korean Genome & Epidemiology Study [KoGES]-community based cohort from 2001-2002 to 2014.Methods: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cohort including 5,068 adults aged 40-69 years free from metabolic syndrome was included and divided into three phenotypes: metabolically healthy normal weight (MHNW), metabolically healthy overweight (MHOW), and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 (MHO). The time dependent Cox’s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incid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fter a follow-up 14 years.Results: In the demographic, health related variables-adjusted model (Model 3), the hazard ratio of the metabolic syndrome was 1.92 (CI 1.54-2.40) for MHOW, 2.88 (CI 2.32-3.58) for MHO among males, 1.89 (CI 1.51-2.37) for MHOW, 2.34 (CI 1.88-2.90) for MHO for females compared to MHNW, respectively.Conclusion: In conclusion, MHOW and MHO in both males and females increased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compared to MHNW. Obesity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even in the absence of metabolic syndrome. Programs and resources should be provided for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s and better quality of life.
윤순녕,박성애,Yun, Soon-Nyoung,Park, Sung-Ae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996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the outcomes of visiting nursing service (VNS) between the two types by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health centers. Type I referred to 3 health centers with departmentalization for VNS and type II of 3 health centers providing VNS under the subunit of a depar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38 visiting nurses at the six health centers for their perceived formalization, decision-making authority and job satisfaction, 293 clients for the satisfaction level with VNS served and their records analysis for level of quality care and frequency by the contents of VNS through the questionares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 to August 30, 1993.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 F. t or/and Scheffe test.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formalization and decision -making authority of visiting nurses between the two types of health center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quality care and frequency of the VNS contents between the two types of health centers.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clients'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of the visting nurses between the two types of health centers. From this study, Not only organizational differenti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job standards and supportive system but also personnel development are suggested when new health care service in health centers begins.
정영숙,문영희,Chung, Young-Sook,Mun, Young-Hee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996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7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plore the direction of job involvement of public health nurses and explore the way for improving services of public health center in Korea.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164 nurses who were working at public health centers in Chonbuk.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ing questionnaire from Jan. 15 to Jan. 27, 1996.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Likert-type scale which Job Involvement Scale developed by Kanungo. The questionnaires of organizational and job characteristic were made through reviewing literatu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PSSPC+ program.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Mean scores for job involvement were 3.0879 on a 5 point scale. 2. In the personal variables, professional experience(t=-2.18, p=.031), position(t=2.34, p=.021), and age(F=-1.94, p=.038)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job involvement. 3. The variables to job characteristic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job involvement: job challenge (r=.4785, p=.000), role ambiguity (r=-.3141, p=.000), task significance (r=.2714, p=.000), and role conflict(r=-.2166, p=.003). 4. The variables to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job involvement : formalization(r=.3184, p=.000) and human centere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r=.2450, p=.001).
박현경,유애정,윤주영,최재우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23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34 No.2
Purpose: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a pilot project for community care for older adults and the integrated visiting nursing center in Bucheon-si operated by public fund of government to provide visiting nursing service for older adult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outcomes of the utilization of visiting nursing service at the integrated visiting nursing center in Bucheon-si.Methods: This study linked the personal data from the pilot project for community care with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The final subjects comprised 30 participants and 110 of the matched control group. The length of home stay, hospitalization, and the admission for long-term care facilities or convalescent hospitals were measur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difference-in-differences analysis using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an increase of 28.2 days for length of home stay and a reduction of 69% in hospitalization from medical institutions and 81% in admission of long-term care facilities or convalescent hospitals among participan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visiting nursing service of the integrated visiting nursing center was effective in extending length of home stay and lowering the hospitaliz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and admission of long-term care facilities or convalescent hospitals.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 사회적지지, 양육부담감과의 관계
정경은,석민현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23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34 No.2
Purpose: Th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aimed to confirm the relation among uncertainty, social support, care burden of mother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1 mothers having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or intellectual disabil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IBM SPSS 23.0 in the study. Results: Uncertainty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caregiver burden.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caregiver burden were children’s age, the expense for caring, the period suspected child disabilities, and uncertainty. These factors accounted for 40.8% of caregiver burden. Conclusion: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f caring for mother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detec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arly and to develop and provide an integrated guide suitable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stag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노인의 이중 감각 저하가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양수지,윤주영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23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34 No.3
Purpose: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dual sensory impairment (DSI) in the elderly is associated with cognitive impairment (CI) and confirmed how change in cognitive function varies depending on the social support (SS). Methods: For a study sample of Korean older people,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from the 7th (2018) to the 8th (2020), were included in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Among people who responded in both 2018 and 2020, a total of 2,069 people of those who are 65 years of age or older, and have living children and normal cognitive function, were analyzed. X2 -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tilized. Results: First, the number of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VI), hearing impairment, and DSI increased on 8th data compared with 7th data. In addition, 22.9% of the 2,069 people showed a decrease in cognitive function. Second, compared to the elderly with normal sensory functi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only VI was found to be more degraded, and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DSI was found to be much more degraded. In addition, among SS, only participation in social gatherings was found to show significant change in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DSI.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of participating in social gatherings was not significant in the CI of the elderly with DSI. Conclusion: VI and DSI effected cognitive function, but participation in social gatherings such as SS has not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CI of the elderly with D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