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이 보육교사의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연아(Youn A Kim),박연정(Youn Jung Park),김경은(Kyoung Eun Kim) 한국아동학회 2014 아동학회지 Vol.35 No.4

        This study examined how child care teachers` background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relate to their job satisfaction. Participants were 400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uthors` hypothesized model, which proposed that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career directly influenced on self-efficacy and job stress but had no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Education level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job stress but had no direct effect o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eachers` self-efficacy affected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affected job satisfaction. Furthermore, self-efficacy mediated the effects of career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dditionally, job stress mediated the effects of education level and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were key predictors and mediating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 KCI등재

        보육교사의 초기 부모불안애착 및 사회적 관심, 직무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경은(Kim KyoungEun),김연아(Kim Youn-A)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생애 초기 부모와의 불안애착이 사회적 관심을 매개로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 관계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에 동의한 보육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초기 부모애착척도(Early Parental Attachment Scale: EPAS), 사회적 관심 척도(Social Interest Inventory) 및 직무열의 척도(Utrecht Work Engagement Scale)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모델의 적합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초기 부모와의 불안애착은 사회적 관심 및 직무열의와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적 관심은 직무열의와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초기 불안애착은 사회적 관심을 통해 직무열의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 능력 향상을 위한 직무교육이나 프로그램 개발 시 보육교사의 타인에 대한 공감 및 이해, 타인 및 공동체의 복지를 의미하는 사회적 관심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teachers’ insecure-anxious/ ambivalent attachment, social interest and work engagement, and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interest. The participants were 207 preschool teachers in K province who agreed to be involved in this study. Early Parental Attachment Scale (EPAS), Social Interest Scale, and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UWES-9) were used for the survey. A hypothesized model and an alternative model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preschool teachers’ insecure-anxious/ambivalent attachmen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social interest and work engagement. Preschool teacher’s social interest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work management. Preschool teachers’ insecure-anxious/ ambivalent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work engagement via social interest. Implications to enhance preschool teacher’s work engagement were discussed, highlighting the necessity for a teacher to perceive the importance of social interest.

      • KCI등재

        아이돌보미 사업 아동학대사례관리 전담인력의 현황 및 개선방안

        김경은(Kim, Kyoung-Eun),임정하(Lim, JungHa),김리진(Kim, Leejin),김주현(Kim, Joo Hyun),김연아(Kim, Youn-A),이아연(Lee, Ayeon)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안전한 아이돌봄서비스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아이돌보미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2020년 신설된 아이돌봄 아동학대사례관리 전담인력의 현황 및 개선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재직 중인 아동학대사례관리 전담인력 106명, 서비스제공기관 책임자 88명, 광역모니터링단 10명으로부터 설문조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이돌봄 아동학대사례관리 전담인력의 일반적 배경, 업무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전담인력의 업무에 대한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반복측정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담인력의 학력, 전공, 자격증, 이전 경력은 다양하였고, 이들은 자신의 업무 중 아동학대 의심가정 사례관리 업무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나 이 업무에 대한 이해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돌봄 아동학대사례관리 전담인력의 업무 실행 상황을 살펴본 결과, 아이돌보미 채용 시 인․적성 검사 및 인성교육 실시 업무 외의 주요업무 실행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돌봄 아동학대사례관리 전담인력의 효율적 업무 수행을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한 의견을 살펴본 결과, 아동학대 의심가정 사례관리 업무 수행을 위해 사례관리 전담인력 역량강화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이돌보미 아동학대사례관리 전담인력의 업무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present status, and improvement points for the task of the case manager of child abuse prevention, which was newly established in 2020 as the demand for safe child-care support services and the need to reinforce monitoring for child-care providers indcrease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106 case managers of child abuse prevention working at the health family support center and healthy family and multicultural centers, 88 persons in charge of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s, and 10 members of the regional monitoring group across the nation. For data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background, majors, qualifications, and previous experience of the case managers of child abuse prevention varied and they considered ‘the case management for families with suspected child abuse’ to be the most important among their tasks, with that being said they showed the lowest level of understanding in that task. Second, the case manager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performing major tasks other than ‘personality and aptitude tests and personality education when hiring child-care provide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ase managers need capacity-building training to perform their ‘case management tasks for families suspected of child abuse’.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expertise in the task of the case manager of child abuse prevention.

      • SCOPUSKCI등재

        교감신경 의존적 및 비의존적 신경병증 통증 쥐 모델 후근신경절에서 Ca<sup>++</sup> Channel α2δ subunit와 TRPM8 발현

        한동우,권태동,김연아,최종범,이윤우,Han, Dong Woo,Kweon, Tae Dong,Kim, Yeon A,Choi, Jong Bum,Lee, Youn Woo 대한통증학회 2008 The Korean Journal of Pain Vol.21 No.1

        Background: Peripheral nerve injury induces up-regulation of the calcium channel alpha2delta (${\alpha}2{\delta}$) subunit and TRPM8 in the dorsal root ganglion (DRG) which might contribute to allodynia development.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the ${\alpha}2{\delta}$ subunit and TRPM8 in the DRG of sympathetically maintained pain (SMP) and sympathetic independent pain (SIP) rat model. Methods: For the SMP model, the L5 and L6 spinal nerves were ligated tightly distal to the DRG. For the SIP model, the tibial and sural nerves were transected, while the common peroneal nerve was spared. After a 7 day postoperative period, tactile and cold allodynia were assessed using von Frey filaments and acetone drops, respectively. Expression of the ${\alpha}2{\delta}$ subunit and TRPM8 in the L5 and L6 DRG were subsequently examined by a Western blot.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odels for the thresholds of tactile and cold allodynia. Expression of the ${\alpha}2{\delta}$ subunit in the ipsilateral DRG to the injury was increased as determined on a Western blot as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alateral or sham-operated DRG of the SMP model,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xpression seen with the use of the SIP model.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of TRPM8 in the ipsilateral DRG to the injury and the contralateral or sham-operated DRG of either model. Conclusions: Up-regulation of the ${\alpha}2{\delta}$ subunit in injured DRG may play a role that contributes to tactile allodynia development in SMP, but not TRPM8 to cold allodynia after peripheral nerve inju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만 5세 유아가 경험하는 디자인씽킹 프로그램에 대한 의미 탐색

        김경은(Kim, KyoungEun),김연아(Kim, Youn-A)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1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의 디자인씽킹 프로그램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아가 디자인씽킹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디자인씽킹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그리고 디자인씽킹을 통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서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수도권에 위치한 어린이집 2곳의 만 5세 유아 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9년 10월부터 12월까지 연구자들이 3개월 동안 주 2-3회 방문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유아를 관찰하였다. 유아 관찰 자료 및 교사들의 보고서 자료 등이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디자인씽킹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유아들은 디자인씽킹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였다. 둘째, 유아는 디자인씽킹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이 증가되었다.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과 도전정신, 창의적 표현, 협력이 높아졌다.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의 디자인씽킹 프로그램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유아 디자인씽킹 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고 미래 유아교육의 새로운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the design thinking programs for 5 year-olds : specifically how young children recognized design thinking. and how young children’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could be enhanced through design thinking programs. The program was conducted on 31 5 year-olds at two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From October 2019 to December 2019, researchers visited two to three times a week to conduct programs and take observations. The observation data on young children and teachers’ report data on young children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design thinking increased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design thinking program. Second, young children’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increased since they participated in the design thinking program; Young children’s confidence in problem solving, enhanced creative ideation, and improved cooperation with peers were all promo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experience of the design thinking program for 5 year-olds is explored in depth. This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infant design thinking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후보

        Clostridium difficile에 의한 설사의 예후인자

        김준형,김희정,구남수,김영근,최준용,신소연,박윤선,김연아,김명수,정수진,최희경,송영구,이경원,김준명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2

        배경 : Clostridium difficile에 의한 설사(Clostridium difficile associated diarrhea; CDAD)는 임상 경과가 다양하다. 최근에 유럽과 북미에서 C. difficile 감염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고전적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으며 이환률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원인이 새로운 균주의 탄생에 기인한다고 보고되었다. CDAD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세균성 요인과 숙주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2년 8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CDAD가 진단된 20세 이상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Cohort 연구를 하였다. 세균성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cdt A, cdtB, tcd A, tcd A rep 그리고 tcd B 유전자(binary toxin)를 확인하였다. 설사가 치료 시작 후 11일 이상 지속되거나, 2달 이내에 재발하거나, 수술 혹은 다른 시술이 필요한 경우, 사망한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 총 115예에서 toxin을 생성하는 C. difficile가 동정되었으며, Toxin A와 toxin B 모두 양성인 균이 91예, toxin B만 양성인 균이 24예였다. Toxin A 생성 여부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제산제를 사용한 환자에서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toxin B만 양성인 균이 많이 동정되었다(P<0.05).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는 39예(33.9%)였고 76예(66.1%)에서 예후는 양호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70세 이상의 고령, 남성, 증상 발현 후 사용한 항생제의 개수 사용, 증상 발현 후 carbapenem, aminoglycoside, glycopeptide 사용, 당뇨 및 뇌졸중 병력이 있는 경우, 그리고 높은 Charlson index가 불량한 예후 인자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독립적인 예후 인자를 조사했을 때에는70세 이상의 고령(odds ratio=3.378, P=0.009), 증상 발현후 carbapenem 사용(odds ratio 7.210, P<0.001)이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확인되었다. 결론 : 70세 이상의 고령과 증상 발현 후 carbapenem 사용이 CDAD 독립적인 불량한 예후인자이다. Background : Clostridium difficile associated diarrhea (CDAD) has a wide range of clinical manifestations. The prognostic factors of CDAD are not fully understood. Materialsand Methods :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115 patients with CDAD from Aug. 2002 to Dec. 2003 was conducted to evaluate prognostic factors of CDAD. Bacteriologic factors were determined by detecting the binary toxin gene, tcd A, tcd A rep and tcd B gene. Poor prognosis was defined as diarrhea more than 10 days even with classic treatment, recurrence, death, and moribund discharge. Results : Approximately 79% of isolated strains were toxin A+/B+ strains and 21% were toxin A-/B+ strains.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ognosis between toxin A+ and toxin A- strains. 39 (33.9%) cases showed poor prognosis and 76 (66.1%) cases showed good prognosis. Univariate analyses revealed that the poor prognostic factors were old age over 70 years old, male, the number of antibiotics used after onset of symptom, the administration of carbapenems, aminoglycosides, glycopeptides after onset of symptom, history of DM and stroke, and high Charlson comorbidity index.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old age over 70 years old (odds ratio=3.378, P=0.009) and the administration of carbapenems after onset of symptom (odds ratio 7.210, P<0.001) as the independent poor prognostic factors. Conclusion : Old age over 70 and the administration of carbapenems after onset of symptom were the poor prognostic factors for CDAD caused by none-binary toxin producing stra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