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소아에서 분리한 Helicobacter pylori 균주의 항균제 내성률

        김유미,이연주,오석희,성흥섭,김미나,김경모,Kim, Yoo-Mi,Lee, Yeoun-Joo,Oh, Seak-Hee,Sung, Heung-Sup,Kim, Mi-Na,Kim, Kyung-Mo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11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4 No.1

        목 적: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제균 치료의 적절한 항균제 선택의 기반이 되기 위해 소아에서 H. pylori 항균제 내성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7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상복부 통증으로 본원을 방문한 환자 중 위 문부 생검 조직 배양에서 H. pylori 가 동정된 균주를 대상으로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감수성 검사는 clarithromycin과 amoxicillin은 디스크 확산법으로, tetracycline과 metronidazole은 E-test를 시행하였다. 치료 원칙은 감수성 결과가 확인 된 환자는 감수성 결과에 따라 항균제를 선택 하였고, BAM (bismuth subsalicylate, amoxicillin, metronidazole) 또는 OAC (omeprazole, amoxicillin, clarithromycin)를 바탕으로 한 경험적 삼제요법을 택하였다. 치료 실패 시에는 bismuth (또는 bismuth subsalicylate)를 포함한 사제요법을 선택하였다. 결 과: 33명의 환자가 배양검사 양성을 보였고 28명의 환자에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이 중 항균제 내성을 보인 환아는 9명(32.1%)으로 그 중 7명(25%)이 clarithromycin 내성 균주를 보였고 5명(17.8%)이 metronidazole 내성 균주를 보였다. 대상이 적어 통계적인 분석을 하지 못하였으나 Clarithromycin과 metronidazole의 내성률이 시기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결 론: 본 연구는 단일 병원에서 소수의 환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로 한계가 있으나, 간접적으로 국내소아 환아에서 분리된 H. pylori의 균주에서도 높은 항균제 내성과 시기적으로 내성률이 변하는 것을 알 수있었다. 따라서 소아 환자에서 적절한 항균제 선택을 제시하기 위한 보다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Helicobacter pylori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in failure of eradication 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H. pylori in Korean children. Methods: Gastric mucosal specimens for H. pylori were obtained from children with dyspepsia who were cared for at Asan Medical Center Children's Hospital in Seoul, Korea between 2003 and 2009. Antimicrobial resistance tests were performed using the disk diffusion method for clarithromycin and amoxicillin and the E-test for metronidazole and tetracycline. Most children with H. pylori infections were treated using triple therapies. Results: Thirty-three children had positive H. pylori cultures, although a resistance test was only performed in 28 patients. Resistant strains were found in 9 children (32.1%). The resistance rates to clarithromycin and metronidazole were 25% and 17.8%, respectively. There was no resistance to amoxicillin or tetracycline. The resistance rates decreased from 44.4% (2003~2006) to 26.3% (2006~2009) during the study period. Conclusion: Korean children demonstrated relatively high antimicrobial resistance to H. pylori in this study. However, there was a temporarily decreasing trend during the study period. A larger multi-regional study may be needed to determine the optimal antimicrobial treatment for pediatric patients infected with H. pylori.

      • 성인기에 진단된 당원병 제 Ia형의 다양한 임상 양상

        김유미,전종근,김구환,유한욱,Kim, Yoo-Mi,Cheon, Chong Kun,Kim, Gu-Hwan,Yoo, Han-Wook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5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5 No.1

        당원병 Ia형은 glucose-6-phosphatase 효소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염색체열성 질환으로 특징적인 임상양상으로 대부분 영아기에 진단되나 증상의 경중에 따라 진단 연령이 늦어지기도 한다. 또한 환자 진단 시 유전 양식을 고려한 올바른 유전 상담과 더불어 형제, 자매에 대한 스크리닝이 중요하겠다. 본 연구는 성인기에 진단된 GSD Ia 자매에서의 임상양상의 차이를 기술하고 성인기 합병증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 특히 간질환, 신부전 또는 대사성 질환으로 진료 받는 성인 환자들에서 당원병에 대한 감별과 당원병 진단 시 합병증에 대한 검사와 관리에 대해 필요성을 보고하는 바이다. 저혈당, 고지혈증, 고요산증, 젖산혈증, 대사성 산증, 기관 내 당원 축척에 대한 적절한 검사 및 약물 요법을 통해 급성 및 만성 합병증 예방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 의료진의 체계적인 접근 및 노력이 필요하겠다. Glycogen storage disease (GSD) type Ia is rare inborn metabolic disorder, caused by glucose-6-phosphatase deficiency. It characterized by hepatomegaly, hypoglycemia, lactic acidosis, hypertriglyceridemia, and hyperuricemia and it is usually manifested in the infantile period. In addition, it is also associated with growth failure, pubertal delay, anemia, platelet dysfunction, osteopenia, and pulmonary hypertension. Hepatocellular adenoma and renal dysfunction are frequent late complications. Delayed diagnosis and inappropriate therapy lead to many complications such as growth failure, osteoporosis, refractory gout, renal failure,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and pulmonary hypertension. Here, two Korean sisters diagnosed with GSD Ia, aged 33 and 36 respectively, were described and compared to recent articles about four adults with late diagnosis of GSD Ia. One sister had typical manifestations of GSD Ia including short stature (height, 145 cm), multiple hepatic adenoma, chronic kidney disease stage IV, and severe osteoporosis, whereas the older sister had normal stature (162 cm), one tiny hepatic nodule, and normal renal function. Direct sequencing of G6PC in two sisters identified a homozygous splicing mutation, c.645G>T, which is a prevalent mutation in Korea. Interestingly, our cases and four adults from recent reports had asymptomatic mild hypoglycemia and various manifestations including renal failure, HCC, fatty liver, or uncontrolled hyperlipidemia. These adult cases represent not only heterogenous phenotype to genotype within family members with GSD Ia but also long-term complications such as gouty arthritis, renal failure, and osteoporosis in untreated adult GSD Ia patients. In addition, lactic academia and hypertriglyceridemia are good markers of GSD Ia to distinguish from metabolic disease.

      • KCI등재

        A neonate with hyperornithinemia-hyperammonemia-homocitrullinuria syndrome from a consanguineous Pakistani family

        김유미,임한혁,Mi Hyeon Gang,Yong Wook Lee,Sook Za Kim,Gu-Hwan Kim,Han-Wook Yoo,Jung-Min Ko,Meayoung Chang 대한의학유전학회 2019 대한의학유전학회지 Vol.16 No.2

        Hyperornithinemia-hyperammonemia-homocitrullinuria (HHH) syndrome is a rare autosomal recessive urea cycle disorder. HHH is caused by a deficiency of the mitochondrial ornithine transporter protein, which is encoded by the solute carrier family 25, member 15 (SLC25A15) gene. Recently, government supported Korean newborn screening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a tandem mass spectrometry (MS/MS) measurement of ornithine level. We report a case of a neonate with HHH syn-drome showing a normal MS/MS measurement of ornithine level. A female newborn was admitted to neonatal intensive unit due to familial history of HHH syndrome. Her parents were consanguineous Parkistani couple. The subject’s older sister was diagnosed with HHH syndrome at age of 30 months based on altered mental status and liver dysfunction. Even though the subject displayed normal ammonia and ornithine levels based on MS/MS analysis, a molecular test conἀrmed the diagnosis of HHH syndrome. At 1 month of age, amino acid analysis of blood and urine showed high levels of ornithine and homoc-itrulline. After 11 months of follow up, she showed 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whereas affected sister showed progres-sive cognitive impairment despite no further hyperammonemia after protein restriction and standard therapy. Our report is in agreement with a previous Canadian study, which showed that neonatal samples from HHH syndrome patients demonstrate normal ornithine levels despite having known mutations. Considering the delayed rise of ornithine in affected patients, ge-netic testing, and repetitive metabolic testing is needed to prevent patient loss in high risk patients.

      • 고셔병 환자에서 효소대체치료의 장기적 효과와 한계

        김유미,Kim, Yoo-Mi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4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4 No.1

        Gaucher disease is a multisystemic disorder arising from a deficient activity of the lysosomal enzyme glucocerebrosidase, which leads to accumulation of glycosylceraide and other glycolipids in the regiculoendothelial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Gaucher disease are anemia, thrombocytopenia, hepatosplenomegaly, and skeletal disease. Enzyme replacement therapy (ERT) has been proven to prevent progressive manifestations of Gaucher disease and effective in improving anemia, thrombocytopenia, bone markers and biomarkers. However, some patient needs still remain unmet because of the inaccessibility of certain sites including brain, bone and various organs. ERT could not Improve the irreversible lesion such as liver fibrosis, hepatopulmonary syndrome, and necrosis or infarction of bone and other organs. Adult patients with Gaucher disease should be screened for longterm complication such as bone disease, pulmonary hypertension, gallstone, and cancer, especially in patients with splenectomy. Parkinsonism and polyneuropathy was also reported among patients with type 1 Gaucher disease, but ERT does not improve neurological function. We need to review the benefits and unmet needs of ERT in Gaucher disease.

      • 고메티오닌혈증의 신생아 선별 검사 후 진단 알고리즘

        김유미,Kim, Yoo-Mi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6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6 No.1

        국내 정부 지원 무료 검사로 진행 중인 6종 신생아 선별 검사에서 호모시스틴뇨증을 진단하기 위해 메티오닌의 증가가 마커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고메티오닌혈증에서 감별해야 하는 질환들에는 간질환, tyrosinemia type I (MIM #276700), methionine adenosyltransferase (MAT) I/III 결핍, glycine N-methyltransferase (GNMT) 결핍, adenosylhomocy-steine hydrolase (SAHH) 결핍, adenosine kinase (ADK) 결핍, citrin deficiency (citrullinemia type I) 등이 있다. 고메티오닌혈증의 흔한 원인이자 양성 질환으로 알려졌던 MAT I/III 결핍 질환은 유전 방식에 따라 신경학적 증상 발현 및 치료의 필요성이 보고되고 있어 신생아 선별검사에서 고메티오닌혈증 양성으로 나올 경우 감별 진단 및 처치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겠다. 신생아 선별검사에서 고메티오닌혈증 양성으로 나올 경우, 간수치 및 혈장 아미노산 분석, 혈장 총 호모시스테인 수치를 통해 여러 질환 들을 감별할 수 있으며 혈장 총 호모시스테인의 증가가 40 umol/L 미만의 경우에서는 MAT I/III 결핍을 먼저 고려해 볼 수 있겠다. MAT I/III 결핍에서는 우성 유전형일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 없지만 열성 유전형에서는 정기적인 발달 지표, 혈장 메티오닌과 총 호모시스테인 수치의 추적이 필요하겠으며 심한 고메티오인혈증(>800umol/L)에서는 저메티오닌식이를, 발달 지연, 뇌말이집 형성 장애가 동반한 경우에는 S-adenosylmethio-nine (SAM) 복용을 고려한다. 호모시스틴뇨증에서는 절반에서 피리독신 반응형을 보이고 피리독신 반응형은 조기에 메티오닌 증가가 없을 수 있기에 선별검사에서 놓칠 수 있다. 치료에는 저메티오닌 식이, 피리독신, 베타인, 엽산 등이 있으며 베타인 투약시 메티오닌 증가로 인한 뇌부종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 외 GNMT, SAHH, ADK 결핍은 현재 환자 수와 예후가 제한적으로 조기 진단 및 치료에 대한 뚜렷한 이득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미국, 유럽의 일부 기관들에서는 낮은 메티오닌 수치로 재메칠화 장애에 대한 선별검사도 시행하고 있어 국내에도 관련 질환에 대한 현황 및 선별검사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가 필요하겠다. Newborn screening (NBS) is important if early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a disorder and if there are sensitive and specific biochemical markers to detect disorder. Methionine is a useful marker to detect abnormal methionine-homocysteine metabolism, especially homocystinuria which needs urgent medical intervention. However, hypermethioninemia could occur in other metabolic disorder including liver disease, tyrosinemia type I, methionine adenosyltransferase (MAT) I/III deficiency, glycine N-methyltransferase (GNMT) deficiency, or adenosylhomocysteine hydrolase deficiency. However, experience with NBS for homocystinurias and methylation disorders is limited. Especially, MAT I/III deficiency which is the most common cause of persistent hypermethioninemia have two inheritance, autosomal recessive (AR) and autosomal dominant (AD), and their clinical manifestation is different between AR and AD. Here, author reviewed recent articles of guideline and proposed guideline for homocystinuria and methylation disorder.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상관성 연구

        김유미,강수찬,권기남,서유진,성승훈,손정림,손현아,신유라,김은희,Kim, You-Mi,Kang, Su-Chan,Kwon, Ki-Nam,Seo, Yoo-Jin,Sung, Seong-Hun,Son, Jeong-Lim,Son, Hyeon-Ah,Shin, Yu-Ra,Kim, Eun-Hee 한국임상보건과학회 2018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Vol.6 No.1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nursing students, and to examine whether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ffect career maturity. Methods: The data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0 were collected from April 1, 2016 to April 15, 2014 in 184 students at the four-year college of Nursing in J city.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dicate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maturity (r=.428, p<.001),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R=.442, p<.001) and majors' satisfaction (r=.605, p<.001) either. likewise, career maturity and career matur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maturity and career satisfaction. Conclus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hance and improve adaptation to major through conversations in conjunction with counseling and career guidance from the entrance, and maintaining intimate and solid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and professors, also, the students and senior of whom, leading to intensify positive implication to future career.

      • KCI등재

        지역사회획득 폐렴 환자의 퇴원시 사망 요인 분석

        김유미,Kim, Yoo-Mi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1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행정자료를 이용하여 지역사회획득 폐렴 환자의 사망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4~2006년 퇴원손상환자 조사자료 중 지역사회획득 폐렴환자 5,353건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사망률의 차이분석은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고, 사망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의사결정나무 모형을 이용하였다. 의사결정나무 모형 중 C4.5가 성능이 우수하였는데, 입원경로, 호흡부전, 울혈성심부전을 포함하여 연령, 동반질환, 병상규모 등이 폐렴 사망의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행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사회획득 폐렴환자의 사망 위험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나 향후 병원특성, 지역특성, 의료행태 등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변수를 포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is factors related to in-hospital mortality of community-acquired peumonia using administrative database. The subjects were 5,353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patients of the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jury Survey 2004-2006 dat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d test and decision tree model in the data mining technique. Among the decision tree model, C4.5 had the best performance. The critical factors on in-hospital mortality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are admission route, respiratory failure, congenital heart failure including age, comorbidity, and bed size. This study was carried out using the administrative database including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comorbidity. However further study should be extensively including hospital characteristics, regional medical resources, and patient management practice behavior.

      • KCI등재후보

        여성국극에 나타난 대중 역사극의 한 양상 -<서동과 공주>를 중심으로-

        김유미 ( Yoo Mi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07 한민족문화연구 Vol.23 No.-

        이 논문은 1950년대 대중극으로서 인기가 있었던 여성국극 작품 중에서 새로 발굴한 임춘앵 여성국극단에 의해 공연되었던 조건 작 <서동과 공주>를 중심으로 그 당시 여성국극에서 주로 선보였던 대중 역사극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성국극에서 다루었던 대중 역사극은 역사를 소재로 하지만 역사를 재구하거나 고증하는 일과는 무관하다. 오히려 역사적 특성은 배경으로 머물며 사랑이라는 주제가 전면에 배치된다. 이는 여성국극이 보여준 대중 역사극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서동과 공주>에서도 역사적 사실보다는 설화적 특징이 두드러지며 사랑의 가치를 역설한다. 그러한 역설은 인물의 역할 전도 속에서 더욱 강력하게 주장되는데 서동이란 남자주인공이 여성 인물의 입장에서 등장하여 역할의 전도를 통해 표현됨으로써 직설적인 효과를 얻게 된다. 여성국극은 남성 역할을 여성 배우가 함으로써 역할의 전도가 전제되는 양식인데 <서동과 공주>의 경우에는 그 남성 역할이 여성적 입장 속에서 더욱 빛나도록 하는 전략을 구사한다. 이는 `사랑으로 모두 평등`이라는 급진적 가치관을 드러내는 방법이 되기도 한다. 이는 이러한 주제를 위해 남성 주인공에게 여성의 입장을 경험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타진해 볼 수 있다. In 1950s, historical drama was popular. Among performances in those periods, the korean female classical opera was representative of that historical drama as a popular genre. But the study on the korean female classical opera has been difficult, because the script of that could hardly be found. So the finding of <Sudong & Princess> has an important meaning because it can provide a base for the study of the Korean female classical opera. <Sudong & Princess> story is originated from the historical folktale book, `Samgukyusa`. <Sudong & Princess> has more folktale feature than historical one. In that point, we can guess <Sudong & Princess> has a primitive energy. It`s outstanding feature is giving the female voice to male character "Sudong" who shows unchanged love and fidelity like "Chunhyang". As those were very important and dutiful virtues for a woman at that times, the reverse of role or the feminine voice through male character was sensational. This make it possible to study the korean female classical opera in the view of feminism.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토론과 쓰기의 연계성 활성화 방안

        김유미 ( Kim Yoo-mi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6 No.-

        이 논문에서는 논리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둔 대학 글쓰기에서 토론의 역할을 재검토하고 장단점을 정리하여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읽기-토론-쓰기의 통합교육에서 토론-쓰기의 부분에 대한 연구가 소략하다는 검토를 바탕으로 토론-쓰기의 연계 방법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의 글쓰기를 촉진하기 위해 교수자가 고민해야 하는 토론수업의 방향을 가늠해보았다. 토론의 과정을 거치면 스스로 피드백을 받게 되는 셈이므로 주요한 내용들의 취사선택이 가능해져 콘텐츠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선택성까지 얻게 되는 측면이 생긴다. 이것이 바로 토론의 긍정적 측면이다. 한편 토론을 활용한 학습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표면적인 답변만을 반복하여 본질적인 의사소통 교육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만든다는 것이다. 고전이라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비 찬반형 토론에서도 이러한 문제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이는 토론이 지닌 가장 본질적인 한계로 보인다. 그러나 이는 토론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토론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데서 오는 문제로 파악된다. 이 논문에서는 토론의 긍정적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하면서 단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토론 주제, 토론 방법, 토론 참여도 외에 다양한 지식과 관점들 속에서 문제를 선별하는 능력을 높이기 위한 토론수업을 제시하였다. 토론 수업 전 읽기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독자에서 글쓰기의 저자가 될 수 있도록 준비를 하는데 중점을 두었고 토론 수업에서는 상호텍스트성이 작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문제설정 능력과 더불어 확산적 사고의 상승을 가져오도록 하였다. 실제 수업에서의 글쓰기 결과물 분석을 통해 글쓰기에 필요한 다양한 능력의 활성화를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설정과 관련해서 효과적이고 쉬운 방법이 논점 집중도를 높이는 것이라는 다소 상식적인 결론도 확인할 수 있었지만 토론을 통해 글쓰기를 잘 하지 못하는 학생들한테서도 확산적 사고를 이끌어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This study was trying to find the effective way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which is aiming to improve logical,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by reevaluation of the role of discussion and analysis of merits and demerits. In addition, this was trying to focus the way to correlate discussion and writing based on the analysis that the study about discussion-writing had been neglected in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discussion-writing. Through this, the direction of discussion-education for teachers to concern to improve the writing of students was estimated. The most difficult problem in discussion-education is that the effect of basic communication education cannot be expected by just repetition of superficial answers. It seems to be the most substantial limitation of discussion because it can occur even in non-yes or no discussion centered on text. The diversity as well as selectivity of contents can be obtained because preferential selection is possible by self-feedback from the process of discussion. This is the positive aspect of discussion. This study suggested discussion-education to improve the capability to pick out appropriate problems in a variety of knowledge and viewpoint, in addition to discussion theme, discussion method, discussion participation to minimize shortcomings while these functions were working properly. This aimed to bring the advocacy of divergent thinking and problem setting ability by making environment for text-interaction to work well in discussion-education focused on preparation for students to become writers from readers in pre-discussion-education step. This effect could be confirmed to a certain degree by analyzing writing products in real education field whereas effects on more students by analysis of products were related with theme concentration. However, the aspect that it drew divergent thinking from students who were not good at writing can be assessed positive.

      • KCI등재

        질문 생성을 위한 단계별 읽기 구성 방안 : <명저읽기> 그리스 비극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유미(Kim, Yoo Mi)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이 논문은 <명저읽기>라는 고전교육 수업 사례를 통해 질문 생성하기라는 방법이 고전읽기를 촉진하 고 읽기에 대한 관점을 스스로 정립해가는 과정에서 중요하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많이 읽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자발적으로 읽도록 하는 순간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다. 질문 생성하는 과정에 초점을 둔 수업은 그러한 기회를 주는 것이 된다. 질문하기에도 다양한 수준이 있고 이를 발전시켜 하나의 문제제기가 될 수 있도록 하려면 읽기 단계 별로 수업이 구조화될 필요가 있다. 부분적으로나마 2차 읽기, 3차 읽기가 가능하도록 단계별 읽기에 따라 강의 정보, 과제, 소그룹 활동이 적절히 배분되고 탄력적으로 운영되는 것을 중심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그리스 비극 6편의 작품별 목표를 설정하고 두 작품씩 목표를 차별화하여 단계별로 진행하 였다. 모든 작품 읽기의 목표는 자신의 관점을 갖는 것이지만 첫 두 작품에서는 질문하기에, 그 다음 두 작품에서는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에, 마지막 두 작품에서는 앞의 작품들과의 비교에 초점을 두고 자신의 관점을 세우도록 하였다. 질문하기는 모든 작품에서 중요하지만 뒤로 갈수록 자신의 질문을 발전시켜서 결과물을 낼 수 있도록 초점화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작품별로 읽기 목표를 달리하였지만 모든 작품에 읽기 단계를 둔 것은 질문을 하기 위해서든, 대답을 하기 위해서든 자발적인 읽기의 기회와 여건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결국 학습자가 스스로의 관점을 세우기 위해 여러 방식의 읽기를 경험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계별 읽기를 통해 질문하고 그것을 자신의 관점으로 발전시켰는데 스스로의 힘으로 성취했다는 점을 학습자가 인지하는 순간부터 자발성의 힘에 속도가 생긴다는 점을 학생들의 발표와 토론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imed to reveal that the method used for the creation of questions by students taking a classic education class named <Reading Masterpiece> is important in two ways: 1) facilitating the difficulty with which students read classical literature, and 2) establishing individual perspectives when reading by oneself. The experience of voluntary reading is more important than reading a lot. The class focused on the process used by students to create questions regarding the texts they’re required to read, it is necessary for us to structure classes according to these levels in reading in order to raise the level of questions the students are able ask. To make secondary and tertiary reading possible at least in part, the class information, the details regarding the actual assignment of the class and a small group activity were given and conducted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students’ reading levels. The procedure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reading levels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goals for each work assigned. Even though students have their own unique perspecitves regarding the goals of every text assigned to them, we asked them to come up with their own perspectives in their approach to these texts. Furthermore, we had them focus on the types of questions pertaining to the first two works they were requried to read, and by pointing out the possibility of various interpretations regarding their next two works. Finally, we had them compare their work to the last two texts that they read. Of course, the process of creating questions is important in every work, but this study aimed at encouraging students to develop their own individual questions. This is because it is more important for instructors to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in students can voluntarily utilize reading that encourages them to come up with their own perspectives rather than simply giving them a number of opportunities to read. For reading itself provides students the chance of engaging in tertiary reading. Students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confirmed that the power of spontaneity builds up from the moment the learner recognizes that they have achieved it by themselves by asking questions and developing it into their own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